KR200445182Y1 -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182Y1
KR200445182Y1 KR2020090004562U KR20090004562U KR200445182Y1 KR 200445182 Y1 KR200445182 Y1 KR 200445182Y1 KR 2020090004562 U KR2020090004562 U KR 2020090004562U KR 20090004562 U KR20090004562 U KR 20090004562U KR 200445182 Y1 KR200445182 Y1 KR 200445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ortion
wearer
belt
sea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용
Original Assignee
임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용 filed Critical 임기용
Priority to KR202009000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1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head rest)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착용자의 운전자세를 바르게 교정하고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사고발생시 보조안전벨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좌우양측 수직봉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한쌍의 장착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착구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시트장착부와,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가슴벨트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어깨끈이 구비되어 있는 벨트착용부와, 전방과 후방이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와 후방절곡부를 형성한 한쌍의 견인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견인대는 전방절곡부의 하부끝단이 상기 벨트착용부의 각 어깨끈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절곡부의 하부끝단은 상기 시트장착부의 각 높이조절수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견인대의 후방절곡부에는 지지스프링이 끼워져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견인교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세교정장치, 헤드레스트, 시트장착부, 벨트착용부, 견인교정부

Description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A correction device of a driver posture for a car seat}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head rest)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착용자의 운전자세를 바르게 교정하고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사고발생시 보조안전벨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좌우양측 수직봉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한쌍의 장착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착구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시트장착부와,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가슴벨트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어깨끈이 구비되어 있는 벨트착용부와, 전방과 후방이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와 후방절곡부를 형성한 한쌍의 견인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견인대는 전방절곡부의 하부끝단이 상기 벨트착용부의 각 어깨끈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절곡부의 하부끝단은 상기 시트장착부의 각 높이조절수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견인대의 후방절곡부에는 지지 스프링이 끼워져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견인교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승합차, 버스 등과 같은 각종 차량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목적지까지 편안하게 갈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장착되어 착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시트(seat)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시트 상부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면서 추돌 등으로 인한 탑승자의 목부상 방지와 머리 부분을 편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 헤드레스트와, 시트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팔을 걸 수 있는 암레스트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인체 공학적 측면에서 시트에 굴곡면을 부여하여 착석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해주는 다양한 형태의 시트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시트일지라도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결국 착석자의 상체 하중이 허리와 척추쪽으로 집중되어 인체의 혈액순환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혈액순환 장애에 따라 팔, 다리, 어깨, 허리 등이 저리고 아프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390114호에서는 자동차, 비행기, 여객선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 장착된 시트에 있어서, 시트백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부재와, 시트백의 전방 에 배치되고 수평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가이드부재와, 시트백 전면부에 배치되어 시트에 착석한 착석자의 양 겨드랑이 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걸이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걸이부재는 각 수직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직가이드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걸이부재의 수직 이동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걸이부재의 일측에 고정공이 관통되고 수직가이드부재에는 걸이부재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다수의 고정홈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재의 고정공 및 수직가이드부재의 고정홈에 고정구가 삽입되어 걸이부재를 수직가이드부재의 특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체중 분산용 시트가 고안되었으나, 상기 선등록 고안의 경우 차량의 시트 전면부에 한쌍의 걸이부재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착석시 상기 한쌍의 걸이부재에 걸려 시트에 착석하기가 매우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걸이부재를 착석자의 신체에 맞추어 일정높이로 설치한 경우 항상 그 위치로 고정된 상태로만 위치되어 있어 장시간 운전시 착석자의 겨드랑이 부위에 끼워진 걸이부재에 의한 압박감에 의해 운전이 방해되어 장시간 착용할 수 없고, 또한 운전 중 상기 걸이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도 걸이부재의 위치변경이 어 려워 운전을 멈춤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의 조절을 통해 걸이부재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체 장치 자체의 착탈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기 설치된 시트에서 다른 시트로의 재설치 및 위치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거리 운전자의 경우 상체를 곧게 편 상태에서 운전하지 못하고 운전대가 있는 앞쪽으로 상체를 기울인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운전자세 