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327Y1 - 납골함 유닛 - Google Patents

납골함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327Y1
KR200438327Y1 KR2020060028476U KR20060028476U KR200438327Y1 KR 200438327 Y1 KR200438327 Y1 KR 200438327Y1 KR 2020060028476 U KR2020060028476 U KR 2020060028476U KR 20060028476 U KR20060028476 U KR 20060028476U KR 200438327 Y1 KR200438327 Y1 KR 200438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cestors
ossuary
decease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식
Original Assignee
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식 filed Critical 정식
Priority to KR2020060028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등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에 보관 가능한 납골함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인이 되신 조상들의 유골함을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 및 가구제품의 수납케이스에 보전함으로서 명절이나 제사등에 직접 납골당 등을 찾아갈 필요가 없이 가정내에서 간단하게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제공되는 납골함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인이 되신 조상의 납골함 유닛을 집안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가전 및 가구제품의 수납케이스에 결합하여 보관함으로서 필요시마다 간단하게 납골함 유닛을 인출하여 차례나 제를 모실 수 있어 시간과 공간상에 별도의 제약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항시 조상을 옆에 모실 수 있어 후손된 자로서 조상에 대한 예의를 지켜 나갈 수 있음으로 인하여 바른 장례문화의 새로운 기틀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상기 납골함 유닛이 결합되어지는 가전 및 가구제품의 특성에 따라 TV나 PC 또는 오디오등에 수납케이스를 결합시 고인의 영상물이 출력가능한 것으로서 고인에 대한 향수를 보다 고취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가전 및 가구제품, 수납케이스, 수납실, 납골함 유닛, 납골함

