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404A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5404A KR20060125404A KR1020050047433A KR20050047433A KR20060125404A KR 20060125404 A KR20060125404 A KR 20060125404A KR 1020050047433 A KR1020050047433 A KR 1020050047433A KR 20050047433 A KR20050047433 A KR 20050047433A KR 20060125404 A KR20060125404 A KR 200601254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nector
- connection
- interface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단자에서 착탈되는 커넥터 단자를 구성하고, 케이블에 의해 연결 단자와 커넥터 단자를 최대한 가까운 위치시켜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짧게 구비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와, 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을 소형화 하고, 이로인해 단말기와 함께 설치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핸드스트립 및 악세서리 기능으로 사용하고, 외부기기(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단자등)와의 연결 및 전송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말기, 외부기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케이블, 연결 단자, 커넥터 단자.
Description
도 1은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종래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외부기기와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도 15는 도 14의 C부 확대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 단자에서 착탈되는 커넥터 단자를 구성하고, 케이블에 의해 연결 단자와 커넥터 단자를 최대한 가까운 위치시켜 제품읠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의 멀티미디어화를 돕거나 또는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가 구비되어 있어 별도의 연결 장치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거나 충전기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장치는 일반적으로 케이블(10)의 일측단에 인터페이스 커넥터(20)가 구비되고, 타측단에 (Universal Serial Bus 이하 :" USB " 라 함) 유에스비(USB)잭(30) 또는 충전회로가 내장된 소형 어댑터(40)가 구비되어 미도시된 휴대 단말기와 PC 또는 프린터를 연결하거나 또는 충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각 모델 별로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모델이 교체됨에 따라 연결 장치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대두되어 근래에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단자 및 연결 장치로서 24핀 커넥터를 이용한 접속 규격이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연결 장치에서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유에스비(USB)잭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케이블의 길이로 인해 연결 장치의 부피가 커져 휴대성이 떨어지고, 휴대시 별도의 보관함이 필요하여 제품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결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또는 데이터전송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으로써, 상술한 PC 또는 프린터 외의 다른 기기와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장치와 함께 또 다른 연결 단자가 휴대 단말기 상에 구비되어 있어야 함으로 단말기의 사용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에 의해 연결 단자와 커넥터 단자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구성함으로써, 제품을 소형화 하고, 단말기와 함께 설치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에서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를 착탈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여 외부기기(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단자등)와의 연결 및 전송기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다수개의 커넥터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와 단말기를 서로 연결시켜 배터리의 충전시킴과 아울러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형의 연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단말기의 핸드 스트립 및 악세서리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
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 및
상기 각각의 단자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를 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 시킬 수 있게 분리시키거나 구속시키는 락킹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2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1 커넥터 단자;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2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로 배터리를 충전시 충전량을 디스플레이디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100)는 케이블(110)과, 연결 단자(120)와, 커넥터 단자(1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블(110)은 상기 연결 단자(120)와 상기 커넥터 단자(13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110)의 길이는 상기 연결 단자(120)와 상기 커넥터 단자(130)를 서로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짧게 제공되어 있고, 상기 연결 단자(120)는 상기 외부 기기(90)와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110)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단자(130)는 상기 연결 단자(120)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110)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 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 단자(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연결 단자(120)와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는 상기 연결 단자(120)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130)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착탈 수단(14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착탈 수단(140)은 제 1, 2 단자홈(141)(14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단자홈(141)은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31)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연결 단자(120)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7과 같이, 상기 연결 단자(120)에는 외부기기(90)(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단자등)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유에스비(USB)잭(1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단자홈(142)은 상기 제 1 단자홈(141)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착탈시 상기 유에스비(USB)잭(121)을 결합 및 분리되도록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는 24핀 커넥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 커넥터(111)는 10핀 커넥터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일단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와 결합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타일단에는 상기 케이블(110)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13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접속 단자(134)와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전기 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상기 접속 단자(134)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단자개폐커버(133)가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111)의 외부에는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1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호 케이스(150)는 제 1, 2 케이스(151)(152)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제 2 케이스(152)를 회전시켜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152)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케이스(151)와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휴대 단말기(1)에 제공된 고리(1b)에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1)와 함께 휴대가능하도록 와이어 연결부(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외부 기기의 연결 장치(100)는 짧게 제공된 케이블(110)의 일측단에 외부기기(90)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12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110)이 타일단에는 연결 커넥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130)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111)는 보호 케이스(150)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150)는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나사체결된다. 상기 보호 케이스(150)의 제 1 케이스(151)에는 와이어 연결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를 이용하여 단말기(1)에 제공된 고리(1b)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를 외부기기(9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를 회전시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에 의해 상기 단말기(1)의 고리(1b)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연결 커넥터(111)를 꺼낸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케이블(110)에 연결된 연결 단자(120)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130)를 분리시킨다.
