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923Y1 - 손걸레 - Google Patents
손걸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923Y1 KR200439923Y1 KR2020070007010U KR20070007010U KR200439923Y1 KR 200439923 Y1 KR200439923 Y1 KR 200439923Y1 KR 2020070007010 U KR2020070007010 U KR 2020070007010U KR 20070007010 U KR20070007010 U KR 20070007010U KR 200439923 Y1 KR200439923 Y1 KR 2004399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p
- support member
- cushion
- hand
- cushion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 거울, 차량의 외부와 내부, 가정에서 방바닥 또는 기타 물건 등을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손걸레에 관한 것으로,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쿠션부와, 쿠션부의 관통공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화살형상의 끼움돌기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와, 쿠션부에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는 다수개의 걸레로 구성된 것으로써, 손걸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부에 걸레를 감을 경우, 각각의 걸레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가 다른 걸레의 층진 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가지런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쿠션부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찍어낸 프레임을 걸레 규격에 따라 그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손걸레에 관한 것이다.
쿠션부, 걸레, 상부 지지부재, 하부 지지부재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손걸레를 나타내는 유연막대부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손걸레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c는 유연막대부에 걸레가 감겨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와 상하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재의 절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손걸레가 감겨진 상태의 사시도,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손걸레가 감겨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2실시예,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걸레 10 : 쿠션부
10a : 관통공 21 : 상부 지지부재
21a : 끼움공 22 : 하부 지지부재
22a : 끼움돌기 30 : 절취선
40 : 걸레
본 고안은 유리, 거울, 차량의 외부와 내부, 가정에서 방바닥 또는 기타 물건 등을 청소하는데 사용하는 손걸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쿠션부와, 쿠션부의 관통공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화살형상의 끼움돌기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와, 쿠션부에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는 다수개의 걸레로 구성된 것으로써, 손걸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부에 걸레를 감을 경우, 각각의 걸레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가 다른 걸레의 층진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가지런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청소시 걸리적거리지 않는 장점이 있고, 손 걸레 사용시에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일면에만 묻게 되어 사용하지 않은 걸레의 다른면을 사용할 경우 깨끗한 상태로 걸레질이 가능하며, 또한 쿠션부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찍어낸 프레임을 걸레 규격에 따라 그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손걸레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걸레는 통상적으로 오래된 수건이나 옷 등을 잘라 사용하는 손걸레와, 막대기로 이루어진 자루의 하단부에 천이나 부직포를 부착시켜 사용하는 밀대 걸레가 있다.
밀대걸레는 바닥에 엎드려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좋으나 집안 구석구석 그리고 책상 TV 가구등을 닦아야 하는 가정에서 사용하기는 적합하지 않다.
손걸레를 사용할 때는 오래된 수건 등을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접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최근에는 물의 흡수성이 좋은 면섬유 위에 스펀지 내피를 차례로 겹친 상태에서 외주면을 재봉질하여 제작한 것이 있다.
이러한 손걸레로 방이나 물건 등을 닦지만 손걸레는 손에 쥘 수 있는 크기로 접었을 때 힘을 받기 위해서 걸레의 대부분을 손에 쥐고 있어야 하므로 실제로 닦아야 할 부분과 걸레의 접촉면은 넓지 않다. 그리고 형태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손에 쥐어야 하므로 손아귀에 힘이 많이 들며 걸레의 모든 면을 활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종래의 손 걸레(등록번호20-039927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은 종래의 손걸레를 나타내는 유연막대부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손걸레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c는 유연막대부에 걸레가 감겨진 상태의 사시도로써, 손걸레는 경질의 막대프레임이 유연재질부에 내장되어 형성되는 유연막대부(100)와, 유연막대부(100)와 일체로 중앙부가 고정되고, 양단부는 서로 결합시켜 이음부(250)를 형성하는 루프걸레부(200)와, 루프걸레부(200)의 반대편에서 유연막대부(100)에 고정되어 양단이 결합된 루프걸레부(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걸레부(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유연막대부(100)의 막대프레임은 경질의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으로 구분되고, 유연재질부는 단면이 반원인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로 각각 나뉘어 상부 프레임(130)은 상부몸체(110)에 삽입되고 하부 프레임(140)은 하부몸체(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으로 서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부 프레임(13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홀(160)과 결합홀(160)에 끼워지도록 하부 프레임(140)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70)로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손걸레는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이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에 삽입된 상태로 각 결합홀(160)에 결합돌기(17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홀(160)과 결합돌기(170)는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하였으나, 단순히 구멍에 돌기를 