불량으로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이 크게 증가하여 척추측만증 등의 각종 척추질환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종래의 시트 및 선등록 고안의 경우 운전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바른 자세에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세 교정 기능이 부족하여 장거리 운전자에게 흔히 발생되는 각종 척추질환을 개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장착부를 구비하여 각종 차량의 시트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head rest)에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장착되면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가능하도록 하고, 벨트착용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착용자의 가슴부위 및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방식으로 안정감있고 장시간 착용시에도 편안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견인교정부를 구비하여 상기 벨트착용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착용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운전시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고 사고발생시 착용자의 상체가 운전대쪽으로 튕겨져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안전벨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트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좌우양측 수직봉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한쌍의 장착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착구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시트장착부와,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가슴벨트와 상기 가슴벨트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어깨끈이 구 비되어 있는 벨트착용부와, 수평으로 위치된 견인대본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견인대본체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와 후방절곡부를 형성한 한쌍의 견인대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견인대는 전방절곡부의 하부끝단이 상기 벨트착용부의 각 어깨끈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절곡부의 하부끝단은 상기 시트장착부의 각 높이조절수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견인대의 후방절곡부에는 지지스프링이 끼워져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견인교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시트장착부에 의해 각종 차량의 시트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head rest)에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장착되면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벨트착용부에 의해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착용자의 가슴부위 및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방식으로 안정감있고 장시간 착용시에도 편안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견인교정부에 의해 상기 벨트착용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착용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운전시 착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고 사고발생시 착용자의 상체가 운전대쪽으로 튕겨져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안전벨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차량의 시트(seat) 상부에 구비된 헤드레스트(head rest)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착용자의 운전자세를 바르게 교정하고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사고발생시 보조안전벨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각종 차량의 시트(3)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4)의 좌우양측 수직봉(5a)(5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한쌍의 장착구(6a)(6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착구(6a)(6b)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10a)(10b)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시트장착부(2)와,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가슴벨트(23)와 상기 가슴벨트(23)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어깨끈(24a)(24b)이 구비되어 있는 벨트착용부(22)와, 전방과 후방이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36)와 후방절곡부(37)를 형성한 한쌍의 견인대(34a)(34b)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견인대(34a)(34b)는 전방절곡부(36)의 하부끝단이 상기 벨트착용부(22)의 각 어깨끈(24a)(24b)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절곡부(37)의 하부끝단은 상기 시트장착부(2)의 각 높이조절수단(10a)(10b)에 각각 연 결되며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에는 지지스프링(38)이 끼워져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22)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3)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견인교정부(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장착부(2)는 도 1, 2,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차량의 시트(3)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착되면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헤드레스트(4)의 하부 좌우양측에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시트(3)의 상부에 헤드레스트(4)가 상하 높이조절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수직봉(5a)(5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한쌍의 장착구(6a)(6b)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장착구(6a)(6b)는 수직으로 세워진 사각판형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우측 장착편(7a)과 좌측 장착편(7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장착편(7a)(7b)은 각각 가운데부분에 상기 수직봉(5a)(5b)의 반경에 부합되게 외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의 수용홈(8a)(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편(7a)(7b)에서 수용홈(8a)(8b)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공(9a)(9b)이 천공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장착편(7a)의 수용홈(8a)과 좌측 장착편(7b)의 수용홈(8b) 사이에 수직봉(5a)(5b)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9a)(9b)에 각각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각 수직봉(5a)(5b)에 각각의 장착구(6a)(6b)가 고정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 및 너트를 해체할 