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96Y1 -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96Y1
KR200440396Y1 KR2020070011512U KR20070011512U KR200440396Y1 KR 200440396 Y1 KR200440396 Y1 KR 200440396Y1 KR 2020070011512 U KR2020070011512 U KR 2020070011512U KR 20070011512 U KR20070011512 U KR 20070011512U KR 200440396 Y1 KR200440396 Y1 KR 200440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owing
front wheel
fastener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덕
Original Assignee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성특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1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7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to the towing vehicle or to the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60D1/46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comprising a lifting mechanism, e.g. for coupling while li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장 난 피견인차량의 앞바퀴를 지지하여 견인을 이루게 하고, 견인하지 않을 때에는 언더리프터장치의 차량고정구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견인차량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면서 후진시에 후방진입 영역에 대한 장애요소나 위험요소를 배제하면서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다른 견인기구의 이탈시에는 안전한 지지역할을 이루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회전장치는 차량고정구(50a)(50b)와 직각상태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십자 안내공(62)이 형성된 회전봉(60a)(60b)과, 상기 십자안내공(62)가 형성된 회전봉(60a)(60b)이 삽입내장되며 실린더연결부재(48a)(48b)와 결합되고 핀결합공(72)이 노출되는 안내봉(70a)(7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비 견인시에는 언더리프터장치의 차량고정구를 수직상태로 세워줌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장길이를 줄일 수 있어 법규 규정에 위배 없는 차량의 전장길이를 제공하여 안전한 도로주행 조건을 이루게 하고, 또한 수직상태로 세워진 차량고정구에 의해 데크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견인장비가 제 고정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데크 후방으로 이탈되더라도 이를 차량고정구가 양호하게 지지상태를 이루게 하고 견인차량의 후방시 차량고정구에 의해 위험적이거나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여 안전한 상태로 견인 및 후진을 이룰 수 있게 한다.
회전봉, 안내봉, 핀결합공, 십자안내공, 차량고정구, 언더리프터, 견인

