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420Y1 -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 Google Patents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420Y1
KR200440420Y1 KR2020060029428U KR20060029428U KR200440420Y1 KR 200440420 Y1 KR200440420 Y1 KR 200440420Y1 KR 2020060029428 U KR2020060029428 U KR 2020060029428U KR 20060029428 U KR20060029428 U KR 20060029428U KR 200440420 Y1 KR200440420 Y1 KR 200440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eparate
cover
coupling portion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071U (ko
Inventor
이경원
Original Assignee
권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준성 filed Critical 권준성
Priority to KR2020060029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42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1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with at least two separate sets of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2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boo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본책내지가 본책표지에 제본된 본책과, 상기 본책에 결합되는 별책을 포함하되, 상기 별책은, 다수의 별책내지와; 4단으로 접지되되 제1면과 제2면의 사이에는 상기 별책내지가 제본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제3면과 제4면의 사이에는 상기 별책내지가 책등방향으로 상기 본책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책내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별책표지;를 포함하여 상기 별책이 상기 본책에 일체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책과 별책이 별책표지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책의 유통과정 및 사용시 관리가 용이하고, 별책의 분실 염려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별책을 본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입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BOOK WHICH IS A COMBINATION OF MAIN VOLUME AND SEPERATE VOLUME IN ONE}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별책표지와 책갈피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별책표지와 책갈피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별책이 본책으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책갈피부재가 본책 및 별책의 책갈피로 사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10 : 본책 11 : 본책내지
15 : 본책표지 16 : 중앙부
17 : 수납부 30 : 별책
31 : 별책내지 35 : 별책표지
35a : 제1면 35b : 제2면
35c : 제3면 35d : 제4면
36 : 제1결합부 37 : 제2결합부
38 : 절취선 50 : 책갈피부재
51 : 접지부
본 고안은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책이 별책표지에 의해 본책에 일체로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인출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잡지, 학습물 또는 동화책의 경우에는 각 분야별로 내용을 섹션화하여 편집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학습용 참고서나 문제집의 경우, 책의 앞쪽에 해당 교과목의 내용설명 및 그에 따른 다양한 예상문제를 제시하여 본책을 형성하고, 뒷쪽에는 전술한 본문 내용에 대한 정답과 해설을 모아서 별책을 형성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책과 별책을 한권으로 제본하는 경우에는, 학 습자가 별책 사용시 본책에 제시된 문제와 별책에 제시된 정답 및 해설을 대조하여 확인해야 하므로, 본책과 별책을 번갈아가며 펼쳐봐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별책만을 잘라내어 분책을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분책작업은 그 자체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분책 후에는 책의 외관이 현저히 저하되며,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9950호에는, 본책내지가 제본될 본책표지에 별책이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여 별책을 본책에 삽탈 가능하게 한 책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분책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별책이 본책에서 분리가 가능하므로 판매 및 유통과정은 물론 사용시에도 별책이 분실될 우려가 있으며, 분실시 별책을 별도로 재구매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책과 별책이 별책표지에 의해 본책에 일체로 구성되어 책의 유통과정 및 사용시 관리가 용이하고, 별책의 분실 염려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별책을 본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입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다수의 본책내지가 본책표지에 제본된 본책과, 상기 본책에 결합되는 별책을 포함하되, 상기 별책은, 다수의 별책내지와; 4단 으로 접지되되 제1면과 제2면의 사이에는 상기 별책내지가 제본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제3면과 제4면의 사이에는 상기 별책내지가 책등방향으로 상기 