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003Y1 - 휴대용 신호봉 - Google Patents

휴대용 신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003Y1
KR200443003Y1 KR20080007699U KR20080007699U KR200443003Y1 KR 200443003 Y1 KR200443003 Y1 KR 200443003Y1 KR 20080007699 U KR20080007699 U KR 20080007699U KR 20080007699 U KR20080007699 U KR 20080007699U KR 200443003 Y1 KR200443003 Y1 KR 200443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light emitting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7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욱
Original Assignee
이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욱 filed Critical 이광욱
Priority to KR20080007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0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신호봉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신호봉은 일정 길이를 갖는 메인 봉과 상기 메인 봉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서브 봉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외부로 다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서브 봉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 봉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며,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광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신호봉의 몸체부의 길이를 일정 길이로 조절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발광 소자들을 다수의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성 신호를 싸이렌 또는 다수 종류의 호루라기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발광 소자 또는 피에죠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자동차등의 씨가잭에 연결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건전지 전압이 일정량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를 가시적으로 알리어 줄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신호봉{PORTABLE SIGNAL BAR}
본 고안은 휴대용 신호봉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를 일정 길이 조절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비상시의 다양한 발광 신호 패턴 및 음성 신호 패턴을 이루도록 하고 후레쉬 역할도 수행하며 건전지식 전원 또는 충전식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신호봉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교통 또는 안전 지도용 신호봉은 야간이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어두운 장소 및 우천시 경찰관이나 안전요원 등이 교통 및 안전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불빛이 투과되는 반투명한 재질의 봉체에는 램프가 삽입되고, 램프는 건전지나 충전지 등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봉체의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교통 신호봉은 교통 및 안전확보를 위한 광신호수단으로서, 각종 산업분야에서 안전 식별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교통 신호봉은 대부분 그 길이가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신호봉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몸체에 다수개의 램프들이 내 장되고 이러한 램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광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신호봉은 단편적인 램프의 발광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야간에 원거리에 위치된 다른 사용자와의 광 신호를 통한 정보 교환 및 지시 정보 교환에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신호봉은 싸이렌과 같은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신호봉은 지속적인 램프의 점등을 위해서는 반드시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교체 및 충전하여 사용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항상 비상용으로 건전지나 충전지를 별도로 여러 개 구비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다.
즉, 종래의 신호봉은 비상시의 보조 전원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신호봉은 야간의 순찰에 요구되는 일정 국부 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후레쉬와 같은 조명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항상 신호봉과 후레쉬를 동시에 지닌 상태에서 순찰해야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광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신호봉의 몸체부의 길이를 일정 길이로 조절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신호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발광 소자들을 다수의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성 신호를 싸이렌 또는 다수 종류의 호루라기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신호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발광 소자 또는 피에죠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자동차등의 씨가잭에 연결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건전지 전압이 일정량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를 가시적으로 알리어 줄 수 있는 휴대용 신호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용 신호봉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신호봉은 일정 길이를 갖는 메인 봉과 상기 메인 봉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서브 봉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외부로 다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서브 봉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 봉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며,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메인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광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1발광 소자들과, 상기 메인봉의 단부에 배치되어 광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2발광 소자들과, 상기 메인봉의 단부에 배치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피에죠를 구비하되,