이때,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상기 연결 단자(120)의 제 1 단자홈(141)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제 2 단자홈(142)에서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121)이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하부단면에 구비된 단자개폐커버(133)를 분리시킴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구비된 접속 단자(134)가 개방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접속 단자(134)에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에 결합한다.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121)에 외부기기(90)(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 치를 내장한 단자등)를 연결한다.
여기서, 도 7과 같이, 상기 단말기(1)에서 상기 외부기기(90)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연결 단자의 유에스비(USB)잭(121)에 연결된 외부기기(90)를 분리하고, 다시 역으로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접속 단자(134)에서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분리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분리된 커넥터 단자(130)를 다시 상기 연결 단자(12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 단자(120)의 제 1 단자홈(141)내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제 2 단자홈(142)내에는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121)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하단면에 다시 상기 단자개폐커버(133)를 결합하여 상기 접속 단자(134)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케이스(152)내로 다시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를 상기 제 1 케이스(151)와 나사체결하여 단말기(1)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연결 장치(100)는 핸드 스트립 및 악세서리 기능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외부 기기의 연결 장치(100)는 짧게 제공된 케이블(110)의 일측단에 외부기기(90)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12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110)이 타일단에는 연결 커넥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130)가 구비된다.
도 9와 같이, 상기 연결 단자(120) 및 커넥터 단자(130)에는 버튼부(202a)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커넥터 단자(130)를 상기 연결 단자(120)에서 분리시키거나 구속시키는 한쌍의 락킹 장치(200)가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연결 커넥터(111)는 보호 케이스(150)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150)는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나사체결된다. 상기 보호 케이스(150)의 제 1 케이스(151)에는 와이어 연결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를 이용하여 단말기(1)에 제공된 고리(1b)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를 외부기기(9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를 회전시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에 의해 상기 단말기(1)의 고리(1b)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연결 커넥터(111)를 꺼낸다.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연결 단자(120)에 구비된 버튼부(202a)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202a)가 상기 연결 단자(120)내로 이동하고, 상기 버튼부(202a)의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락커부(202)도 함께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형성된 한쌍의 락커홈(201)에서 이탈된다.
이때, 도 12와 같이, 상기 락커부(202)의 락돌기(202b)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락커홈(201)에서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케이블(110)에 연결된 연결 단자(120)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130)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상기 연결 단자(120)의 제 1 단자홈(141)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제 2 단자홈(142)에서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이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하부단면에 구비된 슬라이딩 단자커버(2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커넥터 단자(130)에 구비된 접속 단자(134)를 개방시킨다.
이때, 도 10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단자 커버(210)에는 상기 접속 단자(134)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된 한쌍이 가이드홈(211)과 슬리이딩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2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 단자 커버(2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부재(212)가 상기 가이드 홈(211)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가이드 된다. 상기 접속 단자(134)에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13과 같이,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에 외부기기(90)(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단자등)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에서 상기 외부기기(90)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에 연결된 외부기기(90)를 분리하고, 다시 역으로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접속 단자(134)에서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접속 단자(134)는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슬라이딩 단자 커버(210)를 다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접속 단자(134)를 닫는다.
상기 분리된 커넥터 단자(130)를 다시 상기 연결 단자(12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 단자(120)의 제 1 단자홈(141)내에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제 2 단자홈(142)내에는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커넥터 단자(130)의 락커홈(201)을 상기 연결 단자(120)의 락커부(202)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락커부(202)의 락돌기(202b)가 상기 락커홈(201)에 걸려 구속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202a)의 후면에는 상기 락돌기(202b)를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02c)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락돌기(202b)가 상기 락커홈(201)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02c)에 의해 상기 락돌기(202b)가 상기 락커홈(20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케이스(152)내로 다시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삽입하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를 상기 제 1 케이스(151)와 나사체결하여 단말기(1)에 장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과 같이,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결 장치(100)는 짧게 제공된 케이블(110)의 일측단에 외부기기(90)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12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110)이 타일단에는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에 바로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300)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커넥터(111)는 보호 케이스(150)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150)는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나사체결된다.