Description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Holder Rolling System of Lifting apparatus for wrecker truck}
본 고안은 견인차량의 전륜 리프팅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 난 피견인차량의 앞바퀴를 지지하여 견인을 이루게 하고 견인하지 않을 때에는 언더리프터장치의 차량고정구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견인차량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면서 후진시에 후방진입 영역에 대한 장애요소나 위험요소를 배제하면서 견인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다른 견인기구의 이탈시에는 안전한 지지역할을 이루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는 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차량은 사고차량과 같이 자체주행이 어려운 피 견인차량을 견인하거나, 주차위반 차량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는 특수차량으로, 피 견인차량의 바닥면을 들어올려 견인하는 장치나 피 견인차량의 전방부를 들어올려 견인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피 견인차량을 견인하는 방식으로는 토우바방식과 언더리프팅 방식이 있는데, 토우바 방식은 일명 삼각대 방식이라고도 불리 우며, 견인보조물인 토우바 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방식이며, 피 견인차량의 차륜이 펑크가 난 경우나, 피견인차량의 전방부가 크게 파손된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이고, 언더리프팅 방식은 차량의 차륜, 특히 전륜을 들어올려서 견인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차종의 다양화와 견인작업을 편리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언더리프팅 방식에 의한 견인작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언더리프팅장치는 다양한 기술들이 잘 알려져 있으며,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인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20-0284543호 견인차량의 전륜리프팅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차체프레임의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브라켓으로 링크결합되는 언더리프터와 이 언더리프터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피 견인차량의 앞바퀴를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포함하여, 피 견인차량의 앞바퀴를 간편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견인차량의 앞바퀴를 지지하여 견인함으로써 견인시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종래기술은 홀더 몸체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는 복수개의 차량고정구는 기역자 상으로 일체성 있게 형성되어 절첩은 가능하나 끝 부분의 홀더가 눕혀진 상태로 관리되면 견인차량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견인차량의 전재함에 올려져 보관되어 있는 다른 견인도구가 안전한 지지나 고정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차량주행중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이탈되어 하강하게 되어도 이를 지지하거나 막지 못하여 또 다른 안전사고가 일어날 염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견인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고정구가 뉘어진 상태에서 후진을 할 경우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후방장애물과의 접촉으로 후진 장애 원인이 되고, 특히 차량고정구를 수직으로 세우지 않고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에서 후진을 이루면 위협요소가 되므로 안전사고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견인시에는 차량고정구를 수직상태로 관리하여 견인차량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여 줌으로써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고, 적재함에 수용되어 있는 다른 견인도구가 부주의나 충격에 의한 이탈이 되어도 이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여 비 견인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량고정구를 세운 상태로 후진을 하게 되므로 장애와 관계없이 안정된 후진 운행을 이루게 하고 위협적인 형태를 가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홀더부재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홀더부재 회전장치는, 견인차량의 데크 후단부에 전후로 절첩이 가능하게 결합 되는 외측붐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내측붐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측붐을 수평방향 신축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붐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언더리프터와, 상기 언더리프터의 전방 내측붐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래킷에 연결되는 리프트바와, 상기 리프트바의 양단에 배치되는 록킹실린더에 의해 힌지로 결합된 한 쌍의 실린더 연결부재와 일체로 회동하는 차량고정구로 이루어진 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고정구와 직각상태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십자안내공이 형성된 회전봉과, 상기 십자안내공이 형성된 회전봉이 삽입내장되고 상기 실린더연결부재와 결합되며 핀결합공이 노출되는 안내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견인차량의 전륜 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 안내봉에 내장되어 회전하는 회전봉은 십자 안내공의 위치에 따라 안내봉의 핀결합공과 대응하여 체결핀에 의해 고정지지 되어 상기 차량고정구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 차량고정구는 회전봉의 운동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90°운동을 이루는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는 비 견인시에는 언더리프터장치의 차량고정구를 수직상태로 세워줌으로써 견인차량의 전장길이를 줄일 수 있어 법규 규정에 위배 없는 차량의 전장길이를 제공하여 안전한 도로주행 조건을 이루게 하고, 또한 수직상태로 세워진 차량고정구에 의해 데크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견인장비가 제 고정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이탈 되어 데크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차량고정구가 지지 또는 방해를 이루어 안전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후진시에 후방진입 영역에 대한 장애요소나 위험요소를 배제하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는 견인차량(100)의 데크(10) 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하게 외측붐(20)을 결합하고, 이 외측붐(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내측붐(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붐(22)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측붐(22)을 수평방향 신축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붐 실리더(24)에 의해 언더리프터(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언더리프터(30)의 전방 내측붐(2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래킷(40)에 연결되는 리프트바(42)와, 상기 리프트바(42)의 양단에 배치되는 록킹실린더(44a)(44b)에 의해 힌지(46a)(46b)로 결합된 한 쌍의 실린더 연결부재(48a)(48b)과 일체로 회동하는 차량고정구(50a)(50b)로 이루어지고, 차량고정구(50a)(50b)에는 회전봉(60a)(60b)이 연결되고 회전봉(60a))(60b)이 수용하는 안내봉(70a)(70b)은 실린더연결부재(48a)(48b)와 결합되어 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110)가 구성된다.
회전봉(60a)(60b)은 상기 차량고정구(50a)(50b)와 직각상태로 연결되고 일측 에는 십자 안내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봉(70a)(70b)은 상기 십자안내공(62)이 형성된 회전봉(60a)(60b)을 삽입내장하고 상기 실린더연결부재(48a)(48b)와 결합되되며 핀결합공(72)이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봉(70a)(70b)에 내장되어 회전하는 회전봉(60a)(60b)은 십자 안내공(62)의 위치에 따라 안내봉(70a)(70b)의 핀결합공(72)과 대응하여 체결핀(80)에 의해 고정지지 되어 상기 차량고정구(50a)(50a)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고정구(50a)(50b)는 회전봉(60a)(60b)의 운동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90°범위로 운동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견인차량의 언더리프트장치(11)의 붐실린더(24)의 동작으로 외축붐(20)과 내측붐(22)을 외부로 인출하여 견인차량과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피견인차량에 대응하는 위치에 리프트바(42)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외축붐(20)과 내측붐(22) 및 리프트바(42)는 도로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한다.
이어서, 도 1에서와 같이 차량고정구(50a)(50b)를 비 견인시의 수직상태에서 중앙부위의 가상선 상태와 같이 수평상태로 배치하고 록킹실린더(44a)(44b)를 전진시키면 힌지(46a)(46b)를 중심으로 실린더연결부재(48a)(48b)가 회전하면서 차량고정구(50a)(50b)는 양측으로 벌여져 가상선과 같이 차량의 전륜 바퀴로 이동하는 상 태를 이루게 되어 피 견인차량의 견인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차량고정구(50a)(50b)는 견인시에는 수평상태로 배치하여 피 견인차량의 차륜과 대응하여 견인을 이루는 역할을 하게 되나, 비 견인시에는 견인차량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는 요인이 되므로 되도록 길이를 줄여야 장애물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안전한 견인차량(100)의 운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후진시에 후방진입 영역에 대한 장애요소나 위험요소를 배제하면서 안전하고 양호한 후방진입 운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견인차량(100)의 비 견인상태에서는 차량고정구(50a)(50b)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차량고정구(50a)(50b)와 연결되는 회전봉(60a)(60b)이 실린더연결부재(48a)(48b)와 부착되고 핀결합공(72)이 노출된 상태로 있어서, 회전봉(60a)(60b)이 회전하면 차량고정구(50a)(50b)는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차량고정구(50a)(50b)를 수평상태로 변환할 경우에는 체결핀(80)을 핀결합공(72)과 십자안내공(62)으로 부터 분리하면 차량고정구(50a)(50b)의 무게에 의하여 자중으로 차량고정구(50a)(50b)가 회전봉(60a)(60b)회전운동을 기초로 수평상태로 이동한다.
이러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와 같이 체결핀(80)을 핀결합공(72)에 삽입함과 동시에 회전봉(60a)(60b)의 십자안내공(62)에 삽입하면 안전하고 양호한 차량고정구(50a)(50b)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고정구(50a)(50b)를 수직상태로 변환하는 작업은 상기 수평상태로 변환하는 작업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완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언더리프트장치의 작동전후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안내봉과 회전봉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견인차량의 후방 요부 사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데크 20; 외축붐
22; 내측붐 24; 붐실린더
30; 언더리프터 40; 브래킷
42; 리프트바 44a,44b; 록킹실린더
46a,46b; 힌지 48a,48b; 실린더연결부재
50a,50b; 차량고정구 60a,60b; 회전봉
62; 십자안내공 70a,70b; 안내봉
72; 핀결합공 80; 체결핀

