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84Y1 - 포장용 스틸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스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84Y1
KR200440984Y1 KR2020080001726U KR20080001726U KR200440984Y1 KR 200440984 Y1 KR200440984 Y1 KR 200440984Y1 KR 2020080001726 U KR2020080001726 U KR 2020080001726U KR 20080001726 U KR20080001726 U KR 20080001726U KR 200440984 Y1 KR200440984 Y1 KR 200440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inforcement
vertical bar
vertical
stee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환
Original Assignee
(주) 다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다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80001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보강재의 초기위치결정과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스틸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하부부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단지지구와, 상기 하부부재의 모서리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에 연결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중앙에 세워지는 수직바와 수직바 양측에 세워지는 경사바와 수직바와 경사바의 하측을 연결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측면보강재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스틸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강재의 보강판이 안정되게 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단지지구에 연결베이스를 더 고정하고, 상기 연결베이스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바디와, 상기 베이스바디의 중앙위치에 보강판과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시키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는 보강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하여 단속볼트로 단속할 수 있도록 너트를 고정하여 형성하는 볼트공과, 상기 연결베이스의 양측단부는 보강판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시킨 진입가이드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하는 것이 목적이다.
Figure R2020080001726
포장, 스틸, 박스

Description

포장용 스틸박스{A STEEL BOX}
본 고안의 포장용 스틸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포장하는 스틸박스의 사방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보강재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스틸박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 스틸박스는 산업현장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채널 또는 바 타입의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육면체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틸박스(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 측면에는 측면을 보강할 수 있도록 측면보강재(1)가 고정되는 데, 상기 측면보강재(1)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바(2)와 상기 수직바(2)의 양측에 경사지게(45도 정도의 기울기)세워지는 경사바(3)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측면보강재(1)의 상측은 스틸박스(10)의 상부부재와 연결하고 측면보강재(1)의 하측은 보강판(5)에 고정하고, 상기 보강판(5)은 하단지지구(6)의 상면과 연결한다.
상기 하단지지구(6)의 상면에는 보강판(5)을 연결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 루어진 연결베이스(7)를 구비하여 보강판(5)을 밀착시킨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하단지지구에 고정되는 연결베이스에 측면보강재의 하측을 고정한 보강판을 안치시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위치에 일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보강판을 연결베이스에 안착되도록 할 때 보강판이 연결베이스의 좌,우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연결베이스에 보강판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측면보강재의 상측을 고정한 후 보강판을 고정하려고 할 때 정상위치를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한 측면보강재를 다시 분리한 후 연결작업을 새롭게 하여야 하므로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스틸박스 전체 구성품의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결국에는 미완성된 스틸박스를 폐기처분 하여야 하므로 작업로스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하부부재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단지지구와, 상기 하부부재의 모서리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면에 연결하는 상부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중앙에 세워지는 수직바와 수직바 양측에 세워지는 경사바와 수직바와 경사바의 하측을 연결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측면보강재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스틸박스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강재의 보강판이 안정되게 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단지지구에 연결베이스를 더 고정하고, 상기 연결베이스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바디와, 상기 베이스바디의 중앙위치에 보강판과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시키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는 보강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하여 단속볼트로 단속할 수 있도록 너트를 고정하여 형성하는 볼트공과, 상기 연결베이스의 양측단부는 보강판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시킨 진입가이드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측면보강재의 초기위치결정과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하단연결구에 고정되어 측면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베이스를 개선하여 측면보강재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측면보강재의 상측과 하측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량발생 없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포장용 스틸박스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 스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와 보강판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스틸박스(100)는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하부부재(101)의 저면에 지게차의 포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단지지구(102)를 고정하고, 상기 하부부재(101)의 상면에는 화물 적재가 가능하도록 조밀한 간격을 유지시켜 횡부재(103)를 고정한다.
상기 하부부재(101)의 모서리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부재(104)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104)의 상면에는 상부부재(105)를 연결하고, 상부부재(105) 사이에는 상부부재(105)의 간격유지를 위한 횡부재(106)를 고정한다.
상기 수직부재(104)가 구성하는 사방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바(107)와 상기 수직바(107)의 양측에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사바(108)를 연결하고, 수직바(107)와 경사바(108)의 하측은 보강판(109)으로 연결한 측면보강재(110)를 고정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측면보강재(110)를 구성하는 보강판(109)이 안정되게 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면서 고정과정에서 유동하는 현상이 없도록 하단지지구(102)에 고정되는 연결베이스(111)를 개선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연결베이스(111)는 하단지지구(102)의 상면에 용접고정되게 판상의 베이스바디(11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중앙위치에는 측면보강재(110) 의 하측에 구비되는 보강판(109)과 밀착고정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는 연결판(113)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판(113)에는 너트(114)를 고정한 볼트공(115)을 형성하여 측면보강재(110)의 보강판(109)에 형성되는 체결공(116)을 통하여 단속볼트(117)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체결공(116)은 치수 오차 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결베이스(111)의 양측단부는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시킨 진입가이드(118)를 일체로 형성하여 하강하는 보강판(109)이 용이하게 진입하여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입가이드(118)의 상부폭(B)은 보강판(109)의 전체폭(B1)보다 넓게하여 진입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진입가이드(118)의 하부폭(B2)는 보강판(109)의 전체폭(B1)과 동일하게 하여 안치된 보강판(109)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연결판(113)은 측면보강재(110)의 위치에 따라 연결베이스(111)의 전방에서 이격되는 거리를 달리하여 고정완료된 측면보강재(110)가 스틸박스(100) 전체폭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됨이 없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포장용 스틸박스(100)은,
하단지지구(102)를 저면에 가지고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하부부재(101)와, 상기 하부부재(101)의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수직부재(104)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부재(104)의 상면에 상부부재(105)를 연결한 상태에서 하부부재(101)ㅇ하 와 상부부재(105) 사이에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측면보강재(11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측면보강재(110)를 고정할 때에는 보강판(109)를 하단지지구(102)의 상면에 고정된 연결베이스(111)에 안치시켜 정상적인 위치를 잡은 후 보강판(109)에 형성되는 체결공(116)과 연결베이스(111)에 형성되는 연결판(113)에 형성되는 볼트공(115)을 단속볼트(117)를 이용하여 가 체결 상태에 둔다.
이와 같이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단속볼트(117)로 고정한 후 측면보강재(110)의 상측의 고정을 끝내고 다시 단속볼트(117)를 견고한 상태로 체결한 후 보강판(109)과 연결판(113)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강판(109)이 연결베이스(111)로 진입할 때 연결베이스(111)의 양측에 상부폭이 넓게 형성한 진입가이드(118)에 의하여 초기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되고, 진입후에는 연결베이스(111)에 안착된 보강판(109)의 움직임이 방지되므로 측면보강재(110)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포장용 스틸박스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와 보강판을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스틸박스의 연결베이스와 보강판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스틸박스
109; 보강판
110; 측면보강재
111; 연결베이스
113; 연결판
118; 진입가이드

