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94U -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94U
KR20200000794U KR2020180004635U KR20180004635U KR20200000794U KR 20200000794 U KR20200000794 U KR 20200000794U KR 2020180004635 U KR2020180004635 U KR 2020180004635U KR 20180004635 U KR20180004635 U KR 20180004635U KR 20200000794 U KR20200000794 U KR 202000007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washing water
pipe
ship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932Y1 (ko
Inventor
박정웅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4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3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705/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가스 정화장치(EGCS; Exhaust Gas Cleaning System)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해 선측에 설치되는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식성 재질의 부품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선측에 장착함으로써 세척수의 특유의 조건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세척수가 선체 밖으로 배출되도록 선측벽에 장착되는 선측 배출장치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연장된 세척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선측 내부에서 선측벽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부 배출관과, 선측 외부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내부 배출관과 체결되는 외부 배출관과, 외부 배출관의 내부에 형성되어 선측 밖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방향으로 제어하는 유동장애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Shipside Drainage Apparatus Of EGCS Washing Water}
본 고안은 배기가스 정화장치(EGCS; Exhaust Gas Cleaning System)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선체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선측에 설치하는 선측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식성 재질의 부품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선측에 장착함으로써 세척수의 특유 조건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선박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PH 2.5 정도의 강산성 유체이다.
이와 같은 강산성의 세척수를 해상에 배수함에 있어서, 해양오염의 방지 및 해양 생물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측에 형성된 배수구에서 4m 떨어진 지점에서의 산성 농도가 최소 6.5를 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선측에 배수구를 형성하고 배수구를 통해 세척수를 해양으로 배수함에 있어 상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세척수의 방향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유동장애물(bluff body)을 배수구에 설치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선측에는 EGCS 세척수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배출구(1)가 형성된다.
복수의 배출구(1)는 선측에 형성되며, 배출구(1)를 통해 세척수가 해양으로 배출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구(1)에서 4m 지점에서 PH 6.5를 넘지 않도록 배출구(1)에는 유동장애물(bluff body)(10)이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구(1)를 통해 배출된 세척수가 해양에서 희석되기 쉽도록 유동장애물(10)는 그 유체 유동방향이 인접한 배출구(1)에 장착된 유동장애물(10)의 유체 유동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각 배출구(1)에 장착된 유동장애물(10)은 세척수가 해양에 분산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갖는다.
만약 인접한 배출구(1)에서 유동장애물에 의해 유도된 세척수의 방향이 모두 같을 경우 희석률은 떨어지게 되고, 결국 PH 6.5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배출구(1)에 장착된 유동장애물(10)은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유동장애물(10)의 구성에 의해 세척수가 분산 희석되어 상기 PH 6.5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해양에 배출되기 이전의 세척수는 강산성임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유동장애물(10)은 일반 강(steel)으로 제작되며 배출구(1)에 장착한 경우, 산성의 세척수에 의한 강(steel)의 부식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동장애물(10)을 스테인리스강의 재질로 구성하여 배출구(1)에 용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종 재질에 따른 용접 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세척수 배출구를 형성하고 유동장애물을 장착하는 작업 자체가 어렵고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5663호(공개일; 2015.07.06)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배출관과 유도장애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선체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세척수가 선체 밖으로 배출되도록 선측벽에 장착되는 선측 배출장치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연장된 세척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선측 내부에서 선측벽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내부 배출관과, 선측 외부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내부 배출관과 체결되는 외부 배출관과, 외부 배출관의 내부에 형성되어 선측 밖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방향으로 제어하는 유동장애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측벽의 관통공에는 관통관이 삽입 고정되고, 관통공의 양측에서 끼워진 내부 배출관과 외부 배출관이 관통관의 안쪽에서 상호 조립되며, 내부 배출관과 외부 배출관의 단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배출관의 일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부 배출관의 타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내부 배출관과 외부 배출관이 나사 체결됨에 있어 내부 배출관의 플랜지와 외부 배출관의 플랜지에 관통관의 양단이 접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관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세척수 배출관의 플랜지의 사이에 내부 배출관의 플랜지가 개재되어 볼트에 의해 상호 체결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배출관, 외부 배출관 및 유동장애물은 내식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배출관, 외부 배출관 및 유동장애물은 테플론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배출관과 외부 배출관 또는 외부 배출관과 유동장애물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는 구성요소들을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하여 강산성의 세척수에 의한 부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요소를 제작하여 상호 조립하는 구성을 갖게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이종 재질의 용접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의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100)는 선측벽(3)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며 상호 체결되어 선측벽(3)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선측벽(3)에 형성된 관통공(3H)에 삽입되며 일측에 플랜지(30F)가 형성된 관통관(30)과, 선측 내부에서 선측벽(3)에 형성된 관통관(30)에 삽입되는 내부 배출관(110) 및 선측 외부에서 관통관(30)에 삽입되어 내부 배출관(110)과 체결되는 외부 배출관(120)으로 구분되며, 외부 배출관(120)에는 유동장애물(bluff body)(130)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선측 배출장치(100) 즉,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 및 유동장애물(130)은 내식성이 우수한 테플론(Teflon)으로 제작된 부품들로 내산성을 갖고 있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100)의 내부 배출관(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플론 재질로서, 일측에는 플랜지(110F)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나사부(113)가 형성된다. 내부 배출관(110)의 플랜지(110F)에는 암나사공(110T)들이 원주를 따라 등각으로 형성된다.
