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78Y1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78Y1
KR200438778Y1 KR2020060030945U KR20060030945U KR200438778Y1 KR 200438778 Y1 KR200438778 Y1 KR 200438778Y1 KR 2020060030945 U KR2020060030945 U KR 2020060030945U KR 20060030945 U KR20060030945 U KR 20060030945U KR 200438778 Y1 KR200438778 Y1 KR 200438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emperature
temperature sensor
start signal
wireless 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희
백순화
Original Assignee
이장희
백순화
바이오컬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희, 백순화, 바이오컬쳐(주) filed Critical 이장희
Priority to KR2020060030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61D1/08Veterinary obstetrical instrument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3/00Thermometer holder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8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birth of animals, e.g. parturition al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물의 분만 직전의 상태를 자동으로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통신장치 또는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알려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만개시 신호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원리는 체내와 체외의 온도 차이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온도감지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 장치가 분만 수일 ~ 수주 전 동물의 질 내에 삽입하였다가 분만직전 양수, 요수 또는 태아만출시 이 장치가 함께 배출됨으로써 체내온도와 체외온도와의 차이를 감지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무선랜 모듈(단말기)에 분만개시 신호(시간)를 전달하고, 외부전산망과 연동되어 있는 무선랜 모듈이 상기 전달받은 분만개시신호를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분만개시 상태의 개체정보를 수신하길 희망하는 분만관리자에게 개체별 분만개시신호를 미리 설정하여 둔 휴대용통신장치 또는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알려주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동물의 분만개시 시간을 간단한 온도감지식 체내 삽입 장치의 설치 및 설정으로 기다림 없이 어떤 위치에서도 자동으로 분만개시 시간을 통보받을 수 있도록 고안 되어 있다.
동물, 온도센서, 분만, 자동알림, 체내 삽입장치, 유비쿼터스, 무선랜, 모듈, 문자메세지

Description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Auto Dispatch Device of Parturition Beginning Signal by Temperature Sensor inserted into Body in Ubiquitous Circumstance}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무선랜 모듈(30)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알림결과에 대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체내 삽입형 온도감지 장치 11a : 링형
11b : 발룬카테타형 11c : T자형
11d : 캡슐형 12 : 온도센서
13 : 튜브(실리콘 또는 고무) 14 : 윤상환(압착스폰지)
15 : 코일선 16 : 연결어댑터
17 : 원형관(플라스틱) 18a : 고무 발룬
18b : 발룬내 공기흡입구 18c : 공기주입구 및 벨브
19a : T자형 플라스틱 19b : 원추형 프라스틱
19c : 고무볼(피복) 19d : 나선형 고무날개
20 : 온도조절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 21 : 온도센서외부연결단자
22a : 내부전원연결단자 22b : 온도센서내부연결단자
22c : 무선랜작동스위치 23 : 온도표시창 및 본체
24 : 외장 케이스 25a : 온도설정 버턴
25b : 온도 상하 조절버턴 26 : 무선송신기
27 : 무선송신기 안테나 28a : 외부전원연결단자
28b : 내장전원(12V 건전지) 29a : 전원 스위치
29b : 무선송신기 작동 스위치 29c : 온도센서 작동 스위치
30 : 무선랜 모듈(AP) 31 : 외부 전원코드(12V)
32 : 무선모듈(프로그램칩) 33 : 무선수신기
34 : 무선수신기 안테나 35 : 외부 안테나(발신용)
36a : 전원 표시등 36b : 무선수신기 작동표시등
36c : 외부기기 작동신호 표시등 36d : 외부기기 작동표시등
37a : 온도센서 작동신호 정지 스위치 37b : 외부기기 연결단자
38 : 온도센서 외부 연결단자 39 : 외부기기 연결단자함
40 : 시건장치 41 : 무선랜 모듈(AP) 두껑
42 : 무선랜 모듈 내장 Box 43 : 상자 연결부(경첩)
50 : 휴대폰의 분만알림 문자 메시지
본 고안은, 동물의 분만개시신호를 감지하여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통신장치 또는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자동으로 통보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만 개시시간의 감지는 온도센서에 의한 것으로 동물의 체내와 체외의 온도 차이를 인식하는 것으로, 분만예정일의 수일 ~ 수주 전에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또는 질내) 삽입장치(Ring형, 발룬카테타형, T형 및 캡슐형)를 체내에 장치하고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분만 직전에 요수 및 양수(늦어도 태아 만출시)가 배출 될 경우 이 장치와 함께 배출되어 체내와 체외의 온도차이를 감지하여 그 시간을 통보해 주게 되며 양수 배출 후에는 약 30~120분 후에 태아가 만출 되기 때문에 분만 개시 신간을 분만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동물이라 함은 사람을 포함하여 사람이 기르는 가축류로 말, 소, 사슴, 돼지 및 개 등의 포유동물을 일컫고, 분만관리자라 함은 의사, 간호사, 산후조리사, 남편 등 분만개시 시간을 통보받고자 하는 사람과 동물의 분만시간을 통보 받고자하는 분만관리자, 축주 등을 일컫는다.