끼우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결합홀(160)에서 결합돌기(170)가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의 구성에 루프걸레부(200)와 추가걸레부(300)가 봉제부착된 손걸레를 가지고 방바닥, 가재도구, 거울,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 등을 청소하거나, 청소 후 더러워진 손걸레를 세척할 경우 유연막대부(100)에 힘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결합홀(160)에서 결합돌기(170)가 쉽게 빠지게 되어 그때마다 다시 맞춰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더 나아가 제품의 완성도도 떨어져 제품과 제품을 만드는 회사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와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이 삽입된 후의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절개부(150)는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유연막대부(10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유연막대부(100)는 구성과 그에 따른 조립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손걸레의 유연막대부(100)는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가 분리된 상태에서 절개부(150)로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을 끼워넣어 결합한 후, 절개부(150)를 접착제로 고정밀폐시키는 과정과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구성에 따른 생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몸체(110)와 하부몸체(120)의 절개부(150)로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이 각각 소정깊이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때 상하부 프레임(130,140)이 절개부(150)에 소정깊이 들어간 상태에서 상호 결합이 이루어져 상하부 몸체(110,120)를 잡아주는 면적이 그만큼 줄어드므로 상하부 프레임(130,140) 이 설치되지 않는 다른 양측면의 쿠션 반력이 떨어지게 되어 청소시 바닥면과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먼지가 깨끗히 닦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걸레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하부 프레임(130,140)을 각각 제작·생산함으로써, 그에 따른 막대한 금형비용이 들어가게 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루프걸레부(20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다 사용하여 더러워지면, 유연막대부(100)를 루프걸레부(200)의 안으로 집어넣어 뒤집은 다음 루프걸레부(200)의 다른 면을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루프걸레부(200)는 양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이음부(25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루프걸레부(200)의 다른 면을 사용하기 위해 뒤집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추가 걸레부(300)를 사용하기 위해서 유연막대부(100)에 루프걸레부(200)와 추가걸레부(300)를 감았을 경우, 각각의 걸레부(200,300)는 층을 이루며 유연막대부(100)에 감겨지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시 층지게 형성된 걸레(200)가 걸리적거려 청소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손걸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쿠션부와, 쿠션부의 관통공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화살형상의 끼움돌기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와, 쿠 션부에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는 다수개의 걸레로 구성된 것으로써, 손걸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는 손걸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에 걸레를 감을 경우, 각각의 걸레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가 다른 걸레의 층진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가지런하게 보이도록 한 손걸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찍어낸 프레임을 걸레 규격에 따라 그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손걸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쿠션부와;
쿠션부의 관통공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과 끼움돌기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 하부 지지부재와;
쿠션부에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는 다수개의 걸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며,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쿠션부와 상하부프레임의 사시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상하부 지지부재의 절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손걸레가 감겨진 상태의 사시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손걸레가 감겨지는 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막대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10a)을 갖는 쿠션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10)는 전체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10)의 관통공(10a)에 결합수단(20)이 상·하로 각각 끼워져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가 결합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는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갖으며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상기 쿠션부(10)의 관통공(10a)에 대응되도록 결합수단(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지지부재(21,22)는 쿠션부(1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20)은 상부 지지부재(21)의 일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끼움공(21a)과, 상부 지지부재(21)의 끼움공(21a)에 대응되도록 하부 지지부 재(22)에 형성된 끼움돌기(22a)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돌기(22a)는 화살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지지부재(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소정넓이로 절단되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21a)은 상부 지지부재(21)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끼움돌기(22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단턱(21a-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는 일면에 걸레(40)의 규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절취선(30)이 형성된다.