도 17과 같이,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제 1 케이스(151)에는 와이어 연결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를 이용하여 단말기(1)에 제공된 고리(1b)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를 외부기기(9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를 회전시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1)의 고리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300)를 꺼낸다.
이 상태에서, 도 18과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300)를 바로 직접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연결 단자(120)에는 상기 연결 단자(120)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된 보호 커버(310)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도 19와 같이, 상기 케이블(110)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에 외부기기(90)(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단자등)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에서 상기 외부기기(90)를 분리시킬 경우 상기 연결 단자(120)의 유에스비(USB)잭에 연결된 외부기기(90)를 분리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단자(120)에 상기 보호 커버(31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300)를 상기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 단자(1a)에서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300)를 다시 상기 제 2 케이스(152)내에 삽입하고, 상기 제 1 케이스(151)와 나사체결하여 단말기(1)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연결 장치(100)는 핸드 스트립 및 악세서리 기능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0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과 같이,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결 장치(100)는 짧게 제공된 케이블(110)의 일측단에 상기 휴대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와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구비한 제 1 커넥터 단자(4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110)이 타일단에는 연결 커넥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휴대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와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구 비한 제 2 커넥터 단자(410)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커넥터(111)는 보호 케이스(150)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150)는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나사체결된다.
도 21과 같이, 상기 보호 케이스(150)의 제 1 케이스(151)에는 와이어 연결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를 이용하여 단말기(1)에 제공된 고리(1b)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를 회전시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1)의 고리(1b)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연결 커넥터(111)를 꺼낸다.
이때, 상기 케이블(110)에 연결된 제 1 커넥터 단자(400)에서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400)의 제 1 단자홈(141)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의 제 2 단자홈(142)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4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22와 같이,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의 하부단면에 구비된 단자개폐커버(133)를 분리시키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에 구비된 접속 단자 (134)를 개방시킨다.
상기 접속 단자에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4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에 또 다른 단말기(2)의 인터페이스 단자(2a)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22와 같이, 상기 제 1, 2 커넥터 단자(400)(410)는 상기 각각이 휴대 단말기(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단말기(1)에 장착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의 충전량을 이동시켜 또 다른 단말기(2)에 충전시킨다.
한쪽 단말기(1)의 배터리팩(미도시 됨)의 충전량이 다른쪽 단말기(2)의 배터리팩의 충전량 보다 적을 경우 충전량이 많은 단말기(1)의 배터리팩(미도시 됨)에서 적은량의 단말기(1)의 배터리팩으로 충전량을 이동시켜 충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에는 상기 단말기(1)에서 단말기(2)로 배터리 충전시 충전시간에 따라서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램프(4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 램프(420)가 시간에 따라서 점등되어 상기 단말기(1)와 단말기(2)의 충전량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과 같이, 휴대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연결 장치(100)는 짧게 제공된 케 이블(110)의 일측단에 상기 휴대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와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구비한 제 1 커넥터 단자(4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110)이 타일단에는 연결 커넥터(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휴대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와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구비한 제 2 커넥터 단자(410)가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커넥터(111)는 보호 케이스(150)내에 내장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150)는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서로 나사체결된다.
도 24와 같이, 상기 보호 케이스(150)의 제 1 케이스(151)에는 와이어 연결부(16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 연결부(160)를 이용하여 단말기(1)에 제공된 고리(1b)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제 1, 2 케이스(151)(152)를 회전시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51)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1)의 고리(1b)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152)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연결 커넥터(111)를 꺼낸다.
이때, 상기 케이블(110)에 연결된 제 1 커넥터 단자(400)에서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를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131)가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400)의 제 1 단자홈(141)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의 제 2 단자홈(142)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4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25와 같이,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의 하부단면에 구비된 단자개폐커버(133)를 분리시키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에 구비된 접속 단자(134)를 개방시킨다.
