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92Y1 - 비데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비데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92Y1
KR200441492Y1 KR2020070004249U KR20070004249U KR200441492Y1 KR 200441492 Y1 KR200441492 Y1 KR 200441492Y1 KR 2020070004249 U KR2020070004249 U KR 2020070004249U KR 20070004249 U KR20070004249 U KR 20070004249U KR 200441492 Y1 KR200441492 Y1 KR 200441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idet
operation unit
present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철
Original Assignee
(주)유진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진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유진엠플러스
Priority to KR2020070004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데기를 사용함에 있어 비데, 세정, 수압, 온도 등을 선택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조절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비데기 조절장치(100)로, 비데기(1)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고정부(110);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중앙에 배선이 통과되며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한 조작부 지지수단(120); 및 상기 지지수단의 일단에 설치되어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는 조작부(130)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 지지수단(120)은 금속제 주름관이나 고정부(110)에 고정설치되며 속이 빈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1지지대(121)에 속에 장착되어 전진 및 후퇴 동작을 하기 위한 제2지지대(122); 및 상기 제1 지지대(121) 일단에 설치되어 제2 지지대(122)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1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데기 조절장치{Control apparatus of bidet}
도 1은 종래 비데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비데기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지지프레임 20 : 센서등커버
100 : 비데기 조절장치 110 : 고정부
111 : 개구부 120 : 조작부 지지수단
121,121', 122,122' : 지지대 130 : 조작부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비데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를 사용함에 있어 비데, 세정, 수압, 온도 등을 선택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조절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비데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일반적으로 우리의 화장실 문화는 용변 후 그 처리 과정을 대부분 화장지에 의존하여 해결하고 있다.
용변이 배설되는 항문주위에는 천 여개 이상의 잔주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장지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뒤처리를 한다 하더라도 잔주름 사이에 잔류하는 오물을 완전하게 제거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이와 같은 불완전한 뒤처리
로 인해 사람들 사이에는 치질과 같은 항문질환, 질염과 같은 여성의 전립선과 같은 남성 질환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용변 후 뒤처리 과정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급수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사용 수를 노즐을 이용하여 항문주위를 세정토록 하고, 세정된 항문부위는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도록 한 비데기가 널리 개발되어 각 가정에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비데기는 크게 도시하지 않은 변좌(도기)에 얹어져 고정되는 좌변시트와, 수도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와, 급수장치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노즐을 통해 사용자의 항문으로 보내기 위한 세정장치와, 이들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비데기에 설치되어 비데, 세정, 수압, 온도 등을 선택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조절장치가 비데기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환자나 고혈압 환자, 기타 장애인 등이 사용할 때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166277호 "변좌장치"와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100190호 "이동조작부를 구비한 변좌장치" 등이 개발되었다.
전자나 후자의 경우 모두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장치를 접거나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휠체어를 탄 환자가 변기를 사용할 경우 휠체어의 이동거리를 변기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가 불편한 환자의 어려움을 해소하였다.
즉, 전자의 조절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11) 및 제2 조작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조작부(11)는 비데(1)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조작부(12)는 제1 조작부(11)의 일단에 힌지(P)에 의해 고정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조절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1)의 측면에 힌지(P) 에 의해 고정되어, 자유롭게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자나 후자의 조작장치(10)는 휠체어의 이동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비데를 사용하는 고혈압 환자나 손동작이 부 자유로운 환자의 경우 사용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비데에 앉은 상태에서 조절장치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앞쪽으로 몸을 기울인 상태로 조작해야 하는데, 특히 고혈압환자의 경우 순간적으로 피가 머리로 몰려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고, 또한 손동작이 부 자연스러운 사람 예를 들면 한쪽 팔에 깁스를 한 사람 등은 조절장치를 사용함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비데에 장착되는 조절장치를 스위치가 설치된 조작부를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비데 조절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데기에 설치되어 비데, 세정, 수압, 온도 등을 선택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비데기 조절장치 중 컨트롤박스(이하 조작부라 칭함)를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하도록 한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함으로써,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휠체어 환자나 고혈압환자 등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데기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요약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100)는,
비데기(1)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는 고정부(110);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중앙에 배선이 통과되며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한 조작부 지지수단(120); 및
상기 지지수단의 일단에 설치되어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는 조작부(130);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 지지수단(120)은 금속제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 지지수단(120)은 고정부(110)에 고정설치되며 속이 빈 제1 지지대(121); 및
상기 제1지지대(121)에 속에 장착되어 전진 및 후퇴 동작을 하기 위한 제2지지대(122); 및
상기 제1 지지대(121) 일단에 설치되어 제2 지지대(122)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구체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비데기 조절장치(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기(1)의 일 측에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된 고정부(110)가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110)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각종 조절기능을 가지는 조작부(130)와 연결되는 전기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통과되는 주름관을 이루는 조작부 지지수단(120)이 설치된다.
