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559Y1 -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 Google Patents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559Y1
KR200442559Y1 KR2020070003680U KR20070003680U KR200442559Y1 KR 200442559 Y1 KR200442559 Y1 KR 200442559Y1 KR 2020070003680 U KR2020070003680 U KR 2020070003680U KR 20070003680 U KR20070003680 U KR 20070003680U KR 200442559 Y1 KR200442559 Y1 KR 200442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ula
bamboo
handle
tos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792U (ko
Inventor
주정옥
Original Assignee
주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옥 filed Critical 주정옥
Priority to KR2020070003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55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2Devices for laying ground-bait, e.g. chum dispensers, e.g. also for throwing ground-bait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대나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주걱대와, 상기 주걱대의 앞쪽에 결합되고 일정량의 밑밥이 담겨지는 주걱부와, 상기 주걱대의 뒤쪽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주걱대는, 복수개의 대나무 조각을 길이 방향으로 상호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소재인 대나무 이용으로 인체 친화적이면서 외관상 고품격의 밑밥투척용 주걱을 구현할 수 있고, 대나무 특유의 자연 탄성 및 적절한 무게를 이용하여 충분한 비거리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낚시, 밑밥, 주걱, 대나무, 육각, 손잡이, 걸고리

Description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Bamboo rod dipper for throwing ground-bai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이 도시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의 주걱대의 기본 구성대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본 구성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걱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걱대 11 : 기본(구성)대
20 : 주걱부 22 : 대삽입부
30 : 손잡이 32 : 홀
35 : 끼움 고정부재 40 : 걸고리
42 : 고정부 45 : 걸고리 고정대
본 고안은 바다낚시 장비의 하나인 밑밥투척용 주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걱대를 대나무로 구성함으로써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밑밥투척용 주걱은 바다낚시에서 없어서 아니 될 장비임은 틀림이 없으나 전문 바다낚시인 외에는 값싼 가격에 소모품 정도로만 여기고 밑밥주걱의 중요 기능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바다낚시는 주말 및 휴일을 기해 출조를 하게 되는데, 장거리 여정과 수면부족 등 피로가 겹친 상황에서 진행되기 쉽다. 따라서 밑밥투척용 주걱은 비거리와 내구성 확보가 중요하다.
비거리 확보 이론에 의하면 던지는 각도에 따라 물체의 비거리가 달라질 수 있으나 실험 결과 45 각도로 날라 갈 때 최고의 비거리를 나타낸다고 한다. 또한 적은 에너지 소모로 최고 비거리를 나타낸 것은 골프채의 레이더스와 같이 탄성이 부드러운 것이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밑밥투척용 주걱은 주걱부, 주걱대(rod), 손잡이로 구성되는데, 주걱부는 주로 티타늄,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고, 주걱대는 카본, 스테인리스 또는 일반 철 등으로 제작되며, 손잡이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 등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밑밥투척용 주걱은 주걱대가 모두 속이 비어 있는 긴 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부러지는 등 안정성 및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탄성이 우수하여 충분한 비거리를 확보함과 아울러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연소재인 대나무가 가지고 있는 부드러운 탄성을 이용하여 인체 친화적 장비를 구성함과 아울러, 외관상으로도 미려해지도록 하여 고품격의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대나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주걱대와, 상기 주걱대의 앞쪽에 결합되고 일정량의 밑밥이 담겨지는 주걱부와, 상기 주걱대의 뒤쪽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주걱대는, 복수개의 대나무 조각을 길이 방향으로 상호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걱대는 단면이 삼각형인 대나무 조각 6개를 상호 접합하여 6각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걱대는 상기 주걱부가 위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그 굵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걱대는 상기 주걱부와 손잡이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원형링 구조를 갖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주걱대 부분을 6각형 대나무 대(Bamboo Rod)를 접목하여 구성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거리 확보와 변형 방지가 중요하다. 비거리 확보는 밑밥이 투척자로부터 착지점에 이르기까지 투척자가 의도한 대로 정확히 투척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변형 방지는 낚시장소의 주변 여건 등 악조건 상황에서도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말아야 한다.
