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325B1 -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3325B1 KR101553325B1 KR1020140023979A KR20140023979A KR101553325B1 KR 101553325 B1 KR101553325 B1 KR 101553325B1 KR 1020140023979 A KR1020140023979 A KR 1020140023979A KR 20140023979 A KR20140023979 A KR 20140023979A KR 101553325 B1 KR101553325 B1 KR 1015533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onnector
- power supply
- usb connector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전원커넥터 또는 보조USB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메인커넥터를 통해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지에 충전하며, 충전기에 충전된 전기를 통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충전지가 구비된 전원저장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가 전원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지 않아도 충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외부로부터 교류전원 또는 컴퓨터의 USB슬롯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하고자 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C전원커넥터 또는 보조USB커넥터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메인커넥터를 통해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지에 충전하며, 충전기에 충전된 전기를 통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핸드폰과 같은 단말기는 인간 생활에서 배제할 수 없는 필수적인 제품이다.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단말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그 쓰임새가 다양해졌다. 특히, 스마트폰의 발달로 사람들의 단말기 사용이 활발해지면서 단말기의 사용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레저문화의 발달로 야외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전에는 가정용 충전기를 통해 교류전원(AC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직류전원(DC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는 단말기에 범용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1494호(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단독으로 휴대폰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휴대폰을 동작시키거나 컴퓨터에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의 입출력컨넥터(I/O Connector)에 접속되는 제1플러그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제1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회로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셀과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측부에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외부의 충전장치와 접속되는 리셉터클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부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컴퓨터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USB단자를 구비한 제1덮개부와;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측부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2플러그를 구비한 제2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보조 배터리장치를 제공한다.
선행문헌은 휴대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휴대폰의 입출력컨넥터에 간편하게 연결시켜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전지셀에 충전된 전기를 통해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지만, 전지셀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충전장치와 연결되어 충전해야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전장치 없이 전지셀의 충전이 가능한 보조배터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충전지가 구비된 전원저장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가 전원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외부로부터 교류전원 또는 컴퓨터의 USB슬롯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전원저장부(100) 및 상기 전원저장부(100)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단말기(300)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메인커넥터(130), 상기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한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및 상기 메인커넥터(13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충전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USB슬롯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되어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USB커넥터(220); 및 상기 USB커넥터(220)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상기 단말기(30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300)에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구비된 슬롯(310)에 삽입되는 단말기연결핀(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커넥터(130)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AC전원커넥터(130a) 또는 컴퓨터에 구비된 상기 USB슬롯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보조USB커넥터(130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메인커넥터(130)가 외부의 교류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AC전원커넥터(130a)일 때,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상기 전원공급부(200)의 단말기연결핀(240), USB커넥터(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바디(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 및 상기 AC전원커넥터(130a)가 삽입되는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상기 충전지(140)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기 AC전원커넥터(130a) 및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를 고정하기 위한 전원저장부바디(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일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 및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USB커넥터(220)가 수용되는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 및 상기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에 삽입되는 상기 AC전원커넥터(130a)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가 삽입되는 제1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상기 메인커넥터(130)가 컴퓨터에 구비된 상기 USB슬롯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보조USB커넥터(130b)일 때,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상기 전원공급부(200)의 단말기연결핀(240), USB커넥터를 고정시키며,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가 삽입되는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바디(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구비되되, 또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USB커넥터(220)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상기 충전지(140)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 및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를 고정하기 위한 전원저장부바디(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에 삽입되는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가 삽입되는 제1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상기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구비된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AC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가 형성된 일측에는 상기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가 삽입되는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1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USB커넥터(220)가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를 기준으로 돌출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수용부(270);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공홀(211); 상기 USB커넥터(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장공홀(21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2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충전지(140)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되는 충전상태표시부(15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전원공급부(200)는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이 삽입되는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본 발명은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충전지가 구비된 전원저장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부가 전원저장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지 않아도 충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단말기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외부로부터 교류전원 또는 컴퓨터의 USB슬롯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하고자 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의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의 또 다른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의 배치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의 또 다른 배치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USB커넥터의 돌출 또는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의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의 또 다른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의 배치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의 또 다른 배치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USB커넥터의 돌출 또는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저장부(100), 전원공급부(200)로 구성된다.
