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62Y1 - 숫돌 받침대 - Google Patents

숫돌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762Y1
KR200442762Y1 KR2020070007159U KR20070007159U KR200442762Y1 KR 200442762 Y1 KR200442762 Y1 KR 200442762Y1 KR 2020070007159 U KR2020070007159 U KR 2020070007159U KR 20070007159 U KR20070007159 U KR 20070007159U KR 200442762 Y1 KR200442762 Y1 KR 200442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tstone
support
pedestal
grindston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215U (ko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박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호 filed Critical 박상호
Priority to KR2020070007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6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2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rigid; with rigidly-supported operativ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5/00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 B24D15/06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 B24D15/08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of knives; of razors
    • B24D15/085Hand tools or other devices for non-rotary grinding, polishing, or stropping specially designed for sharpening cutting edges of knives; of razors with reciprocating whet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숫돌에 교환을 빨리 하고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할 수 있으며 경사도 조절도 할 수 있는 숫돌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숫돌에 고정과 분리를 빠르게 하여 숫돌에 교환을 빨리 하고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할 수 있도록 숫돌 받침대가 가변 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변 형으로 지지력을 향상시킨 숫돌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숫돌에 길이 방향으로 숫돌에 앞쪽을 받치는 앞 받침 부(10)와 숫돌에 뒤쪽을 받치는 뒤 받침 부(11)와 숫돌에 중간 부분 하부를 받치는 본 고안에 특징인 원형받침 부(12)로 구성된 "받침 부재"로 숫돌에 앞뒤 하부를 받친 후 "조임 부재"인 핸들(20)로 조임볼트(21)를 조여서 나사 부(22) 를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결합하여 숫돌을 고정하도록 가변 형으로 구성하고 숫돌 받침대의 지지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인 축나사 부(31)를 앞 받침 부(10)에 고정되어 있는 축 너트(32) 에 결합하여 뒤 받침 부(11)에 고정되어 있는 축 안내 링(33)에 미끄럼 축(30)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가변 형으로 지지력을 크게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목적은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편리한 경사도로 사용할 수 있는 숫돌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뒤 받침 부(11) 하부에 기준높이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핀(36)이 있으며 앞 받침 부(10) 하부에 있는 상하볼트(35)로 높이를 조절하여 각도를 변화시켜 사 용자가 편리한 경사도로 숫돌 받침대를 사용하도록 "각도조절 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Figure R2020070007159
받침 부재 조임 부재 지지 부재 각도조절 부재

