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62Y1 -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062Y1
KR200441062Y1 KR2020080000050U KR20080000050U KR200441062Y1 KR 200441062 Y1 KR200441062 Y1 KR 200441062Y1 KR 2020080000050 U KR2020080000050 U KR 2020080000050U KR 20080000050 U KR20080000050 U KR 20080000050U KR 200441062 Y1 KR200441062 Y1 KR 200441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ir
roaster
damper
fir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길
정상영
정상우
Original Assignee
김수길
정상영
정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길, 정상영, 정상우 filed Critical 김수길
Priority to KR2020080000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로스타에 설치되어 화재의 전파를 방지하는 파이어 댐퍼에 관한 것으로, 식탁에 설치된 로스타와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되어 로스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파이어 댐퍼에서, 상기 파이어 댐퍼를 구성하는 파이어 댐퍼 몸체가 정사각단면을 이루면서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댐퍼 몸체의 내부 좌우측면에 댐퍼 몸체의 상하 높이와 동일한 치수로 좌우 폭을 좁혀 주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해 주는 공기 유도판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댐퍼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체의 공기 유도판 내부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차단판의 회전축에 고온의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하면서 차단판을 개폐작동시키는 차단판 작동제어기구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이어 댐퍼는 본체를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의 직경을 크게 할 수가 있어, 로스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로스타, 파이어 댐퍼, 파이어 차단판,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A FIRE DAMPER FOR A ROASTER}
본 고안은 숯불을 피워 고기를 굽는데 사용하는 로스터에 설치하여 화재를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파이어 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가 낮으면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유통할 수 있게 한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고기를 굽거나 전골 등을 끓이는데 사용하는 로스터는 가스를 사용하거나 숯불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각각 그 사용성 및 설치성 등에 따른 장단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기호 및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연료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용 로스타와 숯불용 로스타는 각각 그 연료의 선택에 따른 기본적인 구조 이외에도,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타입과,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그냥 실내의 공간으로 날려 보내는 타입이 있다.
그런데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에는 냄새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이 함께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에 좋지않은 냄새가 밸 뿐만 아니라, 기름 성분이 건물의 벽면에 부착되어 좋지않은 환경을 만드는 등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를 구워 먹는 사람들의 옷과 머리 등에 냄새가 배어 좋지 아니한 냄새를 풍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로스타에서 발생하는 고기 연기가 외부로 흡입 배출되게 하는 배기식 로스타가 많이 사용되는데,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기식 로스타(101)는 식탁(102)에 고정 설치되고, 식탁(102) 아래의 건물 바닥면(103)에 배기덕트(104)를 매설하며, 상기 로스타(101)의 공기 배출구와 배기덕트(104)를 연결해 줌으로써,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가 건물의 바깥에 설치된 송풍기(도시 안 됨)의 흡입력에 의해 배기덕트(10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고기 연기를 건물의 바깥으로 배출하지 않는 타입에서는 별문제가 없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로스타(101)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타입에서는 로스타의 내부에서 연소하는 숯불이 배기덕트(104)로 유입되거나, 로스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의 바닥면(103) 또는 벽체 속에 매설되어 있는 배기덕트(104)에 로스타의 화기(火氣)가 그대로 건물에 전달되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식탁(102)에 설치된 로스타(101)와 배기덕트(104) 사이에 파이어 댐퍼(105)를 설치하여, 로스타(101)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파이어 댐퍼(105)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파이어 댐퍼(105)의 차단판(106)이 작동하 여 로스타(101)와 배기덕트(104) 사이의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로스타(101)의 화기가 배기덕트(104)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로스타(101)에 사용하는 파이어 댐퍼(105)는 숯불이나 가스 등을 사용하는 로스타(101)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건물의 벽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덕트(104)를 통하여 화재가 전파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도면 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사용하는 식탁(102)의 높이(H)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식탁(102)에 설치된 로스타(101)와 식탁(102) 아래의 바닥면(103)에 설치된 배기덕트(104) 사이의 간격(g)이 한정되게 된다.
