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82Y1 - 독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독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82Y1
KR200439582Y1 KR2020080001276U KR20080001276U KR200439582Y1 KR 200439582 Y1 KR200439582 Y1 KR 200439582Y1 KR 2020080001276 U KR2020080001276 U KR 2020080001276U KR 20080001276 U KR20080001276 U KR 20080001276U KR 200439582 Y1 KR200439582 Y1 KR 200439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ock
opening
coupling
co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세
Original Assignee
안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세 filed Critical 안영세
Priority to KR2020080001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좌, 우측커버로 독 외부를 감싸 독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독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는 것으로서 전체 면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독의 입구를 제외한 독의 외형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독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절반으로 분리되는 한 쌍의 좌, 우측커버로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에는 분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독, 안전커버, 통기공, 극세망, 덮개

Description

독 안전커버{SAFETY COVER FOR CROCK}
본 고안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좌, 우측커버로 독 외부를 감싸 독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독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은 물·술·장 등을 담아 두는 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 말하는 것으로서, 물이나 장 이외에 소금이나 김장김치를 담아 두는 데도 쓰이는데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겨울 동안의 부식물로 김장김치가 발달하여 독이 많이 쓰이고 있다.
또 독은 뚜껑과 함께 한 벌로 구성되며 간장·된장을 담글 때도 독을 많이 사용하는데 발효에 있어 햇빛과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햇볕이 잘 드는 마당 한구석 장독대에 놓아둔다.
그러나 독은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오짓물을 입혀 다시 구운 도기(질그릇, 오지그릇)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는 것으로서 전체 면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독의 입구를 제외한 독의 외형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독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절반으로 분리되는 한 쌍의 좌, 우측커버로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에는 분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 우측커버의 외측에는 통기공을 감쌀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극세망이 압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 우측커버의 분리면 중 어느 한쪽의 분리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분리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좌, 우측커버와 재질이 동일하고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개구부에 부합되는 저면을 구비한 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외주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손잡이가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전체 면에는 통기공이 천공 형성되고 덮개의 외측에는 상기 통기공을 감쌀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극세망이 압착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떨어져서 좌, 우측커버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상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독 안전커버는 독 외부를 완벽히 감싸 보호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독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전면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공기의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여 독 속에 담긴 음식물에 공기가 공급되게 함으로써 음식물의 발효를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극세망을 압착하여 통기공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극세망을 통해 공기의 소통은 가능하나 먼지나 해충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는 것으로서 전체 면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독의 입구를 제외한 독의 외형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독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 지면서 절반으로 분리되는 한 쌍의 좌, 우측커버로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에는 분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 우측커버의 외측에는 통기공을 감쌀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극세망이 압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 우측커버의 분리면 중 어느 한쪽의 분리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분리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좌, 우측커버와 재질이 동일하고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개구부에 부합되는 저면을 구비한 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외주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손잡이가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전체 면에는 통기공이 천공 형성되고 덮개의 외측에는 상기 통기공을 감쌀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극세망이 압착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떨어져서 좌, 우측커버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상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독 안전커버는, 독(41)의 입구(42)를 제외한 전체 외형을 감싸 보호할 수 있도록 좌우 절반으로 분리된 한 쌍의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이루어지는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로 구성된다.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재질인 플라스틱(plastic)은, 가열·가압 또는 이 두 가지에 의해서 성형(成型)이 가능한 재료, 또는 이런 재료를 사용한 수지제품(樹脂製品)으로, 1868년 미국 하이엇이 상아로 된 당구공의 대용품으로 발명한 셀룰로이드가 최초인데, 열가소성과 열경화성으로 크게 구분된다.
가소성(可塑性:plasticity) 물질 또는 플라스틱스라고도 하며 천연수지와 합성수지(synthetic resin)로 크게 구별되며, 보통 플라스틱이라고 하면 합성수지를 가리키고, 플라스틱은 최종적인 고형(固形)이며 분자량이 많은 것이 되지만, 거기에 이르는 제조공정의 어떤 단계에서 유동성을 가지며, 이때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라야 한다.
또 원칙적으로는 유기화합물로서 고분자화합물이 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것을 본질적 성분으로 하는 재료 전반을 포함해서 플라스틱이라고 하며, 1868년 미국 하이엇이 상아로 된 당구공의 대용품으로 발명한 셀룰로이드가 세계 최초의 플라스틱이다.
그 후 베이클랜드가 1909년 발명한 페놀포르말린 수지(베이클라이트)가 이를 대체하였으며, 이것이 외관상 송진(resin)과 비슷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라고 하였고, 이런 연유로 그 후 인조재료를 합성수지라고 하게 되었다.
그러나 천연수지와 다른 인조재료가 많이 출현함에 따라 점차 그리스어인 플라스티코스(plastikos:성형하기 알맞다는 뜻)에서 유래하는 플라스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두 그룹으로 크게 구별되며 하나는 고분자로서 가열에 의해서 유동성을 가지게 되어 성형이 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열가소성수지)이고, 또 하나는 저분자이지만 형(型) 속에서 가열·가압되는 동안에 유동성을 가지고 화학반응에 의해서 고분자화되어 그 후 가열해도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열경화성수지)이다. 플라스틱은 고분자 형태에 따라 대별할 수도 있다.
합성고분자 화합물로 사용되는 것에 합성섬유를 포함하는 화학섬유 및 고무가 있으며 선상고분자(線狀高分子)는 섬유·플라스틱·고무로 된다.
또 분자와 분자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은 고무가 가장 약하고 섬유가 가장 강하다.
