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985Y1 -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 Google Patents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985Y1
KR200439985Y1 KR2020070002989U KR20070002989U KR200439985Y1 KR 200439985 Y1 KR200439985 Y1 KR 200439985Y1 KR 2020070002989 U KR2020070002989 U KR 2020070002989U KR 20070002989 U KR20070002989 U KR 20070002989U KR 200439985 Y1 KR200439985 Y1 KR 200439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drainage
cross
main body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재
박수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동해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동해인텍(주)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2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9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3/0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 B63B83/40Rebuilding or retrofitting vessels, e.g. retrofitting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for reducing risks of pollution or contamination; for improving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를 가지는 지지바아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의 중앙을 지지바아의 중앙에 고정볼트로 고정시켜서 된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30)를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로 형성하여 이 지지바아(30)의 양단 전둘레가 본체의 내벽에 용접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녹발생이 불가피하게 지지바아를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지지바아를 전둘레 용접이 가능한 단면구조 즉,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를 갖게함으로써 녹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재작업이 없이 도장 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Reducer type scupper for vesse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배출용배수구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배출용배수구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평면구성도
도 5는 종래 물배출용배수구의 단면구성도
도 6은 종래 오일배출용배수구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다공판
21 : 배수공 30 : 지지바아
40 : 스톱퍼 50 : 고정볼트
본 고안은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실 외부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배수구(REDUCER TYPE SCUPPER)의 지지바아를 전둘레 용접이 가능한 구조로 개량 적용함으로써 배수구의 녹 방지는 물론 재작업이 없이 도장 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박의 선실에서는 물 또는 오일의 선택적인 배출을 위해 도 5 또는 도 6에서와 같은 배수구를 설치하게 된다.
먼저 물배출용배수구의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본체(1)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를 가지는 지지바아(3)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1)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아(3)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2')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2)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2)의 중앙을 지지바아(3)의 중앙에 고정볼트(4)로 고정시킨 구조로 제공되며 도 6에 도시된 오일배출구용 배수구 역시 다공판(2)에 형성된 배수공(2')의 크기를 달리할 뿐 기본적인 구성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공판(2)의 지지를 위해 제공되는 지지바아(3)의 경우 양 끝 상부에는 용접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지만 하부에는 용접을 실시하기가 어려워 그대로 도장작업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비용접 부위로부터 녹이 점차 발생됨에 따라 상기 발생된 녹을 제거한 다음 다시 도장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공판(2)이 흔들리지 않도록 본체(1)의 내벽에 부착되는 지지바아(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는 스톱퍼(4) 역시 통상 두께가 6T인 부재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바아(3)와 마찬가지로 하부에는 용접이 되지 않아 녹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선실 외부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배수구(REDUCER TYPE SCUPPER)의 지지바아를 전둘레 용접이 가능한 구조로 개량 적용함으로써 배수구의 녹 방지는 물론 재작업이 없이 도장 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를 가지는 지지바아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의 중앙을 지지바아의 중앙에 고정볼트로 고정시켜서 된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30)를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로 형성하여 이 지지바아(30)의 양단 전둘레가 본체의 내벽에 용접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배출용배수구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배출용배수구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구성도를 나타낸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S는 슬리브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본체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를 가지는 지지바아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의 중앙을 지지바아의 중앙에 고정볼트로 고정시켜서 된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30)를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지지바아(30)를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로 형성하여 이 지지바아(30)의 양단 전둘레가 본체의 내벽에 용접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공판(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본체(10)의 내벽에 부착되는 지지바아(3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는 스톱퍼(40) 역시 녹발생 억제를 위해 하부 용접이 가능하도록 그 두께를 기존의 6T에서 4T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배출용 배수관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오일배출용 배수구의 경우 목적에 따라 다공판(20)에 형성된 배수공(21)의 크기를 달리할 뿐 기본적인 구성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에 물배출용 배수관 만을 기준으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본체(10)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지지바아(30)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10)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아(30)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21)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20)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20)의 중앙을 지지바아(30)의 중앙에 고정볼트(40)로 고정하게 된다.