도 1을 살펴보면, 전원저장부(100)는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메인커넥터(130), 충전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USB넥터삽입부(120a)는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는 전원공급부(200)가 삽입가능한 하나의 홀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커넥터(130)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장치이다. 메인커넥터(130)은 외부의 교류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AC전원커넥터 또는 컴퓨터에 구비된 USB슬롯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보조USB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는 메인커넥터(130)가 AC전원커넥터의 형태로 도시화되었지만 USB커넥터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충전지(140)는 메인커넥터(130)를 통해 공급받은 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충전지(140)는 전기의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살펴보면,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 단말기연결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USB커넥터(220)는 전원저장부(100)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되어 전원저장부(10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USB커넥터(220)는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USB슬롯에 삽입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단말기연결핀(240)은 USB커넥터(220)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단말기연결핀(240)은 단말기의 전원 공급 및 데이터를 송수신을 위해 구비된 슬롯에 삽입되는 장치이다.
한편, 메인커넥터(130)는 위의 설명과 같이 AC전원커넥터 또는 보조USB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커넥터(130)가 AC전원커넥터일 경우(실시 예1)와 보조USB커넥터로 구성될 경우(실시 예 2)로 실시 예를 분류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을 나타낸다. 도 2를 살펴보면, 실시 예 1은 전원저장부(100), 전원공급부(200),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전원저장부(100)는 전원저장부바디(110),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 AC전원커넥터(130a), 충전지(140), 충전상태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저장부바디(110)는 충전지(140)를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며, AC전원커넥터(130a)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전원저장부바디(110)는 전원저장부(100)의 밑, 윗,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는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제1커넥터삽입부(120a)는 삽입된 USB커넥터(220)로 전기를 공급한다. 제1커넥터삽입부(120b)는 전원공급부(200)의 USB커넥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제2커넥터삽입부(120b)는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제2커넥터삽입부(120b)는 삽입된 USB커넥터(220)로 전기를 공급한다. 제2커넥터삽입부(120b)는 전원공급부(200)의 USB커넥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타측에 구비된다.
AC전원커넥터(130a)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장치이다. AC전원커넥터(130a)는 제2커넥터삽입부(120b)가 구비된 일측에 플러그(plug)의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AC전원커넥터(130a)는 외부로부터 교류전원(AC전원)을 인가받아, 인가된 교류전원을 충전지(140)에 축전가능한 직류전원(DC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기(140)로 공급한다.
충전지(140)는 전원저장부 내부에 구비되며, AC전원커넥터(130a)를 통해 수신된 전기를 충전하는 장치이다.
충전상태표시부(150)는 사용자가 충전지(140)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충전상태표시부(150)는 충전지(140)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한다.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를 3개 구비하고 있어, 충전량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갯수가 차등적으로 점등된다. 발광 다이오드가 하나 발광될 경우 30% 충전, 두개 발광될 경우 60%충전, 세개 발광될 경우 100%충전과 같이 발광되는 갯수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지(140)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충전상태표시부(150)는 AC전원커넥터(130a)로부터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거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또는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에 USB커넥터(220)가 연결되었을 경우에 충전량을 발광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기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원충전부(100)를 이용할 경우에만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충전지(140)가 충전중일 경우는 붉은 색,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는 푸른 색으로 분류하여 발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충전상태표시부(150)는 위의 예시로 한정하지 않으며, 제작자에 의해 변경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와 같이, 전원공급부(200)는 전원공급부바디(210), USB커넥터(220),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 단말기연결핀(240),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바디(210)는 USB커넥터(220), 단말기연결핀(2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전원공급부바디(210)는 전원공급부(200)의 밑, 윗, 측면 4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USB커넥터(220)는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USB커넥터(220)는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USB슬롯에 삽입되거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또는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에 삽입되어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USB커넥터(220)는 USB의 표준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모델의 USB커넥터(220)는 전압 핀, 접지 핀, 양(+)의 데이터 핀, 음(-)의 데이터 핀을 포함하는 4 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USB커넥터(220)는 전압 핀을 통해 5V의 전압을 인가받는 것이 가능하다. USB커넥터(220)가 4핀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와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는 USB커넥터(220)의 4핀이 수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는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AC전원커넥터(130a)가 삽입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는 AC전원커넥터(13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홀이 이격되어 구성된다. USB커넥터(220)와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구비된 일측에 AC전원커넥터(130a)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USB커넥터(220)와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결합시 AC전원커넥터(130a)는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에 삽입이 가능해진다.