본책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책내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별책표지;를 포함하여 상기 별책이 상기 본책에 일체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책내지가 제본되는 상기 본책표지의 중앙부에는 상기 별책의 책등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별책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책내지, 별책내지 및 상기 별책표지의 각 면은 상호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측은 상기 별책내지와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별책표지의 외부를 향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별책이 상기 본책에 수납된 상태에서 잡아당겨 상기 별책이 본책으로부터 인출되게 하는 책갈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책갈피부재의 타측에는 제1접지부가 마련되어 제본시 타측 단부가 상기 별책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제본형태는 무선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 사이에는 상기 별책을 상기 본책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1)은, 다수의 본책내지(11)가 본책표지(15)에 제본된 본책(10)과; 본책(10)에 결합되며, 다수의 별책내지(31)와, 4단으로 접지되되 제1면(35a)과 제2면(35b)의 사이에는 별책내지(31)가 제본되는 제1결합부(36)를 가지며, 제3면(35c)과 제4면(35d)의 사이에는 별책내지(31)가 책등 방향으로 본책(10)에 삽입되도록 본책내지(1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37)를 갖는 별책표지(35)를 포함하여 별책(30)이 본책(10)에 일체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본책내지(11)가 제본되는 본책표지(15)의 중앙부(16)에 별책(30)의 책등 두께에 대응하여 별책(30)이 수납되는 수납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별책(30)이 본책(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잡아당겨 별책(30)이 본책(10)으로부터 인출되게 하는 책갈피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책(10)은 다수의 본책내지(11)가 본책표지(15)에 제본되어 마련된다.
본책표지(15)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표지(15a, 15b)의 사이에 본책내지(11)가 제본되어 책등을 형성하는 중앙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본책내지(1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철(左綴)로 제본될 수도 있고, 우철(右綴)로 제본될 수도 있다.
또한, 본책내지(11)와 본책표지(15)의 제본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풀매기방법)이나 중철(철심매기)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수납부(17)는 본책표지(15)의 중앙부(16)에 마련되며, 별책(30)을 책등방향으로 수용한다.
수납부(17)는 다양한 폭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별책(30)이 본책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본책(10)과 함께 하나의 책을 이룰 수 있도록 별책(30)의 책등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7)에는 별책표지(35)의 제2결합부(37)가 결합된다.
수납부(17)는 중앙부(16)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책(10)이 문제집과 같은 학습용 교재일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책(30)을 정답과 해설지로 마련하여 본책내지(11)와 우측 본책표지(15b)사이에 마련할 수도 있고, 본책(10)이 여성잡지 등 다른 용도의 책일 경우에는 별책(30)이 본책내지(11)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중앙부(16)의 중심부에 마련할 수도 있다.
별책(30)은 다수의 별책내지(31)와 별책표지(35)를 포함하여, 본책(10)에 일체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별책표지(35)는 4단으로 접지되되 제1면(35a)과 제2면(35b)의 사이에는 제1결합부(36)가 마련되고, 제3면(35c)과 제4면(35d)의 사이에는 제2결합부(37)가 마련된다.
제1결합부(36)에는 별책내지(31)가 제본되며, 제2결합부(37)는 본책표지(15)의 수납부(17)에 결합된다.
별책표지(35)의 제1면(35a)과 제2면(35b)은 별책(30)의 좌우표지로 마련되며, 제3면(35c)과 제4면(35d)은 별책(30)이 본책(10)과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구성되도록 상호 연결한다.
별책표지(35)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지될 수 있으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책(30)이 본책(10)에 인출입될 때 별책(30)의 책등이 수납부(17)를 향하도록 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별책(30)을 본책(10)으로부터 인출하지 않고도 별책(30)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황(예를 들어, 학습공간의 넓이 또는 사용상태)에 따라 별책의 인출입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별책(30)이 책등방향으로 본책(10)에 수납되면 후술할 책갈피부재(50)에 의해 별책(30)의 인출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별책(30)의 책등 두께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도 두께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본책(10)과 별책(30)의 결합시 책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별책표지(35)의 제1면(35a)과 제2면(35b)의 사이에 마련된 제1결합부(36)에 별책내지(31)가 우철(右綴)로 제본되며, 제3면(35c)과 제4면(35d)은 제3면(35c)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포개져 제2결합부(37)가 수납부(17)에 결합된다.