다만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녹발생이 불가피하게 지지바아(30)를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지지바아(30)를 전둘레 용접이 가능한 단면구조 즉,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를 갖게함으로써 녹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바아(30)를 역삼각 단면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지지바아(30)의 양 끝 상부는 물론 양측면만을 간단히 용접하는 것으로 지지바아(30)의 전둘레 용접이 가능하여 녹 방지는 물론 재작업이 없이 도장 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녹발생이 불가피하게 지지바아를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지지바아를 전둘레 용접이 가능한 단면구조 즉,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를 갖게함으로써 녹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재작업이 없이 도장 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가 상광하협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 안쪽에 직사각(SQUARE) 단면구조를 가지는 지지바아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의 내벽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물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상면에 형성된 다공판이 안착되어 상기 다공판의 중앙을 지지바아의 중앙에 고정볼트로 고정시켜서 된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30)를 역삼각(INVERTED TRIANGLE) 단면구조로 형성하여 이 지지바아(30)의 양단 전둘레가 본체의 내벽에 용접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다공판(20)이 흔들리지 않도록 본체(10)의 내벽에 부착되는 지지바아(30)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는 스톱퍼(40) 역시 녹발생 억제를 위해 하부 용접이 가능하도록 그 두께를 기존의 6T에서 4T로 얇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2020070002989U 2007-02-21 2007-02-21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200439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989U KR200439985Y1 (ko) 2007-02-21 2007-02-21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989U KR200439985Y1 (ko) 2007-02-21 2007-02-21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985Y1 true KR200439985Y1 (ko) 2008-05-19

Family

ID=4163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989U KR200439985Y1 (ko) 2007-02-21 2007-02-21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98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80B1 (ko) 2011-02-1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 시스템
KR20130010920A (ko) * 2011-07-20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관실 데크 설치용 스쿠퍼와 그 제조방법
KR101506534B1 (ko) * 2013-10-21 2015-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수구 조립체
KR101549631B1 (ko) * 2013-09-06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2013727B1 (ko) 2018-05-31 2019-08-23 김수홍 오일용 배수구 조립체
KR102013723B1 (ko) 2018-05-02 2019-08-23 김수홍 배수구 조립체
KR102013725B1 (ko) 2018-05-31 2019-08-23 김수홍 배수구 조립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380B1 (ko) 2011-02-1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수 시스템
KR20130010920A (ko) * 2011-07-20 2013-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관실 데크 설치용 스쿠퍼와 그 제조방법
KR101717902B1 (ko) 2011-07-20 2017-03-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관실 데크 설치용 스쿠퍼와 그 제조방법
KR101549631B1 (ko) * 2013-09-06 2015-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506534B1 (ko) * 2013-10-21 2015-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수구 조립체
KR102013723B1 (ko) 2018-05-02 2019-08-23 김수홍 배수구 조립체
KR102013727B1 (ko) 2018-05-31 2019-08-23 김수홍 오일용 배수구 조립체
KR102013725B1 (ko) 2018-05-31 2019-08-23 김수홍 배수구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9985Y1 (ko)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JP6495620B2 (ja) 組立建物
JP2014005662A (ja) 逆流防止弁
KR101236829B1 (ko) 배수관용 로즈 플레이트 유닛
KR20150058553A (ko) 가스 흡수탑, 가스 흡수탑의 제조 방법 및 선박
KR200439464Y1 (ko)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JP2013224543A (ja) 槽体と排水器の接続構造
KR101506534B1 (ko) 배수구 조립체
JP2016017327A (ja) 防音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防音パネル
KR200449443Y1 (ko) 보텀 플러그 부착용 지그장치
KR101556185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용 희생양극 조립체
JP6397260B2 (ja) 合流ます
JP2007331507A (ja) 魚群探知機用振動子の取付構造
JP6318384B2 (ja) 遮水装置
JP6405280B2 (ja)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管路
US20170073955A1 (en) Storm drain system
KR101205380B1 (ko) 배수 시스템
JP2017089326A (ja) 貯留槽、及び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
JP5702612B2 (ja) 支柱キャップ及び防護柵
KR20110064655A (ko) 배출수 비산방지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갑판의 배수구조체
KR20110066662A (ko) 청수 탱크용 필링 커넥터
KR200444255Y1 (ko) 개방형 알루미늄 박스 족장판
JP2010159572A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1177833B1 (ko) 벨 마우스 하부 보강 구조체
KR102013727B1 (ko) 오일용 배수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