상기 피에죠는 상기 메인봉의 중심축을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발광 소자들은 상기 피에죠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발광 소자들은 상기 메인봉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에죠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을 이루는 격벽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음성 신호 패턴들이 기설정되고 상기 제 1발광 소자들의 발광 신호 패턴들이 기설정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피에죠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선택 버튼과 상기 발광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1발광 소자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발광 신호 선택 버튼과 상기 제 2발광 소자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제 2발광 소자 작동 버튼을 갖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전원과 충전용 전원을 갖고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과 충전용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원 선택부를 갖되,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배터리 전원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용 전원에 사용되는 일정 용량의 충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충전지와 외부의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어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용 잭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차단부와 전원 모니터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입력된 이후의 시간이 일정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차단부를 사용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충전지의 전원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체크된 전원량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된 전원량이 기설정된 기준 전원량 이하를 이룰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충전 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발광 소자들은 상기 메인봉의 일단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메인봉의 지름보다 일정 지름 더 크게 형성되는 캡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봉은 상기 메인봉의 지름보다 일정 지름 더 작게 형성되고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의 양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서브봉이 끼워져 활주 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에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광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신호봉의 몸체부의 길이를 일정 길이로 조절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 소자들을 다수의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성 신호를 싸이렌 또는 다수 종류의 호루라기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 소자 또는 피에죠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자동차등의 씨가잭에 연결하여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고, 건전지 전압 또는 충전지의 전압과 같은 전원량이 일정량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를 가시적으로 알리어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신호봉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신호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신호봉의 길이가 일정 길이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부호 A의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부호 B의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제어 모듈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신호봉은 크게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조절을 안내하는 손잡이부(200)와, 제어 모듈(3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일정 길이의 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메인봉(110)과, 상기 메인봉(110)의 일단에 끼워져 설치되는 캡(130)과, 상기 메인봉(110)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서브봉(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봉(120)의 지름은 상기 메인봉(110)의 지름보다 일정 지름 작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0)에는 출력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출력부(140)는 메인봉(110)에 설치되는 제 1발광 소자들(141)과, 상기 캡(130)에 설치되는 피에죠(143)와 제 2발광 소자들(142)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봉(11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엘이디들과 같은 상기 제 1발광 소자들(141)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봉(110)의 중심축과 직교되는 상기 캡(130)의 일면 중앙에는 상기 피에죠(143)가 배치되고, 상기 피에죠(143)를 에워싸는 다수개의 상기 제 2발광 소자들(142)이 배치되고, 상기 피에죠(143)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발광 소자들(142)이 서로 격리되도록 구획시키는 격벽들(131)이 설치된다.
상기 서브봉(120)의 외주에는 상기 서브봉(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이루는 슬라이딩 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홀(121)의 양단부에는 걸림홈(1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서브봉(120)이 끼워져 활주될 수 있는 삽입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10)이 위치되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끼워져 걸치어질 수 있는 걸림 돌기(211)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는 배터리(331a)가 수납될 수 있는 배터리 수납 공간(22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200)의 하단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2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배터리 커버(230)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00)의 외주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경우에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패드(250)가 설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부(200)의 외주에는 하기에 기술되는 제어 모듈(300)의 입력부(320) 및 충전용 잭(240)이 설치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 하여, 상기 제어 모듈(3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 모듈(300)은 제어부(310)와, 입력부(320)와, 전원부(330)와, 전원 선택부(360)와, 전원 공급 차단부(340)와, 전원 모니터링부(35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출력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음성 신호 패턴들이 기설정되고 상기 제 1발광 소자들(141)의 발광 신호 패턴들이 기설정된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외주에 설치된다.
상기 입력부(320)는 상기 제어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 신 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310)로 상기 피에죠(143)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선택 버튼(321)과 상기 발광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310)로 상기 제 1발광 소자들(141)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발광 신호 선택 버튼(322)과 상기 제 2발광 소자(142)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제 2발광 소자 작동 버튼(323)과, 상기 전원 선택부(360)를 동작시키는 전원 선택 버튼(324)을 갖는다.
상기 전원부(330)는 상기 제어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31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330)는 배터리 전원(331)과 충전용 전원(332)을 갖고 상기 손잡이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331)과 충전용 전원(33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기 전원 선택부(360)를 갖는다.