제1면(35a)과 제2면(35b)은 윗쪽 방향으로 접혀지고(화살표 ① 참조), 제3면(35c)과 제4면(35d)은 아랫쪽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화살표 ②참조).
그리고, 별책(30)을 본책(10)에 인출할 때에는 전술한 접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본책(10)과 별책(30)이 자연스럽게 4단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때, 별책(30)은 본책(10)과 별책표지(35)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별책(30)이 본책(10)에서 분리되어 분실되거나 할 염려가 없다.
한편, 제2면(35b)과 제3면(35c) 사이에 별책(30)을 본책(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38, 도 2b 참조)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별책(30)을 본책(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결합부(36) 및 제2결합부(37)는 다양한 제본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풀매기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중철(철심매기)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책내지(11), 별책내지(31) 및 별책표지(35)의 각 면은 상호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따르면, 본책(10)과 별책(30)이 별책표지(35)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책의 유통과정 및 사용시 관리가 용이하고 별책(30)의 분실 염려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별책(30)을 본책(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입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여 학습용 교재로 사용될 경우에는 학습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별책표지(35)의 제1면(35a)과 제2면(35b) 사이의 제1결합부(36)에는 별책내지(31)가 좌철(左綴) 제본되며, 제3면(35c)과 제4면(35d) 사이의 제2결합부(37)는 본책표지(15)의 수납부(17)에 결합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면(35a)과 제2면(35b)은 아랫쪽 방향으로 접혀지고(화살표 ①참조), 제3면(35c)과 제4면(35d)은 윗쪽 방향으로 접혀진다(화살표 ② 참조).
이에, 별책(30)을 본책(10)에서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 접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며, 별책(30)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별책내지(31)는 별책표지(35)의 제1면(35a)에 의해 덮혀진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은, 별책내지(31)의 내용인 정답 및 해설이 바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학습자가 쉽게 정답 및 해설을 사용함으로써 학습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책갈피부재(50)는 별책(30)에 마련되어, 별책(30)이 본책(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잡아당겨 별책(30)이 본책(1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책갈피부재(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a)은 별책내지(31)와 동시에 제1결합부(36)에 결합되고, 타측(b)은 별책표지(35)의 외부를 향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접지부(51)는 책갈피부재(50)의 타측에 마련되어 제본시 책갈피부재(50)의 타측 단부가 별책(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에, 책의 제본시, 유통과정 또는 책의 미사용시에는 책갈피부재(50)는 별책(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사용시 접지부(51)를 밖으로 펼쳐 책갈피부재(50)의 타측 단부(b)가 별책(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타측 단부(b)의 연장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책갈피부재(50)를 별책(30)의 인출을 위해 사용할 때에는 파지하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 이상으로 마련되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갈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좀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책갈피부재(50)를 이용한 별책(30)의 인출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별책(30)이 본책(10)에 인입된 상태에서 책갈피부재(50)의 접지부(51)를 펼쳐 타측 단부(b)가 별책(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별책(30)을 본책(10)으로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책갈피부재(50)의 타측 단부(b)를 화살표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3의 (b)에서와 같이 별책(30)이 일체로 본책(10)으로부터 인출되게 되며, 자연스럽게 별책(30)과 본책(10)이 4단으로 펼쳐져 본책(10)과 함께 별책(30)을 동시에 보면서 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책(30)을 사용하기 위하여 별책표지(35)를 찾아서 인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책(30)의 인출이 훨씬 용이하다.