Claims (2)

  1. 사각형상으로 연결되는 하부부재(101)의 저면에 고정되는 하단지지구(102)와;
    상기 하부부재(101)의 모서리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수직부재(104)와;
    상기 수직부재(104)의 상면에 연결하는 상부부재(105)와;
    상기 수직부재(104)와 하부부재(101) 사이에 중앙에 세워지는 수직바(107)와 수직바(107) 양측에 세워지는 경사바(108)와 수직바(107)와 경사바(108)의 하측을 연결하는 보강판(109)을 포함하는 측면보강재(110)를 연결하고;
    상기 측면보강재(110)의 보강판(109)이 안정되게 제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단지지구(102)에 연결베이스(111)를 더 고정하고;
    상기 연결베이스(111)는 판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바디(112)와;
    상기 베이스바디(112)의 중앙위치에 보강판(109)과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시키는 연결판(113)과;
    상기 연결판(113)에는 보강판(109)에 형성되는 체결공(116)을 통하여 단속볼트(117)로 단속할 수 있도록 너트(114)를 고정하여 형성하는 볼트공(115)과;
    상기 연결베이스(111)의 양측단부는 보강판(109)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시킨 진입가이드(118)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하는 스틸박스(100)에 있어서;
    상기 진입가이드(118)의 상부폭(B)은 보강판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보강판(109)의 전체폭(B1)보다 넓게 하고;
    상기 진입가이드(118)의 하부폭(B2)는 안치된 보강판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보강판(109)의 전체폭(B1)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스틸박스.
  2. 삭제
KR2020080001726U 2008-02-05 2008-02-05 포장용 스틸박스 KR200440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726U KR200440984Y1 (ko) 2008-02-05 2008-02-05 포장용 스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726U KR200440984Y1 (ko) 2008-02-05 2008-02-05 포장용 스틸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84Y1 true KR200440984Y1 (ko) 2008-07-11

Family

ID=4164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726U KR200440984Y1 (ko) 2008-02-05 2008-02-05 포장용 스틸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924B1 (ko) * 2021-07-15 2021-11-03 최소영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설치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924B1 (ko) * 2021-07-15 2021-11-03 최소영 자동차 부품용 파레트의 측벽 설치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7775A1 (en) Plastic pallet
KR101464404B1 (ko) 액체 운반 및 보관 용기용 파렛트형 베이스 프레임
JP7324053B2 (ja) 接合金具
KR200440984Y1 (ko) 포장용 스틸박스
US20160376059A1 (en) Stackable pallet container fitted with a top reinforcement frame
KR200441137Y1 (ko) 포장용 스틸박스
JP2005035650A (ja) 輸送用パレット
JP5060379B2 (ja) パレット用支持棚
KR101031646B1 (ko) 조립식 스틸박스
JP2007308169A (ja) 板運搬用パレット
JP2007161438A (ja) ラック
KR20130006528U (ko) 우든 박스 측판 제작용 지그
KR102086964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1350940B1 (ko) 팔레트 지지 로드빔 고정용 타이빔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20120006530U (ko) 무꺽쇠 박스
KR200255304Y1 (ko) 파레트 랙의 빔 결합구조
JP5210644B2 (ja) 保管パレット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棒
JP5218237B2 (ja) 棚の連結部構造
KR101786030B1 (ko) 컨테이너선의 가이드 구조
KR20140050492A (ko) 조립식 포장박스 구비 팔레트
US2829792A (en) Box construction
JP6732376B2 (ja) 基台構造
KR20120007682U (ko)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KR101285735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