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605Y1 -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605Y1
KR200439605Y1 KR2020060028124U KR20060028124U KR200439605Y1 KR 200439605 Y1 KR200439605 Y1 KR 200439605Y1 KR 2020060028124 U KR2020060028124 U KR 2020060028124U KR 20060028124 U KR20060028124 U KR 20060028124U KR 200439605 Y1 KR200439605 Y1 KR 200439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wire
earth pad
bolt
clea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철
김대광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에 있어서, 차량 운행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접지선을 요동 없이 고정시킬 수 있는 접지선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에 있어서, 상부의 단부 부근에 볼트삽입용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부 부근에 볼트삽입용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정두께를 갖는 어스패드와, 상기 어스패드의 상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맞춰져 볼트로 고정되는 볼트구멍이 상부에 형성되고, 이 볼트구멍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고정가능하게 어스패드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아래방향으로 연장되어 반원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고정밴드를 갖는 클리트 및,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단부는 판형상의 터미널인 접지선은, 상기 어스패드의 측면과 상기 클리트의 고정밴드가 이루는 공간에 봉형상부가 끼워져 부착되고, 터미널은 상기 어스패드의 하부 단부에 볼트로 고정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지선, 터미널, 어스패드, 클리트

Description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EARTH WIRE FIXTURE FOR TRACTION ELECTROMOTOR OF RAILWAY CARRIAGE}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철도차량 견인 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로서 접지선이 어스패드에 부착된 후, 클리트로 접지선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를 대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지선 고정구 10 ; 접지선
20 ; 터미널 (terminal) 30 ; 어스패드
40 ; 클리트 (cleat) 42 ; 고정밴드
43 ; 절곡부 70 ; 프레임 돌출부
80 ; 육각렌치볼트 (체결구) 90 ; 볼트 (체결구)
본 고안은,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부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운행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접지선을 요동 없이 고정시킬 수 있는 접지선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견인전동기용 어스패드 (110) 는, 도 4 에 나타내듯이 접지선 (120) 이 어스패드 (110) 의 암나사부 (130) 에 볼트 (140) 로 체결되는 구조로써, 볼트체결 외에 다른 추가적인 고정방법이 없어 차량의 운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볼트 풀림의 현상이 발생할 요지가 있고, 또한 체결부인 터미널 (150) 이 장기간의 진동에 의해 크랙이 발생할 요지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에 있어서, 차량 운행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어스패드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가 풀리거나 접지선의 체결부인 터미널이 장기간의 진동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여 파손될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의 진동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접지선을 요동 없이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장치의 구성을 소형화할 수 있는 접지선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 지선 고정구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 면으로는 체결구에 의해 접지선을 체결 수용하는 어스패드와; 상기 어스패드의 측면으로 체결구에 의해 체결됨과 함께, 상기 어스패드와 결합 형성된 상기 접지선을 수용/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지선의 크랙 발생과 유동을 방지하는 클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트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구멍이 형성된 일측으로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이 형성된 하부측으로는 상기 접지선을 수용하는 대략 반원형의 고정밴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선과 상기 클리트의 고정밴드가 맞닿는 부위에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접지선에 탄성재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지선 고정구에서는 접지선을 원형의 어스패드면에 단순히 볼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볼트가 풀리거나 접지선의 체결부인 터미널이 장기간의 진동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여 파손될 요지가 있어 차량의 진동 등에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지선 고정구에서는, 대략 "L"자로 형성된 어스패드와 상기 어스패드의 측면에 부착되고, 좌우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패드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어 밀착된 절곡부를 갖는 클리트에 의해 접지선을 1차로 고정시킨 후, 터미널은 어스패드의 일단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철도차량 견인 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로서 접지선이 어스패드에 부착된 후, 클리트로 접지선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선 고정구 (1) 는, 대략 접지선 (10), 어스패드 (30), 클리트 (40)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지선 (10) 은, 금속재의 심선이 피복으로 덮여있는 봉형상이며 단부에는 판형상의 터미널 (20) 이 체결되어 있다.
어스패드 (30)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재로서 대략 "L"자 형상의 소형으로 형성되어 모터 (도시생략) 의 프레임 돌출부 (70) 측면에 용접 부착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측으로 연장되고 단부에는 볼트삽입용 상부 암나사 (31) 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볼트삽입용 하부 암나사 (3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리트 (4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 (10) 을 고 정하기 위한 부재로서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체결구멍 (41)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구멍 (41) 은 어스패드 (30) 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형성된 체결구멍 (31) 에 맞추어 체결구인 육각 렌치 볼트 (80) 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멍 (41) 의 우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어스패드 (30) 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어 어스패드 (30) 를 감싸듯이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 (43) 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아래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고정밴드 (42) 를 갖는다.
상기 육각 렌치 볼트 (80) 는, 클리트 (40) 를 소형화시키기 위하여 체결구멍 (41) 과 고정밴드 (42) 가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조임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밴드 (42) 는, 어스패드 (30) 의 측면에 클리트 (40) 가 부착되므로 반원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 (42) 에 끼워져 부착되는 상기 접지선 (10) 의 부위에는 차량으로부터 클리트 (40) 를 통하여 접지선 (10) 에 전해지는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탄성재 (100) 로 감싸져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1) 의 작용을 설명한다.
철도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륜에 동력을 전달하며,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의 일측에 접지선 (10) 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돌출부 (70) 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클리트 (40) 의 고정밴드 (42) 내면과 맞닿는 부위에 고무재를 끼운 접지선 (10) 의 터미널 (20) 을 어스패드 (30) 의 하부 구멍 (32) 과 맞추고, 체결구인 육각볼트 (90) 를 조립하여 느슨하게 고정한다. 그러한 후, 접지선 (10) 에 탄성재 (100) 을 감은 후 클리트 (40) 의 고정밴드 (42) 내에 형성된 오목부에 덧대듯이 끼워 접지선 (10) 의 측면과 어스패드 (30) 의 측면에 맞닿도록 하고, 어스패드 (30) 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 암나사 (31) 에 클리트 (40) 의 체결구멍 (41) 을 맞춘 후, 육각 렌치 볼트 (80) 로 모터의 프레임 돌출부 (70) 에 부착시켜 각 볼트 (80, 90) 를 확실하게 조임으로써, 접지선 (10) 의 부착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상기 클리트 (40) 를 고정하기 위하여 육각 렌치 볼트 (80) 를 끼우는 것은 고정장치를 소형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클리트 (40) 의 소형화를 위해 클리트의 체결구멍 (41) 과 고정밴드 (42) 가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육각볼트를 조이는 스패너와 같은 조임도구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하면, 클리트 (40) 의 절곡부가 어스패드 (30) 상부의 두께방향의 면과 밀착되어 클리트 (40) 의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선 (10) 은, 터미널 (20) 이 어스패드 (30) 의 하부의 단부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또한 클리트 (40) 의 고정밴드 (42) 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철도차량의 진동 또는 요동 등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선을 어스패드의 하부의 단부에 1차적으로 고정하고, 또한 클리트의 고정밴드에 의해 2차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차량 운행시에 발생하는 진동 또는 요동 등에 의해 어스패드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가 풀리거나 접지선의 체결부인 터미널이 장기간의 진동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여 파손될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진동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어스패드와 클리트의 구성을 구조적으로 소형화함으로써, 접지선의 고정구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철도차량 견인 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에 있어서,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 면으로는 볼트(90)에 의해 접지선(10)을 체결 수용하는 어스패드(30)와;
    상기 어스패드(30)의 측면으로 체결구(80)에 의해 체결됨과 함께, 상기 어스패드(30)와 결합 형성된 상기 접지선(10)을 수용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지선(10)의 크랙 발생과 유동을 방지하는 클리트(40)와;
    상기 클리트(40)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구멍(41)이 형성된 일측으로는 절곡부(43)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41)이 형성된 하부측으로는 상기 접지선(10)을 수용하는 반원형의 고정밴드(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견인 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10)과 상기 클리트(40)의 고정밴드(42)가 맞닿는 부위에는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접지선(10)에 탄성재(100)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견인 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KR2020060028124U 2006-10-19 2006-10-19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KR200439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24U KR200439605Y1 (ko) 2006-10-19 2006-10-19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24U KR200439605Y1 (ko) 2006-10-19 2006-10-19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605Y1 true KR200439605Y1 (ko) 2008-04-22