경우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장착구(6a)(6b)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10a)(10b)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높이조절수단(10a)(10b)은 암높이조절구(11)와 수높이조절구(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암높이조절구(11)는 일정길이를 지닌 바(bar)형상으로 상기 장착구(6a)(6b)의 장착편(7a)(7b)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부착된 연결편(13)의 후방 끝단 상면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암높이조절구(11)의 상부 가운데부분에는 조절봉삽입공(14)이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상기 조절봉삽입공(14)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5)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높이조절공(15) 중 어느 하나에 높이조절볼트(16)가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조절봉삽입공(14)의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는 수높이조절구(12)의 높이조절봉(20)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높이조절구(12)는 일정길이를 지닌 바(bar)형상으로 상부 가운데부분에 절곡부삽입공(17)이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상부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상기 절곡부삽입공(17)과 연통되는 고정공(18)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고정공(18)에 고정볼트(19)가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절곡부삽입공(17)의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는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 하부가 절곡부삽입공(17)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단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높이조절구(12)의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높이조 절봉(20)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봉(20)은 암높이조절구(11)의 조절봉삽입공(14)에 부합되는 길이와 직경을 지니고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움푹 파인 상태로 높이조절봉(2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지닌 걸림단(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높이조절봉(20)이 조절봉삽입공(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맞추어 높이조절봉(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볼트(16)를 높이조절봉(20)의 걸림단(21)이 위치된 부분과 부합된 위치의 높이조절공(15)을 통해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하여 상기 걸림단(21)에 높이조절볼트(16)의 끝단이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일정높이로 조절된 수높이조절구(12)가 암높이조절구(11)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걸림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높이조절구(12)는 높이조절봉(20)의 걸림단(21)에 높이조절볼트(16)가 걸려있어 상하로 이동되지 않지만 상기 높이조절봉(20)을 축으로 회전가능하여 수높이조절구(12)에 단속 체결되는 견인대(34a)(34b)도 높이조절봉(20)을 축으로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착용부(22)는 도 1,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3)에 착석한 착용자의 가슴부위 및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부분으로,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가슴벨트(23)와, 상기 가슴벨트(23)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어깨끈(24a)(24b)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가슴벨트(23)는 띠형상으로 전방 가운데부분이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슴벨트(23)의 일측끝단 후면부에는 암벨크로테잎(25)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타측끝단 전면부에는 수벨크로테잎(26)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착용자의 가슴둘레에 따라 임의대로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가슴벨트(23)는 일측끝단에 통상의 허리띠에 장착되는 버클(buckle)이 장착되거나 또는 단추나 걸림핀 등이 장착되고 가슴벨트(23)의 타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 등이 천공되어 가슴벨트(23)의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어깨끈(24a)(24b)은 가슴벨트(23)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면서 착용자의 어깨 사이즈(size)에 맞게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각 어깨끈(24a)(24b)은 후방에 고정되게 위치된 후방연결끈(27)과 전방에 위치되어 길이조절되는 전방연결끈(28)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연결끈(27)은 일정길이로 된 끈으로 하부끝단이 가슴벨트(23)의 후방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부끝단에는 정면에서 볼 때 "曰"자형상으로 된 상부고정고리(29)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연결끈(28)은 후방연결끈(27)보다 2배 이상 더 긴 길이로 되어 있고 하부가 가슴벨트(23)의 전방에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끝단에는 정면에 볼 때 "曰"자형상으로 된 하부고정고리(30)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연결끈(28)의 상부끝단이 상부고정고리(29)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중간대(31a)의 하부를 관통한 다음 다시 상기 중간대(31a) 상부를 관통하여 묶음체결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하부고정고리(30)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중간대(31b)의 하부를 관통한 다음 다시 상기 중간대(31b) 상부를 관통하여 묶음체결되는 방식으로 그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고리(29)의 상면부에는 체결링(32)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대(34a)(34b)의 전방절곡부(36) 하부끝단에 형성된 체결고리(39)가 상기 체결링(32)에 끼워져 상기 견인대(34a)(34b)가 벨트착용부(22)를 상부에서 견인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견인교정부(33)는 도 1, 3,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3)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착용부(22)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3)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착용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자세를 교정하는 부분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봉형상으로 된 한쌍의 견인대(34a)(34b)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견인대(34a)(34b)는 수평으로 위치된 견인대본체(3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견인대본체(35)의 전방과 후방은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36)와 후방절곡부(37)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절곡부(36)의 하부끝단은 벨트착용부(22)의 각 어깨끈(24a)(24b)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절곡부(37)의 하부끝단은 상기 시트장착부(2)의 