상기 절취선(30)은 끼움돌기(22a)와 끼움공(21a)을 갖는 상·하부 지지부재(21,22)를 소정등분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면상에는 상·하부 지지부재(21,22)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절취선(30)은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에 서로 반대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쿠션부(10)의 외면을 감싸며 상호 봉제부착되는 걸레가 다수개 구비되어 손걸레(1)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쿠션부(10)에는 3장의 걸레(40)가 방사상으로 부착되되, 쿠션부(10)를 향하는 각각의 걸레(40) 일측이 상호 겹쳐져 봉제부착된다.
즉, 쿠션부(10)를 중심으로 3장의 걸레(40)가 120°각도로 각각 나뉘어 위치하고, 각각의 걸레(40) 일측면이 일방향으로 쿠션부(10)의 외면을 120°씩 감싸되, 각각의 걸레(40)는 쿠션부(10)를 감싸며 겹쳐지는 부분이 봉제부착된 것이다.
또한, 걸레(40)는 쿠션부(10)의 양측을 패쇄시키기 위해서 상호 겹쳐진 부분 이 봉제부착된다.
도 8a,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2실시예,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써,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손걸레(1)가 이루어지되, 쿠션부(10)에는 2장 또는 4장의 걸레(40)가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된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10)를 중심으로 2장의 걸레(40)가 180°각도로 각각 나뉘어 위치하고, 각각의 걸레(40) 일측면이 일방향으로 쿠션부(10)의 외면을 180°씩 감싸되 각각의 걸레(40)는 쿠션부(10)를 감싸며 상호 겹쳐지는 부분이 봉제부착된 것이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10)를 중심으로 4장의 걸레(40)가 90°각도로 각각 나뉘어 위치하고, 각각의 걸레(40) 일측면이 일방향으로 쿠션부(10)의 외면을 90°씩 감싸되, 각각의 걸레(40)는 쿠션부(10)를 감싸며 겹쳐지는 부분이 봉제부착된 것이다.
또한, 걸레(40)는 쿠션부(10)의 양측을 패쇄시키기 위해서 상호 겹쳐진 부분이 봉제부착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써, 손걸레(1)는 쿠션부(10)를 사이에 두고 반으로 접혀져 봉제부착된 한장의 걸레(40)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한장의 걸레(40)를 양측이 동일한 넓이가 되도록 반으로 접고, 접혀진 부분에 쿠션부(10)를 구비하되, 걸레의 양측이 쿠션부(10)를 감싸며 만나 겹쳐지는 부분을 봉제부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손걸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손걸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쿠션부의 관통공에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의 끼움공과, 하부지지부재의 끼움돌기를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여 제품에 대한 완성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하나의 금형으로 찍어낸 프레임을 걸레 규격에 따라 그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쿠션부에 다수개의 걸레를 방사상으로 봉제부착함으로써, 쿠션부에 걸레를 감을 경우, 각각의 걸레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가 다른 걸레의 층진 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보기에 좋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손걸레(1)를 사용하여 걸레질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걸레(40)에 물을 묻혀 짠 다음, 한손으로 쿠션부(1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쿠션부(10)에 봉제부착된 걸레(40)를 잡은 후, 걸레(40)를 쿠션부(10)의 외면에 돌돌 감아주게 된다.