단말기연결핀(240)은 전원공급부바디(210)의 타측에 구비되며, USB커넥터(220)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300)에 공급하기 위하여 단말기(300)에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구비된 슬롯(310)에 삽입되는 장치이다. 단말기연결핀(240)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에 삽입가능한 5핀, 8핀 등으로 구성되며, 단말기(300)에 이용가능한 모든 연결핀으로 구성 가능하다.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는 단말기연결핀(240)이 구비된 일측에 구비되며, 단말기연결핀(240)이 삽입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연결핀(240)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선(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선(미도시)는 수 센치미터(cm) 또는 수 미터(m)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전송선(미도시)의 사용자에 의해 전원공급부바디(210)내부로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200)는 전송선을 감고 푸는 것이 가능한 권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권치부에 대하여는 종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단말기연결핀(240)은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고장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송선이 모두 권치부(미도시)에 감겨 있을 경우 또는 단말기연결핀(2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연결핀(24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부바디(210)에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를 구비하여, 단말기연결핀(2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말기연결핀(240)을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에 삽입하여 단말기연결핀(240)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와 같이, 단말기(300)는 단말기슬롯(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핸드폰, 스마트폰, PDA와 같은 장치이다.
단말기슬롯(310)은 전원공급부(200)의 단말기연결핀(240)이 삽입되는 장치로써, 단말기연결핀(240)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300)내에 구비된 단말기배터리(미도시)로 공급한다.
또한, 단말기슬롯(310)은 단말기(300)내에 구비된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기슬롯(310)에 삽입된 전원공급부(200)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원공급부(200)는 단말기연결핀(240)를 통해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USB커넥터(220)에 연결된 컴퓨터로 전송한다.
실시 예1과 같이,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를 통해 전원을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원저장부(100)가 구비되지 않아도 전원공급부(220)는 USB커넥터(2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연결핀(220)에 삽입된 단말기(300)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원저장부(100)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수신받을 수 있는 AC전원커넥터(130a)를 구비하고 있어 외부의 충전장치 없이 충전지(14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살펴보면, 전원저장부(100)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전원공급부(200)의 USB커넥터(220)가 삽입된다. 도 3과 같이, 전원저장부(100)와 전원공급부(200)가 연결될 경우, 전원저장부(100)는 AC전원커넥터(120a)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는다. 전원저장부(100)는 인가받은 전기를 전원저장부(100)의 충전지(140)로 공급하거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된 USB커넥터(220)로 전기를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200)는 공급받은 전기를 단말기연결핀(240)에 연결된 단말기(300)로 공급한다. 한편, 전원저장부(100)가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지 않아도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USB커넥터(220)가 삽입된 경우, 전원공급부(200)는 전원저장부(100)로부터 충전지(140)에 저장된 전기를 공급받아 단말기연결핀(240)에 연결된 단말기(300)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1의 또 다른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살펴보면, 전원저장부(100)의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에 전원공급부(200)의 USB커넥터(220)가 삽입된다. 또한, 전원공급부(200)의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에 전원저장부(100)의 AC전원커넥터(130a)가 삽입된다. 도 4의 경우,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를 통해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로부터 전원저장부(100)의 충전지(140)에 충전된 전기를 공급받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예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를 나타낸다. 도 5를 살펴보면,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는 전원저장부(100), 전원공급부(200),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전원저장부(100)는 전원저장부바디(110),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보조USB커넥터(130b), 충전지(140), 충전상태표시부(150),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저장부바디(110)는 충전지(140)를 내측으로 수용가능하며, 보조USB커넥터(130b)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조USB커넥터(130b)는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USB슬롯에 삽입되어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보조USB커넥터(130b)를 통해 공급받은 전기는 충전기(140)에 충전된다. 또한, 보조USB커넥터(130b)는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에 삽입되어 충전지(140)에 저장된 전기를 전원공급부(200)로 공급한다. 보조USB커넥터(130b)의 구조는 USB커넥터(22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160)는 보조USB커넥터(130b)가 형성된 일측에 구비되며,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이 삽입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160)은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홀이 이격되어 구성된다.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충전지(140), 충전상태표시부(150)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5를 살펴보면, 전원공급부(200)는 전원공급부바디(210), USB커넥터(220), 단말기연결핀(240),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바디(210)는 USB커넥터(220), 단말기연결핀(240),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는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 구비되며, 보조USB커넥터(130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홀을 형성된다. 또한,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는 보조USB커넥터(130b)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는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구비된 타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AC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장치이다.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는 AC전원커넥터(130a)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AC전원커넥터(130a)는 전원저장부(100)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충전지(140)에 축전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는 전원공급부(200)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기를 단말기연결핀(240)에 연결된 단말기(30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보조USB커넥터(130b)와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결합하기 위해서는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구비된 일측에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전원저장부(100)에 필요하다. 따라서 보조USB커넥터(220)와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가 결합시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는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160)에 삽입된다.
USB커넥터(220), 단말기연결핀(240),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실시 예2과 같이,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 또는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통해 전원을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원저장부(100)가 구비되지 않아도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 또는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연결핀(220)에 삽입된 단말기(300)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실시 예 2의 전원공급부(200)는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슬롯으로부터 전기를 인가받거나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어 충전 가능한 상황에 따라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살펴보면, 전원공급부(200)의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에 전원저장부(100)의 보조USB커넥터(130b)가 삽입된다.
