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793Y1 - 호스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93Y1
KR200441793Y1 KR20070002939U KR20070002939U KR200441793Y1 KR 200441793 Y1 KR200441793 Y1 KR 200441793Y1 KR 20070002939 U KR20070002939 U KR 20070002939U KR 20070002939 U KR20070002939 U KR 20070002939U KR 200441793 Y1 KR200441793 Y1 KR 200441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lamp
clamping body
intermitten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2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496U (ko
Inventor
정한일
Original Assignee
(주)동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금속 filed Critical (주)동아금속
Priority to KR20070002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9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4Hose-clip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를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호스가 클램프에 끼이거나 눌려서 손상되는 현상 없이 신속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 호스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호스가 결합 되는 연결부위의 호스를 안정된 상태로 잡아주는 호스용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호스용 클램프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를 원형으로 밴딩하여 구비하는 클램핑바디와; 상기 클램핑바디의 일단부에 호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호스가이드와; 상기 호스가이드의 대향측인 클램핑바디의 타단부에 호스가이드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클램핑바디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단속볼트로 클램핑바디의 직경을 축소시켜 호스를 단속하도록 구비하는 단속브라켓과; 상기 단속브라켓에 형성되는 체결공 중 하나에 단속볼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Figure R2020070002939
클램프, 호스

Description

호스용 클램프{Clamp for hose pipe}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1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클램프
51; 클램핑바디
53; 호스가이드
55; 가이드홈
57,58; 단속브라켓
본 고안은 호스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스의 연결부위를 손상 없이 신속하게 단속할 수 있도록 개선한 호스용 클램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호스용 클램프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나, 에어컨시스템, 파워스티어링 및 엔진룸에 유체나 기체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사용되는 호스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유체나 기체의 유통을 위하여 연결되는 호스를 단속하여 이탈현상 등이 없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호스용 클램프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호스용 클램프(1)는 탄성을 가지는 강선(2)을 간격유지구(3)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원형상의 클램프바디(4)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바디(4)의 선단부(도면상 좌측)는 상향 절곡시켜 ∩형상의 밀착부(5)를 형성하고 후단부(도면상 우측)은 선단부 방향으로 걸고리(6)를 형성하여 푸싱판(7)과 결합한다.
상기 푸싱판(7)의 중앙에는 나사공(8)을 형성하여 단속볼트(9)를 결합하고, 상기 단속볼트(9)의 선단에는 밀착와셔(10)를 개재하여 밀착부(5)와 연접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클램프는 강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핑하고자 하는 호스가 고열상태일 경우에는 클램프가 호스를 침투하게 되므로 호스의 손상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강선이 간격을 유지하고는 있으나 견고한 상태로 잡고 있지 못함으로 불 규칙적인 고정상태로 클램핑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클램프를 포장완료한 상태에서 이송이나 보관과정에서 진동이나 충격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구성품이 분리되거나 분실되어 실제 클램프를 장착할 때 부품의 분실로 장착 불가능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호스의 연결부위를 단속하는 클램프를 개선하여 클램핑 과정에서 호스가 클램프에 끼이거나 눌려서 손상되는 현상 없이 신속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클램프의 품질을 높이면서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호스가 결합 되는 연결부위의 호스를 안정된 상태로 잡아주는 본 고안의 호스용 클램프(50)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를 원형으로 밴딩하여 클램핑바디(51)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바디(51)의 일단부(52)에는 클램핑되는 호스가 끼이는 등의 현상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가이드(53)를 클램핑바디(51)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상기 호스가이드(53)가 형성되는 대향 측의 클램핑바디(51)의 타단부(54)에는 호스가이드(53)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55)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55)은 호스가이드(53)가 진입하였을 때 클램핑바디(51)의 내면에 돌출됨이 없도록 외측방향으로 요입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바디(51)의 일단부(52)와 타단부(54)에는 단속볼트(56)로 클램핑바디(51)의 직경을 축소시켜 호스를 단속하기 위한 한 쌍의 단속브라켓(57,58)을 구비하고, 상기 단속브라켓(57,58)에 형성되는 체결공(59,60) 중 하나에는 단속볼트(56)와 결합 될 수 있도록 나사(61)를 형성한다.
상기 클램핑바디(51)와 단속브라켓(57,58)과의 결합은 클램핑바디(51)에 일 체로 형성하는 밴딩핀(65)과 단속브라켓(57,58)에 형성되는 밴딩공(66)을 통한 밴딩고정타입과, 클램핑바디(51)와 단속브라켓(57,58)을 용접으로 고정하는 용접고정타입과, 클램핑바디(51)에 일체로 형성하는 리벳(67)과 단속브라켓(57,58)에 형성하는 리벳공(68)으로 고정하는 리벳고정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물론, 상기 클램핑바디(51)와 단속브라켓(57,58)에는 단속브라켓(57,58)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돌기(P)와 위치결정홀(H)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호스용 클램프(50)는,
클램핑 하고자 하는 호스(100)의 외경에 클램프(50)를 삽입한 후 호스(100)를 연결하고, 호스(100)의 연결이 완료되면 클램프(50)를 호스(100)의 연결부위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50)를 구성하는 클램핑바디(51)에 고정된 단속브라켓(57,58)이 상측으로 오도록 한 후 전용의 도구를 이용하여 단속브라켓(57,58)에 체결된 단속볼트(56)를 단속위치로 회전시킴으로서 단속볼트(56)에 의하여 클램핑바디(51)의 직경이 축소되어 호스(100)를 클램핑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바디(51)의 직경이 축소되는 것은 단속브라켓(57,58)에 형성되는 체결공(59,60) 중 하나에는 나사(6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속볼트(56)에 의하여 클램핑바디(51)의 직경이 축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속볼트(56)에 의하여 클램핑바디(51)의 직경이 축소되는 과정에 서는 클램핑바디(51)의 일단부(52)에 구비되는 호스가이드(53)가 타단부(54)에 구비되는 가이드홈(55)으로 진입하여 클램핑바디(51) 사이에 호스(100)가 끼이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클램프바디(51)의 직경이 축소되더라도 호스(100)가 정원(진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클램프(50)가 밴드타입으로 구성됨으로서 고열이 발생하는 부위라 하더라도 호스(100)를 안정된 상태로 클램핑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호스의 연결부위를 단속하는 클램프를 개선하여 클램핑 과정에서 호스가 클램프에 끼이거나 눌려서 손상되는 현상 없이 신속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클램프의 품질을 높이면서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1)