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의 구성은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와 온도센서의 감지온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설정 및 분만개시신호 송신장치, 그리고 분만개시 신호를 수신하여 네스팟AP(한국통신에서 운용)로 송신하는 무선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일반적으로 동물의 분만은 태아의 만출 전에 요수 및 양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태아의 만출이 이루어진다. 분만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제1기에는 자궁근의 수축, 유즙누출 및 요막융모막(태포)의 파열로 제1파수가 일어나며 소요시간은 사람 1~12시간, 말 1~4시간, 소·사슴 1~24시간, 개·돼지 2~24시간 정도이며, 태아가 만출되는 제2기에는 제1파수로부터 30분정도 경과 후에 발생하며 양막낭의 파열로 제2파수인 양수가 배출된다. 양수가 배출된 5~30분경부터 대아가 만출되며 소요시간은 사람 30분~6시간, 소·말·사슴 30분~4시간, 돼지 1~5시간, 개 3~6시간 정도 소요된다. 분만의 제3기는 태막의 배출로 분만이 완료되는 시기이다.
그러나 관리자의 분만개시의 인식 방법으로는 분만징후를 확인하므로써 곧 분만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정확한 시간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기다리면서 수시로 대상 개체의 분만진행 과정을 관찰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분만징후로는 산통, 지속적인 울음(소리지르기), 거동 불안, 외음부의 부종 및 유즙분비 등이 있다. 이러한 분만징후는 분만관리자가 수시로 징후를 확인하여야 하며 가장 뚜렷한 분만징후인 유즙분비는 관리자가 직접 유두을 압박하여 유즙분비를 확인하여야 비로소 곧 분만이 곧 이루어 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는 불편이 있다. 분만관리를 예정된 시간에 수행하기 위한 유도분만의 경우에도 호르몬제의 투 여로 예정된 시간에 분만을 유도할 수 있으나 개체차이가 많고, 호르몬제의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2~4회의 투약으로 대상 동물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호르몬 투여에 따른 내성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집단 사육하는 동물(소, 돼지, 사슴 등) 또는 야생동물의 경우에는 투약이 매우 힘든 작업이기도 하기 때문에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한편 분만 시 산자(産仔, 새끼)의 손실이나 어미 자체의 손상은 분만 초기관리의 부실로 이루어지며, 돼지의 경우에는 전체 자축 손실의 50~60% 정도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분만개시 신호의 알림 장치는 분만초기 관리에 최소한의 시간과 노력으로 어미와 새끼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최선의 기회를 미리 분만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람과 동물의 분만개시 신호(시간)를 자동으로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통신장치 또는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알려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만개시 신호(시간)를 알려주는 원리는 온도감지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가 분만 전 사람 또는 동물의 질내에 삽입되어 있다가 분만직전 양수, 요수 또는 태아배출시 이 장치가 함께 배출될 때 체내온도와 체외온도와의 차이를 온도센서가 감지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무선랜 모듈(단말기)에 분만개시 신호를 전달하고, 분만개시 신호를 전달 받은 무선랜 모듈이 다시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자동으로 분만관리자의 휴대폰으로 분만개시 시간을 문자 메시지로 통보하여 줌으로써 분만관리자의 분만대기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분만이 개시된 직후 어미와 새끼에 대한 효율적인 초기 분만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분만개시신호 자동 알림장치는 분만전 동물의 체(질)내에 삽입되었다가 분만직전 요수, 양수(또는 태아)배출시 이 장치가 함께 탈락되어 체내와 체외의 온도 차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가 부착된 다양한 체내 삽입장치(10)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며, 이와 함께 결합되어 무선으로 분만개시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와; 분만신호 송신장치로부터 분만개시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직접)으로 전달 받을 수 있고 외부전산망과 연결되는 무선랜 모듈(단말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분만개시신호를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 통신장치 및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알려줌으로써 분만개시 신호의 자동 알림 장치의 목적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2)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바 Ring형(11a), 발룬(풍선)카테타형(11b), T자형(11c) 및 캡슐형(11d)이 있으며, 재질로는 스폰지, 고무, 실리콘, 프라스틱 및 이들의 복합물로 구성되어 있고, 동물의 체내 및 질내에 삽입되어지는 장치(기구)에 온도센서가 부착된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는 온도센서(12)가 부착된 다양한 체(질)내 삽입장치와 연결되어 온도센서의 감지온도가 -40 ~ 99℃ 범위 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바, 체내삽입장치가 질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는 체내온도인 36.5~42.5℃의 온도범위에서 감지되고 있다가 분만직전 양수가 배출되거나 태아 만출 시에는 함께 배출(탈락)될 때에는 체외 온도인 상온(35 ℃ 이하)이 감지되므로써 이 때의 온도영역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탈락시기)의 시간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무선랜 모듈(단말기)에 분만개시신호로 전달하게 되어 있다.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의 탈락시간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해 내장된 무선송신기는 27~54Mhz의 전파로 운용되며 통달거리는 반경 30m 정도의 범위이다.