각 높이조절수단(10a)(10b)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에는 지지스프링(38)이 끼워져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22)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3)의 후방 상부에서 한쌍의 견인대(34a)(34b)가 상기 지지스프링(38)으로부터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받아 상부쪽으로 일정한 힘으로 견인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전방절곡부(36)는 도 1, 3,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끝단에 체결고리(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22)의 각 어깨끈(24a)(24b)에 구비된 상부고정고리(29)의 체결링(32)에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전방절곡부(36)는 견인대본체(35)의 전방끝단에서 전방 대각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는 헤드레스트(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견인대본체(35)의 전방끝단에서 착용자의 어깨부분까지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상기 후방절곡부(37)의 길이보다 2 ~ 5배 정도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는 도 1, 3,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대본체(35)의 후방끝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0a)(10b)에 구비된 수높이조절구(12)의 절곡부삽입공(17)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후방절곡부(37)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일정길이의 요홈(4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높이조절구(12)의 일측면에 천공된 고정공(18)에 나사체결식으로 관통체결되는 고정볼트(19)의 끝단이 상기 요홈(40)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후방절곡부(37)의 하부가 절곡부삽입공(17)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요홈(40)의 길이만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면서 단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절곡부(37)에 끼워진 지지스프링(3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수평으로 위치된 견인대본체(35)의 후방끝단에 맞닿아 지지되고 하부는 수높이조절구(12)의 상면부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각 견인대(34a)(34b)에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하여 완충작용과 함께 착용자의 상체를 상부쪽으로 일정한 힘으로 견인 지지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착용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운전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38)은 착용자의 체중에 따라 알맞는 탄성력을 지닌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1)를 차량의 시트(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4)의 하부 좌우양측에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시트(3)의 상부와 연결된 수직봉(5a)(5b)에 각각 시트장착부(2)의 장착구(6a)(6b)를 장착하되, 상기 각 장착구(6a)(6b)의 우측 장착편(7a)과 좌측 장착편(7b) 사이에 각 수직봉(5a)(5b)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장착편(7a)(7b)의 가운데부분에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반원형의 수용홈(8a)(8b)에 수직 봉(5a)(5b)을 끼운 다음 상기 장착편(7a)(7b)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9a)(9b)에 각각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각 수직봉(5a)(5b)에 각각의 장착구(6a)(6b)가 고정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 장착편(7a)(7b)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부착된 연결편(13)의 후방 끝단 상면부에 수직으로 고정부착된 높이조절수단(10a)(10b)의 암높이조절구(11)에는 수높이조절구(12)를 결합체결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높이조절구(11)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형성된 조절봉삽입공(14)에 수높이조절구(12)의 높이조절봉(20)을 삽입하면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맞추어 높이조절봉(20)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암높이조절구(11)의 일측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5) 중 상기 높이조절봉(20)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21)이 위치된 부분과 부합된 위치에 천공된 높이조절공(15)에 높이조절볼트(16)를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하여 상기 걸림단(21)에 높이조절볼트(16)의 끝단이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일정 높이로 조절된 수높이조절구(12)가 암높이조절구(11)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10a)(10b)에서 수높이조절구(12)의 상부 가운데부분에 수직하방으로 형성된 절곡부삽입공(17)에는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후방절곡부(37)의 상부에는 지지스프링(38)을 끼운 상태에서 후방절곡부(37)의 하부를 절곡부삽입공(17)에 삽입하고 상기 수높이조절구(12)의 일측면에 천공된 고정공(18)에 고정볼트(19)를 나사체결식으로 관통체결되하여 상기 고정볼트(19)의 끝단이 후방절곡부(37)의 하 부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요홈(40)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후방절곡부(37)의 하부가 절곡부삽입공(17)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지지스프링(38)의 신축에 따라 상기 요홈(40)의 길이만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면서 단속되도록 하며,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전방절곡부(36) 하부끝단에 형성된 체결고리(39)에는 상기 벨트착용부(22)의 각 어깨끈(24a)(24b)에 구비된 상부고정고리(29)의 체결링(32)을 끼움결합하여 차량의 시트(3)에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세교정장치(1)가 장착된 차량의 시트(3)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벨트착용부(22)의 가슴벨트(23)와 한쌍의 어깨끈(24a)(24b)을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상체를 상기 견인교정부(33)의 한쌍의 견인대(34a)(34b)가 상부에서 일정한 힘으로 견인 지지하게 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에 끼워진 지지스프링(38)이 각 견인대(34a)(34b)에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하여 착용자의 상체를 상부쪽으로 일정한 힘으로 견인 지지하고 이에 따라 착용자의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장시간 운전시 착용자의 상체가 운전대쪽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상체를 곧게 펴주어 운전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며 상기 후방절곡부(37)가 수높이조절구(12) 내측에서 일정간격으로 상하이동가능하여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장시간 착용시에도 편안한 착용이 이루어지며, 또한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사고시 상기 한쌍의 견인대(34a)(34b) 및 벨트착용부(22)가 착용자의 상체를 견인 지지하고 있어 착용자의 상체가 운전대쪽으로 튕겨져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안전벨트의 역할을 수행 하게 된다.