따라서, 로스타(101)의 높이(h)를 높게 하면 로스타(101)와 배기덕트(104) 사이의 간격(g)이 더 좁아지게 되므로, 로스타(101)의 높이(h)를 낮게 하면 상기 간격(g)이 더 넓어지게 되지만, 로스타(101)의 기능적인 문제 때문에 그 높이(h)를 무작정 낮출 수가 없으므로, 파이어 댐퍼(105)를 설치하기 위한 간격(g)에는 항상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파이어 댐퍼(105)를 설치하기 위한 간격(g)이 좁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파이어 댐퍼(105)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배기덕트(104)와의 연결문제 때문에 대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내부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차단판(106)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어 댐퍼(105)를 설치하기 위한 간격(g)이 좁아지면, 상기 간격(g)에 맞추어 상하로 회동하는 차단판(106)의 직경 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로스타(101)의 설치구조에서는 파이어 댐퍼(105)의 직경이 설치 간격(g)의 크기에 제한을 받아 한정되므로, 파이어 댐퍼(105)를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배기의 소통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파이어 댐퍼(105)의 공기소통량에 따른 문제점 때문에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를 시원하게 효과적으로 배출해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파이어 댐퍼(105)의 문제점은 결국 파이어 댐프(10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단면적이 적다는 구조적인 문제점 때문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의 구조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파이어 댐퍼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게 하여 로스타에서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효과적으로 시원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한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는 식탁에 설치된 로스타와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되어 로스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어 댐퍼를 구성하는 파이어 댐퍼 몸체가 정사각단면을 이루면서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댐퍼 몸체의 내부 좌우측면에 댐퍼 몸체의 상하 높이와 동일한 치수로 좌우 폭을 좁혀 주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해 주는 공기 유도판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댐퍼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체의 공기 유도판 내부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차단판의 회전축에 고온의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하면서 차단판을 개폐작동시키는 차단판 작동제어기구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이어 댐퍼는 본체를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의 직경을 크게 할 수가 있어, 로스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는 본체의 높이가 낮으면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통과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는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의 높이가 높지 않은 식당용 식탁에 로스타와 함께 설치할 수가 있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그 높이가 높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공기를 배출할 수가 있어, 로스타에서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수직 상하를 따른 단면도, 도면 3a는 도면 2의 A - A 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 3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몸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몸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몸체에 록크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면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식당 등의 식탁에 설치된 로스타와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된 배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로스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배기관으로 전파되지 않게 하기 위해 차단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내부에 공기가 소통하는 공기 통로(1)를 갖춘 파이어 댐퍼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내부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시에 공기 통로(1)를 차단하는 차단판(3) 및, 상기 차단판(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제어기구(4)로 이루어진다.
상기 댐퍼 몸체(2)는 도면 1내지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상태로 보아 정사각형 단면을 이루어 정사각형 케이스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댐퍼 몸체(2)는 좌우 폭(W)에 비해 상하 높이(H)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댐퍼 몸체(2)의 내부 좌우측면에 댐퍼 몸체(2)의 상하 높이(H)와 동일한 치수로 좌우 폭을 좁혀 주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해 주는 공기 유도판(5,6)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댐퍼 몸체(2)의 상단과 하단에 원형의 공기 유입구(7)와 공기 배출구(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 공기 유도판(5,6)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벽(5a,5b;6a,6b)을 이루게 되어 있고, 상기 경사벽(5a,5b;6a,6b)의 중간 부분이 돌출벽(5c,6c)을 이루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 공기 유도판(5,6)의 돌출벽(5c,6c)과 댐퍼 몸체(2)의 전후 측벽(9,10) 사이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공간이 상기의 공기통로(1)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 통로(1)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공기 통로(1)의 길이(W)가 공기 유입구(7)의 직경(D) 보다 더 길기 때문에, 비록 공기 유입구(7)의 폭(W)이 공기통로(1) 보다 좁다 하여도, 공기 통로(1)의 전체적인 넓이가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직경이 큰 공기 유입구(7)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가 저항을 받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그 몸체(2)의 높이(H)가 비록 낮지만 폭(W)과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통로(1)의 면적이 좁아지지 않고 충분하게 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공기 유입구(7)의 직경을 크게 하여 공기의 흡입량을 늘려도 충분하게 공기가 통과하여 유통할 수 있게 되어, 로스타에 서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많이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댐퍼 몸체(2)의 좌우 공기 유도판(5,6) 사이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차단판(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각 차단판(3)의 회전축(11)에 고온의 온도를 감지하여 차단판(3)을 