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949Y1 -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 Google Patents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949Y1
KR200253949Y1 KR2020010023947U KR20010023947U KR200253949Y1 KR 200253949 Y1 KR200253949 Y1 KR 200253949Y1 KR 2020010023947 U KR2020010023947 U KR 2020010023947U KR 20010023947 U KR20010023947 U KR 20010023947U KR 200253949 Y1 KR200253949 Y1 KR 200253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pipe
composite
coupling fla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균
Original Assignee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23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94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반달형 하수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연결관은 하수관을 연결하는 경우 작업 공간이 좁은 공간이나 급커브 구간의 이음매에 사용되고 녹 발생이 전혀 없으며, 특히 환경 오염이 전혀 없는 구조로 형성된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관이 90°각도로 절곡되는 부위에 사용되는 하수 연결관 구조에 있어서,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1이 형성되고, 그 결합 플랜지1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합재 반달형관1;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칭되는 구조로 체결되는 한편,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2가 형성되고, 그 결합 플랜지2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합재 반달형관2;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과 복합재 반달형관2는 결합 플랜지1과 결합 플랜지2가 밀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내측에서 외측으로 누수를 방지시키는 접합 플랜지 고무개스킷;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과 복합재 반달형관2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직관으로 설치되는 하수관을 고정시키는 연결링 고무개스킷; 및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의 결합 플랜지1에 형성된 관통홀과 복합재 반달형관2의 결합 플랜지2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일체 구조로 형성시키며,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으로 형성되어 부식의 염려가 없는 결합 볼트로 구성된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JACKET STRUCTURE OF SEMICIRCULAR DRAIN CONNECT PIPE}
본 고안은 반달형 하수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연결관은 하수관을 연결하는 경우 작업 공간이 좁은 공간이나 급커브 구간의 이음매에 사용되고 녹 발생이 전혀 없으며, 특히 환경 오염이 전혀 없는 구조로 형성된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직관이 설치되다가 작업 공간이 좁은 공간이나 급커브 구간에서 하수관을 90°각도로 절곡하는 경우에 하수 연결관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의 하수 연결관이 급커브 구간에 설치되는 경우 시공을 주위하여야 한다.
이때 시공되는 하수 연결관은 콘크리트 흄관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관이 급커브 구간에서 연결관으로 설치된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하수관이 급커브 구간에서 하자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수관1(10)이 90°각도로 절곡되어 하수관2(30)와 연결되는 경우, 그 사이에 다수개의 하수 연결관(20)이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의 하수관1(10), 하수 연결관(20) 및 하수관2(30)에는 그 측면에 유동이 없도록 다짐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하수 연결관은 이음부(B)가 시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하수관로를 흐르는 유속이나 하수관로의 하부에서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이음부(B)가 벌어지거나 구부러져 누수 현상이 발생되며, 그로인해 하수관로의 이음부에서는 토양이 오염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제작 시공이 간단하고 콘크리트 흄관, PE관 및 철관에도 연결이 가능하며, 특수고무 개스킷과 고강도 스텐볼트로 고안되는 관계로 녹 발생이나 변질의 염려가 없으며, 유리 섬유와 강화 플라스틱으로 고안되어 반영구적이고 안전한 구조를 가지는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수관이 90°각도로 절곡되는 부위에 사용되는 하수 연결관 구조에 있어서,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1이 형성되고, 그 결합 플랜지1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합재 반달형관1;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칭되는 구조로 체결되는 한편,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2가 형성되고, 그 결합 플랜지2에 관통홀이 형성된 복합재 반달형관2;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과 복합재 반달형관2는 결합 플랜지1과 결합 플랜지2가 밀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내측에서 외측으로 누수를 방지시키는 접합 플랜지 고무개스킷;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과 복합재 반달형관2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직관으로 설치되는 하수관을 고정시키는 연결링 고무개스킷; 및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의 결합 플랜지1에 형성된 관통홀과 복합재 반달형관2의 결합 플랜지2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일체 구조로 형성시키며,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으로 형성되어 부식의 염려가 없는 결합 볼트로 구성된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관이 급커브 구간에서 연결관으로 설치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하수관이 급커브 구간에서 하자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분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연결링 고무 개스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중 복합재 반달형관이 적층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복합재 반달형관1 52 : 결합 플랜지1
54,60 : 관통홀 56 : 복합재 반달형관2
58 : 결합 플랜지2 62 : 이음부
64 : 연결링 고무 개스킷 66 : 접합 플랜지 고무 개스킷
68 : 결합 볼트 70 : 왁스층
72 : 수지 분사층1 74 : 유리 섬유층
76 : 수지 분사층2 78 : 로빙 크로스층
80 : 수지 분사층3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사시도로서, 복합재 반달형관1(50)에는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1(52)이 형성되고, 복합재 반달형관2(56)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 플랜지2(58)가 형성되고, 이때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과 복합재 반달형관2(56)는 결합 플랜지1(52)과 결합 플랜지2(58)가 밀착된 상태에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제품인 결합 볼트(68)가 체결된다.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과 복합재 반달형관2(56)에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이음부(62)에 연결링 고무개스킷(64)이 삽입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결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의 연결링 고무 개스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의 결합 플랜지1(52)에 형성된 관통홀(54)과 복합재 반달형관2(56)의 결합 플랜지2(58)에 형성된 관통홀(60)에는 결합 볼트(62)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의 결합 플랜지1(50)과 결합 플랜지2(56)의 사이에는 접합 플랜지 고무개스킷(66)이 삽입되고,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과 복합재 반달형관2(56)에는 이음부(62)에 연결링 고무개스킷(64)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 볼트(68)가 체결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의 연결링 고무개스킷(64)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중 복합재 반달형관이 적층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2를 제조시 왁스층(70)이 적층되고 상기의 왁스층(70)의 상부에 수지 분사층1(72)이 적층되며, 상기의 수지 분사층1(72)의 상부에 유리 섬유층(74)이 적층되고 상기의 유리 섬유층(74)의 상부에 수지 분사층2(76)가 적층되며, 상기의 수지 분사층2(76)의 상부에 로빙 크로스층(78)이 적층되고 상기의 로빙 크로스층(78)의 상부에 수지 분사층3(80)이 적층된다.