도 2와 같이 상기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독(41)의 좌우 절반씩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좌우 한 쌍의 금형 틀과 같이 좌측커버(11)는 내부가 독(41) 좌측 외형과 동일하고 우측커버(12)는 내부가 독(41) 우측 외형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를 결합하였을 때 독(41) 외형 전체를 감쌀 수 있게 한다.
이때,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상부에는 독(41)의 입구(42)에 부합되는 개구부(14)를 형성하여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를 결합하였을 때 위에서 독(41)의 입구(42)가 보일 수 있게 한다.
한편,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결합시 밀착되는 부위에 형성된 분리면(15)에는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 중 어느 한쪽의 분리면(15)에는 복수의 결합공(16)을 형성하고 다른 쪽 분리면(15)에는 다른 쪽 분리면(15)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결합공(16)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17)를 복수로 형성하여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전체 면에는 공기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수개의 통기공(13)을 천공 형성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독(41) 외측을 감싸 독(41)을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통기공(13)을 통해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여 음식물 발효의 필수 조건인 공기를 독(41)에 담긴 음식물에 공급함으로써, 음식물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 외측에는 극세망(20)을 압착한다.
즉, 해충과 먼지가 통기공(13)을 통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의 소통은 가능하면서 먼지나 해충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망의 눈이 미세한 극세망(20)을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외측에 놓고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외형과 동일하게 제작된 금형이 설치된 압착기로 눌러 극세망(20)이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 외측에 압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극세망(20)을 압착기로 눌러주면 극세망(20)이 좌, 우측커버(12) 내부로 파고들어가 결합공(16)이 있는 부분에는 극세망(20)이 보이게 되고 결합공(16) 외의 좌, 우측커버(12) 외측에는 극세망(20)이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좌, 우측커버(11, 12)와 함께 덮개(30) 한 벌로 구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상기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개구부(14)에는 상기 개구부(14)에 부합되는 저면을 구비한 덮개(30)가 결합 된다.
상기 덮개(30)는, 일반적인 독(41) 덮개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거나, 아니면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와 같이 전면에 통기공(13)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극세망(20)이 압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물론 덮개(30)의 재질은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운반이 용이하도록 좌, 우측커버(11, 12)의 밀착부위에는 결합편(52)과 손잡이부(51)로 구성되는 손잡이(50)를 설치한다.
상기 손잡이(50)의 설치 부위는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좌, 우측커버(11, 12) 의 대략 외주 중간 부위에 양측으로 대향 설치한다.
상기 결합편(52)은, 좌, 우 한 쌍으로 설치되며 손잡이부(51)의 양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1)의 양단에 부합되는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좌, 우측커버(11, 12)의 밀착 부위를 기준으로 손잡이부(51)의 양단만큼 일정간격 떨어뜨려 좌, 우측커버(11, 12)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손잡이부(51)의 중간부위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
Figure 112008007007804-utm00001
”와 같이 바깥쪽으로 구부려서 형성하고 양단은 직선으로 형성하여 결합편(52)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독 안전커버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좌, 우측커버(11, 12)로 독(41) 외부를 감싸 독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같이 좌, 우측커버(11, 12)로 독(41)을 감쌀 때 좌측커버(11)는 독(41)의 좌측 외면을 감싸고 우측커버(12)는 독(41) 우측 외면을 감싸도록 한다.
여기서,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로 독(41)을 감쌀 때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의 분리면(15)이 벌어지지 않도록 밀착되게 하여 결합하고, 이때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분리면(15)에 형성된 결합공(16)에 결합돌기(17)를 결 합한다.
예를 들어 좌측커버(11)의 분리면(15)에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커버(12)의 분리면(15)에 결합돌기(17)가 형성되어 있다면 좌측커버(11)의 분리면(15)에 형성된 결합공(16)에 우측커버(12)의 결합돌기(17)를 대응하여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좌, 우측커버(11, 12) 상부 즉 좌측커버(11) 및 우측커버(12)의 개구부(14)에 덮개(30)를 대응 결합하여 독(41)을 완벽하게 감싼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독(41)을 완벽히 감싼 상태에서 독(41)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독(41)을 감싼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가 충격을 흡수하여 독(41)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막아 외부 충격에 의한 독(41)의 파손을 막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독 안전커버는 독(41)을 안전하게 감싸 외부충격으로부터 독(41)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내부로 공기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독(41) 속의 음식물 발효를 촉진할 수 있다.
즉, 좌측커버(11)와 우측커버(12)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공(13)이 형성되어 있어 이 통기공(1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들락날락하면서 독(41) 속의 음식물까지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발효가 이루어진다.
음식물의 발효에는 공기의 원활한 공급이 필수조건으로 통기공(13)을 통해 들어온 공기가 독(41)을 통과하여 독(41) 속의 음식물에 공급되는 것은 우리나라 전통 독(41)은 덮개를 닫아 놓더라도 독(41) 자체의 미세한 모공을 통해 숨을 쉬기 때문이다.
그리고 통기공(13)은 극세망(20)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공기는 들어올 수 있으나 먼지나 해충 등의 이물질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즉, 극세망(20)은 미세하기 때문에 통기공(13)으로 들어오는 먼지나 해충을 필터와 같이 걸러내고 외부공기만 좌, 우측커버(11, 12) 내부로 들어올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좌, 우측커버(11, 12)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통기공(13) 및 극세망(20)을 거쳐 다시 밖으로 배출된다.
물론, 극세망(20)의 그물 눈보다 미세한 먼지일 경우에는 극세망(20)을 통과할 수도 있으나 극세망(20) 그물 눈보다 큰 먼지 즉 사람의 눈에 보일 정도의 먼지는 극세망(20)으로 충분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결합된 좌, 우측커버(11, 12)의 분리시에는 좌, 우측커버(11, 12)의 개구부(14)를 잡고 좌, 우측커버(11, 12)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결합공(16) 속에 결합되었던 결합돌기(17)가 결합공(16) 속에서 분리되고 밀착되었던 분리면(15)이 벌어지면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손잡이(50)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좌, 우측커버(11, 12)의 상태에 따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한다.
즉, 좌, 우측커버(11, 12)의 조립 상태에서는 결합편(52)에 손잡이부(51) 양단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좌, 우측커버(11, 12)의 분리시에는 결합편(52)에서 손잡이부(51)를 분리한 다음 좌, 우측커버(11, 12)를 분리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 손잡이(50)의 위치를 좌, 우측커버(11, 12)의 밀착부위에 걸쳐지게 설치하지 않고, 완전히 좌, 우측커버(11, 12)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좌측커버 12:우측커버 13:통기공
14:개구부 15:분리면 16:결합공
17:결합돌기 20:극세망 30:덮개
41:독 42:입구 50:손잡이
51:손잡이부 52:결합편

