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277Y1 - 주유기 - Google Patents

주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277Y1
KR200437277Y1 KR2020070000164U KR20070000164U KR200437277Y1 KR 200437277 Y1 KR200437277 Y1 KR 200437277Y1 KR 2020070000164 U KR2020070000164 U KR 2020070000164U KR 20070000164 U KR20070000164 U KR 20070000164U KR 200437277 Y1 KR200437277 Y1 KR 200437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sliding body
air inlet
guide groov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379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37277(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하이텍코리아
Priority to KR2020070000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277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레버가 구비된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단부측의 일부가 연료주입구에 삽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공기유입공의 공기유입을 감지하는 공기감지수단과; 상기 스파우트의 외측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에 당접되도록 상기 스파우트 단부의 외측에 헐거움 끼워맞춤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연료주입구에 삽입한 경우에는 상기 연료주입구의 상단면과 당접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연료주입구로부터 빼낸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복귀되는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밀착스프링과,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스파우트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와,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방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전방측으로 복귀되면 상기 공기유입공을 폐쇄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딩몸체의 외경보다 연료주입구 의 직경이 큰 연료탱크로 스파우트를 삽입하면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아 공기유입공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할 수 있다.
주유기, 보호커버, 가이드홀, 가이드돌기, 경사

Description

주유기{Lubricator}
도 1은 종래 주유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제1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제2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스파우트 측면도.
도 7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노즐몸체 14:레버
13h:공기유입공 17:완충스프링
17a, 17b:와셔 18:공기감지수단
100:스파우트 110:가이드홈
112:환형홈 114:고정홈
120:마모방지링 200:슬라이딩몸체
210:가이드돌기 220:관통홀
300:개폐수단 310:밀착스프링
312:결합판 320:밀착패드
330:보호커버
본 고안은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할 수 있는 주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지하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호스를 통해 자동차 등에 유류를 급유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는 내부에 유류흡입 및 이의 관련 각종 기계적인 장치들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흡입된 유류가 연료탱크에 급유되게 하는 주유기로 구성되어 있다.
주유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노즐몸체(11)와 상기 노즐몸체(11)로부터 연장된 스파우트(12)가 형성되며, 노즐몸체(11)로 유입된 유류를 스파우트(12)를 통해서 연료탱크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11)의 하부측에는 레버(14)가 설치되어 조작자의 당김 및 놓음 선택에 의해서 유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작자가 급유 조작시 상기 레버(14)를 계속적으로 잡고 당기지 않더라도 급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급유가 완료된 시점에서 자동으로 급유를 중단시킬 수 있는 자동조작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자동조작수단은, 상기 노즐몸체(11)의 스파우트(12) 끝부분에 공기감지수단(18)과 공기유입관(13)에 의해 연통된 공기유입공(13h)이 형성되어 급유가 진행됨에 따라서 연료탱크(T)에 채워지는 유류의 표면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레버(14)의 일측 노즐몸체(11)에는 상기 레버(14)를 당김상태로 걸림 고정하거나 공기 유입 유무의 감지신호에 따라 공기감지수단(18)에 의해 상기 레버(14)의 걸림을 해제하는 괘정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유기(10)의 스파우트(12)를 차량의 연료탱크(T)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버(14)를 당기면 유로가 개방되어 주유가 시작된다.
상기 레버(14)를 괘정부(15)에 걸어 놓은 상태로 자동주유동작이 진행됨에 따라서 연료탱크(T)내의 연료 수위가 점차 높아지고, 공기유입공(13h)까지 연료 수위가 높아지면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공기감지수단(18)이 공기의 유입차단을 감지하고 괘정부(15)에 동작명령을 내려 상기 레버(14)의 걸림을 해제하여 자동주유동작이 중단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주유기는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2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디젤차량과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솔린 차량용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대체로 디젤차량의 연료주입구는 가솔린차량의 연료주입구보다 크게 제작되어 디젤차량의 주유기는 가솔린차량의 연료주입구로 들어갈 수 없지만, 가솔린차량의 주유기는 디젤차량의 연료주입구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가솔린차량이라 하더라도 주유구가 통상의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의 주유구보다 크게 제작된 것도 있으며, 지프차의 경우에는 가솔린차량과 디젤차량이 혼용으로 제작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그에 맞는 주유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조작자의 실수로 연료주입구가 크게 형성된 디젤차량에 가솔린 주유기로 주유하는 경우에는 주입된 연료를 모두 버려야 하는 작은 문제점뿐만 아니라 디젤차량의 연료탱크와 엔진 구동시 엔진을 손상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료주입구보다 반경이 작은 스파우트를 갖는 주유기를 연료주입구로 삽입하면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할 수 있는 주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레버가 구비된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단부측의 일부가 연료주입구에 삽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공기유입공의 공기유입을 감지하는 공 기감지수단과; 상기 스파우트의 외측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에 당접되도록 상기 스파우트 단부의 외측에 헐거움 끼워맞춤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연료주입구에 삽입한 경우에는 상기 연료주입구의 상단면과 당접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연료주입구로부터 빼낸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복귀되는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밀착스프링과,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스파우트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와,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방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전방측으로 복귀되면 상기 공기유입공을 폐쇄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유입공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된 경우보다 전방측으로 복귀된 경우에 상기 스파우트와 상기 밀착패드의 밀착성이 높아지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파우트의 양측에 대칭되게 한쌍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공기유입공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환형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환형홈에는 마모방지링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공기유입공의 반대측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된 경우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쳐져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스프링의 양측에는 와셔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밀착패드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주유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몸체(11), 스파우트(100), 완충스프링(17), 슬라이딩몸체(200), 개폐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노즐몸체(1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노즐몸체(1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류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된 주유호스(16)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연료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레버(14)가 구비되며, 이 레버(14)를 당김 또는 놓음 선택에 의해서 유로 개폐동작을 수행하여 차량의 연료탱크(T, 도 5에 도시됨)로 연료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부분이며, 후술하는 스파우트(100)가 이 노즐몸체(11)로부터 연장형성된다.