그리고, 상기 무선랜 모듈(단말기)은 분만개시신호를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통보는 최초 수신 시간에만 통보하거나 반복적으로도 통보할 수 있는 바, 반복 통보는 수신(또는 작동)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분단위로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통보하며 최대 30분까지 분 단위의 시간을 지정하여 통보 횟수를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보의 해지는 온도센서로 부터의 분만개시신호의 송신 장치가 꺼졌을 때 해지통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통보가 효과적으로 중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무선랜 모듈(30)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알림결과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와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에서 온도를 감지하고 체내에서 탈락 시에는 설정된 온도(상온, 체외온도)에서만 탈락된 시점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 반경 30m 이내에서 분만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설정된 방법으로 분만관리자에게 문자 메시지로 전달하는 무선랜 모듈(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는 체내·외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온도센서(12)가 부착되어 있으며 센서는 일정한 모양과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는 코일형 전선(15)으로 어댑터(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체외에서 온도조절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와의 유동적 이격거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는 체내에서 유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링형(11a), 발룬카테타형(11b), T자형(11c) 및 캡슐형(11d)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형태별 특징으로 Ring형(11a)은 연질 실리콘 또는 고무튜브(13)로 링(ring)형으로 형성되며, 체내(특히 질내)에서 복압이나 수축(자궁의 경우)으로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압착 스폰지(또는 스티로폴)로 형성된 윤상환(14)이 부착되어 탈락방지를 위한 마찰력을 크게 하였으며, 발룬카테타형(11b)은 플라스틱 원형관의 외벽에 고무발룬(18a)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무튜브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고무튜브로 탈락방지를 위한 마찰력을 크게 하였다. 고무튜브 내의 공기주입은 공기흡입구(18b)와 공기주입구 및 벨브(18c)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공기주입구의 벨브는 스프링과 연결되어 있어 누를 경우에만 공기가 주입되며 누르지 않을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T자형(11c) 및 캡슐형(11d)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이들 또한 체내에서 유효하게 고정되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T자형의 각 꼭지점(끝부분)은 둥글게 고무로 피복되어 고무볼(19c)이 형성되어 있으며, 캡슐형에는 나선형 고무날개(19d)가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가 체내에 장치되면 온도센서에 의하여 특정부위의 체온을 측정하거나 체내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 외부로 연결된 코, 입, 귀, 직장 및 질 내 등에 삽입하여 장치할 경우에는 쉽게 탈락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를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의 온도센서 연결단자(21)와 연결할 수 있는 바,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는 체내 온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도표시창 및 본체(23)와 온도설정버턴(25a) 및 온도상하조절버턴(25b)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에서 무선송신기(26)가 작동(분만개시신호)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12V)은 외부 전원연결단자(28a)와 내장 전원(28b)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필요시 전원스위치(29a), 무선송신기 작동스위치(29b) 및 온도센서작동스위치(29c)를 선택적으로 제한하여 시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송신장치로 무선송신기(26) 및 무선수신기(33)의 운용 주파수는 27~54MHz이며, 통달거리는 반경 30m 범위로 습도나 벽체 구조물에 따라 다소 축소되어질 수 있다. 체내 삽입장치의 온도센서에 연결된 무선 송신기의 작동 원리는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설정버턴(25a) 및 온도상하조절버턴(25b)를 이용하여 무선송신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한 온도를 체온보다도 낮고 주변 온도보다도 다소 높은 온도 영역(약 35℃)에 설정하면 체내에 삽입된 온도센서의 감지하고 있는 상시 온도는 체온의 범위인 36.5 ~ 42.5℃이므로 삽입된 온도센서가 체외로 탈락(배출)시에는 체외의 온도가 35℃ 이하의 온도이므로 이 장치에 연결된 무선송신기의 작동스위치가 "on"로 전환됨으로써 체내에 삽입된 온도센서의 탈락시점이 분만개시 신호로 간주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무선송신기의 작동개시신호("on" 상태로 전환시)는 30m 이내에 설치된 무선랜 모듈(30)에 신호(분만개시시간)를 송신하게 되고 무선랜 모듈에서는 수신된 이 신호에 의해서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설정된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 통신장치 및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분만개시시간을 통보하여 주게 된다.
