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907Y1 - 척추 교정기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07Y1
KR200441907Y1 KR2020070004019U KR20070004019U KR200441907Y1 KR 200441907 Y1 KR200441907 Y1 KR 200441907Y1 KR 2020070004019 U KR2020070004019 U KR 2020070004019U KR 20070004019 U KR20070004019 U KR 20070004019U KR 200441907 Y1 KR200441907 Y1 KR 200441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ing portion
upper frame
tors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진
Original Assignee
정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진 filed Critical 정효진
Priority to KR2020070004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3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combining rotational and stretch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자중을 이용하는 척추 치료과정에서 하체의 트위스트 운동이 환자의 척추 부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척추부위에 대한 교정 및 치료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수평을 이루며 개별적으로 구비된 상체안착부(10) 및 하체안착부(20)와, 상기 하체안착부(20)를 선택적으로 트위스트 구동시키기 위해 하부에 구성된 비틀림 구동부(30)와, 상기 상체안착부(10)가 고정됨과 함께 하체안착부(2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상부프레임(40)와, 상기 하체안착부(20)의 일측에서 상부프레임(40)과 연결 구비되되, 하체안착부(20) 상부에 위치하는 비틀림축(25)과, 상기 상부프레임(40)을 받쳐주고 있는 하부프레임(50)과, 상기 하부프레임(50)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40)을 소정 각도로 변위시키기 위한 통상의 각도변위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척추, 교정, 치료, 비틀림, 트위스트

Description

척추 교정기{VERTEBRA PROOF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기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상부프레임측 구조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상기 척추 교정기의 하체안착부 비틀림 동작 상태 개략도.
도 5는 상기 척추 교정기의 각도조절 동작 상태 개략도.
도 6은 종래와 본 고안 척추 교정기의 비틀림축 위치 변화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종래 기술에서의 개략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개략도.
도 7은 종래 일 예에 따른 척추 교정기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체안착부 11,21 : 안착시트
12,22 : 시트지지프레임 13 : 손잡이
14 : 베게 16,26 : 고정벨트
20 : 하체안착부 22a: 곡률부
23 : 지지로울러 24 : 로울러브라켓
25 : 비틀림축 27 : 상부로울러
30 : 비틀림구동부 31 : 연결로드
32 : 회동아암 33 : 모터축
34 : 구동모터 40 : 상부프레임
50 : 하부프레임 51 : 각도조절로드
51a: 나사산 52 : 기어박스
53 : 제1수직지지대 53',54': 힌지축
54 : 제2수직지지대 60 : 발목고정부
본 고안은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무리한 자극으로 인한 부상 우려 없이 자중을 이용하여 적정 강도로 일정하게 비틀림 자극을 주어 척추를 교정하고 척추 주변의 근육 및 인대를 이완 또는 강화시키기 위한 척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랜시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학생 또는 사무직 종사자의 경우 잘못된 자세로 인해 척추가 삐뚤어지면서 허리통증을 호소하게 되고, 이에따라 척추가 손상되면 물리치료나 재활치료를 통해 척추를 곧게 펴주는 치료를 실시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치료를 위해 종래 일 예로 제안된 국내특허등록번호 10-658147의 "척 추 교정기"를 들 수 있다.
