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264Y1 - 보관함 - Google Patents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264Y1
KR200440264Y1 KR2020070010488U KR20070010488U KR200440264Y1 KR 200440264 Y1 KR200440264 Y1 KR 200440264Y1 KR 2020070010488 U KR2020070010488 U KR 2020070010488U KR 20070010488 U KR20070010488 U KR 20070010488U KR 200440264 Y1 KR200440264 Y1 KR 200440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storage box
storage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륭희
Original Assignee
김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륭희 filed Critical 김륭희
Priority to KR2020070010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2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4Stays or supports for holding lids or cover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보관함이 개시된다. 원판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과, 복수의 수납홈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 및 복수의 수납홈을 밀폐하도록 덮개의 수납홈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보관함은, 하나의 보관함에 각종 장신구 등을 일목요연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덮개의 회전으로 보관된 보석이나 장신구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보관함, 케이스, 덮개, 회전, 볼록부

Description

보관함{Storage compart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관함 12 : 케이스
14 : 수납홈 16 : 관통홀
18 : 덮개 20 : 볼록부
22 : 회전축 24 : 요철부
26 : 개구부 28 : 고정핀
30 : 플랜지 32 : 후크
34 : 압축스프링 36 : 단턱
38 : 지지체 40 : 함입부
13 : 와이퍼(wiper)
본 고안은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각종 금, 은, 보석 등의 귀금속, 반도체 칩 등의 미세 부품 또는 낚시 바늘 등을 종류별로 분리 보관하기 위해서 일정 공간의 수납실이 구획된 보관함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신종 직종으로 손톱이나 발톱을 깨끗이 정리하고 모양이나 그림을 그려 넣어 예술적인 감각을 표현하는 네일 아트(nail art)가 각광받고 있는데, 이러한 네일 아트에는 손톱이나 발톱 등에 부착하기 위한 보석, 스티커, 인조 손톱 등의 장신구가 필요하고,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종류별 또는 크기별로 분리 보관하여 필요 시 용이하게 인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귀금속, 낚시 또는 장신구를 일목요연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종류별이나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수납실이 마련된 하나의 보관함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마땅한 보관함이 없어 각기 다른 보관함에 보관함으로써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보관함에 복수의 수납홈을 마련하여 각종 보석이나 장신구를 종류별로 일목요연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보관함에 형성된 수납홈을 개별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 의 유동 시 수납된 장신구 등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판 형상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과, 복수의 수납홈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 및 복수의 수납홈을 밀폐하도록 덮개의 수납홈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보관함이 제공된다.
한편, 케이스와 덮개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와이퍼(wi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덮개에는 관통홀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회전축이 형성되며, 회전축의 중공에 삽입되어 케이스와 덮개를 결합하는 고정핀 및 고정핀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의 중공의 끝단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고정핀의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고정핀의 타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되, 단턱에 후크가 스냅 피트(snap fit)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덮개 또는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가 고정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와 지지체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보관함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관함(10), 케이스(12), 와이퍼(13), 수납홈(14), 관통홀(16), 덮개(18), 볼록부(20), 회전축(22), 요철부(24), 개구부(26), 고정핀(28), 플랜지(30), 후크(32), 압축스프링(34), 단턱(36)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관함(10)은, 원판 형상의 케이스(12)와, 케이스(12)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14)과, 복수의 수납홈(14)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부(26)가 형성되며, 케이스(1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18) 및 복수의 수납홈(14)을 밀폐하도록 덮개(18)의 수납홈(14)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볼록부(20)를 구성요소로 하여,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를 회전시킴에 따라 수납홈(14)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여 장신구 등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한 장신구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0)가 수납홈(14)을 개별적으로 밀폐하여 보관함(10)의 유동 시 수납된 장신구 등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장신구 등이 분리되어 수납되는 곳으로, 원판 형상이며 케이스(12)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수납홈(14)이 형성된다. 케이스(12)에는 개구부(26)가 형성된 덮개(18)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를 회전시킴으로써 개구부(26)를 통해 복수의 수납홈(14)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수납홈(14)은 금, 은, 보석 등의 귀금속, 반도체 칩 등의 미세 부품, 낚시 바늘, 장신구 등을 종류별로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곳으로 케이스(12)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홈(14)의 저면과 측면의 만나는 모서리를 라운드(round)처리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납홈(14)에 수용된 물건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2)의 전체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수납홈(14)을 형성하되, 그 중 일부가 폐쇄되어 있어 폐쇄된 영역에 개구부(26)가 위치하도록 하여 나머지 수납홈(14)을 밀폐되도록 한다. 