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926Y1 -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 Google Patents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926Y1
KR200437926Y1 KR2020070014255U KR20070014255U KR200437926Y1 KR 200437926 Y1 KR200437926 Y1 KR 200437926Y1 KR 2020070014255 U KR2020070014255 U KR 2020070014255U KR 20070014255 U KR20070014255 U KR 20070014255U KR 200437926 Y1 KR200437926 Y1 KR 200437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dy
support bracket
horizontal plate
vertical plate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커튼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커튼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커튼월
Priority to KR2020070014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9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외장재로 사용되는 강화유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외장재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브라켓을 용접시 상기 용접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손상시켜 주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편상으로 하여 임의의 길이를 갖는 수평판체의 일면 중간지점에 수직의 상태로 위치되는 수직판체로 구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외장재를 안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장재가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커튼월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형성하게 되는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의 내주면 모서리 부분과 상기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측면이 접하게 되는 수직판체와의 직각지점을 용접시켜 상기 용접부분이 외부에서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판체와 수직판체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브라켓, 수평판체, 장공, 통공, 수직판체, 고정부재, 외장재, 용접, 체결나사

Description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Jib racket since curtain wal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외장재로 사용되는 강화유리를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외장재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지브라켓을 용접시 상기 용접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손상시켜 주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커튼월은 건축물 외벽을 대리석이나 강화유리와 같은 외장재를 사용할 때 건축물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외장재가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건축용 커튼월(10)의 시공상태를 보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교차되는 상태의 지지브라켓(2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외장재를 안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를 설치 한 다음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장재(40)가 안전하면서 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용 커튼월을 형성함에 있어, 현재 건물의 외벽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지지 설치되는 지지브라켓(2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상으로 하여 일면에 고정부재(30)가 안정되게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판체(21)를 갖추고, 상기 고정부재가 안치되는 반대편 중앙에 수직의 상태로 위치시켜 수평판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수직판체(22)를 위치시켜 상기 수평판체와 수직판체가 면접지 되는 접지면에 사이에 용접(50)에 의하여 이들이 결합 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브라켓을 이루게 되는 수평판체와 수직판체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사용할 경우 상기 수직판체가 실내측에 위치하고 있음에 따라 수평판체와 수직판체를 결합시켜 주기 위하여 땜질을 하게 되는 용접부분이 실내에서 육안으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미관을 손상시켜 주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용접부분을 작업자가 매끈하게 다듬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와 같이 용접부분을 매끈하게 하기 위하여 다듬질 작업을 하다 보면, 용접부분이 깎여 나감에 따라 용접부위가 상대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게 되는 부분이 있어 이를 감안하여 용접공은 용접부위를 두껍게 용접시켜 주게 됨에 따라 용접봉의 사용량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용접시간도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커튼월을 시공시 외장재를 안정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외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이루게 되는 수평판체와 수직판체를 결합시켜 주기 위한 용접부분이 외측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시공후 상기 용접부위에 의하여 미관을 손상시켜 주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평판체와 수직판체가 견고하게 결합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편상으로 하여 임의의 길이를 갖는 수평판체의 일면 중간지점에 수직의 상태로 위치되는 수직판체로 구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외장재를 안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장재가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커튼월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형성하게 되는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의 내주면 모서리 부분과 상기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측면이 접하게 되는 수직판체와의 직각지점을 용접시켜 상기 용접부분이 외부에서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판체와 수직판체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공 사이의 수평판체를 통해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수직판체를 나선 체결되도록 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대리석이나 강화유리 등과 같은 외장재를 견고하게 조립 설치하기 위하여 외벽에 지지되는 지지브라켓을 이루게 되는 수평판체와 수직판체를 용접에 의하여 결합시켜 주고자 할 때, 상기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있는 장공의 내주면 모서리 부분과 이에 접하게 되는 수직판체 면을 용접하도록 되어 있어 용접부분이 실내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아 용접부분에 의하여 미관을 손상시켜 주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지지브라켓에 의해 시공된 건축용 커튼월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우선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용 커튼월(10)은 건물 외벽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교차 되는 상태의 지지브라켓(20)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외장재를 안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장재(40)가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20)은 편상으로 하여 임의의 길이를 갖고 일면에 고정부재(30)가 안정되게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판체(21)와, 상기 수평판체중 고정부재가 안치되는 반대편 중앙에 수직의 상태로 위치시켜 수평판체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수직판체(22)가 위치하도록 하는데, 이들의 결합을 종래와 같이 이들 의 교차지점에 외부에서 용접을 하지 않고,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장공(21a)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의 내주면과 수직판체(22)가 만나게 되는 지점에 용접(50)을 수행하여 주므로서, 용접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판체와 수직판체가 용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평판체에 형성되는 장공(21a)의 길이는 수평판체의 강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형성시켜 주게 되는 것이고, 장공(21a)의 폭은 수직판체(22)의 두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야만 장공의 내주면 모서리 부분이 수직판체의 두께면 내측에 위치할 수 있어 이들이 만나는 직각부분에 용접(50)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장공 사이에는 수직판체를 관통하여 수직판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나사(60)를 나선 체결시켜 용접에 의해서만 수평,수직판체가 결합 되지 않아 견고하고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은 건축용 커튼월(10)을 시공하기 위하여 지지브라켓(20)을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20)을 이루게 되는 수평,수직판체(21,22)를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수직판체의 결합상태를 보면, 우선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하여 장공(21a)이 갖추어진 수평판체(21)의 일면 중간지점에 길이 방향으로 하여 수직판체(22)의 일측면이 접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장공(21a)을 통해 이의 내주면 모서리와 수직판체(22) 가 만나게 되는 직각부분에 용접(50)을 수행하여 상기 용접에 의해 수평판체(21)와 수직판체(22)가 접합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판체(21)에 갖추어진 장공(21a)을 통해 수평판체(21)와 수직판체(22)의 용접(50)이 완료되면 상기 장공 사이에 갖추어진 통공(21b)을 통해 체결나사(60)를 수직판체(22)에 나선 체결시켜 주면 수평,수직판체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20)을 설치 시 수직판체(22)가 실내측을 향하도록 되어야만 실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판체(21)의 일면에 고정부재와 외장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수직판체(22)가 실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수평판체(21)에 갖추어져 있는 장공(21a)과 이의 내주면을 통해 수직판체와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50) 부분이 노출되어 보이지 않아 용접부분에 의해 미관을 손상시켜 주지 않는 상태에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지지브라켓(20)을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평, 수직이 되도록 격자 형태로 하여 설치한 다음, 수직판체가 갖추어지지 않은 수평판체(21)의 일면에 고정부재(30)가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장재(40)가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건축용 커튼월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A부 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건축용 커튼월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도.
도 6 은 도5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7 은 도5의 B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지지브라켓 21:수평판체
21a:장공 21b:통공
22:수직판체 30:고정부재
40:외장재 50:용접
60:체결나사

