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979Y1 -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979Y1
KR200442979Y1 KR20080010692U KR20080010692U KR200442979Y1 KR 200442979 Y1 KR200442979 Y1 KR 200442979Y1 KR 20080010692 U KR20080010692 U KR 20080010692U KR 20080010692 U KR20080010692 U KR 20080010692U KR 200442979 Y1 KR200442979 Y1 KR 200442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ust collector
wet dust
air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10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정밀(주)
김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밀(주), 김두현 filed Critical 한국정밀(주)
Priority to KR20080010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식집진기에 구성된 집수조에서 집진과정 중 수면상에 발생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물을 이용해 정화하기 위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유입되도록 전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와 정화에 이용된 물이 낙하된 후 저장되기 위하여 하단에 구성된 집수조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을 이용해 오염공기를 정화하도록 물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습식집진기의 집수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측판과 상기 상측판의 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면은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식집진기, 집수조, 거품제거, 낙하

Description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IN WATER JET TYPE DUST COLLECTOR}
본 고안은 낙하되는 물을 이용해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습식집진기의 집진과정 중 집수조의 수면상에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물이 집수조로 낙하함에 따라 발생되는 거품이 물의 흐름이 정체됨에 따라 쉽게 사라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집수조 내의 공간을 분리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류는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 보관 및 운송을 하기위하여 건조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곡물에 건조 열풍을 강제로 공급하여 일정 수분을 함유하도록 건조시켜 주는 곡물건조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곡물건조기는 곡물에 포함된 왕겨나 지푸라기 또는 흙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곡물로부터 분리하고 정화된 공기만을 외부에 배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에 집진기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집진기 중에 낙수되는 물을 이용하는 습식집진기는 크고 중량감 있는 이물질은 물론 건식집진기에서는 효과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미세먼지까지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까닭에 습식집진기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습식집진기는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물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오염물질들이 효율적으로 물에 흡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에서 물이 낙하됨에 따라 형성되는 수막을 이용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물을 계속적으로 순환 사용하도록 낙수되는 물을 상측에 저장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으로 물을 상승시켜 주는 공급하는 펌프부와 상기 펌프부에 의해 상승된 물이 이동되는 수관 등으로 이루어진 물공급수단을 구비하여 소량의 물을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순화 사용하여 집진과정에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물의 낙하에 따라 집진을 이루는 습식집진기는 낙하함에 따라 물의 표면에 있던 공기가 함께 섞이게 되면서 집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면상에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낙하되는 물에서 생기는 것으로 물의 표면장력이 오래 버티지 못하게 되어 일반적으로는 물의 표면장력이 오래 버티지 못하여 금방 사라지게 되지만, 습식집진기의 집진과정을 마친 물에는 곡물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에 다량의 유지 성분이 포함되어 거품이 보다 더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습식집진기 내부 하단에 형성된 집수조의 한정된 공간에 의해 물이 정체되어 있다보니 쉽게 거품이 사라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원인에 의하여 집수조 수면상에 발생되는 거품이 계속적으로 물의 낙 수과정이 일어나게됨에 따라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면 습식집진기 내부에 구성된 집진장치들에 거품이 부착되거나, 넘치게 되어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되며, 넘쳐흘린 거품을 제거하는 2중적인 과정이 발생되어 노동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거품제거를 위한 배수관을 설치하여 거품을 빼내는 방법도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물도 함께 배수되기 때문에 집진을 위한 물이 새로 공급되어 집진수가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건조 또는 정미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습식집진기의 집진과정에서 낙하되는 물에 의해 집수조의 수면상에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집수조 내의 공간을 분리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거품을 제거하여 과다하게 발생되는 노동력을 줄여 집진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물질이 포함된 거품이 그대로 넘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거품이 포함된 물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과다하게 소비되는 물의 사용을 줄여 소비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물을 이용해 정화하기 위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유입되도록 전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와 정화에 이용된 물이 낙하된 후 저장되기 위하여 하단에 구성된 집수조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을 이용해 오염공기를 정화하도록 물공급수단으로 이루어 진 습식집진기의 집수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측판과 상기 상측판의 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면은 개방된 형태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측판은 힌지결합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판은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에서 공기유출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오염물질을 포함한 물이 집수조로 낙하함에 따라 발생되는 거품이 물의 흐름이 정체됨에 따라 쉽게 사라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집수조 내의 공간을 분리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 하는 방법으로 거품이 자연적으로 소멸되도록 하여 거품제거과정에서 발생되는 노동력과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적용도로서, 일반적으로 곡물을 건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곡물건조기(200)는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이때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물을 이용해 정화하기 위하여 습식집진기(100)가 곡물건조기와 덕트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습식집기는 물을 이용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곡물건조기와 