개폐작동시키는 작동제어기구(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제어기구(4)는 몸체(2)의 상단 쪽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12)와, 상기 차단판(3)의 회전축(11)에 고정설치된 캠플레이트(13), 상기 캠플레이트(13)를 탄력 지지하는 비틀림 스프링(14) 및, 상기 캠플레이트(13)를 걸어 록크시키는 록크핀(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2)는 센서 설치구(16)를 통하여 설치되고, 회전축(11)은 회전축 설치구(17)를 통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작동제어기구(4)는 본 고안의 기본적인 특징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파이어 댐퍼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특징과 작동 설명은 생략하고 단지 본 고안에 따른 작동 설명에 필요한 정도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2)는 통상적인 전자적 센서가 아니고 내부에 설정된 온도에 의해 녹는 납과 같은 필라멘트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고, 이 필라멘트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온의 온도가 가해지면 필라멘트가 녹으면서 내장된 상기 록크핀(15)을 당겨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크핀(15)에 걸려 있던 캠플레이트(13)가 회전축(11)에 설치된 비틀림 스프링(14)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차단판(3)을 개폐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차단판(3)이 도면 2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공기통로(1) 속에 수직으로 세워져 공기의 소통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어 댐퍼 위에 설치된 로스타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로스타에 내장된 숯불이 로스타의 배기구 쪽으로 떨어져 배기덕트 쪽으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어 댐퍼의 입구에 설치된 작동개폐기구(4)의 온도감지센서(12)가 고온의 온도를 감지하여 캠 플레이트(13)와 회전축(11)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축(11)은 일체로 연결된 차단판(3)을 도면 2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의 상태로 회전시켜 공기 통로(1)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로스타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다른 문제가 발생하여 배기 덕트가 설치된 건물에 화재가 전파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본래의 목적인 로스타에 의해 건물에 화재가 전파되는 것을 차단해 줌과 더불어, 로스타에서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는 본체를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시킴으로써 높이를 낮게 하면서도 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어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의 직경을 크게 하여도 공기의 소통에 아무런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으므로, 로스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 연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수직 상하를 따른 단면도,
도 3a는 도면 2의 A - 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몸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몸체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몸체에 록크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어 댐퍼의 평면도,
도 7은 일반적으로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가 식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통로 2 - 댐퍼 몸체
3 - 차단판 4 - 작동제어기구
5, 6 - 공기 유도판 7 - 공기 유입구
8 - 공기 배출구 9, 10 - 측벽
11 - 회전축 12 - 온도감지센서
13 - 캠플레이트 14 - 비틀림 스프링
15 - 록크핀 16 - 센서 설치구
17 - 회전축 설치구

Claims (1)

  1. 식탁에 설치된 로스타와 건물의 바닥면에 매설되어 로스타에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고기연기를 배출하는 배기관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에 있어서,
    상기 파이어 댐퍼를 구성하는 파이어 댐퍼 몸체가 정사각단면을 이루면서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상기 댐퍼 몸체의 내부 좌우측면에 댐퍼 몸체의 상하 높이와 동일한 치수로 좌우 폭을 좁혀 주면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해 주는 공기 유도판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댐퍼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몸체의 공기 유도판 내부에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각형 차단판의 회전축에 고온의 온도를 감지하여 작동하면서 차단판을 개폐작동시키는 차단판 작동제어기구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타용 파이어 댐퍼
KR2020080000050U 2008-01-02 2008-01-02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KR200441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050U KR200441062Y1 (ko) 2008-01-02 2008-01-02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050U KR200441062Y1 (ko) 2008-01-02 2008-01-02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062Y1 true KR200441062Y1 (ko) 2008-07-18

Family

ID=4164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050U KR200441062Y1 (ko) 2008-01-02 2008-01-02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0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15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US20120204855A1 (en) Cooking Device with Ventilation and Filtration System
US10480798B2 (en) Recirculating downdraft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CN207501202U (zh) 风幕式燃气灶
KR20110087019A (ko) 제연 및 제향 업소용 구이기
JP2003207184A (ja) 給排型厨房換気装置の給気吹出し構造
KR200441062Y1 (ko) 고기구이용 로스타의 파이어 댐퍼
JP2003144250A (ja) レンジフード捕集補助装置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ES2388222A1 (es) Aparato doméstico con una carcasa exterior, la cual presenta una pared lateral y comprende un canal de conducción de aire.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JP2002228222A (ja) レンジフード
JP200434904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076954A (ja) クッキング装置
JP4692241B2 (ja) 調理器具カウンタ
JP2009198082A (ja) 排気装置
JP3718861B2 (ja) 組込型ガス調理機器
EP2519776B1 (en) Oven with a ventilating duct
JP5211998B2 (ja) 電磁加熱調理器
KR101645038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JP2017044033A (ja) 便器装置
JPH0530666Y2 (ko)
KR20000060555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CN217274273U (zh) 一种集成灶
JP7131802B2 (ja) 調理器具用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