상술한 설명과 같이,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과 복합재 반달형관2(56)는 왁스층(70), 수지 분사층1(72), 유리 섬유층(74), 수지 분사층2(76), 로빙 크로스층(78) 및 수지 분사층3(80)이 적층다짐되어 반달형관 구조로 제작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는, 작업 공간이 좁은 공간이나 급커브 구간의 이음매에 제작 시공이 간단하고 복합재료로 제작된 복합재 반달형관1,2와 서스 제품으로 제작된 결합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관계로 녹 발생이 전혀 없어 환경 오염이 전혀 없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하수관이 90°각도로 절곡되는 부위에 사용되는 하수 연결관 구조에 있어서,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1(52)이 형성되고, 그 결합 플랜지1(52)에 관통홀(54)이 형성된 복합재 반달형관1(50);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칭되는 구조로 체결되는 한편, 양측 폭방향으로 각각 결합 플랜지2(58)가 형성되고, 그 결합 플랜지2(58)에 관통홀(60)이 형성된 복합재 반달형관2(56);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과 복합재 반달형관2(56)는 결합 플랜지1(52)과 결합 플랜지2(58)가 밀착되는 경우 그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내측에서 외측으로 누수를 방지시키는 접합 플랜지 고무개스킷(66);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과 복합재 반달형관2(56)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직관으로 설치되는 하수관을 고정시키는 연결링 고무개스킷(64); 및 상기의 복합재 반달형관1(50)의 결합 플랜지1(52)에 형성된 관통홀(54)과 복합재 반달형관2(56)의 결합 플랜지2(58)에 형성된 관통홀(60)을 관통하여 일체 구조로 형성시키며, 스테인레스 스틸 제품으로 형성되어 부식의 염려가 없는 결합 볼트(68)로 구성된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KR2020010023947U 2001-08-07 2001-08-07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KR200253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47U KR200253949Y1 (ko) 2001-08-07 2001-08-07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47U KR200253949Y1 (ko) 2001-08-07 2001-08-07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949Y1 true KR200253949Y1 (ko) 2001-11-22

Family

ID=7306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947U KR200253949Y1 (ko) 2001-08-07 2001-08-07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9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53949Y1 (ko) 반달형 하수 연결관 자켓 구조
KR200399662Y1 (ko) 맨홀 접속장치
CN109084105A (zh) 钢筋混凝土推进管环槽型接头连接结构
KR200389373Y1 (ko) 콘크리트 수로관
KR100671790B1 (ko) 신축밴드와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시설물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KR100522142B1 (ko) 지중 하수관 및 가지관의 결속구조
KR20035926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191989Y1 (ko) 이중 피이 시이트피복 파형강관의 플랜지 접합구조
KR20050120232A (ko) 조립형 이음관
KR200358863Y1 (ko) 습지지역 누수방지용 맨홀 구조물 접합구조
KR200413615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 곡선 설치 구조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261913Y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곡선 하수관
KR200203424Y1 (ko) 하수관 연결구
KR20030060559A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947851B1 (ko) 교량 배수시설용 배수관 조립체
CN210240819U (zh) 装配式钢筋混凝土管道
KR200203034Y1 (ko) 파형강관용 커플링 구조
KR200411384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CN210739637U (zh) 一种给排水管连接装置
KR200179201Y1 (ko) 개거 수로관용 연결장치
KR200265417Y1 (ko) 도로의 교차로 하부에 사용되는 십자형 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