연결되어 오염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120)가 전면에 형성되고,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유출구(130)가 후면에 형성되며, 또한 낙하된 물이 저장되도록 하단에 집수조(140)가 이루어진 있는 케이스(110)가 외관을 형성되고,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집진을 위하여 오염공기가 흡착되도록 전방에 현수된 필터망과 상기 필터망에 물이 낙하될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물공급수단(15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공급수단(150)은 물이 상측에서 낙수 될수 있도록 저장하는 저장통(160)과 상기 저장통으로 물을 상승시켜 공급하는 펌프부(170)와 상기 펌프부에 의해 상승된 물이 이동되는 수관(180)으로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이 구성을 이루고 있는 습식집진기의 집진과정 중에 물의 낙하함에 따라 물의 표면에 있던 공기가 함께 섞이게 되면서 집수조에 저장된 물의 수면상에 다량의 거품(15)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거품은 습식집진기 내의 공기의 흐름이 공기유입구(120)에서 공기유출구(130)로 향하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출구 방향으로 거품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습식집진기 내부에 구성된 집진장치들에 거품이 부착되어 효과적인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집수조 내의 공간을 분리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 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의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와같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가 설치된 습식집진기는 집수조 내의 물이 정체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흐를 수 있게 되어 거품이 제거될 수 있게된다.
이때,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측판(11)과 상기 상측판의 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12)이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3)로 이루어진 지며,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상측판(11)은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120)에서 공기유출구(1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습식집진기에 장착된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의 내부상태도로서, 습식집진기의 전면에 구성되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케이스 내벽에 일측이 부착되며 집수조의 바닥면(141)보다 가로 및 세로 길이가 약간이 작은 형태로 구성되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양측과 집수조 바닥면 후면부에 수로가 형성되게 되고, 수로에 일측에는 펌프부(170)가 위치하여 수관(180)을 통해 상단에 설치된 저장통(160)으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물을 계속적으로 순환 사용하기 위해 구비되는 펌프부(170)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상측으로 낙하된 물이 내부 공간으로 흐른 뒤 다시 나 오게 되는 물의 흐름 경로를 최대로 하기 위하여 펌프부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3)의 반대측 즉, 공기유입구(120)가 위치한 방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가 장착된 습식집진기는 집진을 위하여 상단에 위치한 저장통(160)에서 물을 낙하시켜 수막을 형성하여 먼지를 걸어내게 되는데, 이렇게 낙하된 물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상측판(11)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상측판(11)이 위치한 높이는 집수조의 수면의 높이 즉, 거품이 위치하게 될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후면은 개방된 형태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는 곡물의 건조를 위하여 건조열풍을 강제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풍이 습식집진기에도 영향이 미쳐 공기유입구(120)가 형성된 전면에서 공기유출구(130)가 형성되 후면 방향으로 고속으로 공기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낙수된 물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양측과 후면방향 즉, 공기유출구(130)가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되는 물은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내부로 흘러 갔다가 다시 나오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로 집수조 내의 공간을 분리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 할 수 있으며, 이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의 상측판(11)은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120)에서 공기 유출구(1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따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10)은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측판(11)과 상기 상측판의 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12)이 양측에 형성되어, 상측판과 측벽이 엎어진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개방된 다른 양측 중에 일측면을 케이스 내벽에 부착하여 결과적으로 다른 일측면만 개방되어 있어 개방부(13)가 형성된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판(11)은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120)에서 공기유출구(1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0)가 위치한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는 일측면의 높이(b의 길이)가 공기유출구가 위치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개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일측면의 높이(a의 길이)보다 높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한 상측판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낙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면이 길이방향으로 볼록한 반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며, 이러한 형태는 집수조 내의 공간을 분리하여 형성된 수로에 의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형태라면 제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중 상측판의 구성도이다.
오염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물로 분리하는 습식집진기의 특성상 분리된 이 물질을 수거하거나 내부상태의 관리 또는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판(11)을 힌지결합(14)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힌지결합의 위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판을 2단으로 구성하여 상측판의 일부가 개폐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판과 측벽을 힌지결합하여 상층판 전체가 개폐동작이 이루어 질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간단한 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들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습식집진기에 구성된 집수조에서 집진과정 중 수면상에 발생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로서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적용도
도 2는 본 습식집진기에 장착된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의 내부상태도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성중 상측판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중 상측판의 다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11:상측판
12:측벽 13:개방부
14:힌지결합 15:거품
100:습식집진기 110:케이스
120:공기유입구 130:공기유출구
140:집수조 150:물공급수단
160:저장통 170:펌프부
180:수관 200:곡물건조기