또한, 책갈피부재(5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책(30)이 본책(10)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별책(30)은 물론 본책(10)의 책갈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 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책(30)이 본책(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별책(30)의 책갈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따르면, 본책과 별책이 별책표지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책의 유통과정 및 사용시 관리가 용이하고 별책의 분실 염려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별책을 본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입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므로, 학습용 교재로 사용될 경우에는 학습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실시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에 따르면, 별책내지의 내용인 정답 및 해설이 바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학습자가 쉽게 정답 및 해설을 사용함으로써 학습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은, 별책내지와 별책표지의 사이에 책갈피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별책을 본책으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본책은 물론 별책의 책갈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7)

  1. 다수의 본책내지가 본책표지에 제본된 본책과, 상기 본책에 결합되는 별책을 포함하되,
    상기 별책은,
    다수의 별책내지와;
    4단으로 접지되되 제1면과 제2면의 사이에는 상기 별책내지가 제본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며, 제3면과 제4면의 사이에는 상기 별책내지가 책등방향으로 상기 본책에 삽입되도록 상기 본책내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갖는 별책표지;를 포함하여 상기 별책이 삽입된 본책부분을 펼치지 않고 상기 별책을 상기 본책으로부터 그대로 잡아당겨 슬라이딩되면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책내지가 제본되는 상기 본책표지의 중앙부에는 상기 별책의 책등 두께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별책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책내지, 별책내지 및 상기 별책표지의 각 면은 상호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별책내지와 동시에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별책표지의 외부를 향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별책이 상기 본책에 수납된 상태에서 잡아당겨 상기 별책이 본책으로부터 인출되게 하는 책갈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책갈피부재의 타측에는 제1접지부가 마련되어 제본시 타측 단부가 상기 별책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제본형태는 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과 상기 제3면 사이에는 상기 별책을 상기 본책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KR2020060029428U 2006-11-10 2006-11-10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KR200440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428U KR200440420Y1 (ko) 2006-11-10 2006-11-10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428U KR200440420Y1 (ko) 2006-11-10 2006-11-10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071U KR20080001071U (ko) 2008-05-15
KR200440420Y1 true KR200440420Y1 (ko) 2008-06-12

Family

ID=4132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428U KR200440420Y1 (ko) 2006-11-10 2006-11-10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121B1 (ko) 2010-04-06 2012-09-27 지영진 접이식 날개면이 구비된 일체형 북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23B1 (ko) * 2009-08-11 2010-04-16 지영진 일체형 북커버
KR200476994Y1 (ko) * 2013-04-15 2015-04-23 박경숙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121B1 (ko) 2010-04-06 2012-09-27 지영진 접이식 날개면이 구비된 일체형 북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071U (ko)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9212A2 (en) Book binding kit
JPH03142290A (ja) カールした指状リング型バインダーで素材をバイン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606810B1 (en) Unique display kit and method for creating unique displays
KR200440420Y1 (ko) 본책과 별책이 일체로 구성된 책
US5941569A (en) Album binding system
US8845336B2 (en) Learning concept organizer
KR200484307Y1 (ko) 노트 및 노트의 연결끈 결속방법
JP3740148B2 (ja) 新聞用バインダ
KR200234028Y1 (ko) 별책의 제본 구조
EP1622157A2 (en) Disk storage unit
KR102022335B1 (ko) 책등인식수단이 구비된 링제본 방식 책자
JP5600198B1 (ja) 連結構造を有する冊子類
JP2018187911A (ja) ファイルホルダー、綴じホルダーおよびホルダーキット
KR102410740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책
KR200328208Y1 (ko) 해설집의 분리가 용이한 문제집
JP2004230664A (ja) リング綴じ冊子
JP3122576U (ja) 収納部付き本
KR200260071Y1 (ko) 디스크 수납공간을 갖는 서류철
KR100582182B1 (ko) 문제집의 제본방법 및 그에 의해 제본된 문제집
KR200479626Y1 (ko) 범용 바인더 속지
JP3122577U (ja) 収納部付き本
JP3048288U (ja) 見出し付きファイル
JP4346454B2 (ja) メニューブック
JP3071483U (ja) パンフレット類収納ケース及び当該収納ケースの展開体
JP4614587B2 (ja) ファイ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