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448Y1 - 숯불 자동착화기 - Google Patents

숯불 자동착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448Y1
KR200437448Y1 KR2020060030883U KR20060030883U KR200437448Y1 KR 200437448 Y1 KR200437448 Y1 KR 200437448Y1 KR 2020060030883 U KR2020060030883 U KR 2020060030883U KR 20060030883 U KR20060030883 U KR 20060030883U KR 200437448 Y1 KR200437448 Y1 KR 200437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ire
fuel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학
Original Assignee
윤장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학 filed Critical 윤장학
Priority to KR2020060030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4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4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00Mechanical igni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숯불구이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숯불 자동착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에 불을 자동으로 피워주는 숯불 자동착화기에 관한 고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정 내용적을 가지는 하우징과, 소정의 연료를 적절히 공급하여 불을 피우는 연료공급계와,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기주입계와, 이들을 적절히 제어하는 제어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숯불 자동착화기는 숯이 자동으로 착화가 되면서 손님이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화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까지 전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장입된 숯이 모두 골고루 좋은 화력의 숯불로 되도록 하면서, 취급자가 신경 쓰지 않아도 화재나 화상의 염려 없이 충분한 화력의 숯불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숯, 숯불, 착화기, 숯불 피우기

Description

숯불 자동착화기{Automatic firer for charcoal}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 모식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의 전개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발췌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어 흐름도,
도 7은 종래고안의 구성상태 단면도,
도 8은 종래 다른 고안의 구성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1. 노즐 12. 화도 13. 석쇠 14. 벽체
15. 연도 16. 뚜껑 17. 분화장치
2. 연료보급계
21. 연료주입구 22. 필터 23. 펌프 24. 드레인
3. 공기주입계
31. 모터 32. 송풍기
4. 제어계
41. 타이머 42. 제어박스 43. 스타트버튼 44. 스위치
45. 점화장치
71. 상자 본체 72. 상판 72'. 상판 연장부 73. 화덕 재치부
73'. 테두리 74. 덮개 75. 송풍구 76. 송풍기 76'. 송풍관
77. 화덕 77'. 화구 79. 지지링
본 고안은 숯불구이를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숯불 자동착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숯에 불을 자동으로 피워주는 숯불 자동착화기에 관한 고안이다.
고기는 약한 불에 오래 굽는 것보다 센 불로 짧게 익히는 것이 맛이 더 좋은데 육즙이 흘러나온 고기는 별로 맛이 없기 때문이며, 숯불은 그 화력이 대략 천이삼백 도에서 이천도 이상까지 올라가서 오륙백 도 정도인 프라이팬이나 전기가열기더욱 좋은 맛을 낼 수 있고, 이는 높은 화력이 고기의 향이 빠져나가기 전에 구워버려서 그 맛을 도망가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며, 더불어, 숯불의 연기에 의한 구워지는 고기가 훈제되어 독특한 향과 맛을 함께 지니게 되며, 또한 고기는 지방이 있어야 맛있으며, 따라서 뻘건 살코기의 퍽퍽한 맛과 거미줄 친 것 같은 흰 지방이 고르게 분포한 살을 최상급으로 치는데, 숯불구이는 지방이 다 녹기 전에 고기를 익도록 하여 지방을 아주 적당하게 유지시켜줘서 좋은 맛을 내게 된다.
따라서, 고기에 불과 연기가 직접영향을 미쳐서 고기가 부드러워지고 기름기가 적당히 제거되도록 하는 숯불구이가 고깃집에서는 최고급 요리로 치기 때문에, 대형음식점 특히 고기 구이 전문점에서는 화덕에 담긴 숯불을 제공하여 고기를 구워먹도록 한다.
그러나 숯불은 관리하기가 힘들고 경비도 많이 들지만, 최고의 화력을 가지도록 피우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닌데,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이를 위해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손님이 래도시 마다 일일이 숯불을 피워 제공하고, 식사 중일지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숯불을 빼내어 숯을 보충하고 다시 불을 붙여서 소정의 화력이 되도록 하여 다시 제공하는 등 관리를 하는데, 식당의 규모 및 손님의 숫자에 따라 다르지만, 숯불에 대한 전담인력이 한두 사람만으로는 곤란한 경우도 있어서 인력이 많이 낭비되게 된다.
이를 개선하고자, 고안된 것이 공개실용신안 제98-8865호인 화덕용 연소보조기가 있는데, 이는 도 7에 그 구성상태를 단면도 형식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자 본체(71)의 상판(72)의 가장자리에 상판 연장부(72')를 형성하고 상면에 구연에 테두리(73')가 튀어나오게 환설된 화덕 재치부(73)를 다수 천설하여 지지링(79)과 덮개(74)를 순차로 덮어씌우고 상자 본체(71)의 축벽에 화덕 재치부(73)에 재치된 화덕(77)의 화구(77')에 대접하여 송풍기(76)의 송풍관(76')이 삽통되는 송풍구(75)를 천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을 피워 쓰는 화덕용 연소보조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고안은 단순히 화덕에 풍로를 연결하여 숯불을 피울 때 공기 공급을 원활히 하여 주는 구조에 지나지 않아서, 착화를 위한 별도의 재료(예컨대 번개탄 등)가 소요되며, 게다가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어 여름철 더위와 더불어 취급자에게 어려움을 줄뿐만 아니라 노출된 화염에 의한 화상 등의 염려도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다 진보된 고안으로는 실용신안공개 제95-4241호인 숯불 착화기가 있는데, 이는 도 7에 구성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1. 기존 규격의 손잡이 달린 4ℓ 페인트 환관 1개와 3,300g용 케첩 원형(뚜껑 없는) 식관 1개를 이용하여 합이 377.8mm 높이의 연통으로 써서 숯불 착화를 촉진시킨 숯불 착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숯불 착화 촉매제로 쓸 한국 고유의 19공탄용 착화탄 6개를 케첩 원통에 내장하고 4ℓ 페인트 통에 넣어 완봉하여 포장을 간편하게 하였으며 선적의 안전을 도모한 점."으로 된 것이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기재된 청구범위가 불비하여 정확히 그 요지의 파악이 어렵지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소정 내용적의 밀폐용기 안에서 숯불을 피우겠다는 것이라서 취급자의 화상 위험은 많이 경감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되지만, 그 외의 문제는 전혀 해결할 수단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여 숯이 자동으로 착화가 되면서 손님이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화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까지 전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숯불 자동착화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특히 장입된 숯이 모두 골 고루 좋은 화력의 숯불로 되도록 하면서, 취급자가 신경을 쓰지 않아도 화재나 화상의 염려 없이 충분한 화력의 숯불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정 내용적을 가지는 하우징과, 소정의 연료를 적절히 공급하여 불을 피우는 연료공급계와,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는 공기주입계와, 이들을 적절히 제어하는 제어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지를 알기 