Claims (2)

  1. 편상으로 하여 임의의 길이를 갖는 수평판체의 일면 중간지점에 수직의 상태로 위치되는 수직판체로 구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전방에 외장재를 안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외장재가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커튼월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형성하게 되는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공의 내주면 모서리 부분과 상기 수평판체의 중간지점에 일측면이 접하게 되는 수직판체와의 직각지점을 용접시켜 상기 용접부분이 외부에서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판체와 수직판체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 사이의 수평판체를 통해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수직판체를 나선 체결되도록 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KR2020070014255U 2007-08-28 2007-08-28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KR200437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55U KR200437926Y1 (ko) 2007-08-28 2007-08-28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255U KR200437926Y1 (ko) 2007-08-28 2007-08-28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926Y1 true KR200437926Y1 (ko) 2008-01-08

Family

ID=4134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255U KR200437926Y1 (ko) 2007-08-28 2007-08-28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414B1 (ko) 2021-12-13 2022-07-13 정도영 커튼월 지지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414B1 (ko) 2021-12-13 2022-07-13 정도영 커튼월 지지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075B1 (ko) 무용접 하지 트러스 철물
KR100900062B1 (ko)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
KR102249291B1 (ko) 건축용 내장재 고정장치
KR20140090039A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4웨이 테넌 조인트 프레임
JP2007239388A (ja) ドーム構築用金具とドーム構築方法
JP4886724B2 (ja) 建築用外装ルーバー
KR200437926Y1 (ko) 건축용 커튼월의 지지브라켓
JP5635749B2 (ja) Alc部材及びalc部材への取付構造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EP3546678A1 (en) Fence post with attaching means and a modular fencing system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20090034510A (ko)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KR102169805B1 (ko) 프레임 고정 브라켓
JP5437758B2 (ja) パネル取付構造及びパネル取付方法
JP2021080756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構造
ES2227339T3 (es) Estructura de viga lamelar.
KR200281175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JP6867079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用の自重受け金物
JP2005200907A (ja) 接合用板金物およびこの接合用板金物を用いた柱と梁の接合方法
KR20120007605U (ko) 차양브라켓 결합구
JP6580395B2 (ja) 採光装置
JP2012241316A (ja) コーナー庇
JP6908955B2 (ja) 木材連結用の受け金具、建築物の施工方法、木材の連結方法および建築物の製造方法
CN211341611U (zh) 阳角固定件
JP4005975B2 (ja) 外断熱工法を用いた建物の外壁パネル材取付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