한편, 착용자가 상체를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와 연결된 상기 높이조절수단(10a)(10b)의 수높이조절구(12)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높이조절구(11)의 높이조절볼트(16)에 의해 걸림체결된 상태에서도 상기 수높이조절구(12)의 높이조절봉(20)을 축으로 회전가능하여 수높이조절구(12)에 단속 체결되는 견인대(34a)(34b)도 함께 좌우로 회전되면서 운전시 걸리거나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에서 시트장착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에서 견인교정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에서 벨트착용부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가 차량의 시트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세교정장치 2. 시트장착부
3. 시트 4. 헤드레스트
5a, 5b. 수직봉 6a, 6b. 장착구
7a, 7b. 장착편 8a, 8b. 수용홈
9a, 9b. 관통공 10a, 10b. 높이조절수단
11. 암높이조절구 12. 수높이조절구
13. 연결편 14. 조절봉삽입공
15. 높이조절공 16. 높이조절볼트
17. 절곡부삽입공 18. 고정공
19. 고정볼트 20. 높이조절봉
21. 걸림단 22. 벨트착용부
23. 가슴벨트 24a, 24b. 어깨끈
25. 암벨크로테잎 26. 수벨크로테잎
27. 후방연결끈 28. 전방연결끈
29. 상부고정고리 30. 하부고정고리
31a, 31b. 중간대 32. 체결링
33. 견인교정부 34a, 34b. 견인대
35. 견인대본체 36. 전방절곡부
37. 후방절곡부 38. 지지스프링
39. 체결고리 40. 요홈

Claims (6)

  1. 각종 차량의 시트(3) 상부에 설치된 헤드레스트(4)의 좌우양측 수직봉(5a)(5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한쌍의 장착구(6a)(6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장착구(6a)(6b)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상방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10a)(10b)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는 시트장착부(2)와, 착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가슴벨트(23)와 상기 가슴벨트(23)의 좌우양측 상부에 각각 연결되어 착용자의 양쪽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한쌍의 어깨끈(24a)(24b)이 구비되어 있는 벨트착용부(22)와, 수평으로 위치된 견인대본체(3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견인대본체(35)의 전방과 후방이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절곡부(36)와 후방절곡부(37)를 형성한 한쌍의 견인대(34a)(34b)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각 견인대(34a)(34b)는 전방절곡부(36)의 하부끝단이 상기 벨트착용부(22)의 각 어깨끈(24a)(24b)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절곡부(37)의 하부끝단은 상기 시트장착부(2)의 각 높이조절수단(10a)(10b)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에는 지지스프링(38)이 끼워져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22)를 착용한 착용자의 상체를 시트(3)의 후방 상부에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견인 지지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견인교정부(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착구(6a)(6b)는 수직으로 세워진 사각판형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우측 장착편(7a)과 좌측 장착편(7b)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장착편(7a)(7b)은 각각 가운데부분에 상기 수직봉(5a)(5b)의 반경에 부합되게 외측으로 라운드진 반원형의 수용홈(8a)(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편(7a)(7b)에서 수용홈(8a)(8b)이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는 각각 다수개의 관통공(9a)(9b)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우측 장착편(7a)의 수용홈(8a)과 좌측 장착편(7b)의 수용홈(8b) 사이에 수직봉(5a)(5b)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된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9a)(9b)에 각각 통상의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각 수직봉(5a)(5b)에 장착구(6a)(6b)가 고정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0a)(10b)은 암높이조절구(11)와 수높이조절구(12)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암높이조절구(11)는 장착구(6a)(6b)의 장착편(7a)(7b)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부착된 연결편(13)의 후방 끝단 상면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암높이조절구(11)의 상부 가운데부분에는 조절봉삽입공(14)이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상기 조절봉삽입공(14)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5)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상기 높이조절공(15) 중 어느 하나에 높이조절볼트(16)가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높이조절구(12)는 상부 가운데부분 에 절곡부삽입공(17)이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 상부에는 상기 절곡부삽입공(17)과 연통되는 고정공(18)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고정공(18)에 고정볼트(19)가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절곡부삽입공(17)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각 견인대(34a)(34b)의 후방절곡부(37) 하부가 절곡부삽입공(17)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단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높이조절구(12)의 하면부에는 수직하방으로 높이조절봉(20)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봉(20)은 암높이조절구(11)의 조절봉삽입공(14)에 부합되는 길이와 직경을 지니고 있으며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파인 상태로 높이조절봉(20)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지닌 걸림단(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높이조절공(15)을 통해 나사체결식으로 관통 체결되는 상기 높이조절볼트(16)의 끝단이 걸림단(21)에 삽입되면서 걸림체결되어 일정높이로 조절된 수높이조절구(12)가 암높이조절구(11)로부터 이탈방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벨트(23)는 띠형상으로 전방 가운데부분이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슴벨트(23)의 