도 7은 상기 특허등록된 종래 척추 교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머리받침 시트(110) 및 상,하체받침 시트(120,130)가 하부 프레임(300)상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체받침 시트(130) 말단측에 발목 고정구(200)가 장착되었으며, 상,하체받침 시트(120,130) 사이에는 온열기구(700) 장착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룬 상태에서 상체받침 시트(120) 및 하체받침 시트(130)는 하부 프레임(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좌우측이 상하로 교차 승강 운동하되 상호 엇갈리게 운동함으로써 비틀림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척추 주위의 인대 및 근육을 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척추 교정기의 경우 시트의 비틀림 축이 척추중심과 일치하지 못하게 됨으로 원하는 최적의 척추교정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실제 사용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비틀림 트위스트 동작이 이루어져야 교정 및 치료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종래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 동작이 상,하체받침 시트(120,130)를 받쳐주고 있는 프레임(400)을 관통하여 설치된 비틀림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상기 비틀림축은 척추의 중심과 소정 거리(d)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교정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트위스트 동작의 중심을 이루는 비틀림축이 사용자의 척추와 일치되어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와 함께 자중을 이용하여 눌려진 척추 사이 간격을 펴줄 수 있도록 하는 척추교정장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교정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상호 수평을 이루며 개별적으로 구비된 상체안착부 및 하체안착부와, 상기 하체안착부를 선택적으로 트위스트 구동시키기 위해 하부에 구성된 비틀림 구동부와, 상기 상체안착부 및 하체안착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일측에서 하체안착부의 비틀림축과 연결 구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받쳐주고 있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소정 각도로 변위시키기 위한 각도변위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침대형태를 이루는 상체안착부(10)과 하체안착부(20)가 동일 높이에서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었으며, 하체안착부(20)의 단부에는 발목부위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통상의 부품인 고정롤(61)이 쌍을 이루며 양측에 구비되어 발목고정부(60)를 이루고 있고, 하부에는 이들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이 각각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상체안착부(10)와 하체안착부(20)는 각각 상층의 안착시트(11,21)와 하층의 시트지지프레임(12,22)로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상체안착부(10)는 상부프레임(40)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반면, 하체안착부(20)는 일측에서 비틀림축(25)에 의해 상부프레임(40)에 연결되어져 있어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는데, 상기 비틀림축(25)은 하체안착부(20)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하체안착부(20) 하부에는 상기 하체안착부(20)를 소정 각도범위내에서 비틀림 구동시키기 위한 비틀림구동부(30)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비틀림구동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2의 단면 개략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체안착부(20)의 저면에 일측이 연결된 연결로드(31)와, 상기 연결로드(31)의 타측이 연결된 회동아암(32)과, 상기 회동아암(32)의 일단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축(33)으로 연결 구성된 구동모터(34)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틀림구동부(30)의 구동에 따른 하체안착부(20)의 비틀림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시트지지프레임(22)의 하부에는 반원형태의 곡률부(22a)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곡률부(22a)의 유동을 받쳐주기 위한 지지로울러(23)가 로울러브라켓(24)에 의해 상부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되었고, 상기 곡률부(22a)를 상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로울러(27)가 쌍을 이루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체안착부(10)에는 양측에 손잡이(13)가 설치되었으며, 일측에는 머리 를 받쳐주기 위한 베개(14)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40)을 전체적으로 소정 각도로 변위시키기 위한 통상의 각도변위수단이 하부프레임(50)에 설치되어져 있는데 이는 도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50)상에 고정 설치된 제1수직지지대(53) 상부에는 기어박스(52)가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구비되었는데, 기어박스(52) 내에는 구동모터(도면부호 미표시)로 부터 체인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아 회동이 이루어지는 스프로킷(미도시)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의 중심에는 각도조절로드(51)가 관통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각도조절로드(51)는 일단이 상부프레임(40)와 연결됨과 함께 타단측에는 소정 구간에서 외주면상에 나사산(51a)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스프로킷 내주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져 있어 상호간에 나사치합이 이루어짐으로 스프로킷의 회동에 따라 각도조절로드(51)의 직선방향 전,후진 왕복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각도변위수단은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기어박스(52)내의 구체적인 구성설명 및 도면표시는 생략키로 한다.