외부 배출관(120)은 일측에 내부 배출관(110)의 수나사부(113)가 나사 체결되도록 암나사부(121)가 형성되며 외부 배출관(120)의 내부에는 유동장애물(130)이 형성된다.
외부 배출관(120)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테플론(Teflon) 재질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배출관(110)이 선측벽(3)의 내측에 그리고 외부 배출관(120)이 선측벽(3)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선측벽(3)의 관통공(3H)에 삽입 고정된 관통관(30)의 안쪽에서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121)가 나사체결되며, 이 경우, 내부 배출관(110)의 플랜지(110F)는 세척수 배출관(20)의 플랜지(20F)와 관통관(30)의 플랜지(30F)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접하게 된다. 즉 수나사부(113)와 암나사부(121)가 나사 체결됨에 있어 내부 배출관(110)와 외부 배출관(120)의 각 플랜지(110F, 120F)의 사이에 관통관(30)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호 접해 위치하는 내부 배출관(110)의 플랜지(110F)와 관통관(30)의 플랜지(30F) 및 세척수 배출관(20)의 플랜지(20F)에 형성된 볼트 홀에 볼트(110T)가 삽입되어 너트 체결됨으로써, 세척수 배출관(20)과 내부 배출관(110)이 연결되며, 세척수 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을 통해 선체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세척수는 외부 배출관(120)에 형성된 유동장애물(130)에 의해 흐름 방향이 유도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측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배출관(120)들의 유동장애물(130)의 방향이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각 선측 배출장치(100)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방향이 한 쪽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방사형태로 분산된다.
따라서 세척수가 선측 배출장치를 통해 선박 밖으로 배출되어 4m 떨어진 지점에서의 산성 농도가 최소 6.5를 넘지 않도록 해수와 함께 희석된다.
또한, 선측 배출장치(100) 전체가 내식성이 우수한 테플론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강산성의 세척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며 또한 종래와 같이 이종재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에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이 나사 체결되기 위해 내부 배출관(110)에 수나사부(113)가 형성되고, 외부 배출관(120)에 암나사부(121)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내부 배출관에 암나사부 그리고 외부 배출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체결될 수 있으며, 나사체결 외에 다른 체결부재 등을 사용하여 선측벽의 내부에 위치한 내부 배출관과 선측벽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배출관을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선측 배출장치의 재질을 테플론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식성이 우수한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이종 재질의 용접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재질이면 만족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선측벽에 형성된 관통공(3H)에 관통관(30)을 삽입 고정하고, 관통관(30)의 안쪽에서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이 조립됨에 따라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의 길이를 관통관(30)의 길이에 맞춰 설계할 수 있다. 즉 선측벽(3)이 각 선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관통관(30)을 선측벽(3)에 고정함으로써, 관통관(30)의 길이를 기준으로 내부 배출관(110)의 길이 및 외부 배출관(120)의 길이 등의 조건이 정형화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이 관통관(30)의 안쪽에서 나사 체결되며, 유동장애물(130)과 외부 배출관(120)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드 등의 접착제로 상호 접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3 : 선측벽
20 : 세척수 배출관
30 : 관통관
100 :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110 : 내부 배출관
110F : 플랜지
110T : 볼트
113 : 수나사부
120 : 외부 배출관
120F : 플랜지
121 : 암나사부
130 : 유동장애물
30 : 관통관
30F : 플랜지

Claims (7)

  1.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세척수가 선체 밖으로 배출되도록 선측벽에 장착되는 선측 배출장치로서,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 연장된 세척수 배출관(20)과 연결되며 선측 내부에서 선측벽(3)에 형성된 관통공(3H)에 삽입되는 내부 배출관(110)과,
    선측 외부에서 상기 관통공(3H)에 삽입되어 내부 배출관(110)과 체결되는 외부 배출관(120)과,
    외부 배출관(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선측 밖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방향으로 제어하는 유동장애물(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측벽(3)의 관통공(3H)에는 관통관(30)이 삽입 고정되고,