도 6과 같이, 전원저장부(100)와 전원공급부(200)가 연결될 경우, 전원공급부(200)는 USB커넥터(2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으며, 인가받은 전기를 충전지(140)에 저장하거나 단말기연결핀(240)에 연결된 단말기(300)로 공급한다. 한편, USB커넥터(220)가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지 않아도, 전원공급부(200)는 전원저장부(100)의 충전지(140)에 축전된 전기를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를 통해 인가받아, 인가받은 전기를 단말기(300)로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2의 또 다른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살펴보면, 전원저장부(100)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전원공급부(200)의 USB커넥터(220)가 삽입된다.
도 7과 같이, 전원저장부(100)와 전원공급부(200)가 연결될 경우, 전원공급부(200)는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충전지(140)에 충전하거나 단말기연결핀(240)에 연결된 단말기(300)로 전기를 공급한다. 또한, 전원저장부(100)는 보조USB커넥터(130b)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받은 전지를 충전지(140)에 충전하거나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된 USB커넥터로 전기를 공급한다.
한편, 전원공급부(200) 또는 전원저장부(100)가 외부로부터 전기를 인가받지 않아도, 전원저장부(100)는 충전지(140)에 저장된 전기를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된 USB커넥터(220)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원공급부(200)는 전원저장부(100)의 충전지(140)에 충전된 전기를 통해 단말기(300)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USB커넥터의 돌출 또는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전원공급부(200)를 도시화한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전원공급부(200)는 수용부(270), 장공홀(211), 돌출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수용부(270)는 전원공급부바디(210)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USB커넥터(2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장공홀(211)은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돌출부(221)가 이동가능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 돌출부(221)는 USB커넥터(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단부가 장공홀(21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8과 같이, 전원공급부(200)에 수용부(270), 장공홀(211), 돌출부(221)가 구비됨으로써, USB커넥터(220)가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를 기준으로 돌출 또는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돌출부(221)를 USB커넥터(220)가 돌출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돌출부(221)가 장공홀(211)내에서 이동된 거리만큼 USB커넥터(220)는 외부로 돌출된다. 한편, USB커넥터(220)가 돌출가능한 지점까지 이동을 완료한 경우 돌출된 USB커넥터(220)가 전원공급부바디(210)내부로 쉽게 수용되지 않도록 돌출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돌출부(221)를 USB커넥터(220)가 수용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돌출부(221)가 장공홀(211)내에서 이동된 거리만큼 USB커넥터(220)는 수용부(270)로 수용된다. 한편, USB커넥터(220)가 수용가능한 지점까지 이동을 완료한 경우 수용된 USB커넥터(220)가 전원공급부바디(210)외부로 쉽게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1의 전원공급부(200)도 수용부(270), 장공홀(211), 돌출부(221)가 구비되어, USB커넥터(220)를 전원공급부바디(210)내부로 돌출 또는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전원저장부 110 : 전원저장부바디
120a : 제1USB커넥터삽입부 120b : 제2USB커넥터삽입부
130 : 메인커넥터 130a : AC전원커넥터
130b : 보조USB커넥터 140 : 충전지
150 : 충전상태표시부 160 :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
200 : 전원공급부 210 : 전원공급부바디
211 : 장공부 220 : USB커넥터
221 : 돌출부 230 : AC전원커넥터삽입부
240 : 단말기연결핀 241 : 단말기연결필삽입부
250 : 보조USB커넥터삽입부 260 : 또 다른 AC전원커넥터
270 : 수용부
120a : 제1USB커넥터삽입부 120b : 제2USB커넥터삽입부
130 : 메인커넥터 130a : AC전원커넥터
130b : 보조USB커넥터 140 : 충전지
150 : 충전상태표시부 160 :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
200 : 전원공급부 210 : 전원공급부바디
211 : 장공부 220 : USB커넥터
221 : 돌출부 230 : AC전원커넥터삽입부
240 : 단말기연결핀 241 : 단말기연결필삽입부
250 : 보조USB커넥터삽입부 260 : 또 다른 AC전원커넥터
270 : 수용부
Claims (8)
-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전원저장부(100) 및 상기 전원저장부(100)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를 단말기(300)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외부의 교류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AC전원커넥터(130a) 또는 컴퓨터에 구비된 USB슬롯에 삽입되어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보조USB커넥터(130b)로 구성되는 메인커넥터(130); 상기 전원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한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 및 상기 메인커넥터(13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충전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상기 USB슬롯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에 삽입되어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USB커넥터(220); 및 상기 USB커넥터(220)로부터 인가받은 전기를 상기 단말기(300)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300)에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구비된 슬롯(310)에 삽입되는 단말기연결핀(240);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커넥터(130)가 상기 AC전원커넥터(130a)일 때,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상기 USB커넥터(220) 및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바디(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 및 상기 AC전원커넥터(130a)가 삽입되는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커넥터(130)가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일 때,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AC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또 다른 AC전원 커넥터(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USB커넥터(220) 및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을 고정시키기위한 