Description

숫돌 받침대{supporter of a grindstone}
도 1은 등록 실용신안 20-0308671이며 종래에 다른 숫돌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등록 실용 신안 20-0357363이며 종래의 다른 숫돌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숫돌 받침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숫돌 받침대의 평면도로써. "받침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숫돌 받침대의 단면도로써, "조임 부재"와 "지지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숫돌 받침대의 단면도로써, "각도조절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받침 부재"
10:앞 받침 부 11:뒤 받침 부 12:원형받침 부
"조임 부재"
20:핸들 21:조임볼트 22:나사 부 23:고정 링 24:조임볼트 용 너트 25:멈춤 링
"지지부재"
30:미끄럼 축 31:축나사 부 32:축 너트 33:축 안내 링
"각도조절 부재"
35:상하볼트 36:고정핀 37: 상하볼트 용 너트
본 고안은 숫돌에 교환을 빨리 하고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할 수 있으며 경사 도 조절도 할 수 있는 숫돌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숫돌은 칼이나 대패 날 등을 갈아 날을 세울 때 사용하는 것이며 이때 숫돌을 고정하는 숫돌 받침대가 필요하다.
칼 갈이 작업시 처음에는 거친 숫돌을 사용하여 기초적인 날을 세우고 그 다음에 고운 숫돌로 바꾸어 제 차 날을 세우는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숫돌을 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숫돌 받침대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에 다른 숫돌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길이 조절은 너트(2)로 안내 봉(1)의 나사 부(3)를 풀거나 조이므로 관통 공(4)에 안내 봉(1)과 나사 부(3)가 슬라이딩 되어 길이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나사 부(3)에 나사 산이 관통 공(4) 내부에 슬라이딩 면에 걸리는 문제점과 그로인하여 마모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숫돌을 조이는 조임 부재가 2개로 되어 있어 숫돌에 교환이 느린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에 다른 숫돌 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는 숫돌 받침대(6)보다 숫돌(S)이 크면 숫돌(S)이 숫돌 받침대(6)의 앞뒤로 돌출되고 칼 갈이 작업시 돌출부에 힘을 가하게 되면 숫돌 받침대가 넘어지고 손을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의 숫돌 받침대(6)는 고정된 경사도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편리한 경사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숫돌에 교환을 빨리 하고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할 수 있으며 지지력을 향상시킨 숫돌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숫돌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숫돌을 받치는 "받침 부재"와 다양한 숫돌을 고정하기 위한 "조임 부재" 그리고 숫돌 받침대의 지지력을 향상하기 위한 "지지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인 경사도 조절을 위한 "각도조절 부재"로 구성되어있다.
본 고안에 목적인 숫돌 교환을 빨리 하고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하고 지지력이 향상된 숫돌 받침대를 위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받침 부재"는 숫돌에 앞 부분을 받치는 앞 받침 부(10)와 숫돌에 뒤 부분을 받치는 뒤 받침 부(11)를 구성하고 숫돌에 파손을 방지하고 빠른 교환을 위하여 본 고안에 특징인 원형받침 부(12)를 1개로 하여 숫돌 중간 하부를 받치도록 구성하였다.
"조임 부재"는 1개로 구성하여 숫돌에 교환을 빠르게 하였으며 고정된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나사 부(22)가 결합 되므로 나사 부(22) 에 나사 산 부위를 많이 가공하여 가변 형으로 다양한 숫돌을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즉 1개의 핸들(20)로 조임 볼트(21)에 나사 부(22)를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빠르게 결합하므로 숫돌에 교환을 빨리 하고 가변 형으로 다양한 숫돌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지지부재"는 가변 형으로 구성하여 가변형인 숫돌 받침대의 지지력을 향상하였다.
즉 축 나사 부(31)를 축 너트(32)에 고정하고 미끄럼 축(30)은 축 안내 링(33)에 슬라이딩 되어 가변 형으로 숫돌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다른 목적인 경사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숫돌 받침대를 위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각도조절 부재"는 기준 높이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핀(36)이 있으며 고정된 상하볼트 용 너트(37)에 상하볼트(35)로 높이 조절을 하여 각도 조절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편리한 경사도로 숫돌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로써 "받침 부재"를 상세히 표현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단면도로써 "조임 부재" 와 "지지 부재"를 상세히 표현한 것이고 도 6은 "각도조절 부재"를 상세히 표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숫돌 받침대는 숫돌에 앞 부분을 앞 받침 부(10)에 받치고 반대쪽인 뒤 부분을 뒤 받침 부(11)에 받치고 숫돌에 파손을 방지하고 빠른 교환을 위하여 숫돌에 중간 부분 하부를 본 고안에 특징인 원형받침 부(12)에 받치도록
"받침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특징인 원형받침 부(12)는 "조임 부재"의 조임볼트(21)에 미끄럼 작용을 하여 조임볼트(21)에 회전작용을 원활히 하면서 숫돌에 중간 부분 하부를 받치므로 숫돌에 파손을 방지하고 "조임 부재"가 1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숫돌에 빠른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에 상세히 표현된 바와 같이 핸들(20)로 조임볼트(21)를 조이면 나사 부(22)가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결합 되어 위의 앞 받침 부(10)와 뒤 받침 부(11) 사이에 숫돌을 고정하도록 가변 형으로 "조임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임 부재"가 1개로 구성되어 숫돌에 교환이 빠르고 나사부(22)에 나사 산 부위를 많이 가공하여 하여 숫돌 받침대를 가변 형으로 다양한 숫돌을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숫돌 받침대의 지지력을 가변 형으로 크게 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는 도 5에 상세히 표현된 바와 같이 축 나사 부(31)는 축 너트(32)에 고정되어 있고 미끄럼 축(30)은 축 안내 링(33)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 형으로 된 숫돌 받침대가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하여도 "지지 부재"에 미끄럼 축(30)은 안내 링(33)에 슬라이딩 되면서 다양한 길이에서도 숫돌 받침대에 지지력을 가변 형으로 크게 하였다.
또한 편리한 경사도로 숫돌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 부재"는 도 6에 상세히 표현된 바와 같이 숫돌에 기준 높이와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정핀(36)을 구성하고 상하볼트 용 너트(37)에 체결된 상하볼트(35)를 높이 조절하여 각도를 조절하고 사용이 편리한 경사도로 숫돌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하볼트(35)와 고정핀(36) 하부에 뾰족 끝 부위는 바닥면에 다양한 각도에서도 고정되고 칼 갈이 작업시 바닥면에 미 끌리지 않아 숫돌 받침대를 유동 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하볼트(35)를 높이 조절하여 사용이 편리한 경사도로 숫돌 받침대를 사용하게 하였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 부재"의 앞 받침 부(10) , 뒤 받침 부(11) 본 고안에 특징인 원형받침 부(12)에 숫돌에 앞뒤 하부를 받치고 "조임 부재"의 핸들(20)로 조임볼트(21)를 회전시키면 나사 부(22)가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결합 되어 빠르게 다양한 길이의 숫돌을 고정할 수 있으며 "지지 부재"는 미끄럼 축(30)이 축 안내 링(33)에 슬라이딩 되어 다양한 길이 변화에서도 숫돌 받침대를 지지한다.
또한 "각도조절 부재"의 상하볼트(35)와 고정핀(36) 하부에 뾰족 끝 부위는 칼 갈이 작업시 숫돌 받침대를 유동 되지 않게 하며 상하볼트 용 너트(37)에 상하볼트(35)를 높이 조절하여 사용이 편리한 경사도로 숫돌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숫돌(S)에 앞뒤 하부를 받치는 앞 받침 부(10) , 뒤 받침 부(11) , 본 고안에 특징인 원형받침 부(12)로 구성된 "받침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위에 숫돌(S)을 고정하기 위하여 핸들(20)로 조임볼트(21)를 회전시켜 나사 부(22)가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결합 되게 하여 숫돌(S)을 고정하는 "조임 부재"와
    상기 "조임 부재'가 다양한 길이의 숫돌(S)을 고정하여도 축 나사 부(31)가 축 너트(32) 에 고정되고 미끄럼 축(30)이 축 안내 링(33)에 슬라이딩 되어 다양한 길이 변화에서도 숫돌 받침대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 부재"와
    또한 칼 갈이 작업시 숫돌 받침대를 유동 되지 않게 하며 기준 높이가 되는 고정핀(36)과 상하볼트 용 너트(37)에 상하볼트(36)를 높이 조절하여 경사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돌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 부재"는 조임볼트(21)에 결합 되고 미끄럼 작용을 하여 회전과 전후운동을 원활히 하면서 숫돌(S)에 중간 부분 하부를 받치는 원형받침 부(12)를 특징으로 하는 숫돌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는 핸들(20)로 조임볼트(21)를 회전시켜 나사 부(22)가 조임볼트 용 너트(24)에 결합 되게 하고 조임볼트(21)에 원형받침 부(12)가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돌 받침대.
  4. 삭제
  5. 삭제
KR2020070007159U 2007-05-02 2007-05-02 숫돌 받침대 KR200442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59U KR200442762Y1 (ko) 2007-05-02 2007-05-02 숫돌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159U KR200442762Y1 (ko) 2007-05-02 2007-05-02 숫돌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15U KR20080005215U (ko) 2008-11-06
KR200442762Y1 true KR200442762Y1 (ko) 2008-12-05