한편, 원주의 일부 구간에만 수납홈(14)을 형성하여 나머지 영역에 개구부(26)를 위치하도록 하여 수납홈(14)을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납홈(14)을 원주 형태의 홈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타원형 등 보관함(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납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18)는 케이스(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부(26)을 통해 케이스(12)의 수납홈(14)을 개방하거나 밀폐한다. 즉, 덮개(18)에는 복수의 수납홈(14)의 일부를 개방할 수 있는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수납홈(14)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개구부(2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장신구 등이 쌍을 이루는 형태인 경우에는 두 개의 개구부(26)를 형성하여 덮개(18)를 회전시킴에 따라 두 개의 수납홈(14)을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18)는 투명한 재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수납홈(14)에 수용된 물건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볼록부(20)는 복수의 수납홈(14)을 밀폐하도록 덮개(18)의 수납홈(14)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볼록한 형태의 돌출부이다. 이러한 볼록부(20)는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를 회전시킴에 따라 복수의 수납홈(14)을 선택적으로 밀폐하게 된다. 볼록부(20)는 수납홈(14)의 일부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수납홈(14)이 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수납홈(14)에 수용된 장신구 등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18)의 회전 시 볼록부(20)가 수납홈(14)과 다음 수납홈(14)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회전에 대한 저항감을 유발함으로써 사용자가 덮개(18)의 회전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덮개(18)의 회전감은 사용자가 직접 보관함(10)을 주시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복수의 수납홈(14)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케이스(12)와 덮개(18)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덮개(18)의 회전 시 더 큰 저항감을 유발하여 덮개(18)의 회전감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한편, 볼록부(20)가 다음 수납홈(14)에 삽입되는 순간 타격음이 발생하여 덮개(18)의 회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볼록부(20)의 모서리에는 라운드(round) 처리를 하여 사용자가 덮개(18)를 용이하게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와이퍼(wiper)(13)는 수납홈(14)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홈(14)에 무게가 가벼운 물건이 수용된 경우 정전기 등에 의해 가벼운 물건이 덮개(18)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를 회전시키는 동안 와이퍼(13)가 덮개(18)에 부착된 물건을 수납홈(14)으로 쓸어 내려 각 수납홈(14)에 수용된 물건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핀(28)과 압축스프링(34)은 케이스(12)와 덮개(18)를 탄성적으로 결합하고, 보관함(10)의 조립을 개선할 수 있다. 케이스(12)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6)이 형성되어 있고, 덮개(18)에는 관통홀(16)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회전축(22)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고정핀(28)의 일단에는 후크(3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플랜지(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28)의 일단은 케이스(12)의 관통홀(16)을 통해 회전축(22)의 중공에 삽입되어 케이스(12)와 덮개(18)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회전축(22)의 중공의 끝단에는 단턱(36)이 마련되어 있어 고정핀(28)의 일단이 삽입됨에 따라 고정핀(28)의 후크(32)가 휨에 의한 스냅 피트(snap fit)방식으로 결합되 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12)와 덮개(18)를 탄성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압축스프링(34)이 개재되는데, 압축스프링(34)에 고정핀(28)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28)을 관통홀(16)을 통해 회전축(22)의 중공에 삽입하여 케이스(12)와 덮개(18)를 탄성적을 결합할 수 있다. 고정핀(28)의 플랜지(30)는 압축스프링(34)의 외경보다 크게 제작하여 압축스프링(34)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케이스(12)에 대해 덮개(18)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덮개(18) 또는 케이스(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요철부(24)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18)의 외주면에 요철부(24)를 형성하였으나, 케이스(12)의 외주면에 요철부(24)를 형성하거나 덮개(18) 및 케이스(12)의 외주면에 각각 요철부(2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덮개(18)의 상면에 요철부(2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2), 와이퍼(13), 수납홈(14), 덮개(18), 볼록부(20), 회전축(22), 개구부(26), 압축스프링(34), 단턱(36), 지지체(38), 함입부(40)가 도시되어 있다.
보관함(10)의 높이가 큰 경우에는 안정적이지 못하고, 보관함(10)의 크기 작은 경우 사용자가 보관함(10)을 파지(把持)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케이스(12)가 고정되는 지지체(38)를 두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보관함(10)을 파지할 수 있다.
지지체(38)에는 함입부(40)를 두어, 함입부(40)에 보관함(10)을 삽입하고 고 정하면 보관함(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물론 지지체(38)에 함입부(40)를 두지 않고 지지체(38) 상에 보관함(10)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체(38)의 형상으로 사각형 형태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관함(10)의 외관을 고려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덮개(18)의 상면에 요철부(미도시)를 둘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덮개(18)의 외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였으나, 보관함(10)이 지지체(38)의 함입부(40)에 결합된 경우에는 덮개(18)의 상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덮개(18)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12)와 지지체(38)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와 지지체(38)를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보관함에 각종 장신구 등을 일목요연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덮개의 회전으로 보관된 보석이나 장신구를 선택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보관함에 형성된 복수의 수납홈을 개별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의 유동 시 수납된 장신구 등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덮개의 회전 시 회전감을 유발하여 사용자가 직접 보관함을 주시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수납홈에 수용된 장신구 등을 선택할 수 있다.