상기 배터리 전원(331)은 배터리(331a)가 사용되고, 상기 배터리(331a)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220)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230)에 의하여 외부에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용 전원(332)은 일정 용량의 충전지(332a)가 사용되고, 상기 충전지(332a)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용 잭(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충전용 잭(240)은 외부의 전원 공급부(450)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충전지(332a)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전원 공급부(450)는 일정 용량의 자동차 배터리로 전원 공급이 되는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씨가잭일 수 있고, 상기 충전용 잭(240)과 상기 씨가잭은 전원 공급 케이블(400)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전원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차단부(340)와 전원 모니터링부(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입력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입력된 이후의 시간이 일정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차단부(340)를 사용하여 상기 전원부(330)로부터의 상기 제어부(310)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니터링부(350)는 상기 배터리(331a) 및 상기 충전지(332a)의 전원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체크된 전원량을 상기 제어부(3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체크된 전원량이 기설정된 기준 전원량 이하를 이룰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200)에 설치되는 충전 램프(260)를 작동시키어 가시적으로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는 손잡이부(200)에는 일정 위치에 걸거나 사용자의 손목에 끼울 수 있는 손걸이 줄(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사용자가 지닐 수 있는 밸트에 걸치도록 할 수 있는 밸트 클립(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휴대용 신호봉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신호봉은 몸체부(100)의 길 이가 일정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는 서브봉(120)은 손잡이부(200)의 삽입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거나 삽입홀(2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봉(120)이 삽입홀(210)에 삽입 또는 인출됨에 따라서 몸체부(100)의 전체 길이는 일정 길이로 신축 또는 신장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200)의 상단 테두리에 설치되는 걸림 돌기(211)는 서브봉(120)의 슬라이딩 동작됨에 따라 슬라이딩 홀(121)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122)들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상기 서브봉(120)의 슬라이딩 이동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고안에 따르는 전원부(330)는 배터리 전원(331)과 충전용 전원(332)으로 구성되어 배터리(331a)와 충전지(332a)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원 선택 버튼(324)을 사용하여 배터리(331a) 또는 충전지(332a)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하면, 전원 선택부(360)는 제어부(310)와 배터리 전원(331) 또는 충전용 전원(3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부(3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지(332a)는 충전용 잭(240)을 통하여 외부의 전원 공급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씨가잭과 상기 충전용 잭(240)은 전원 공급 케이블(4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씨가잭으로부터의 전원은 충전용 잭(240)을 통 하여 충전지(332a)로 공급되고, 상기 충전지(332a)는 일정 용량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모니터링부(350)는 상기 배터리(331a) 및 상기 충전지(332a)의 전원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체크된 전원량을 상기 제어부(3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체크된 전원량이 기설정된 기준 전원량 이하를 이룰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200)에 설치되는 충전 램프(2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입력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입력된 이후의 시간이 일정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차단부(340)를 사용하여 상기 전원부(330)로부터의 상기 제어부(310)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31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입력부(320)를 통하여 제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320)에서 음성 신호 버튼들(321)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어부(310)에 기설정되는 다수개의 음성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신호 패턴은 싸이렌 소리, 연속적 호루라기 소리 및 단속적 호루라기 소리를 이루며, 이러한 소리는 캡(130)에 설치되는 피에죠(143)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320)에서 발광 신호 버튼들(322)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어부(310)에 기설정되는 다수개의 발광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신호 패턴은 연속적 발광 신호, 단속적 발광 신호 및 연속/단속 복합 발광 신호를 이루며, 이러한 광 신호는 캡(130)에 설치되는 제 1발광 소자들(141)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320)에서 제 2발광 소자 작동 버튼(323)을 사용하는 경우에 제어부(310)는 제 2발광 소자들(142)을 작동시키어 일정 이상의 휘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발광 소자들(142)은 캡(130)의 일면에서 피에죠(143)를 에워싸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후레쉬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제 2발광 소자들(142)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벽들(131)은 거울과 같은 반사판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 2발광 소자들(142)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휘도를 일정 이상으로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벽(131)을 캡(130)의 내부에서 캡(130)의 외부를 향하여 서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 2발광 소자들(142)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반사되어 캡(13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신호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신호봉의 길이가 일정 길이 신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부호 A의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부호 B의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르는 제어 모듈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몸체부