상기 접속 단자에 상기 연결 커넥터(11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1a)에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커넥터 단자(4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131)에 또 다른 단말기(2)의 인터페이스 단자(2a)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25와 같이, 상기 제 1, 2 커넥터 단자(400)(410)는 상기 각각이 휴대 단말기(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단말기(1)에 장착된 배터리팩(미도시 됨)의 충전량을 이동시켜 또 다른 단말기(2)에 충전시킨다.
한쪽 단말기(1)의 배터리팩(미도시 됨)의 충전량이 다른쪽 단말기(2)의 배터리팩의 충전량 보다 적을 경우 충전량이 많은 단말기(1)의 배터리팩(미도시 됨)에서 적은량의 단말기(1)의 배터리팩으로 충전량을 이동시켜 충전시킨다
이때, 도 25와 같이,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410)에는 상기 단말기(1)에서 단말기(2)로 배터리 충전시 충전량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충전량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5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0)에 디스플레이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보고, 상기 단말기(1)(2)의 충전량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0)는 액정표시부(LC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액정표시부에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 분 '단위 또는 ' % '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배터리의 충전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대한의 충전을 가능하게 하고,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서 급격한 전원소모 발생시 데이터 손실(통화 중단, 게임 및 전자결제시 커트 오프(cut off)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를 최적의 전원공급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에 의해 연결 단자와 커넥터 단자를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구성함으로써, 제품을 소형화 하고, 이로인해 단말기와 함께 설치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또한, 핸드스트립 및 악세서리 기능으로 사용하고,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에서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를 착탈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휴대성이 용이하여 외부기기(블루트스를 내장한 단자, 메모리 단자 및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단자등)와의 연결 및 전송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다수개의 커넥터 단자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와 단말기를 서로 연결시켜 배터리의 충전시킴과 아울러 충전량을 표시하여 사용자에 충전량을 알려주고, 이로 인해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장치에 배터리의 잔량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와 단말기의 충전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배터리팩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케이블;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길이는 상기 각각의 단자를 서로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게 짧게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와 상기 커넥터 단자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를 착탈시키는 착탈 수단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연결 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착탈시키는 제 1 단자홈과,상기 커넥터 단자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단자홈에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착탈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 단자에 구비된 유에스비(USB)잭을 착탈시키는 제 2 단자홈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24핀 커넥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넥터는 10핀 커넥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의 일단에는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구비되고, 타일단에는 상기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유에스비(USB)잭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에는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연결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상기 접속 단자를 개폐시키는 단자개폐커버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넥터의 외부에는 상기 연결 커넥터를 보호하는 보호 케이스가 구비되고,상기 보호 케이스는 제 1, 2 케이스로 나누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케이스는 나사체결되며,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단말기에 제공된 고리에 연결할 수 있게 와이어 연결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는 핸드 스트립(handstrap)기능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장치를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경우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제 1 케이스에 구비된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단말기의 고리에 장착시키고,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는 나사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제 1, 2 케이스를 분리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에 내장된 연결커넥터를 외부로 꺼내며, 이때, 상기 연결 단자에 결합된 커넥터 단자를 분리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결 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단자의 하일단면에 구비된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단자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케이블;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단자; 및상기 각각의 단자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 단자를 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시킬 수 있게 분리시키거나 구속시키는 