미설명 부호 16, 26은 각각 상체와 하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벨트이며, 54는 상부프레임(40)을 지지하기 위한 제2수직지지대이고, 54'는 각도변환의 중심을 이루는 힌지축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척추 교정기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4 및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환자가 상체안착부(10)와 하체안착부(20)의 시트 상면에 누운 상태에서 고정롤(61) 사이에 발목부위를 끼워서 조절함으로 발목고정부(60)에 발목을 고정시킴과 함께 고정벨트(15,25)를 이용하여 상체와 하체를 각각의 안착부(10,20)에 밀착 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척추를 중심으로 하체부위를 트위스트 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34)를 구동시킴으로 하체안착부(20)의 비틀림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구동모터(34)의 동작에 의해 회동아암(32)이 모터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면, 일단에 연결된 연결로드(31)가 함께 유동되어지면서 도 4a,4b에서와 같이 하체안착부(20)를 비틀림축(25)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반복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이때,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하체안착부(20)는 하부의 곡률부(22a)가 2개의 지지로울러(23)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짐과 함께 상부로울러(27)에 의해 상부가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비틀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비틀림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환자의 자중을 이용한 척추마디를 넓혀주는 치료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하체 안착부(10,20)를 전체적으로 일정 각도로 변위시키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기어박스(52)에 설치된 스프로킷(미도시)이 내부 구동모터로 부터 체인을 통해 회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회동되어지면, 스프로킷은 정지위치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스프로킷 내주와 상호 나사체결형태로 관통 설치된 각도조절로드(51)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로드(51)가 상부프레임(40)을 밀어주게 됨으로 상,하체 안착부(10,20)가 제2수직지지대(54)의 힌지축(54')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다리부는 발목고정부(60)에 고정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체측으로 신체 하중이 집중되어지게 됨으로 자중을 이용한 척추마디가 넓혀지는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자중을 이용한 치료와 동시에 비틀림 운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손상된 척추부위에 대한 치료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프레임(40)의 설정각도는 각도조절로드(51)의 이동거리에 따라 조절되어지는데 최대 60°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기어박스(52)내에 설치된 스프로킷의 역방향 회동에 따라 각도조절로드(51)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짐으로 상부프레임(40)의 각도는 서서히 수평상태로 원위치 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척추교정기는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하체부위를 비틀림 동작이 이루어짐과 함께 자중을 이용하도록 시트를 전체적으로 소정 각도로 변위시킬 수 있게 됨으로 보다 효과적인 교정 및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하체안착부(20)에 대한 비틀림동작의 중심을 이루는 비틀림축(25)이 환자의 척추부위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에서 동작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는 가운데 보다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된 다.
즉, 도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척추 교정기의 경우는 도 6a에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비틀림축이 환자가 누운 시트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틀림 동작이 환자의 척추를 축으로 하여 이루어지지 못하고 반대로 비틀림축을 축으로 하여 척추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나, 본 고안의 경우는 도 6b에서와 같이 비틀림축(25)이 하체안착부(20) 위에 위치되어 척추위치에 최대한 근접하게 됨으로 비틀림 동작이 척추부위를 축으로 하여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틀림 동작이 척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정 및 치료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척추교정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척추 교정기가 비틀림 동작과 함께 환자의 자중을 이용하는 각도변위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비틀림 동작이나 각도변위동작 하나만 선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척추 교정기는, 하체안착부의 트위스트 동작시 회동중심을 이루는 비틀림축이 보다 상승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비틀림 운동이 환자의 척추가 위치하는 부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척추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시트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자중을 이용한 척추간 간격이 넓혀진 상태에서 환자의 하체부위를 척추를 중심으로 트위스트 구동시킴으로 척추 부위에 대한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체의 비틀림 동작시 하체안착부 하부에 구성된 반원형태의 곡률부가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유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한층 부드럽고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6)

  1. 상호 수평을 이루며 개별적으로 구비된 상체안착부(10) 및 하체안착부(20);
    상기 하체안착부(20)를 선택적으로 트위스트 구동시키기 위해 하부에 구성된 비틀림 구동부(30);
    상기 상체안착부(10)가 고정됨과 함께 하체안착부(20)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상부프레임(40);
    상기 하체안착부(20)의 일측에서 상부프레임(40)과 연결 구비되되, 하체안착부(20)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비틀림축(25);
    상기 상부프레임(40)을 받쳐주고 있는 하부프레임(50);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축(25)은 하체안착부(20)의 상면을 이루는 안착시트(21)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체안착부(20)는 상층의 안착시트(21)와 하층의 시트지지프레임(22)으 로 이루어지되, 상기 비틀림축(25)은 시트지지프레임(22) 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구동부(30)는 하체안착부(20)의 저면에 일측이 연결된 연결로드(31)와, 상기 연결로드(31)의 타측이 연결된 회동아암(32)과, 상기 회동아암(32)의 일단에 회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축(33)으로 연결 구성된 구동모터(3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안착부(20)의 비틀림 회동이 가능하도록 시트지지프레임(22) 하부에는 반원형태의 곡률부(22a)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곡률부(22a)의 회동을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로울러(23)가 상부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곡률부(22a)를 상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로울러(27)가 각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0)은 제2수직지지대(54) 상단부에서 힌지축(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되, 상부 프레임(40)의 각도를 변위시키기 위한 각도변위수단으로서,
    하부프레임(50) 상에 고정 설치된 제1수직지지대(53) 상부에는 내부에 구동모터가 장착되어져 있는 기어박스(52)가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기어박스(52)에 내장 설치되어져 있는 구동모터로 부터 스프로킷을 통해 상호 나사치합에 따른 회동력을 전달받아 길이방향으로 유동되어질 수 있도록 외주면에 스크류 형태의 나사산(51a)이 구비된 각도조절로드(51)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로드(51)의 선단이 상부프레임(40)이 일단부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기.