Claims (5)

  1.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는 것으로서 전체 면에 통기공이 형성되며 독의 입구를 제외한 독의 외형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독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절반으로 분리되는 한 쌍의 좌, 우측커버로 형성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에는 분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 안전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커버의 외측에는 통기공을 감쌀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극세망이 압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 안전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커버의 분리면 중 어느 한쪽의 분리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분리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 안전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좌, 우측커버와 재질이 동일하고 개구부를 막을 수 있도록 개구부에 부합되는 저면을 구비한 덮개가 결합되며, 상기 좌, 우측커버의 외주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손잡이가 대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 안전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체 면에는 통기공이 천공 형성되고 덮개의 외측에는 상기 통기공을 감쌀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극세망이 압착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좌, 우측커버의 밀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을 떨어져서 좌, 우측커버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상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독 안전커버.
KR2020080001276U 2008-01-28 2008-01-28 독 안전커버 KR200439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276U KR200439582Y1 (ko) 2008-01-28 2008-01-28 독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276U KR200439582Y1 (ko) 2008-01-28 2008-01-28 독 안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82Y1 true KR200439582Y1 (ko) 2008-04-21

Family

ID=4134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276U KR200439582Y1 (ko) 2008-01-28 2008-01-28 독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622B1 (ko) * 2014-04-18 2015-10-30 주식회사 로닉 보호 커버를 가진 자동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622B1 (ko) * 2014-04-18 2015-10-30 주식회사 로닉 보호 커버를 가진 자동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US20050066908A1 (en) Cage for breeding of lab animal
JP2008142574A (ja) おしゃぶり保護板を備えたおしゃぶり及びおしゃぶり保護板の製造方法
US9790933B2 (en) Vacuum apparatus
JP2017518927A (ja) 噛み傷耐性飲み口
CN105816101A (zh) 电动吸尘器
KR200439582Y1 (ko) 독 안전커버
CN202700101U (zh) 玩具竞技台
KR20100003246U (ko) 분말형 증모제 저장용기
CN108463412A (zh) 包装盖
CN202682375U (zh) 一种喂食器
TWM574886U (zh) 榨汁裝置之易清洗榨汁網結構
JP3698841B2 (ja) 漉し網内蔵の蓋付きカップ及び漉し網
KR20100001681U (ko) 미끼통이 구비된 어류 포획기의 개선구조
CN206700774U (zh) 一种玩具水蛋弹射器
CN206525951U (zh) 一种饭煲煲盖固定机构
CN110278882A (zh) 一种宠物玩具
US20160353771A1 (en) Handheld concealed pill morsel former
CN203903012U (zh) 一种方形一体式杨梅篮
KR102649089B1 (ko) 미관상 수려한 욕실용 매트
US9839205B2 (en) Air-powered filter for aquarium
CN203740312U (zh) 防潮防霉全封闭盖中盖狗粮桶
CN217366558U (zh) 一种一体式针护帽
CN208725367U (zh) 一次性水果盘
TWI774617B (zh) 人造羽毛球的製造方法及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