일측끝단 후면부에는 암벨크로테잎(25)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타측끝단 전면부에는 수벨크로테잎(26)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착용자의 가슴둘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어깨끈(24a)(24b)은 후방에 고정되게 위치된 후방연결끈(27)과 전방에 위치되어 길이조절되는 전방연결끈(28)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연결끈(27)은 일정길이 로 된 끈으로 하부끝단이 가슴벨트(23)의 후방에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부끝단에는 상부고정고리(29)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연결끈(28)은 하부가 가슴벨트(23)의 전방에 고정부착된 상태로 하부끝단에는 하부고정고리(30)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전방연결끈(28)의 상부끝단이 상부고정고리(29)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중간대(31a)의 하부를 관통하고 다시 상기 중간대(31a) 상부를 관통하여 묶음체결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하부고정고리(30)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중간대(31b)의 하부를 관통하고 다시 상기 중간대(31b) 상부를 관통하여 묶음체결되는 방식으로 그 길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고리(29)의 상면부에는 체결링(32)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견인대(34a)(34b)의 전방절곡부(36) 하부끝단에 형성된 체결고리(39)가 상기 체결링(32)에 끼워져 벨트착용부(22)를 상부에서 견인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견인대(34a)(34b)는 전방절곡부(36)의 하부끝단에 체결고리(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벨트착용부(22)의 각 어깨끈(24a)(24b)에 구비된 상부고정고리(29)의 체결링(32)에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절곡부(36)는 견인대본체(35)의 전방끝단에서 전방 대각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는 헤드레스트(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견인대본체(35)의 전방끝단에서 착용자의 어깨부분까지 닿을 수 있도록 상기 후방절곡부(37)의 길이보다 2 ~ 5배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 세교정장치.
  6. 제 1항이나 제 3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견인대(34a)(34b)는 후방절곡부(37)의 하부가 높이조절수단(10a)(10b)에 구비된 수높이조절구(12)의 절곡부삽입공(17)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후방절곡부(37)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요홈(4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높이조절구(12)의 일측면에 천공된 고정공(18)에 나사체결식으로 관통체결되는 고정볼트(19)의 끝단이 상기 요홈(40)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후방절곡부(37)의 하부가 절곡부삽입공(17)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요홈(40)의 길이만큼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동되면서 단속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KR2020090004562U 2009-04-16 2009-04-16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KR200445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562U KR200445182Y1 (ko) 2009-04-16 2009-04-16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562U KR200445182Y1 (ko) 2009-04-16 2009-04-16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182Y1 true KR200445182Y1 (ko) 2009-07-06

Family

ID=4135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562U KR200445182Y1 (ko) 2009-04-16 2009-04-16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1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269A (zh) * 2018-11-29 2019-04-30 长春速建新技术开发有限公司 车辆舱内微压动态测试系统
WO2024019544A1 (ko) * 2022-07-19 2024-01-25 이유신 체중 지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703A (ko) * 1995-12-28 1997-07-22 한승준 차량 운전 자세 교정용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703A (ko) * 1995-12-28 1997-07-22 한승준 차량 운전 자세 교정용 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6269A (zh) * 2018-11-29 2019-04-30 长春速建新技术开发有限公司 车辆舱内微压动态测试系统
CN109696269B (zh) * 2018-11-29 2023-11-07 长春速建新技术开发有限公司 车辆舱内微压动态测试系统
WO2024019544A1 (ko) * 2022-07-19 2024-01-25 이유신 체중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EP0712286B1 (en) Adjustable backrest
US7722122B2 (en) Portable support including a pillow
US7316451B2 (en) Wearable side impact protector
US4848793A (en) Child&#39;s safety restraining vest
US20100084845A1 (en) Seatbelt Restraint
WO2017014661A2 (en) Chair
KR200445182Y1 (ko) 차량 시트장착용 자세교정장치
US20170313221A1 (en) Motor Vehicle Seat Head Support System
US20170361747A1 (en) Portable lumbar support apparatus
US9364369B2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CN106114297A (zh) 一种汽车座椅
US8684468B2 (en) Back support for chair
CN112788966B (zh) 头部稳定器
US2019012679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CN206734117U (zh) 儿童汽车安全座
CN205930348U (zh) 一种汽车座椅
KR200324966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US20070182235A1 (en) Restraint plate for humans in vehicles
JP3164645U (ja) シートベルト
KR200214480Y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US20100052383A1 (en) Means of attaching an abductor to a child safety seat
CN217864030U (zh) 安全带连接结构和儿童安全座椅
AU2009100835A4 (en) A tethering means for a child safety sea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