쉬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본 고안의 구성상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하우징(1)의 내부를 알 수 있도록 조립 전 상태로 전개한 전개 상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노즐(11)로부터 화염의 진행을 알 수 있도록 도시한 발췌 평면도이고, 도 4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노즐(11)의 상세를 알 수 있도록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발췌도이고, 5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인 분화장치(17)의 구조 및 그에 따른 작용을 도시한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4)로 둘러싸여 뚜껑(16)으로 밀폐되는 것으로, 석쇠(13)에 의하여 상하로 분리되고, 상부에는 연도(15)가 하부에는 화도(12)가 연통하는 하우징(1); 연료통과 연통하는 연료주입구(21)와, 연료를 흡입하여 상기 화도(12)에 설치되는 노즐(25)로 송급하는 펌프(23)로 되는 연료공급계(2); 회전에 의해 상기 노즐(11) 측으로 공기를 강제 급송하는 송풍기(32)와, 상기 송풍기(32)를 회전시키는 모터(31)로 되는 공기주입계(3); 착화를 시작시키는 스타트버튼(43)과, 숯불이 착화되어 화력이 좋아지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세팅된 타이머(41)와, 점화하여 착화가 완료되기까지를 순차적으로 제어처리를 하는 제어박스(42)로 되는 제어계(4);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노즐(11)이 설치된 상기 화도(12)가 상기 하우징(1)의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에 분화장치(17)가 추가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각 구성 별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우징(1)은 전형적인 난로와 같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데, 소정의 내용적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며(육면체 형이나 다각기둥 상 등), 원통형의 하우징(1)을 이루는 벽체(14)는 그 중간 내벽에 돌출된 돌기가 있어서 석쇠(13)를 소정 높이로 지지함으로써 하우징(1)의 내부가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는데, 석쇠(13)의 위쪽에는 숯이 놓여져서 착화기 되게 되며, 석쇠(13)의 아래쪽은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이면서 숯에서 떨어지는 재가 수납되는 공간이며, 벽체(14)도 상부와 하부가 분리/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면 청소나 숯불의 취출 등이 손쉽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의 상부에는 연기가 빠지는 연도(15) 하부에는 연료 및 공기를 주입하는 화도(12)가 연통 되고, 뚜껑(16)을 닫아서 내부가 밀폐되도록 함으로 서 하우징(1)의 외부로 화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화도(12)에는 노즐(11)이 설치되어 액체연료(예컨대, 등유, 백등유, 석유, 벙커시유 등)를 분산/기화시킴으로써 점화가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화도(12)의 후미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역화(逆火)방지 장치를 달아서 안전에 만전을 기울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료주입구(21)와 펌프(23)로 이루어지는 연료보급계(2)에 있어서, 연료주입구(21)는 파이프 또는 호스로 되는 것이고, 도시하지 않은 연료통에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23)에서 펌핑을 하면 연료통->연료주입구(21)->필터(22)->펌프(23)->노즐(11) 순으로 연료가 송급되는데, 펌프(23)는 연료를 연료통에서 노즐로 강하게 뿜어주는 기능을 가짐으로 반드시 도시된 순서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펌프(23) 또는 필터(22) 측에 드레인(24)을 형성하여 물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공기주입계(3)는 모터(31)와 송풍기(32)로 이루어지는데, 송풍기(32)는 풍로와 같은 형태이고 그 내부의 팬을 모터(31)가 구동하여 화도(12) 측으로 공기를 강하게 불어넣는다.
마지막으로 제어계(4)는 각 장치를 적절히 제어하여 숯이 착화되어 소정의 화력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도 6의 제어 흐름도를 참고로 설명하면, 전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44)를 온시키고, 스타트버튼(43)을 누르면 펌프(23)가 가동되어 연료를 노즐(11)에서 분사하면서 노즐(11)에 있는 점화장치(45)에서 스파크를 발생시켜 점화를 하고, 소정시간 후 모터(31)를 구동하여 공기를 송급하도록 제어하며, 타이머(41)에 세팅된 시간이 경과하면 멜로디 또는 경고음을 발하 면서 연료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완료 후에도 공기 송급을 위해 모터(31)는 더 구동되도록 되며, 취급자가 스위치(44)를 내려서 모터(31)를 끈 후 발화된 숯불을 꺼내도록 하며, 이러한 제어는 제어박스(42) 내의 CPU에 내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노즐(11)이 설치된 상기 화도(12)가 상기 하우징(1)의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화도(12)로 송급된 공기가 하우징(1)의 하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산소 공급을 골고루 원활히 하여 하우징(1)에 내장되는 숯이 골고루 화력이 좋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에 분화장치(17)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인데, 분화장치는 보빈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되고 중앙부보다 양 측면의 지름이 커지는 형태로 되어 노즐(11)에서 뿜어지는 화염이 분화장치(17)의 중앙부로 유도되면서 화염이 펼쳐지게 되어 석쇠의 전면에 걸쳐서 화염이 도달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분화장치(17)의 측벽부에 슬릿상 또는 천공이 형성되어 상부 중앙 측으로도 화염이 진입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숯불 자동착화기는 숯이 자동으로 착화가 되면서 손님이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화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까지 전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장입된 숯이 모두 골고루 좋은 화력의 숯불로 되도록 하면서, 취급자가 신경 쓰지 않아도 화재나 화상의 염려 없이 충분한 화력의 숯불이 완성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벽체(14)로 둘러싸여 뚜껑(16)으로 밀폐되는 것으로, 석쇠(13)에 의하여 상하로 분리되고, 상부에는 연도(15)가 하부에는 화도(12)가 연통하는 하우징(1);
    연료통과 연통하는 연료주입구(21)와, 연료를 흡입하여 상기 화도(12)에 설치되는 노즐(25)로 송급하는 펌프(23)로 되는 연료공급계(2);
    회전에 의해 상기 노즐(11) 측으로 공기를 강제 급송하는 송풍기(32)와, 상기 송풍기(32)를 회전시키는 모터(31)로 되는 공기주입계(3);
    착화를 시작시키는 스타트버튼(43)과, 숯불이 착화되어 화력이 좋아지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세팅된 타이머(41)와, 점화하여 착화가 완료되기까지를 순차적으로 제어처리를 하는 제어박스(42)로 되는 제어계(4);
    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자동착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1)이 설치된 상기 화도(12)가 상기 하우징(1)의 중심부를 향하여 기울어져 형성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자동착화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내부 바닥면에 분화장치(17)가 추가로 설치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자동착화기.
KR2020060030883U 2006-12-04 2006-12-04 숯불 자동착화기 KR200437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883U KR200437448Y1 (ko) 2006-12-04 2006-12-04 숯불 자동착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883U KR200437448Y1 (ko) 2006-12-04 2006-12-04 숯불 자동착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448Y1 true KR200437448Y1 (ko) 2007-12-03