락킹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장치는 상기 커넥터 단자에 형성된 한쌍의 락커홈과,상기 연결 단자에 구비되어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락커홈에서 결합 및 이탈되는 한쌍의 락커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은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부와,상기 버튼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락커홈에 걸려 구속되거나 이탈되는 락돌기와,상기 버튼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락돌기를 이동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에는 상기 커넥터 단자에 제공된 접속 단자와 상기 연결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접속 단자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 단자커버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자 커버는, 상기 접속 단자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홈과,상기 슬라이딩 단자 커버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케이블;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단자는 10핀 커넥터로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에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유에스비(USB)잭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에는 상기 연결 단자를 보호하고, 사용에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되는 보호 커버가 더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케이블;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1 커넥터 단자; 및상기 제 1 커넥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2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커넥터 단자는 상기 각각의 휴대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팩의 충전량을 이동시켜 또 다른 단말기의 배터리팩에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 단자에는 상기 단말기에서 단말기로 배터리를 충전시 충전량을 표시하기 위해 충전시간에 따라서 점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램프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케이블;상기 케이블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1 커넥터 단자;상기 제 1 커넥터 단자에서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타일단에 제공된 연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 다른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구비한 제 2 커넥터 단자; 및상기 제 2 커넥터 단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단말기로 배터리를 충전시 충전량을 디스플레이디 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부(LCD))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정표시부에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 분 ' 단위 또는 ' % ' 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단자; 및상기 연결 단자에서 착탈되고, 상기 연결 단자에 구비된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 단자에 결합되는 커넥터 단자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7433A KR100800779B1 (ko) | 2005-06-02 | 2005-06-02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CN2006100885180A CN1881713B (zh) | 2005-06-02 | 2006-06-01 | 用于将移动电话连接到外围装置的连接器组件 |
US11/444,781 US7278877B2 (en) | 2005-06-02 | 2006-06-01 |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
DE602006000499T DE602006000499T2 (de) | 2005-06-02 | 2006-06-02 | Verbinderanordnung zur Verbindung von einem Mobiltelefon mit einem Peripheriegerät |
EP06011511A EP1729487B1 (en) | 2005-06-02 | 2006-06-02 |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obile phone to periphera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7433A KR100800779B1 (ko) | 2005-06-02 | 2005-06-02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5404A true KR20060125404A (ko) | 2006-12-06 |
KR100800779B1 KR100800779B1 (ko) | 2008-02-01 |
Family
ID=3695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7433A KR100800779B1 (ko) | 2005-06-02 | 2005-06-02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278877B2 (ko) |
EP (1) | EP1729487B1 (ko) |
KR (1) | KR100800779B1 (ko) |
CN (1) | CN1881713B (ko) |
DE (1) | DE602006000499T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3886B1 (ko) * | 2009-09-14 | 2010-06-15 | (주)융스그룹 |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807B1 (ko) * | 2007-12-05 | 2014-06-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커넥터와, 그를 갖는 충전 케이블 및 데이터 케이블 |
JP4907512B2 (ja) * | 2007-12-27 | 2012-03-28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 |
JP5056454B2 (ja) * | 2008-02-14 | 2012-10-24 | 富士通株式会社 | 電子機器のカバー部品及び電子機器 |
WO2010110499A1 (ko) * | 2009-03-25 | 2010-09-30 | 크레신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로폰 |
KR101061298B1 (ko) * | 2010-01-06 | 2011-08-31 | 윤종식 | 휴대폰 스트랩 어댑터 결합용 액세서리 |
US8632354B2 (en) | 2011-08-16 | 2014-01-21 | Micron Technology, Inc. | Interconnection systems |
US9015512B2 (en) * | 2011-10-21 | 2015-04-21 | Apple Inc. | Accessory and host battery synchronization |
CN103475834B (zh) * | 2013-09-29 | 2016-11-02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智能手机及其外置微投影仪 |