이때,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걸레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 즉 일측에 쿠션부(10)가 위치하고 타측으로 쿠션부(10)에 봉제부착된 다수개의 걸레(40)를 펼쳐놓아 층지게 만들되, 위에서부터 아래에 걸쳐 걸레(40) 길이가 점점 길어지도록 만든 상태에서 쿠션부(10)에 일측방향으로 걸레(40)를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40)가 다른 걸레(40)의 층진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보이게 되므로 외관상 정리된 느낌을 주며, 청소하는데 걸리적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쿠션부(10)에 걸레(40)가 감겨진 상태로 쿠션부(10)를 잡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닦아 걸레가 지저분해졌을 경우, 쿠션부(10)에 감았던 걸레(40)를 다시 편 다음, 사용하지 않은 다른 면이 제일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쿠션부(10)에 다시 감아준 다음, 걸레질을 하면 되는 것으로, 3장의 걸레(40) 각각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번의 세척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걸레(1)는 다수개의 걸레(40) 각각의 일면, 또는 양면을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청소할 곳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리 또는 거울을 닦거나, 차량 외부 또는 내부를 닦거나, 집안 바닥과 가재도구 등을 구분하여 닦을 수 있도록 다수개가 봉제부착된 걸레(40)의 재질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쿠션부(10)에 다수개의 관통공(10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0a)으로 상하부 지지부재(21,22)에 형성된 끼움공(21a)과 끼움돌기(22a)를 끼워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손으로 잡아 힘을 줄 수 있는 구조, 즉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를 갖는 쿠션부(10)를 걸레(40)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청소시 걸레(40)에 많은 힘을 주지 않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감겨진 걸레(40)의 일면 전 부를 평평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쿠션부(10)의 관통공(10a)으로 상부 지지부재(21)의 끼움공(21a)과 하부 지지부재(22)의 끼움돌기(22a)를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각각의 지지부재(21,22)는 쿠션부(10)를 잡아주는 면적을 최대한 넓게 가지게 되어 상하부 지지부재(21,22)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양측면의 쿠션 반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손걸레(1)를 사용하여 청소시 쿠션부(10)가 바닥면과 견고하게 밀착되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깨끗이 닦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22a)는 화살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지지부재(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소정넓이 절단되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21a)은 상부 지지부재(21)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끼움돌기(22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단턱(21a-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끼움공(21a)의 단턱(21a-1)에 끼움돌기(22a)가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되므로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손걸레(1)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거나 청소 후 손걸레(1) 세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완성도도 향상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찍어낸 프레임을 걸레 규격에 따라 그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선(30)은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에 서로 반 대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청소시 절취선(30)이 쉽게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손걸레(1)를 사용한 후에 돌돌 감아두면 걸레(40)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관이 가능하다.
도 8a, 도 8b의 제2실시예, 제3실시예와 같이, 쿠션부(10)에 걸레가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되, 2개 또는 4개의 걸레(40)가 각각 봉제부착된 것으로,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되, 청소할 곳의 넓이, 또는 사용할 사람의 편의에 따라 손걸레(1)를 선택하여 구입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손걸레를 제작·판매하여 소비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므로 제품, 더 나아가 회사에 신뢰를 주는 효과를 갖는다.
이때에도, 제1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걸레(40)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 즉 일측에 쿠션부(10)가 위치하고 타측으로 쿠션부(10)에 봉제부착된 다수개의 걸레(40)를 펼쳐놓아 층지게 만들되, 위에서부터 아래에 걸쳐 걸레(40)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쿠션부(10)에 일측방향으로 걸레(40)를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40)가 다른 걸레(40)의 층진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보이게 되므로 외관상 정리된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다.
도 9의 제4실시예와 같이, 한장의 걸레(40)를 반으로 접고, 접혀진 부분에 쿠션부(10)를 구비한 다음 봉제부착한 것으로, 쿠션부(10)에 한장의 걸레(40)만이 봉제부착되므로 가공성이 뛰어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청소용역 등과 같은 업체에서 대량으로 구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생산 및 사용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손걸레(1)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공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 또는 회사 등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목적 손걸레(1)에 사용하는 천의 재질은 초극세사로 만든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극세사(Micro Fiber)는 폴리에스터 초극세사와 씨 아이스랜드 파이버를 보통 사용한다. 초극세사는 수분흡수율과 먼지흡수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걸레에 사용하면 바닥에 있는 먼지와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시킬 수 있고 세제없이 헹구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손걸레는 이러한 초극세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걸레의 구조 자체에서 다양한 효과가 나타나므로 일반적으로 걸레로 사용하는 다른 종류의 천을 을 사용하여도 본 고안의 효과가 나타나므로 무방하다.