상기 주름관은 금속제 즉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때 상기 조작부 지지수단을 반드시 주름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기배선을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으로 감싸고, 이 스프링 외주에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지를 도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절곡시킬 수도 있도록 하거나, 일측이 고정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고, 타측이 조작부(130)와 연결되는 전기배선으로 만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130)를 거치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포켓(조작부 고정소켓)을 비데기 일 측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움은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조작부 지지수단(120)은 회로기판이 내장된 고정부(110)에 속이 빈 제1 지지대(121)가 설치되고, 이 제1 지지대 속에 제 2지지대(122)가 원활하게 전진 후퇴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지지대(121)의 내경이 제2 지지대(1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거나 상기 제 1지지대(12)의 직경을 고정부(110) 쪽은 크게하고, 조작부(130) 쪽은 점차 작은 직경을 이루도록 하고, 이 제1 지지대에 삽입되기 위한 제2 지지대(122)의 직경 및 형상을 상기 제1 지지대 보다 작게 하여 상기 제1 지지대(121)로 부터 빠져나 올 때 어느 정도 빠져나오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제 2 지지대(122)가 제1 지지대(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 1지지대(121)로 부터 제 2지지대(1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21) 상에 잠금장치(140)를 설치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잠금장치(140)는 제 1지지대(121)의 일단에 하부에 후크가 형성된 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후쿠가 걸어맞춤되기 위한 여러 개의 홈을 제2 지지대에 형성하되, 상기 제1 지지대는 제 1지지대(121)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힘에 반발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제2 지지대(122)의 일단에 걸어맞춤 돌기를 형성하여 후크에 걸려 더 이상 앞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상측을 일부 개방하여 개구부(111)를 형성고, 상기 제1 지지대(121)를 힌지(P)로 고정하여 상기 제1 지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기(1)의 일측에 고정부(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고정부에 일단이 구형상의 관절부(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되는 제 1지지대(121')와 이 제1 지지대(121') 일단에 힌지(P)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2지지대(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대(121',122')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지지대(121')는 상기 관절 결합되어 고정부(110)로 부터 사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고, 제 2 지지대(122')의 일단에 설치되는 조작부(130)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비데기 조절장치(100)는 스위치가 설치된 조작부를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자기가 원하는 쪽으로 당겨서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조작부를 고정부 쪽으로 밀거나 세워서 보관할 수가 있어 휠체어 환자나 기타 고혈압환자 등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기 조절장치는 스위치가 설치된 조작부를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어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환자들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비데기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중앙에 배선이 통과되며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한 조작부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의 일단에 설치되어 각종 스위치가 설치되는 조작부;
    로 이루어지며, 비데기를 사용함에 있어 비데, 세정, 수압, 온도 등을 선택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비데기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지지수단은 고정부에 고정설치되며 속이 빈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에 속에 장착되어 전진 및 후퇴 동작을 하기 위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 일단에 설치되어 제2 지지대의 전후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기 조절장치.
KR2020070004249U 2007-03-14 2007-03-14 비데기 조절장치 KR200441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49U KR200441492Y1 (ko) 2007-03-14 2007-03-14 비데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49U KR200441492Y1 (ko) 2007-03-14 2007-03-14 비데기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92Y1 true KR200441492Y1 (ko) 2008-08-26

Family

ID=4164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249U KR200441492Y1 (ko) 2007-03-14 2007-03-14 비데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24B1 (ko) 2013-06-24 2015-05-15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세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24B1 (ko) 2013-06-24 2015-05-15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390B2 (en) Wash and clean apparatus
JP2007037608A (ja) 浴室用折り畳み椅子
JP2021526604A (ja) ビデシャワーを備えるトイレ
CN101204299B (zh) 便座装置
KR200441492Y1 (ko) 비데기 조절장치
JP2008202282A (ja) 洗浄便座及び洗浄便座用局部表示装置
JP2005188172A (ja) シャワーホルダ
KR20050048582A (ko) 남성의 소변기 및 비데장치
JP2008510084A (ja) 衛生的な散水装置を有する尿器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2007135906A (ja) シャワー装置
JP2006249803A (ja) 洋式便器または和式便器
TWM641646U (zh) 排泄物清理裝置
JP2004293203A (ja) シャワーヘッドの保持構造
KR200310462Y1 (ko) 다중송풍구를 이용하는 위생세정기의 건조장치
JP2022014414A (ja) 臀部側マット部分の後方が下降する、排泄の出来る介護用ベッド
KR200341780Y1 (ko) 누운 자세에서 커트와 샴푸가 가능한 미용샴푸 장치.
KR200427886Y1 (ko) 비데 조절장치
CN201261908Y (zh) 马桶座的冲洗器
JP7399506B2 (ja) 排泄物処理装置およびそ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H0421905Y2 (ko)
KR200404218Y1 (ko) 남성의 소변기 및 비데장치
JP3127297U (ja) 洗面台
JP2024021021A (ja) 臀部と臀部周辺マットを洗浄する排泄の出来る介護用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