Family

ID=4134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124U KR200439605Y1 (ko) 2006-10-19 2006-10-19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6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31293A (ja) ボルト支持構造
KR200439605Y1 (ko)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KR102241551B1 (ko) ㄷ자형 앵글시스템
KR100890660B1 (ko) 지상변압기 엘보 접속보강 클램프
KR100858724B1 (ko) 링 터미널
KR200443451Y1 (ko) 애자용 전력케이블 고정장치
KR200456727Y1 (ko) 완철 접지 클램프
KR100453655B1 (ko) 트럭용 연료탱크의 스트랩 마운팅 구조
KR101025572B1 (ko) 조임너트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KR20090011902U (ko) 철도차량 견인전동기용 접지선 고정구
KR200329716Y1 (ko) 볼트, 너트 안전 조임 판
JP2016066514A (ja) アース端子ユニット
KR200363045Y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30357Y1 (ko) 터미널 고정 장치
CN203517001U (zh) 卡箍结构
KR200408140Y1 (ko) 엔진마운트 브라켓 너트 구조
KR102123409B1 (ko) 접지단자
KR100986867B1 (ko) 이중 연료 차량의 보조 타이어 고정 장치
JP2008245432A (ja) 腕金の補強具
KR200385268Y1 (ko) 비닐하우스용 클립
KR100527133B1 (ko) 차량용 사이드 멤버 결합 구조
KR101073580B1 (ko) 철도차량의 하부기기 설치장치
KR200459463Y1 (ko) 축전지용 터미널
KR200279097Y1 (ko) 철도레일 케이블 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