Description

납골함 유닛{THE BONE ASH STORAGE BOX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오디오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제 1실시예
도 3a는 PC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되기 이전 상태의 제 2실시예
도 3b는 PC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제 2실시예
도 4는 시계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제 3실시예
도 5는 비디오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제 4실시예
도 6a는 구 형상의 지구본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제 5실시예
도 6b는 스탠드 형상의 지구본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제 5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A-가전 및 가구제품 1-수납케이스
10-수납실 11-개구부
20-납골함 유닛 21-납골함
101-가이드홈 111-커버부재
201-가이드돌기
본 고안은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에 보관 가능한 납골함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인이 된 조상들을 보다 가깝게 모실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명절이나 제사등에 직접 납골당 등을 찾아갈 필요가 없이 가정내에서 간단하게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제공되는 납골함 유닛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골분이 보관되어지는 납골함 유닛을 집안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가전 및 가구제품의 수납케이스에 결합하여 보관함으로서 필요시마다 간단하게 납골함 유닛을 인출하여 차례나 제를 모실 수 있어 시간과 공간상에 별도의 제약을 받지 않음과 동시에 항시 조상을 옆에 모실 수 있어 후손된 자로서 조상에 대한 예의를 지켜 나갈 수 있음으로 인하여 후손들과 주변친인척간의 바른 생활 및 장례문화의 새로운 기틀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고인의 시신을 매장하는 매장풍습이 전해내려왔으나, 전국토의 많은 부분이 고인이 묘지로 이용됨에 따라 근래에는 매장지가 현저히 부족하게 되는 실정이며 아울러 상기와 같이 세워지는 묘지에 의하여 산림이 훼손되는 또 다른 폐단이 일어나게 되어 최근에는 대부분 고인의 시신을 화장하는 화장풍습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고인의 시신을 화장시 화장된 후의 골분을 유골함에 넣어 통상 의 납골함 단지에 보관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보관방식으로는 보관이 여의치 않아 납골당이나 가족 납골묘등을 통하여 상기 납골함 단지를 안치하는 것으로서 명절이나 제사 등 고인과 관련된 행사기일등에 방문하여 차례 또는 제사등을 지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납골당이나 가족 납골묘등에 유골함을 안치하여 보관하는 경우 특히 명절과 같은 때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안에서 차례를 지낸 후 납골당이나 가족 납골묘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른 교통체증 유발 및 차량 정체등으로 인하여 즐거운 명절이 오히려 짜증이 섞이면서 피곤한 명절로 변절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납골당이나 가족 납골묘에서 차례를 지내면서도 짜증과 피로감만 밀려나는 등 유쾌한 차례를 지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납골당이나 가족 납골묘, 수목장 등이 님비현상(지역이기주의)때문에 생활공간인 주거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명절이나 제사를 제외하고는 쉽게 찾아뵙기 어려워 항시 조상들에게 송구스런 마음이 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집안에서 지내면서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의 일측으로 수납케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실에 납골함 유닛이 결합되어 납골함이 보관 가능한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납골함 유닛이 가전 및 가구제품의 상,하,좌,우에 관계없이 가전 및 가구제품(TV,PC,오디오,비디오,시계,지구본 등)의 특성에 따라 적합하게 형성된 수납케이스의 수납실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전 및 가구제품의 특성에 따라 TV나 PC 또는 오디오등에 수납케이스를 결합시 고인의 영상물이 출력가능한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등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A)의 내측으로 납골함 유닛(20)이 결합되어지는 납골함 유닛(20)이 보관가능한 가전 및 가구제품(A)에 있어서, 상기 가전 및 가구제품(A)의 일측으로 수납케이스(1)를 형성하되, 상기 수납케이스(1)는 일측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스토퍼가 형성된 수납실(10)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실(10)에 납골함 유닛(20)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수납실(10)의 내측으로 가이드홈(101)이 형성되어 상기 납골함 유닛(20)의 외측으로 돌설되어진 가이드돌기(201)가 상기 가이드홈(10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수납실(10)의 전면 개구부(11)에 커버부재(111)가 결합되어 상기 납골함 유닛(20)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관가능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TV의 일측으로 수납케이스(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1)에 형성된 수납실(10)에 납골 함 유닛(20)이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되, 상기 납골함 유닛(A)에는 다수의 홀더부(22)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22)에 납골함(21)이 각각 결합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납골함 유닛(20)이 보관되어진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등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A)의 수납실(10)은 평소에 외부에서 쉽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여 아이들이나 손님들이 함부로 손을 대거나 부주의에 의하여 상기 납골함(2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자 수납실(10)의 일측으로 별도의 커버부재(111)를 결합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수납실(10)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커버부재(111)는 회동식으로 수납실(10)을 개폐가능한 것과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 또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111)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구성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지는 납골함 유닛(20)에는 조상들의 성함 및 간단한 약력 등을 추가적으로 기재가능하여 본인은 물론 후손들 또한 조상들에 대한 업적이나 발자취등을 오랜기간동안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납골함 유닛(20)은 필요에 따라 하나의 단일한 납골함으로 형성도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부피가 크지 않은 작은 가전 및 가구제품(A)에는 단일의 납골함이 상기 납골함 유닛(20)과 같이 가전 및 가구제품(A)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가능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오디오의 하측으로 별도의 수납케이스(1)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케이스(1)에 납골함 유닛(20)을 결합하되, 상기 납골함 유닛(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납 골함(21)이 결합되어진 것으로서 상기 오디오 양측의 스피커나 오디오 케이스 등은 다양하게 형성가능한 것이며 상기 수납케이스(1)의 전면에는 커버부재(111)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나 도면상 납골함 유닛(20)의 식별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111)는 미도시된 것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제 2실시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도 3a는 컴퓨터 모니터와 키보드 일측으로 본체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수납실(10)이 형성되어진 수납케이스(1)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실(10)의 전면에는 납골함 유닛(20)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납골함 유닛(20)이 상기 수납실(10)로부터 수납형성된 후 도 3b에 의하여 상기 수납실(10) 일측의 커버부재(111)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실(10)을 닫아줌으로서 외관상 전혀 타인이 인지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아날로그 시계의 하부 받침대와 같이 수납케이스(1)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케이스(1)에 납골함 유닛(20)을 결합하되, 상기 납골함 유닛(20)에는 다수의 납골함(21)이 결합되어지는 것인 바, 상기 시계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에 상관없으며 상기 하부 받침역할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1)는 필요에 따라 상측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계의 외측을 감싸주는 형상으로 형성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시된 것과 같이 비디오와 상기 비디오를 장식하는 장식케이스의 비디오 하부에 수납케이스(1)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케이스(1)에 납골함 유닛(20)을 결합하되, 상기 납골함 유닛(20)의 전면에는 다수의 납골함(21)이 결합되어진 것으로서 상기 비디오 내지 비디오 양측의 수납장 등은 다양하게 형성가능한 것이며 상기 수납케이스(1)의 전면에는 커버부재(111)가 결합되어지는 것이나 도면상 납골함 유닛(20)의 식별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111)는 미도시된 것이다.
도 6a와 도 6b는 각각 지구본에 납골함 유닛(20)이 결합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지구본의 경우 실질적인 가전 및 가구제품(A)과는 상이하나 집안에 비치되어지는 다양한 제품에 납골함 유닛(20)이 결합가능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구본은 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과 스탠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 모두 사용가능하며 상기 사용되어지는 지구본의 하측으로 수납케이스(10)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케이스(10)에 납골함 유닛(20)이 결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안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등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의 일측으로 납골함 유닛을 결합하여 사용 및 보관함으로서 고인의 기일이나 명절등은 물론 고인의 생신이나 기념일등에도 쉽게 집안에서 고인의 영정과 유골함을 꺼내어 고인에 대한 향수와 제를 모실 수 있도록 고안함으로서 조상에 대한 예를 항시 가깝게 모셔 후손으로서 고인에 대한 면목이 바로 서게 되어 미풍양속의 구현에 이바지 가능한 것이며 특히 가전 및 가구제품의 특성에 따라 TV나 PC 또는 오디오등에 수납케이스를 결합시 고인의 영상물이 출력가능한 것으로서 고인에 대한 향수를 보다 간편하게 고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구성상태를 열거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사용가능한 가전 및 가구제품의 형상에 따라 즉 벽걸이형 TV 또는 벽걸이형 어항과 같이 벽에 결합되는 가전 및 가구제품은 벽면에 납골함 유닛이 인서트몰딩 결합되어 설치가능한 것이며 또한 시계와 같이 관상용으로 사용되는 가전 및 가구제품의 경우 상기 납골함 유닛이 외부에서 않보이도록 배면부나 저면부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상기 납골함 유닛의 결합은 상,하,좌,후 및 전,후면 등 방향에 구애없이 임의의 방향에 설치가능한 것이며 이하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이전까지 서술된 구성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TV,오디오,PC,시계,비디오,지구본과 같은 가전 및 가구제품의 내측으로 납골함 유닛이 결합되어지는 납골함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전 및 가구제품(A)의 일측으로 수납케이스(1)를 형성하되, 상기 수납케이스(1)는 일측으로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스토퍼가 형성된 수납실(10)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실(10)에 납골함 유닛(20)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0)의 내측으로 가이드홈(101)이 형성되어 상기 납골함 유닛(20)의 외측으로 돌설되어진 가이드돌기(201)가 상기 가이드홈(10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유닛.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0)의 전면 개구부(11)에 커버부재(111)가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유닛.
KR2020060028476U 2006-10-26 2006-10-26 납골함 유닛 KR200438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76U KR200438327Y1 (ko) 2006-10-26 2006-10-26 납골함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476U KR200438327Y1 (ko) 2006-10-26 2006-10-26 납골함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327Y1 true KR200438327Y1 (ko) 2008-02-11

