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017Y1 -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017Y1
KR200440017Y1 KR2020070021100U KR20070021100U KR200440017Y1 KR 200440017 Y1 KR200440017 Y1 KR 200440017Y1 KR 2020070021100 U KR2020070021100 U KR 2020070021100U KR 20070021100 U KR20070021100 U KR 20070021100U KR 200440017 Y1 KR200440017 Y1 KR 200440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ower
usb
uni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균
황차동
Original Assignee
김홍균
황차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균, 황차동 filed Critical 김홍균
Priority to KR2020070021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에 연결되는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휴대폰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휴대폰 충전단자를 통해 휴대폰에 공급하는 내장배터리;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내장배터리에 대한 전원의 충전 간을 전환하는 제어부; 상기 내장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사용하여 스위칭 조작에 의해 외부에 신호음을 내보내는 신호음발생부; 및 상기 메모리부, 내장배터리, 제어부 및 신호음발생부를 내부에 장착하고, 양단에 각각 상기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단자가 각각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장치 및 휴대폰 비상 충전장치뿐만 아니라, 호신용 비상벨로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특히 여성들이 치안 대처용으로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모리, 휴대폰, USB, 비상벨, 음원, 컴퓨터, 충전

Description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USB Storage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Emergency Bell}
본 고안은 USB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저장용과 휴대폰 보조 충전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호신용 비상벨로도 사용 가능한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SB 단자를 이용하는 메모리 장치는, 일명 메모리 스틱이라 하는데, 이는 USB 단자를 통해 컴퓨터에 접속하여,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USB 저장장치이다. 이러한 USB 저장장치는, 메모리 기능뿐만 아니라, 점차 기능이 멀티화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USB 저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USB 저장장치(1)는, 컴퓨터(7)에 USB 단자(5)를 통해 접속되어, 이 USB 단자(5)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USB 단자(5)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2)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9)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부(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장치(1)에는 상기 메모리부(2)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 또는 데이터의 판독 동작과, 상 기 충전부(3)에 대한 전원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가 더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USB 저장장치(1)는, 단지 메모리 저장 기능에 추가하여 비상시에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한 보조 전원으로서의 역할만을 할 뿐,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USB 저장장치(1)를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USB 저장장치(1)는, 컴퓨터(7)에 연결하기 위한 USB 단자(5)와 휴대폰(9)에 연결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단자(6)가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자(5,6) 내부로 이물질의 침입을 막기 위해 상기 단자(5,6) 각각을 덮기 위한 덮개(미도시)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덮개가 2개 필요하였고, 상기 각 덮개는 일반적으로 상기 메모리 장치(1)로부터 쉽게 분리되므로, 그에 따라 덮개의 관리에 부담이 따랐으며, 덮개의 분실 위험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데이터 저장 기능, 휴대폰 비상 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호신용 비상벨로도 활용 가능한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와 휴대폰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케이스 내부에 위치시켜 하나의 덮개만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로부터 상기 단자를 보호하는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1고안은, 컴퓨터에 연결되는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휴대폰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휴대폰 충전단자를 통해 휴대폰에 공급하는 내장배터리;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내장배터리에 대한 전원의 충전 간을 전환하는 제어부; 상기 내장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사용하여 스위칭 조작에 의해 외부에 신호음을 내보내는 신호음발생부; 및 상기 메모리부, 내장배터리, 제어부 및 신호음발생부를 내부에 장착하고, 양단에 각각 상기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단자가 각각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제2고안은, 제1고안에서, 상기 신호음발생부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신호음을 발생하는 음원부와, 상기 내장배터리와 상기 음원부 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내장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음원부로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고안은, 제1고안 또는 제2고안에서, 상기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USB 단자와 휴대폰 충전단자 중 하나가 외부로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고안은, 제3고안에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는 누름동작에 의해 잠김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에 의하면, 호신용 비상벨로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특히 여성들이 치안 대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방식으로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단자 중 어느 하나만 노출시켜 사용함으로써, 각 단자를 덮기 위한 덮개의 개수를 줄여 덮개의 분실위험을 줄일 뿐만 아니라, 각 단자를 이물질로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USB 저장장치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USB 저장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10), 메모리부(20), 내장배터리(30), 제어부(40), 신호음발생부(50), 및 슬라이드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메모리부(20), 내장배터리(30), 제어부(40), 신호음발생부(50) 및 슬라이드 구동부(6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컴퓨터(90)에 연결하기 위한 USB 단자(70)와 휴대폰(100)에 연결하기 위한 휴대폰 충전단자(8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중단에는 신호음발생부(50)의 스위칭부(53)와, 슬라이드 구동부(60)가 노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호음발생부(50)의 스위칭부(53)에 대한 스위칭에 따라 음원부(51)로부터 발생되는 소리가 외부로 전파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음원슬롯(11)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슬롯(1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슬롯(13)은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메모리부(20)는 컴퓨터(90)에 연결되는 상기 USB 단자(70)를 통해 상기 컴퓨 터(90)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내장배터리(30)는 상기 USB 단자(70)를 통해 상기 컴퓨터(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함과 아울러, 저장된 전원을 휴대폰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폰 충전단자(80)를 통해 휴대폰(10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90)에 연결된 USB 단자(7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전원을 공급받을 것인지는 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메모리부(20)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내장배터리(30)에 대한 전원의 충전 간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내장배터리(30)는 상기 휴대폰 충전단자(80)를 통해 휴대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장배터리(30)에 저장된 전원은 외부에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음발생부(50)를 작동시키는 전원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신호음발생부(5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신호음을 발생하는 음원부(51)와, 상기 내장배터리(30)와 상기 음원부(51) 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내장배터리(30)의 전원을 음원부(51)로 공급하는 스위칭부(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음원부(51)에서 생성된 소리가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용이하게 전파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음원슬롯(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음원슬롯(11)은 음원부(51)로부터 발생된 소리를 외부로 전파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53)는 외부에서 소리의 발생(ON) 및 정지(OFF)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노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10)의 외부에 노출된 스위칭부(53)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음원부(51)를 작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고, 반대로 스위칭부(53)에서 누름을 해제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음원부(51)의 작동을 중단시켜 소리를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53)의 구성도 음원부(51)의 온(ON)/오프(OFF)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면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53)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하여 슬라이드됨에 따라 음원부(51)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점점 커지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슬라이드 구동부(60)는 상기 USB 단자(70)와 휴대폰 충전단자(80)에 연결되어 상기 USB 단자(70)와 휴대폰 충전단자(80) 중 하나가 외부로 노출되면 다른 하나는 상기 USB 저장장치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드 구동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슬라이드 슬롯(13)을 따라 슬라이드 구동되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가 일측에 있을 때는 상기 USB 단자(70)가 외부로 노출되어 컴퓨터(90)에 연결 가능한 상태로 된다. 반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가 타측에 있을 때는 상기 휴대폰 충전단자(80)가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폰(100)에 연결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에는 USB 단자(70)와 휴대폰 충전단자(80) 가 동시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에 의한 USB 단자(70)의 노출에 따라 휴대폰 충전단자(8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반대로 휴대폰 충전단자(80)가 노출되는 경우도 동일하게 상기 USB 단자(70)가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슬라이드 구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USB 단자(70)와 휴대폰 충전단자(80) 중 어느 하나가 일단에 노출되어 있을 때에는 잠금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잠금 상태는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를 누름으로써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를 누른 상태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USB 단자(70)와 휴대폰 충전단자(80) 중 어느 하나를 케이스(1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60)의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잠금 및 해제가 스프링을 통한 탄성력으로 구동되는 등의 구동방식은 본 분야에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고안을 실시하는 데에는 본 명세서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으로도 충분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USB 저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USB 저장장치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USB 저장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케이스 11 : 음원슬롯
13 : 슬라이드 슬롯 20 : 메모리부
30 : 내장배터리 40 : 제어부
50 : 신호음발생부 51 : 음원부
53 : 스위칭부 60 : 슬라이드 구동부
70 : USB 단자 80 : 휴대폰 충전단자
90 : 컴퓨터 100 : 휴대폰