Family

ID=41638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883U KR200437448Y1 (ko) 2006-12-04 2006-12-04 숯불 자동착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4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32A (ko) * 2018-09-21 2020-03-31 김석원 자동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버너의 고장을 방지한 숯 착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32A (ko) * 2018-09-21 2020-03-31 김석원 자동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버너의 고장을 방지한 숯 착화기
KR102121666B1 (ko) * 2018-09-21 2020-06-10 김석원 자동으로 개폐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버너의 고장을 방지한 숯 착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995B2 (en) Dual-fuel gas-pellet burner assembly
US20140326232A1 (en) Dual-fuel gas-pellet burner assembly
KR10075276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1675992B1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US3295509A (en) Barbecue starter and burner apparatus
KR100645031B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US20110197872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KR200437448Y1 (ko) 숯불 자동착화기
KR20160130564A (ko) 가스로 숯불을 달군상태에서 자연유지토록 하는 꼬치구이기
KR20130090193A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101156612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US20180110366A1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KR101224120B1 (ko) 숯불 연소장치
CN208925066U (zh) 无烟炭烤炉
KR200392575Y1 (ko) 고기구이기
CN103501667A (zh) 用于基本上使油脂或油在操作和存储状态下最小的溢出的可折叠式烧烤装置
KR200472326Y1 (ko) 화목 난로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US20170202395A1 (en) Ignition device, particularly for forming embers for barbecues, ovens and the like
KR200169831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KR200207280Y1 (ko) 가스겸용 회전식 꼬치구이기
KR102415462B1 (ko) 다목적 화덕
KR200454115Y1 (ko)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