US20150134893A1 (en) * | 2014-08-19 | 2015-05-14 | Leef Technology LTD | Flash drive shaped to utilize space behind a mobil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36366A (en) | 1992-05-26 | 1993-08-17 | Amp Incorporated | High density circuit connector |
US5885109A (en) | 1997-10-16 | 1999-03-23 | Lee; Chiu-Shan | Electrical adapters |
US6273732B1 (en) | 1999-06-18 | 2001-08-14 | Berg Technology, Inc. | Through mount connector with alignment device |
TW440076U (en) | 2000-03-03 | 2001-06-07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2001319745A (ja) | 2000-05-08 | 2001-11-16 | Honda Tsushin Kogyo Co Ltd | 変換用アダプタ |
KR20020014870A (ko) | 2000-08-19 | 2002-02-27 | 공종열 |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
JP2002170643A (ja) | 2000-11-30 | 2002-06-14 | Rasutabanana:Kk | 携帯電話機用コネクタ |
SE0103743L (sv) | 2001-11-12 | 2003-05-13 | Bjoern Thomas Lennart Blanck | Telefonrelaterad enhet |
JP2003233440A (ja) | 2002-02-07 | 2003-08-22 | Murata Mfg Co Ltd | マルチアダプタ装置 |
US20030176109A1 (en) * | 2002-03-05 | 2003-09-18 | Hiroaki Fukuchi | Connecting member |
US6589069B1 (en) * | 2002-04-22 | 2003-07-08 | Sheng Hsin Liao | Wire reel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capable of doing emergency charging work |
TW582422U (en) * | 2002-05-31 | 2004-04-01 | Sinox Co Ltd | Connector socket securing device |
US6663420B1 (en) | 2002-11-15 | 2003-12-16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Adapter for exchanging data and transmitting power between PC and portable device |
CN2588629Y (zh) * | 2002-11-23 | 2003-11-2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适配器 |
CN2610523Y (zh) * | 2003-04-19 | 2004-04-07 | 木合亚提 | 安全插座 |
KR200329462Y1 (ko) | 2003-07-07 | 2003-10-10 |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KR200330467Y1 (ko) | 2003-08-01 | 2003-10-17 | (주) 피엔텔레컴 | 전원공급원 자동 인식 충전형 데이터 통신 케이블 |
KR200356419Y1 (ko) | 2004-04-28 | 2004-07-15 | 조승석 | 데이터 케이블 |
TWI236183B (en) * | 2004-05-11 | 2005-07-11 | Primax Electronics Ltd | Configuration changeable adapter |
US7300306B2 (en) * | 2005-05-06 | 2007-11-27 | Imation Corp. | Data storage device with self-mating host connector that is insertable into a receptacle formed in a housing of the device |
-
2005
- 2005-06-02 KR KR1020050047433A patent/KR1008007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06-01 CN CN2006100885180A patent/CN188171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6-01 US US11/444,781 patent/US727887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6-02 EP EP06011511A patent/EP1729487B1/en not_active Ceased
- 2006-06-02 DE DE602006000499T patent/DE602006000499T2/de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3886B1 (ko) * | 2009-09-14 | 2010-06-15 | (주)융스그룹 |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
WO2011031114A2 (ko) * | 2009-09-14 | 2011-03-17 | (주)융스그룹 |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
WO2011031114A3 (ko) * | 2009-09-14 | 2011-09-01 | (주)융스그룹 | 멀티형 유에스비 젠더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881713A (zh) | 2006-12-20 |
CN1881713B (zh) | 2010-06-23 |
US20060293080A1 (en) | 2006-12-28 |
US7278877B2 (en) | 2007-10-09 |
EP1729487B1 (en) | 2008-01-30 |
KR100800779B1 (ko) | 2008-02-01 |
DE602006000499D1 (de) | 2008-03-20 |
EP1729487A1 (en) | 2006-12-06 |
DE602006000499T2 (de) | 2008-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0779B1 (ko) |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 장치 | |
US10707694B2 (en) | Portable power charger with power input and power output connection interfaces | |
US9093848B2 (en) | Multi-source power adapter | |
US20130193911A1 (en) | Motion-actuated portable charger | |
WO2021068791A1 (zh) | 多用途移动电源及多用途移动电源与电动工具的组件 | |
WO2015106470A1 (zh) | 可携带充电转换接头并支持二维条形码识别的移动电源 | |
KR20050120874A (ko) | 모바일 차저 | |
CN201893817U (zh) | 一种手持电子设备的组合式附件 | |
KR200442993Y1 (ko) | 휴대용 비상 배터리 | |
CN105743154A (zh) | 具备转接头保管槽的便携式充电器 | |
JP2011182566A (ja) | 充電源装置 | |
JP3109383U (ja) | コンピュータポートを有する携帯用電力供給装置 | |
KR100553003B1 (ko) |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 |
KR101483780B1 (ko) |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 |
WO2009155698A1 (en) | Solar panel battery charger for electrical device | |
KR102292680B1 (ko) | 모듈형 배터리 | |
KR20040051379A (ko) | 휴대용 프린터 | |
KR20190108823A (ko) | 이어폰 단자 삽입구와 보조배터리가 구비된 휴대전화용 케이스 | |
EP2290499A1 (en) | Detachable power conver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8164219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20007003U (ko) |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 |
KR20080005222U (ko) | 다기능 파워 어댑터 | |
WO2003105309A1 (ja) | 充電器及び該充電器を用いた通信機ユニット | |
KR20100043652A (ko) | 휴대폰 미니 충전기 | |
JP2006280186A (ja) | アダプ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