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98Y1 - 압력스위치 - Google Patents

압력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98Y1
KR200438598Y1 KR2020060029114U KR20060029114U KR200438598Y1 KR 200438598 Y1 KR200438598 Y1 KR 200438598Y1 KR 2020060029114 U KR2020060029114 U KR 2020060029114U KR 20060029114 U KR20060029114 U KR 20060029114U KR 200438598 Y1 KR200438598 Y1 KR 200438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uter case
connection terminal
pressure switc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주)신한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전기 filed Critical (주)신한전기
Priority to KR2020060029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8Fluidic connecting means being part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2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fluid pressure, by fluid pressure waves, or by change of fluid flow
    • H01H35/26Details
    • H01H35/2607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pressure
    • H01H35/2628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pressure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 of switch-casing and pressure sensitive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케이스의 기준압력부측 내부공간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해 기준압력부측 영역내의 전기 접점에 먼지의 부착에 의한 도통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된 압력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는, 압력에 대응해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해,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외장케이스(120)의 기준압력부(123)측 내부공간(123a)과 대기압측과의 연통을 허용하는 균압통로가 구비되되, 상기 균압통로(T)가 접속단자(125a,125b, 125c,125d)중의 어느 하나의 종단면에 일정길이 움푹들어가게 형성되어 외장케이스의 기준압력부측 영역과 대기압과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균압통로가 프레스금형에서 접속단자의 성형시 코이닝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력스위치, 외장케이스, 균압통로, 접속단자