    관통공(30)의 양측에서 끼워진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이 관통관(30)의 안쪽에서 상호 조립되며,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의 단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수나사부(113)가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암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 배출관(110)의 일단에는 플랜지(110F)가 형성되고, 외부 배출관(120)의 타단에는 플랜지(120F)가 형성되며,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이 나사 체결됨에 있어 내부 배출관(110)의 플랜지(110F)와 외부 배출관(120)의 플랜지(120F)에 관통관(30)의 양단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관통관(30)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30F)와 세척수 배출관(20)의 플랜지(20F)의 사이에 내부 배출관(110)의 플랜지(110F)가 개재되어 볼트(110T)에 의해 상호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배출관(110), 외부 배출관(120) 및 유동장애물(130)은 내식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 배출관(110), 외부 배출관(120) 및 유동장애물(130)은 테플론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내부 배출관(110)과 외부 배출관(120) 또는 외부 배출관(120)과 유동장애물(130)은 접착제에 의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KR2020180004635U 2018-10-11 2018-10-11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KR200495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35U KR200495932Y1 (ko) 2018-10-11 2018-10-11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35U KR200495932Y1 (ko) 2018-10-11 2018-10-11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94U true KR20200000794U (ko) 2020-04-21
KR200495932Y1 KR200495932Y1 (ko) 2022-09-26

Family

ID=7045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35U KR200495932Y1 (ko) 2018-10-11 2018-10-11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587B1 (ko) * 2020-10-22 2021-07-1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75588B1 (ko) * 2020-10-22 2021-07-1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84118B1 (ko) * 2020-08-25 2021-08-0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EP4237670A4 (en) * 2020-10-30 2024-06-05 Maersk As WASHER OUTLET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63A (ko) 2013-12-26 2015-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배기가스 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663A (ko) 2013-12-26 2015-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배기가스 정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118B1 (ko) * 2020-08-25 2021-08-0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75587B1 (ko) * 2020-10-22 2021-07-1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KR102275588B1 (ko) * 2020-10-22 2021-07-12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선외 배출수 확산장치
EP4237670A4 (en) * 2020-10-30 2024-06-05 Maersk As WASHER OUTL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32Y1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794U (ko) Egcs 세척수의 선측 배출장치
US9261215B2 (en) Coupling
EA201590182A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200439985Y1 (ko)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101246906B1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JP4871327B2 (ja) 更生管用のセグメント
US11415258B2 (en) Pipeline plug
JP6221998B2 (ja) フィルタ
KR20190016641A (ko) 상수도용 배관 플랜지구조
JP2012012798A (ja) 鋼製梁の貫通孔用補強部材およびその貫通孔補強構造
CN104956037B (zh) 连接配管及蒸汽涡轮系统
JP2007063908A (ja) 排水管継手
KR102137228B1 (ko) 부식방지가 가능한 복합관
WO2011016477A1 (ja) 海水淡水化装置
JP2008303626A (ja) 排水ヘッダー
KR102562942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용 조립식 일체형 부력관 모듈
KR100722246B1 (ko) 익스팬션죠인트의 벨로우즈 보강용 콘트롤링
KR200439464Y1 (ko) 선박의 선실 외부 배수용 배수구
KR20140000315U (ko) 선박용 배관고정장치
JP6781052B2 (ja) 下水道用流出管装置
KR100864707B1 (ko) 배관연결장치
CN220566768U (zh) 一种不锈钢波纹管
KR101992423B1 (ko) 결합력 향상된 상수도 배관용 플랜지구조
KR200253949Y1 (ko)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JP2011179605A (ja) 伸縮継手及び伸縮継手の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