KR2020070004019U 2007-03-12 2007-03-12 척추 교정기 KR200441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019U KR200441907Y1 (ko) 2007-03-12 2007-03-12 척추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019U KR200441907Y1 (ko) 2007-03-12 2007-03-12 척추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07Y1 true KR200441907Y1 (ko) 2008-09-17

Family

ID=4162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019U KR200441907Y1 (ko) 2007-03-12 2007-03-12 척추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0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88B1 (ko) * 2009-11-09 2012-05-09 윤창로 허리통증 해소와 척추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강화 운동기구
WO2015142060A1 (ko) * 2014-03-21 2015-09-24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기
KR20160100120A (ko) * 2015-02-13 2016-08-23 양재락 척추 교정방법
CN114848257A (zh) * 2022-05-06 2022-08-05 孙勇 一种人体脊柱异常形态恢复的三维动态牵引床
KR102442656B1 (ko) * 2021-08-26 2022-09-08 김진향 거꾸로 물리치료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88B1 (ko) * 2009-11-09 2012-05-09 윤창로 허리통증 해소와 척추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강화 운동기구
WO2015142060A1 (ko) * 2014-03-21 2015-09-24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기
KR101566877B1 (ko) * 2014-03-21 2015-11-06 주식회사 한메드 척추 교정기
KR20160100120A (ko) * 2015-02-13 2016-08-23 양재락 척추 교정방법
KR101675218B1 (ko) * 2015-02-13 2016-11-10 양재락 척추 교정방법
KR102442656B1 (ko) * 2021-08-26 2022-09-08 김진향 거꾸로 물리치료 시스템
CN114848257A (zh) * 2022-05-06 2022-08-05 孙勇 一种人体脊柱异常形态恢复的三维动态牵引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147B1 (ko) 척추교정기
KR100942533B1 (ko) 경추 견인용 의자
KR100868384B1 (ko) 척추교정치료기
KR200441907Y1 (ko) 척추 교정기
US11246788B2 (en) Spine regularity rotation motion device
KR100664725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KR101566877B1 (ko) 척추 교정기
KR101445261B1 (ko) 삼중 곡면 구조의 등받이형 척추 교정장치
KR101675218B1 (ko) 척추 교정방법
KR102572166B1 (ko) 롤링 마사지 장치
KR101577047B1 (ko) 다용도의 기능성 침대
KR200466038Y1 (ko) 앉은 자세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의자
CN207604682U (zh) 按摩椅
JP2880672B2 (ja) 腰痛治療装置
US7141010B2 (en) Variable radius flexibility apparatus
KR101712010B1 (ko) 텐션스트립이 구비된 척추 교정 휠백장치
KR20190002647U (ko) 안마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KR200404521Y1 (ko) 경추 교정장치
KR101366533B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하체 고정장치
KR102595939B1 (ko) 안마매트의 스트레칭 장치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102631459B1 (ko) 롤링 마사지 장치
CN218552645U (zh) 一种腰椎锻炼装置
CN115006172B (zh) 一种脊柱矫正恢复装置
KR200363859Y1 (ko) 전신지압 및 척추교정기의 베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