Description

압력스위치{A PRESSURE SWITCH}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압력스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도1의 실시예의 외장케이스의 기준 압력부의 폐색된 일단부의 단 벽에 형성된 균압통로 근방의 단면을 확대해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압력스위치에 사용되는 단자에 균압통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압력스위치 120: 외장케이스
123: 기준압력부 123a: 내부공간
125a,125b,125c,125d: 접속단자
본 고안은 압력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케이스의 기준압력부측 내부공간에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저지해 기준압력부측 영역내의 전기 접점에 먼지의 부착에 의한 도통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된 압력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스위치는 압력에 대응해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하도록 외장 케이스에 내부 공간과 대기의 연통을 허용하는 균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 이러한 압력스위치는 특개평 8-17309호로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도 3의(a), (b)에는 외장케이스(10)의 접속단자 삽입구멍(12)에 종래의 균압통로(14)가 종단면도와 평면도로 나타나고 있어 접속단자 삽입구멍(12)에 삽입된 단자(16)의 횡단면의 외주면의 최대치수L에 따른 부분의 전부에 대향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균압통로(14)를 갖춘 압력스위치는 자동차용 냉방장치에 사용하였는바 외장케이스의 내부공간인 기준압력부측 영역에 먼지가 침입해 전기 접점에 부착되어 도통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개평 8-17309호의 도1 및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장케이스의 단자 삽입 구멍에 균압통로(54)가 형성되되, 단자의 횡단면의 최소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가진 도랑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균압통로(54)로 외장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기준압력부측 영역내에서의 가스를 배출시켜 기준압력부측 영역내에서 기준 압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됨은 물론 내부 공간의 기준압력부측 영역내에의 균압통로(54)를 통한 먼지의 침입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균압통로(54)의 형성은 사출물인 외장케이스(20)의 접속단자 삽입구멍(48)에 0.6㎟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사출물의 성형후 수축을 감안할 때 성형수지 및 성형조건의 관리도 중요함은 물론 사출금형의 정밀도가 매우 높아야 함으로 금형제작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된다. 또 성형제품 또한 정밀한 치수관리가 필요해 버어(Burr) 및 사출성형조건의 변화에 따라 불량이 매우 많이 발생되어 사출성형시 치수관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장케이스의 단자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단자의 종단면에 외장케이스의 내부공간인 기준압력부측 영역과 대기중을 연통하도록 일정한 길이의 균압통로가 코이닝되어 움푹 들어가게 형성됨으로서 외장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제조가 적은 비용으로 가능함은 물론, 성형시 균압통로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압력스위치를 제공함에 제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균압통로가 청동재질인 단자에 코이닝되어 음푹들어가게 됨으로서 균압통로의 치수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성형이 쉬워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압력스위치를 제공함에 제2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는, 압력에 대응해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해,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외장케이스의 기준압력부측 내부공간과 대기압측과의 연통을 허용하되, 상기 균압통로가 접속단자중의 어느 하나의 종단면에 일정길이 움푹들어가게 형성되어 외장케이스의 기준압력부측 영역과 대기압과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균압통로가 프레스장치에서 프레스금형으로 접속단자의 성형시 프레스금형의 펀치에 의해 재료이 표면을 눌러서 요철로 성형하는 코이닝공정에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압력스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1의 실시예의 외장케이스의 기준 압력부의 폐색된 일단부의 단 벽에 형성된 균압통로 근방의 단면을 확대해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압력스위치에 사용되는 단자에 균압통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장케이스(120)는 자동차용 냉방장치의 도시되지 않은 냉동사이클 관로에 결합되는 압력유체 유입구멍(121a)이 단벽에 형성된 압력유체유입부(121)와, 일단이 폐쇄되어 개구된 타단이 압력유체유입부에 고무제의 원형상밀봉부재(122)을 협지한 상태로 연결된 원통형상의 기준압력부(123)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압력부(123)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압력유체유입부(121)의 내부공간(121b)과 기준압력부(123)의 내부공간(123a)과는 링모양의 밀봉부재(122)에 밀봉 상태로 지지를 받은 다이어프램(124)에 의해 나누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124)은 압력유체유입부(121)의 내부공간(121b)에 유입하는 압력유체의 압력에 민감하게 반응해 변위하는 것과 동시에 긴 수명을 보증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합성수지제의 필름은 상기 압력유체에 대해서 극히 미세한 가스투과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기준압력부(123)의 내부공간(123a)에는 복수개의 피스톤과 스프링체 및 로드가 설치되어 연결되고 단락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장케이스(120)의 기준압력부(123)의 일단부를 폐쇄하고 있는 단벽(123b)에는 접속단자 삽입구멍(123d)에 접속단자(125a,125b,125c,125d)가 끼워져 길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 기준압력부(123)로부터의 바깥쪽 돌출부는 접속단자를 감싸는 환상의 보호스커트부(123c)에 의해 접속단자(125a,125b,125c,125d)가 보호된다.
또 상기 접속단자(125a,125b,125c,125d)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압력에 대응해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해, 상기 접속단자(125a,125b,125c,125d)가 삽입되는 외장케이스(120)의 기준압력부(123)의 내부공간(123a)과 대기압측과의 연통을 허용하는 균압통로가 구비되되, 상기 균압통로(T)가 접속단자(125a,125b,125c,125d)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일정길이 옴폭 들어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125a,125b,125c,125d)의 횡단면 치수 보다 작게 옴푹들어가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고, 길이는 상기 기준압력부(123)의 내부공간(123a)과 대기중과 연통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춘 것이다.
또 상기 균압통로(T)가 프레스장치에서 프레스금형을 이용하여 접속단자의 성형시 코킹되어 형성된다. 이 코킹은 프레스 작업을 하는 당 업자에게는 재료의 표면을 눌러서 요철로 성형하는 코이닝(coin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상기 균압통로(T)에 의해서 상기 다이야프램(124)을 통해 유입된 극히 적은 량의 가스가 기준압력부(123)의 내부공간(123a)에 영향을 주지 않게 외부 공간과 연통되게 된다.
상기 균압통로(T)가 접속단자(125a,125b,125c,125d)중의 하나에 코이닝으로 움푹들어가게 형성되므로 외장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제조가 적은 비용으로 가능함은 물론, 성형시 균압통로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균압통로의 치수관리가 금속재질의 단자와 프레스 금형의 코이닝작업에 의해 형성되므로 매우 용이하고 성형이 쉬워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균압통로(T)가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요(凹)형상이나 반원형상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압력에 대응해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해,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외장케이스의 기준압력부측 영역과 대기압과의 연통을 허용하는 균압통로가 접속단자의 종단면에 일정길이 움푹들어가게 형성되어, 외장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제조가 적은 비용으로 가능함은 물론, 성형시 균압통로로 인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균압통로가 청동재질인 단자에 프레스금형에서 접속단자의 성형시 코이닝되어 움푹들어가게 형성됨으로서 균압통로의 치수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성형이 쉬워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압력에 대응해 전기 접점의 개폐를 행해,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외장케이스(120)의 기준압력부(123)측 내부공간(123a)과 대기압측과의 연통을 허용하는 균압통로가 구비된 압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균압통로(T)가 상기 접속단자(125a,125b,125c,125d)중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일정길이 옴폭 들어가게 형성되어, 상기 외장케이스(120)의 기준압력부(123)측 영역과 대기압측과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통로(T)가 프레스장치에서 프레스금형으로 접속단자의 성형시 프레스금형의 펀치에 의해 재료의 표면을 눌러서 요철로 성형되는 코이닝공정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스위치.
KR2020060029114U 2006-11-06 2006-11-06 압력스위치 KR200438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114U KR200438598Y1 (ko) 2006-11-06 2006-11-06 압력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114U KR200438598Y1 (ko) 2006-11-06 2006-11-06 압력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98Y1 true KR200438598Y1 (ko) 2008-02-26

Family

ID=4162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114U KR200438598Y1 (ko) 2006-11-06 2006-11-06 압력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990B2 (ja) 機器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707783B2 (en) Sensor housing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sensor housing cover
US7748717B2 (en) Housing part for a drive unit, as well as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8001002A (ja) 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US8528413B2 (en)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essure sensor
JP2020531762A (ja) 電動弁
US9375868B2 (en) Connector member
CN114636512A (zh) 传感器组件以及阀装置
JP2000329633A (ja) 圧力検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7183090A1 (ja) コネクタ装置の製造方法
KR200438598Y1 (ko) 압력스위치
JP5591374B1 (ja) 防水型主端子
US675796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ermetically sealed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JP6639487B2 (ja) 少なくとも1つの開口を有する部品
US20160195210A1 (en) Press seal having a press body
CN210440590U (zh) 气动开关阀及具有该气动开关阀的机械加工设备
JP5218579B2 (ja) 圧縮機の流通路閉塞装置
CN105628295A (zh) 耐碘的压力传感器组件
KR20140133871A (ko) 밀봉 방식으로 오버몰딩된 부품 및 상기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173590B1 (ko) 높은 사이클 수명을 갖는 왁스 엑추에이터
JP2017101770A (ja) シール構造
KR20140142098A (ko) 솔레노이드밸브
JP2013228027A (ja) ピストン装置
JP2012225698A (ja) 空気流量測定装置
KR19990019364U (ko) 사출성형용 금형의 코어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