비거리 확보기능은 밑밥의 절약과 팔 근육 피로를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되며, 원형이 훼손되지 않는 주걱이야말로 원도권 바다낚시 출조 일정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자연 소재가 가지고 있는 대나무의 자연탄성과 성질을 적용한 것으로서, 대나무의 탄성과 적절한 무게는 투척자의 팔 힘과 균형이 이루어져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6각 대나무 대(bamboo rod)는 대나무의 단단하고 질긴 외피만을 사용하므로 대나무의 원래 상태보다 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서 가늘면서도 튼튼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의 주걱대의 기본 구성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본 구성대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주걱대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주걱대(10)와, 이 주걱대(10)의 앞쪽에 결합되고 일정량의 밑밥이 담겨지도록 형성된 주걱부(20)와, 상기 주걱대(10)의 뒤쪽에 결합되는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끝단에 구비되어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걸고리(4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주걱대(10)는, 복수개의 대나무 조각을 길이 방향으로 상호 접합하여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이 대나무 조각 6개(쪽)를 상호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6각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주걱대(10)는 상기 주걱부(20)가 위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30)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그 굵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주걱대(10)의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A와 B는 6각 대나무 양 끝부분을 보인 확대 단면 구조로서, 도 3에 도시된 정삼각형 단면을 갖는 기본 구성대(11)(이하 ‘기본대’라 함) 6개가 상호 접합되어 6각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A쪽은 주걱부(2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B쪽은 손잡이(30)와 결합될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기본대(11)에서, 주걱부(20) 쪽의 정삼각형 단면은 한 변의 길이가 3mm이고, 손잡이(30) 쪽의 정삼각형 단면은 한 변의 길이가 4.5mm이다. 이와 같은 기본대(11) 6쪽(개)을 서로 합쳐서 접합을 하였을 때, 도 4에서와 같이 전체 굵기는 주걱부(20) 쪽이 6mm, 손잡이(30) 쪽이 9mm가 된다. 여기서 각각의 폭 및 굵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실시 조건에 따라서 더 작게 하거나 더 크게 변형시켜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기본대(11) 여러 쪽을 상호 결합시켜 주걱대(10)를 구성함으로써 낚싯대와 같이 전체적으로 충분한 강성 즉,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균일하게 힘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주걱대(10)의 제작 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기본대(11)는 대한민국의 경북 지역 등에 분포 자생하는 수령 5년 이상인 일반 대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기본대(11)를 만들 때, 대략 1미터 길이의 대나무를 잘게 쪼개어 수작업으로 정삼각형을 유지하면서 경사지게 가공하는데, 이는 실제로 상당히 어려운 고도의 손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각 기본대(11)를 구성하는 대나무 마디가 동일지점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각 기본대(11)의 마디 분배를 2-2-2 방법으로 하거나, 3-3 방법 등으로 하여 균등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디부분이 밀도가 낮아 약하기 때문에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가공된 기본대(11) 6쪽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합쳐서 접착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고강도 방수용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착제의 교정시간을 감안해서 접착제 바르기, 마디분배, 실 묶기 과 정 등을 신속하게 진행하여야 한다. 이렇게 접합된 주걱대(10)는 건조실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보통 2-3일 동안 건조 및 경화 기간을 거치게 된다.
다음, 접착제가 경화된 후 주걱대(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열처리 과정을 진행한다. 열처리는 대나무가 가지고 있는 수분을 제거하면서 접착제의 고착율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열처리 과정이 끝난 다음 묶었던 실을 풀어내고, 외부면의 표면 처리를 완료하면 하나의 6각 대나무 주걱대(1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주걱대(10)가 정삼각형 단면을 갖는 기본대(11) 6쪽을 접합하여 6각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다각형의 구성 및 모양 등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반드시 6쪽을 접합하여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내구성 및 강도가 유지될 수 있으면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쪽을 상호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주걱부(20)는 소정량의 밑밥을 담을 수 있도록 스푼 또는 국자 구조로 형성되고, 한쪽 끝단부에는 상기 주걱대(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삽입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주걱부(20)는 티타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등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손잡이(30)는 중앙을 관통하는 홀(32)이 형성되어, 이 홀의 양쪽 에 상기 주걱대(10)와 걸고리 고정대(45)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손잡이(30)는 손에 쥐기 편리하도록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 잡을 수 있는 홈을 만들어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손잡이(30)는 사용자가 손에 쥘 때 촉감이 좋고 비중이 가벼워 물에 잘 뜨며 열 전달계수가 낮아 겨울에도 차갑지 않는 기능을 갖는 게 좋으므로, 오동나무 또는 장미나무 등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주걱대(10)가 