Claims (3)

  1. 곡물건조기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를 유입하여 물을 이용해 정화하기 위하여,
    곡물건조기(200)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유입되도록 전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120)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후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출구(130)와 정화에 이용된 물이 낙하된 후 저장되기 위하여 하단에 구성된 집수조(140)로 이루어진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을 이용해 오염공기를 정화하도록 물공급수단(150)으로 이루어진 습식집진기(100)의 집수조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측판(11)과 상기 상측판의 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벽(12)이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면이 상기 공기유입구가 위치한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출구가 위치한 방향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판(11)은
    힌지결합(14)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판(11)은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유입구(120)에서 공기유출구(1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KR20080010692U 2008-08-11 2008-08-11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KR200442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0692U KR200442979Y1 (ko) 2008-08-11 2008-08-11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0692U KR200442979Y1 (ko) 2008-08-11 2008-08-11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979Y1 true KR200442979Y1 (ko) 2008-12-26

Family

ID=4654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0692U KR200442979Y1 (ko) 2008-08-11 2008-08-11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9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3924A (zh) * 2024-03-18 2024-04-16 中检集团山西宏宇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环境保护用除尘通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83924A (zh) * 2024-03-18 2024-04-16 中检集团山西宏宇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环境保护用除尘通风装置
CN117883924B (zh) * 2024-03-18 2024-05-28 中检集团山西宏宇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环境保护用除尘通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1191A1 (en) Domestic appliance for the care of items of washing and method for removing lint
KR101562926B1 (ko) 백필터의 탈진 및 건조를 위한 집진기
JP2010131516A (ja) 油水分離装置
JP4955604B2 (ja) 食品洗浄装置
KR100875966B1 (ko) 곡물 건조용 집진기
KR200442979Y1 (ko) 습식집진기용 거품제거장치
KR100882015B1 (ko) 건식 노면청소차
JP2010275750A (ja) 洗浄水リサイクル機構付き吸引清掃車
RU2573099C2 (ru) Система для ликвидации разлива нефти
JP6259637B2 (ja) 食品洗浄機
KR102242131B1 (ko) 배출가스의 오염공기 및 오염물질 제거가 용이한 집진장치
JP4940004B2 (ja) ガス不純物除去装置
CN209643836U (zh) 一种烟梗除杂设备
JP2003220315A (ja) 湿式集塵装置
KR20090044479A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20100121713A (ko) 절수형 습식 스크라바
JP2007319577A (ja) 食器皿洗浄装置
CN205613202U (zh) 一种尾气净化装置
JP3542873B2 (ja) 洗浄集じん装置
JP2626948B2 (ja) 洗浄集塵装置
CN108592124A (zh) 一种自带喷淋清洗装置的油烟机
CN216703722U (zh) 一种单罐小体积脱氧机
CN217109141U (zh) 一种用于空压机储气罐的排凝装置
JP2005081211A (ja) ドレン清水化用装置における油水分離式オーバフロー構造
CN213132260U (zh) 污水处理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