Family

ID=4150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159U KR200442762Y1 (ko) 2007-05-02 2007-05-02 숫돌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55B1 (ko) * 2013-03-20 2015-01-12 박강철 숫돌 받침구
KR101877138B1 (ko) * 2016-12-07 2018-07-11 조혁상 조립식 연마패드
CN108406623B (zh) * 2018-03-26 2023-11-14 王储 一种磨刀器机械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15U (ko) 200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762Y1 (ko) 숫돌 받침대
US20140342644A1 (en) Blade Sharpening Stand
JP2008006525A (ja) ソーチェンの研磨機
US7335093B1 (en) Blade sharpening holder
US2597325A (en) Cultivator disk sharpener
CN207682069U (zh) 一种手持磨刀夹具
SE524407C2 (sv) Anordning för bryning
CN211388095U (zh) 一种用于碳化硅工件的倒角加工装置
KR102028166B1 (ko) 숫돌 고정장치
CN205415307U (zh) 可调工件高度的磨床
JP2011143485A (ja) 目立て・研磨装置
CN212385155U (zh) 一种建筑墙面施工用砂纸打磨装置
JP3205848U (ja) 刃研ぎ装置
CN207522232U (zh) 一种具备减振功能的砂轮机
GB2261392A (en) Circular saw blade sharpener
US1126891A (en) Shear-grinder.
KR102028158B1 (ko) 숫돌 고정장치
CN215881202U (zh) 一种消防设备钢瓶加工打磨装置
CN211491060U (zh) 一种磨床用辅助装置
CN217071968U (zh) 定梁磨床超高刚性主轴滑座稳定滑动装置
CH645835A5 (fr) Machine a detalonner et/ou affuter les broches de brochage munies de dents.
JP4683651B2 (ja) 刃研ぎ装置
CN217345042U (zh) 一种可调节夹具角度的工具磨床
CN214559972U (zh) 一种方便移动石材研磨位置的研磨机
CN220279134U (zh) 一种磨平倒角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