전원공급부바디(2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일측에는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가 삽입되는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 및 상기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가 구비되며, 또 다른 측면에는 상기 USB커넥터(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넥터(130)가 상기 AC전원커넥터(130a)일 때,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상기 충전지(140)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기 AC전원커넥터(130a) 및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를 고정하기 위한 전원저장부바디(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일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 및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와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USB커넥터(220)가 수용되는 제2USB커넥터삽입부(120b) 및 상기 AC전원커넥터삽입부(230)에 삽입되는 상기 AC전원커넥터(130a)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가 삽입되는 제1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커넥터(130)가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일 때,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상기 충전지(140)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 및 제1USB커넥터삽입부(120a)를 고정하기 위한 전원저장부바디(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USB커넥터삽입부(250)에 삽입되는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USB커넥터(220)가 삽입되는 제1USB커넥터삽입부(120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저장부(100)는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상기 보조USB커넥터(130b)가 형성된 일측에는 상기 또 다른 AC전원커넥터(260)가 삽입되는 또 다른 AC전원커넥터삽입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USB커넥터(220)가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를 기준으로 돌출 또는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수용부(270); 상기 전원공급부바디(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장공홀(211); 상기 USB커넥터(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장공홀(21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저장부바디(11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충전지(140)의 충전량을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되는 충전상태표시부(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200)는 상기 단말기연결핀(240)이 삽입되는 단말기연결핀삽입부(2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3979A KR101553325B1 (ko) | 2014-02-28 | 2014-02-28 |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3979A KR101553325B1 (ko) | 2014-02-28 | 2014-02-28 |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2284A KR20150102284A (ko) | 2015-09-07 |
KR101553325B1 true KR101553325B1 (ko) | 2015-10-06 |
Family
ID=5424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3979A KR101553325B1 (ko) | 2014-02-28 | 2014-02-28 |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332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0017Y1 (ko) | 2007-12-31 | 2008-05-20 | 김홍균 |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
KR200469779Y1 (ko) * | 2013-06-18 | 2013-11-06 | 원희진 |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
-
2014
- 2014-02-28 KR KR1020140023979A patent/KR1015533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0017Y1 (ko) | 2007-12-31 | 2008-05-20 | 김홍균 | 비상벨 기능을 구비한 유에스비 저장장치 |
KR200469779Y1 (ko) * | 2013-06-18 | 2013-11-06 | 원희진 |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2284A (ko) | 2015-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40716B2 (en) | Safety circuit for multi-function portable power charger | |
US10250056B2 (en) |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 |
JP6110956B2 (ja) | 充電変換アダプタを携帯でき且つ二次元バーコードの識別をサポートするモバイル電源 | |
JP3148046U (ja) | 携帯型給電装置 | |
US7746029B2 (en) | Battery charger with USB connector and cable storage recess | |
US20160134142A1 (en) |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 |
US20130069583A1 (en) | Power module for portable devices | |
CN107492920B (zh) | 一种通用移动电源 | |
JP2005323486A (ja) | コンピュータポートを備えた携帯式電源 | |
CA2800513A1 (en) | Power module for portable devices | |
CN111512516A (zh) |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便携式充电装置 | |
US8248029B2 (en) | Multi-functional rechargeable charger and power supply with dual direct current outputs | |
KR101567048B1 (ko) |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 |
KR200484841Y1 (ko) | 휴대 단말기용 무선 충전 장치 | |
KR101553325B1 (ko) | 단말기용 범용 전원공급장치 | |
US20160365742A1 (en) |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 |
KR200478882Y1 (ko) |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 |
US20170224028A1 (en) | Portable charging apparatus and pants that allow charging using the same | |
KR101483780B1 (ko) |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 |
KR20120007003U (ko) |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 |
JP3125314U (ja) | 充電器 | |
JP2006141187A (ja) | パワータンク | |
US20160344225A1 (en) | Wireless recharging syste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 |
JP2016116425A (ja) | 携帯機器充電器 | |
US20130038269A1 (en) | Handheld mobile electrical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