삽입되는 홀(32)에 주걱대(10)와 손잡이(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원통형상의 끼움 고정부재(35)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 고정부재(35)는 어느 정도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질의 합성수지재나 이와 유사한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걸고리(40)는 긴 고정부(42)를 갖는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테인리스 철사를 구경 5mm 크기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걸고리(40)는 걸고리 고정대(45)에 결합되는데, 이 걸고리 고정대(45)는 소나무 소재와 같은 목재 등으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30)의 홀(3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걸고리 고정대(45)에 상기 걸고리(40)의 고정부(42)를 못을 박듯이 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주걱부(20), 주걱대(10), 손잡이(30), 걸고리(40)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주걱대(10)를 자연소재인 대나무를 이용하여 여러 쪽을 상호 결합시켜 제작하므로, 외관상으로는 고품격 수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대나무의 탄성력을 통해 원하는 비거리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은, 대나무를 이용하여 주걱대를 구성함으로써 자연소재 이용으로 인체 친화적이면서 외관상 고품격의 밑밥투척용 주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여러 쪽의 대나무를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대나무 특유의 부드러운 자연 탄성 및 적절한 무게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충분한 비거리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속이 비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악조건 상황에서도 파손 또는 변형 등이 최소화되어, 오랜 시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고품격, 수제 자연친화적 밑밥주걱을 사용할 기회를 프로 바다낚시인 등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대나무를 낚시 용품에 접목시켜 소비시키는 산업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셋째 수제품으로 한국인의 장인정신이 깃든 손재주를 활용하며 고품질 밑밥 주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대나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주걱대와, 상기 주걱대의 앞쪽에 결합되고 일정량의 밑밥이 담겨지는 주걱부와, 상기 주걱대의 뒤쪽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주걱대는 단면이 정삼각형인 대나무 조각 6개를 길이 방향으로 상호 접합하여 6각 단면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걱대의 각 기본대를 구성하는 대나무 마디가 동일지점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각 기본대의 마디 분배를 2-2-2 방법으로 하거나, 3-3 방법 등으로 하여 균등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걱대는 상기 주걱부가 위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가 위치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그 굵기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걱대는 상기 주걱부와 손잡이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원형링 구조를 갖는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KR2020070003680U 2007-03-06 2007-03-06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KR200442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680U KR200442559Y1 (ko) 2007-03-06 2007-03-06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680U KR200442559Y1 (ko) 2007-03-06 2007-03-06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92U KR20080003792U (ko) 2008-09-10
KR200442559Y1 true KR200442559Y1 (ko) 2008-11-19

Family

ID=4133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680U KR200442559Y1 (ko) 2007-03-06 2007-03-06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5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944A (ko) 2018-02-06 2019-08-14 이병준 낚시용 밑밥 투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4944A (ko) 2018-02-06 2019-08-14 이병준 낚시용 밑밥 투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92U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140A (en) Lacrosse stick having open sidewall structure
US5127871A (en) Soft sword with interchangeable guards
US4128239A (en) Solid molded paddle construction
KR200442559Y1 (ko) 밑밥투척용 대나무 주걱
JP4005928B2 (ja) 屈曲自在ルアー
US4076241A (en) Sports racket
JPS59230568A (ja) 剣道用竹刀
US20080257167A1 (en) Silicone basting brush
US6003264A (en) Artificial fly
US9844213B1 (en) Fishing rod handle
KR20200142890A (ko) 루어낚싯대용 초릿대
US20090239689A1 (en) Lacrosse stick shaft having a plurality of cavities therein
US20100071252A1 (en) Fishing lure
KR100702521B1 (ko) 대나무 낚시대의 제조방법
KR200459589Y1 (ko) 셔틀콕용 인공 깃털
US20080250912A1 (en) Drumstick, a percussion element for a drumstick and use of such a drumstick or such a percussion element
TWI705843B (zh) 人造羽毛球
US20180304132A1 (en) Paddle grip
CN211291172U (zh) 一种新型高实用性的弹弓
JP3182444U (ja) 貝類養殖の係止具
KR200441589Y1 (ko) 음식용구 손잡이
US1994105A (en) Flexible fan handle
TWM559132U (zh) 蝦子造型餐具
US10799771B2 (en) Racquet flex control device
CN202223846U (zh) 一种高尔夫球杆握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