  1. 호스가 결합 되는 연결부위의 호스를 안정된 상태로 잡아주는 호스용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호스용 클램프(50)는 탄성을 가지는 판상부재를 원형으로 밴딩하여 구비하는 클램핑바디(51)와;
    상기 클램핑바디(51)의 일단부(52)에 호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비하는 호스가이드(53)와;
    상기 호스가이드(53)의 대향측인 클램핑바디(51)의 타단부(54)에 호스가이드(53)가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가이드홈(55)과;
    상기 클램핑바디(51)의 일단부(52)와 타단부(54)에 단속볼트(56)로 클램핑바디(51)의 직경을 축소시켜 호스를 단속하도록 구비하는 단속브라켓(57,58)과;
    상기 단속브라켓(57,58)에 형성되는 체결공(59,60) 중 하나에 단속볼트(56)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61)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KR20070002939U 2007-02-20 2007-02-20 호스용 클램프 KR200441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939U KR200441793Y1 (ko) 2007-02-20 2007-02-20 호스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939U KR200441793Y1 (ko) 2007-02-20 2007-02-20 호스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96U KR20080003496U (ko) 2008-08-25
KR200441793Y1 true KR200441793Y1 (ko) 2008-09-05

Family

ID=4149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2939U KR200441793Y1 (ko) 2007-02-20 2007-02-20 호스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46B1 (ko) * 2008-11-21 2011-04-12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결속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58B1 (ko) * 2010-06-11 2013-01-18 (주)동아금속 호스용 클램프
FR3090070B1 (fr) * 2018-12-17 2021-03-05 Caillau Ets Dispositif de serrage comprenant une ceinture et deux oreilles de serrage rapporté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46B1 (ko) * 2008-11-21 2011-04-12 주식회사 새한하이텍 결속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96U (ko) 200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9237B2 (ja) 作業機械の索状体保持具
KR101101032B1 (ko) 방진 차열판
JP5232775B2 (ja) クランプカラー
JP2625304B2 (ja) 取付けク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09861A (ja) 位置合わせ組立体
JP2015526656A (ja) 回転を制限する管留め具
KR200441793Y1 (ko) 호스용 클램프
JP2018521272A (ja) 構成部分を保持する装置
JP2017013557A (ja) バッテリートレー構造
JP2018518643A (ja) クランプバンドとプレポジショナとを備えるクランプ
US20100219313A1 (en) Clips
JP5821044B2 (ja) 長尺材固定金具
KR101064847B1 (ko) 호스 체결용 클램프의 지지구조체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KR200441794Y1 (ko) 호스용 클램프
US20140115834A1 (en) Tie clamp
JP2013170686A (ja) 弁類の作動状態検出装置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KR101380212B1 (ko) 원터치 클램프
KR20140052675A (ko) 호스클립용 홀더
CN110691913B (zh) 夹具
KR200421034Y1 (ko) 호스용 퀵 클램프
KR101636286B1 (ko)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KR20110056846A (ko) 호스용 클램프
KR101427228B1 (ko) 타이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