본 고안의 손걸레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이 형성된 쿠션부와, 쿠션부의 관통공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화살형상의 끼움돌기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와, 쿠션부(10)에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는 다수개의 걸레로 구성된 것으로써, 손걸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효율과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에 걸레를 감을 경우, 각각의 걸레를 층지게 펼쳐놓은 상태에서 일측방향으로 감으면, 마지막에 감겨진 걸레가 다른 걸레의 층진부분을 덮어주게 되어 하나의 단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가지런하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의 관통공으로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재와 하부 지지부재에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찍어낸 프레임을 걸레 규격에 따라 그 길이에 대응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작·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의 끼움돌기를 화살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재의 끼움공은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공의 단턱에 끼움돌기가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고정되어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손걸레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거나 청소 후 손걸레 세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완성도도 향상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장의 걸레를 반으로 접고, 접혀진 부분에 쿠션부(10)를 구비한 다음 봉제부착하여 손걸레를 완성한 것으로, 쿠션부에 한장의 걸레만이 봉제부착되므로 가공성이 뛰어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청소용역 등과 같은 업체에서 대량으로 구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손걸레에 있어서,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10a)이 형성된 쿠션부(10)와;쿠션부(10)의 관통공(10a)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21a)과 끼움돌기(22a)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30)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21)와, 하부 지지부재(22)와;쿠션부(10)에 방사상으로 봉제부착되는 다수개의 걸레(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걸레.
- 제 1항에 있어서,쿠션부(10)는 전체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공(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걸레.
- 제 1항에 있어서,쿠션부(10)는 외면을 등분하여 2개 내지 4개의 걸레(40)가 감싸여져 봉제부착되되, 각각의 걸레 일측면이 쿠션부(10)를 감싸며 상호 겹쳐지는 부분으로 봉제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걸레.
- 제 1항에 있어서끼움돌기(22a)는 화살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지지부재(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위가 길이방향으로 소정넓이 절단되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끼움공(21a)은 상부 지지부재(21)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끼움돌기(22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단턱(21a-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걸레.
- 손걸레에 있어서,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관통되어 관통공(10a)이 형성된 쿠션부(10)와;쿠션부(10)의 관통공(10a)에 각각 상·하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공(21a)과 끼움돌기(22a)를 갖으며, 일측면에 절취선(30)이 형성된 상부 지지부재(21), 하부 지지부재(22)와;쿠션부(10)를 사이에 두고 반으로 접혀져 봉제부착된 한장의 걸레(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걸레
- 제 5항에 있어서,걸레(40)는 접혀진 부분에 쿠션부(10)가 구비되고, 쿠션부(10)의 외면을 따라 감싸면서 만나는 양측이 봉제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걸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010U KR200439923Y1 (ko) | 2007-04-27 | 2007-04-27 | 손걸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7010U KR200439923Y1 (ko) | 2007-04-27 | 2007-04-27 | 손걸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923Y1 true KR200439923Y1 (ko) | 2008-05-13 |
Family
ID=4164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7010U KR200439923Y1 (ko) | 2007-04-27 | 2007-04-27 | 손걸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923Y1 (ko) |
-
2007
- 2007-04-27 KR KR2020070007010U patent/KR20043992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47995B1 (en) | Cleaning device | |
US20090144926A1 (en) | Microfiber sweep mopcloth cleaning device | |
US20110289714A1 (en) | Multi-material mop head | |
KR200439923Y1 (ko) | 손걸레 | |
KR200286205Y1 (ko) | 손걸레 | |
JP3118285U (ja) | 浴用ボール | |
KR200465079Y1 (ko) | 거품 타올과 결합되는 때밀이 타올 구조 | |
JP3148559U (ja) | 埃取り掃除具 | |
KR100714967B1 (ko) | 다기능 손걸레 | |
CN212489229U (zh) | 一种无胶水组合和无遮藏点零盲区的家具 | |
KR200428899Y1 (ko) | 다면걸레 | |
KR200399272Y1 (ko) | 다기능 손걸레 | |
JP2006015037A (ja) | 摺洗具および把手付摺洗具、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 |
JPH1066671A (ja) | ぞうき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125071U (ja) | 清掃用具 | |
KR200425375Y1 (ko) | 자루 걸레 | |
JP3139899U (ja) | 足拭きマット | |
KR20210000559A (ko) | 다용도 손걸레 | |
KR100828140B1 (ko) | 티자형 자루 걸레 | |
JP3241750U (ja) | サウナマット兼用ポーチ | |
WO2011087060A1 (ja) | 摺洗具 | |
KR200425374Y1 (ko) | 티자형 자루 걸레 | |
JP3143448B2 (ja) | 食器などの洗い具 | |
KR200470856Y1 (ko) | 염색두발을 위한 베개커버 겸용 세면타월 | |
JP2010284425A (ja) | マットレ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