Family

ID=4133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476U KR200438327Y1 (ko) 2006-10-26 2006-10-26 납골함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3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40B2 (en) Chambered cremation URN memorial with attached or integrated electronic imaging device
US2513951A (en) Inurnment urn
US20120047699A1 (en) Lamp
US20070152549A1 (en) Wall-mounted ash display cabinet
KR101503648B1 (ko) 안치공간을 개인단 또는 부부단으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봉안함 안치단
KR200438327Y1 (ko) 납골함 유닛
KR101697305B1 (ko) 유골 함 보관장
KR20140130909A (ko) 영상출력이 가능한 납골함
JP2011212090A (ja) 仏壇
US10052251B1 (en) Structure for cremains container
JP3205410U (ja) 卓上型厨子
JP2016209750A (ja) 納骨箱並びに該納骨箱を収納可能な納骨仏壇
JP3177779U (ja) 携帯仏具セット
JP2008284315A (ja) 追憶・分骨ケース
JP3154558U (ja) 供養家具
US20190264462A1 (en) Memorial suite and a multi-floor building structure for housing same
JP3163123U (ja) 納骨壇
JP3145201U (ja) 仏壇
KR20080093523A (ko) 서랍식 납골함
JP3083550U (ja) 卓上型供養具
JP3226721U (ja) 上置型仏壇
JP3225590U (ja) 納骨壇
US20210003286A1 (en) Digital Mantelpiece
JP2007020871A (ja) 仏壇
JP2004230103A (ja) 壁面収納型仏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