상기 무선랜 모듈(30)은 외부 전원단자(31)에서 공급된 전원(12V)에서 의하여 작동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무선송신기(26)에서 보내온 신호(온도센서가 탈락된 시점 = 분만개시 신호)를 무선수신기(33)에서 수신하고 무선모듈(32)에서 설정된 문자메시지의 발송회수, 발송시간간격에 따른 방법으로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 통신장치 및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분만개시신호를 발송하게 된다. 이때 무선랜 모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램프군으로 전원표시등(36a)은 전원이 켜져 있을 경우에 붉은색의 램프가 켜지며, 무선수신기 작동표시등(36b)은 무선수신기(33)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녹색의 램프이며, 외부 기기 작동표시등(36d)은 외부기기 연결단자(38)에 연결된 외부기기(출입문 개폐장치 등)가 "on/off"스위치로 연결되어 작동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이며, 외부기기 작동신호 표시등(36c)은 외부 기기 작동표시등이 켜진 후 5초 후에 자동으로 신호처리(발송) 중의 상태를 깜박이며 나타내는 램프이다. 또한 상기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무선랜 모듈 뚜껑(41)과 무선랜 모듈 내장 Box(42)는 상자연결부(43)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단의 무선랜 모듈 뚜껑(41)에는 개폐할 수 있는 시건장치(40)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램프군으로 상기 4개의 표시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LCD 온도표시창(23)과 양옆으로 온도설정버턴(25a)과 온도조절버턴(25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랜 모듈 내장 Box(42) 내에는 온도센서와 연결된 온도설정 및 작동신호 송신장치(20)로부터 분만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기(33) 및 내부 안테나(34)가 위치하고 있으며, 분만개시 신호(시간)를 설정된 송신횟수로 지정된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 통신장치 및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분만개시신호가 발송되도록 무선모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선모듈(32)에는 온도조절장치(23)의 전원(22c)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기기단자함(39)에도 연결되어 있어서 연결된 외부기기(37b) 또는 온도조절장치 작동 단자(22b)에 의해서도 작동 개시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작동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상온에서 연결된 온도센서가 계속 작용하기 때문에 온도센서작동정지스위치(37a)를 "off" 상태로 하여 외부로 직접 연결된 온도센서에 의해서는 무선모듈이 작동되지 않고, 연결된 외부기기 의 작동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외부로 직접 연결된 온도센서가 체내에 삽입된 경우에는 외부기기의 작동개시신호까지도 동시에 처리(송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삽입장치가 체외로 탈락 시에는 도5의 그림(사진)과 같이 지정된 분만관리자의 휴대폰으로 분만개시시간이 자동으로 문자메시지(50)로 통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분만개시시간 자동 알림 장치는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질)내 삽입장치가 체내 및 체외 온도와의 차이를 감지하여 무선랜 모듈에 신호를 보내면 이 무선랜 모듈이 외부전산망네을 통하여 분만개시시간(신호)을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 통신장치 및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동물의 분만개시의 인식 방법으로는 분만징후를 확인하므로써 곧 분만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분만징후의 확인은 분만직전 단계까지 수시로 관찰하여야 하며 몇 시간이 소요 될지 모르는 분만개시 시간까지 대기하여야 함으로 매우 불편하다. 특히 분만이 야간이나 휴일에 이루어지는 경우 분만관리자가 태아의 만출 시까지 언제까지나 분만장소에서 기다리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야생동물의 경우에도 분만 직전 상태를 통보받을 수 있다면 효율적인 초기 분만관리의 성공으로 모체나 새끼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분만시 산자(産仔, 새끼)의 손실은 분만 초기관리의 부실로 압사, 무포유 등에 의한 새끼의 폐사가 대부분이며, 난산인 경우에는 모체 및 새끼의 손실을 모두 초래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분만관리자는 분만개시 신호의 자동 알림장치에 의해서 분만대기 시간의 허비 없이 초기 분만관리의 성공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분만관리자가 언제까지나 분만까지 대기해야하는 불편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른 업무에 종사하면서도 미리 분만개시 시간을 통보받음으로써 초기의 분만 관리 성공으로 안전하게 분만을 완성하게 할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과 분만관리의 노동력 및 소요시간을 절감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알림장치에 있어서, 분만전 동물의 체내에 삽입되었다가 분만직전 요수, 양수 또는 태아 배출시 함께 배출되어 체내와 체외의 온도차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가 부착된 체내 삽입장치(10)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온도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며, 이와 함께 결합되어 무선으로 분만개시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와;