Claims (4)

  1. 컴퓨터에 연결되는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전원을 휴대폰 충전용 전원으로 변환하여 휴대폰 충전단자를 통해 휴대폰에 공급하는 내장배터리;
    상기 메모리부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 및 상기 내장배터리에 대한 전원의 충전 간을 전환하는 제어부;
    상기 내장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사용하여 스위칭 조작에 의해 외부에 신호음을 내보내는 신호음발생부; 및
    상기 메모리부, 내장배터리, 제어부 및 신호음발생부를 내부에 장착하고, 양단에 각각 상기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단자가 각각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발생부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신호음을 발생하는 음원부와,
    상기 내장배터리와 상기 음원부 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내장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음원부로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 및 휴대폰 충전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USB 단자와 휴대폰 충전단자 중 하나가 외부로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부는 누름동작에 의해 잠김이 해제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USB 저장장치.
KR2020070021100U 2007-12-31 2007-12-31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KR200440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00U KR200440017Y1 (ko) 2007-12-31 2007-12-31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100U KR200440017Y1 (ko) 2007-12-31 2007-12-31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017Y1 true KR200440017Y1 (ko) 2008-05-20

Family

ID=4163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100U KR200440017Y1 (ko) 2007-12-31 2007-12-31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0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25B1 (ko) 2014-02-28 2015-10-06 김원석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325B1 (ko) 2014-02-28 2015-10-06 김원석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2230B2 (en) Multi-voltage battery pack for power tools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US7859222B2 (en) Case battery system
US9591913B2 (en) Protection case
US20170033583A1 (en) High power rechargeable flashlight with two way universal serial bus
JP6373688B2 (ja) 照明装置
WO2006080957A3 (en) Portable accessory device having a port interface used to provide multiple integrated functionalities
WO2006074167A2 (en) Flash memory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wireless capability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JP2007028206A (ja) 通信アダプタ
TWM513505U (zh) 行動電源及其保護殼
US20100097032A1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20060125404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KR200440017Y1 (ko)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KR20040215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락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KR20110096514A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KR101692762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JP2009060700A (ja) 置き台
KR102311909B1 (ko) 외장 메모리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0051379A (ko) 휴대용 프린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100609763B1 (ko) 레이저 포인터
KR102292680B1 (ko) 모듈형 배터리
KR200202248Y1 (ko) 충전부를 갖는 휴대폰
KR20090011318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