110 : 메인봉
120 : 서브봉
140 : 출력부
200 : 손잡이부
300 : 제어 모듈
310 : 제어부
320 : 입력부
330 : 전원부
340 : 전원 공급 차단부
350 : 전원 모니터링부
360 : 전원 선택부

Claims (6)

  1. 일정 길이를 갖는 메인 봉과 상기 메인 봉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는 서브 봉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며, 외부로 다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서브 봉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 봉의 인출 또는 인입이 가능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며, 상기 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메인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광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1발광 소자들과, 상기 메인봉의 단부에 배치되어 광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제 2발광 소자들과, 상기 메인봉의 단부에 배치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피에죠를 구비하되,
    상기 피에죠는 상기 메인봉의 중심축을 따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발광 소자들은 상기 피에죠를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발광 소자들은 상기 메인봉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에죠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피에죠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을 이루는 격벽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음성 신호 패턴들이 기설정되고 상기 제 1발광 소자들의 발광 신호 패턴들이 기설정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피에죠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신호 선택 버튼과 상기 발광 신호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제 1발광 소자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발광 신호 선택 버튼과 상기 제 2발광 소자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입력하는 제 2발광 소자 작동 버튼을 갖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전원과 충전용 전원을 갖고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과 충전용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원 선택부를 갖되,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배터리 전원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용 전원에 사용되는 일정 용량의 충전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 공간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충전지와 외부의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어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용 잭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차단부와 전원 모니터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입력된 이후의 시간이 일정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차단부를 사용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상기 제어부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전원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충전지의 전원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상기 체크된 전원량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된 전원량이 기설정된 기준 전원량 이하를 이룰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충전 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호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발광 소자들은 상기 메인봉의 일단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메인봉의 지름보다 일정 지름 더 크게 형성되는 캡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서브봉은 상기 메인봉의 지름보다 일정 지름 더 작게 형성되고 일정 길이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의 양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서브봉이 끼워져 활주 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며, 외주에 고무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신호봉.
KR20080007699U 2008-06-10 2008-06-10 휴대용 신호봉 KR200443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699U KR200443003Y1 (ko) 2008-06-10 2008-06-10 휴대용 신호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699U KR200443003Y1 (ko) 2008-06-10 2008-06-10 휴대용 신호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003Y1 true KR200443003Y1 (ko) 2008-12-29

Family

ID=4585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7699U KR200443003Y1 (ko) 2008-06-10 2008-06-10 휴대용 신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0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81Y1 (ko) * 2017-09-05 2017-12-15 김종문 다기능 휴대용 신호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81Y1 (ko) * 2017-09-05 2017-12-15 김종문 다기능 휴대용 신호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5535B2 (ja) 多機能交通信号棒
US6925967B1 (en) Illuminated retractable leash
EP3101333B1 (en) Portable light device
US5887550A (en) Combined retractable pet leash and flashlight
US8579460B2 (en) LED flare and system
WO2004113789A1 (ja) 携帯用信号灯および車両誘導用具並びに車両誘導方法
KR200409301Y1 (ko) 교통 신호봉
US20110120388A1 (en) Illuminated/multi-faceted pet leash assembly
CN115698583B (zh) 可转换照明装置
US20100043853A1 (en) Walking Stick Having Generating and Illuminating Functions
JP2023061934A (ja) ポータブル電子式警告灯の携帯用ケースおよびシステム
US10551014B2 (en) Portable electronic flare carrying case and system
US7360921B1 (en) Portable flashlight alarm clock
KR200443003Y1 (ko) 휴대용 신호봉
KR101772209B1 (ko) 충전기능을 가지는 경광봉
US6332700B1 (en) Tire changing light
JP3865067B2 (ja) 携帯用信号灯
KR200490197Y1 (ko) 스트랩 발광기
KR20180001433U (ko) 다기능 신호봉
KR102254328B1 (ko) 다색 교통 신호봉
CN106996518B (zh) 电池罩
KR200479236Y1 (ko) 랜턴 케이싱
JP2003147735A (ja) バーポール
KR20060039617A (ko) 교통 신호봉
KR100267878B1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