Claims (8)

  1. 원판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홈과;
    복수의 상기 수납홈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덮개; 및
    복수의 상기 수납홈을 밀폐하도록 상기 덮개의 상기 수납홈에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와이퍼(wiper)를 더 포함하는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관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를 결합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중공의 끝단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의 타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단턱에 상기 후크가 스냅 피트(snap fit)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또는 상기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고정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보관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지지체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함.
KR2020070010488U 2007-06-26 2007-06-26 보관함 KR200440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88U KR200440264Y1 (ko) 2007-06-26 2007-06-26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88U KR200440264Y1 (ko) 2007-06-26 2007-06-26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264Y1 true KR200440264Y1 (ko) 2008-06-03

Family

ID=4163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488U KR200440264Y1 (ko) 2007-06-26 2007-06-26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2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0570A1 (en) Cosmetics container
KR200440264Y1 (ko) 보관함
JP6718170B2 (ja) 鏡餅容器
KR101794513B1 (ko) 화장도구에 의해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KR101303799B1 (ko) 미용기구용 보관 케이스
KR200338783Y1 (ko) 케이스
JP6677471B2 (ja) 化粧料容器
JP2006217961A (ja) コンパクト容器
JP4625630B2 (ja) 容器
JP2013244733A (ja) ウォータードーム型カレンダー
JP4518658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068474U (ja) 化粧料容器
KR200358737Y1 (ko) 화장품 케이스
JP7414775B2 (ja) アクセサリー玩具
JP2535759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JP2009247576A (ja) 化粧料容器
JP4717372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JP2582969Y2 (ja) レフィル容器
KR200206094Y1 (ko) 콤팩트 케이스
JPH0847418A (ja) レフィル容器
JP4216047B2 (ja) パレット式化粧料容器
KR200301937Y1 (ko) 메모판이 부설된 캔디 케이스
JP4263214B2 (ja) ディスク型の情報担体用の筐体
JP2582962Y2 (ja) コンパクト
JPH0847417A (ja) レフィル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