Claims (3)

  1. 견인차량(100)의 데크(10) 후단부에 전후로 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측붐(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내측붐(22)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측붐(22)을 수평방향 신축가능하게 이동시키는 붐 실리더(24)로 이루어지는 언더리프터(30)와, 상기 언더리프터(30)의 전방 내측붐(2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브래킷(40)에 연결되는 리프트바(42)와, 상기 리프트바(42)의 양단에 배치되는 록킹실린더(44a)(44b)에 의해 힌지(46a)(46b)로 결합된 한 쌍의 실린더 연결부재(48a)(48b)과 일체로 회동하는 차량고정구(50a)(50b)로 이루어진 견인용 언더리프트장치(110)에 있어서,
    상기, 차량고정구(50a)(50b)와 직각상태로 연결되고 일측에는 십자 안내공(62)이 형성된 회전봉(60a)(60b)과,
    상기 십자안내공(62)이 형성된 회전봉(60a)(60b)이 삽입내장되고 상기 실린더연결부재(48a)(48b)와 결합되며 핀결합공(72)이 노출되는 안내봉(70a)(7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의 전륜 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70a)(70b)에 내장되어 회전하는 회전봉(60a)(60b)은 십자 안내 공(62)의 위치에 따라 안내봉(70a)(70b)의 핀결합공(72)과 대응하여 체결핀(80)에 의해 고정지지 되어 상기 차량고정구(50a)(50a)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고정구(50a)(50b)는 회전봉(60a)(60b)의 운동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90°운동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 전륜리프팅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KR2020070011512U 2007-07-12 2007-07-12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KR200440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12U KR200440396Y1 (ko) 2007-07-12 2007-07-12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512U KR200440396Y1 (ko) 2007-07-12 2007-07-12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96Y1 true KR200440396Y1 (ko) 2008-06-11

Family

ID=41645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512U KR200440396Y1 (ko) 2007-07-12 2007-07-12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19Y1 (ko) 2012-05-30 2014-01-22 강성남 견인차량의 언더리프트용 브래킷 회전고정구
CN108382137A (zh) * 2018-01-30 2018-08-10 嘉善卡勒机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后端连接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19Y1 (ko) 2012-05-30 2014-01-22 강성남 견인차량의 언더리프트용 브래킷 회전고정구
CN108382137A (zh) * 2018-01-30 2018-08-10 嘉善卡勒机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后端连接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5389A (en) Shipping frame from fan section of aircraft engine
US6435804B1 (en) Lifting apparatus
US7640719B2 (en) Rotary mower over-center self-locking wing lift
US7976265B2 (en) Ground level loading trailor
KR20120063052A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200440396Y1 (ko) 견인차량 전륜리프트장치의 차량고정구 회전장치
CN106741819B (zh) 锚泊车水平支臂系统及锚泊车
CN107878291A (zh) 可自动复位的斜坡止退器
US5695207A (en) Motorized breakdown vehicle, in particular for a tank
CN111172858B (zh) 机械化桥架设机构及机械化桥架设车辆及方法
JP3738235B2 (ja) 杭打機及び杭打機のリーダ倒伏方法
EP2377804B1 (de) Mobilkran, insbesondere Mobilbaukran
US20120056407A1 (en) Hydraulically Operated Gooseneck Trailer and Latch Assembly
CN203428774U (zh) 一种起重机及其攀爬装置
WO2008139035A1 (en) Lif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lifting device
JP4559881B2 (ja) 標識表示車輌における突入防止装置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KR200287768Y1 (ko) 이동식 정비용 차량
WO2000066421A1 (en) Device for a loading deck
RU22402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гру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CN107472500B (zh) 一种锚泊车
CN218198115U (zh) 具有登陆平台自动翻转功能的警用攀登突击车
CN210310304U (zh) 可折叠式承载车
CN219325223U (zh) 翻转操作装置及翻转操作系统
CN214933428U (zh) 一种轨道地面两用救援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