    상기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로부터 분만개시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외부전산망과 연결되어 있는 무선랜모듈(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삽입장치(10)는 체내에서 유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링형(11a), 발룬카테타형(11b), T자형(11c) 및 캡슐형(11d)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설정 및 분만신호 송신장치(20)는 체내삽입장치(10)에 구비된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연결단자(21), 체내 온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도표시창 및 본체(23), 온도설정버턴(25a) 및 온도상하조절버턴(25b), 무선송신기(26), 외부 전원연결단자(28a)와 내장 전원(28b)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모듈(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분만관리자 소유의 휴대용 통신장치 및 이메일 문자서비스로 분만개시신호가 발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 자동알림 장치.
KR2020060030945U 2006-12-04 2006-12-0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KR200438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45U KR200438778Y1 (ko) 2006-12-04 2006-12-0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45U KR200438778Y1 (ko) 2006-12-04 2006-12-0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78Y1 true KR200438778Y1 (ko) 2008-03-06

Family

ID=4162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945U KR200438778Y1 (ko) 2006-12-04 2006-12-0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7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40Y1 (ko) 2009-09-24 2011-10-28 김춘수 전화기능 접합 가축 분만 알림장치
KR20200077883A (ko) 2018-12-21 2020-07-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및 활동량 센서를 탑재한 가축의 생체내 삽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분만 이상징후 관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340Y1 (ko) 2009-09-24 2011-10-28 김춘수 전화기능 접합 가축 분만 알림장치
KR20200077883A (ko) 2018-12-21 2020-07-0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 및 활동량 센서를 탑재한 가축의 생체내 삽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분만 이상징후 관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12667A1 (en) Birth Prediction Reporting System for Live Stock Animals
KR20060000192U (ko) 무선장비를 장착한 가축의 이어 태그(귀표)
AU2014293727A1 (en) Reproductive status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19300B1 (ko) 온도 및 활동량 센서를 탑재한 가축의 생체내 삽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분만 이상징후 관찰 시스템
KR200438778Y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온도 감지식 체내 삽입형 분만개시자동알림 장치
US20150230903A1 (en) Device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the preparatory phase of birthing a bovine or equine animal,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9098173A (ja) 分娩検出システムおよび分娩報知方法
US4651137A (en) Intravaginal parturition alarm and method for use
JP4487074B2 (ja) 耳温測定による分娩監視装置
EP2476308A2 (en) Bioelectronic system
JP4487075B2 (ja) 心拍数測定による分娩監視装置
KR101431757B1 (ko) 모돈 분만 및 난산 감지 시스템
WO2017203490A1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body temperature of livestock animal
JP4780649B2 (ja) 家畜の分娩監視装置
US8574172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onitoring a pregnant mammal
JP3523905B2 (ja) 分娩警報装置
US10674712B2 (en) Mounting behavior detection system
JP2005110880A (ja) 牛馬の分娩予兆警告装置
KR102425101B1 (ko) 가축의 분만을 예측하는 방법
CN114699210A (zh) 一种分娩检测仪
JP2558609B2 (ja) 分娩進行度検知装置
KR102364440B1 (ko)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TR201616012A2 (tr) Dişi sığırların doğumunu anında bildiren sistem
RU2535742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и лечения крупного и мелк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KR101236355B1 (ko) 고도센서를 이용한 암소의 발정 알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