한편, 이 노즐몸체(11)는 공지의 장치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파우트(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스파우트(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몸체(11)의 주유호스(16)가 연결된 부분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측의 일부가 차량의 연료주입구(T1)로 삽입되어 연료를 주유되는 부분으로서, 스파우트(100)의 단부측이 연료탱크(T)의 연료주입구(T1)로 삽입된 후 레버(14)를 당겨 노즐몸체(11)로 유입되는 연료를 연료탱크(T)로 주입시키게 된다.
상술한 스파우트(100)의 단부측에는 공기유입공(13h)이 형성되며, 주유 시에는 이 공기유입공(13h)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유입관(13)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를 공기감지수단(18)이 감지하게 된다. 이때,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면 공기감지수단(18)이 레버(14)를 놓음 위치로 작동시켜 주유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0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1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10)은 후술하게 될 슬라이딩몸체(200)가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00)의 양측에 대칭되게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홈(110)의 일측 단부(공기유입공(13h)측 단부)에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연장된 환형홈(112)이 더 형성되며, 이 환형홈(112)에는 마모방지링(120)이 결합된다.
마모방지링(120)의 재질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강도 높은 재질의 마모방지링(120)을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몸체(200) 의 잦은 슬라이딩동작에 의해서 공기유입공(13h)측 가이드홈(110)의 단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모방지링(120)이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마모방지링(120)만 교체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10)의 타측 단부(공기유입공(13h) 반대측 단부)에 가이드홈(110)으로부터 반경의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114)이 더 형성되며, 이 고정홈(114)은 후술하게 될 슬라이딩몸체(20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때, 가이드홈(110)이 스파우트(100)의 양측에 형성된 경우에는, 고정홈(114)의 형성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홈(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0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공기유입공(13h)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경사(α)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가이드홈(110)의 고정홈(114)과 가이드홈(110)의 경사진 형상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한 설명 시 더 상세히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슬라이딩몸체(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몸체(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00)의 가이드홈(110)을 따라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어, 후술하게 될 개폐수단(300)이 가이드홈(110)의 공기유입공(13h)을 개폐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00)의 외측에는 완충스프링(17)이 끼워지며, 슬라이딩몸체(200)는 이 완충스프링(17)의 일측에 당접되도록 스파우트(100) 단부의 외측에 헐거움 끼워맞춤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10)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210) 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공(13h)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220)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홈(110)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마련된 가이드돌기(210)는 가이드홈(110)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어, 슬라이딩몸체(200)가 가이드홈(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몸체(200)에 양측에 각각 한쌍의 홀(202)을 형성하고, 이 홀에 무두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를 결합하여 슬라이딩몸체(2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함으로써 가이드돌기(21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몸체(200)의 내측면에는 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가이드돌기(2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홈(110)의 형상이 스파우트(10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공기유입공(13h)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것을 고려하여, 가이드돌기(210)의 형성위치도 가이드홈(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기유입공(13h)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형성된 관통홀(220)은 후술하게 될 개폐수단(300)의 밀착스프링(310), 결합판(312) 및 밀착패드(32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슬라이딩몸체(200)가 가이드홈(110)을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밀착패드(320)가 공기유입공(13h)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슬라이딩몸체(200)는 스파우트(100)를 상기 연료주입구(T1)에 삽입한 경우에는 상기 연료주입구(T1)의 상단면과 당접되어 상기 가이드홈(110)을 따라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스파우트(100)를 상기 연료주입구(T1)로부터 빼낸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홈(110)을 따라 전방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스프링(17)의 양측에는 각각 단면이 "
Figure 112007000994092-utm00001
" 의 형태로서 중앙이 개구된 와셔(17a, 17b)가 결합되어, 이 와셔(17a, 17b)가 완충스프링(17)의 양측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딩몸체(200)의 슬라이딩동작이 안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17a)를 대신하여, 완충스프링(17)의 일측에 접촉되는 슬라이딩몸체(200)에 돌출부(204)가 형성하고, 이 돌출부(204)에 완충스프링의 일측을 끼워서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개폐수단(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개폐수단(3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몸체(200)의 관통홀(220)에 설치되는 밀착스프링(310)과, 밀착스프링(310)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결합판(312)과, 결합판(312)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파우트(10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320)와, 슬라이딩몸체(200)의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밀착스프링(310)의 타측을 지지하고 슬라이딩몸체(20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말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220)에 밀착스프링(310)이 설치되며, 이 밀착스프링(310)의 일측단에 결합판이 고정되며, 이 결합판(312)의 상측에 밀착패드(320)가 고정되어 스파우트(100)의 외측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때, 밀착패드(320)의 재질은 고무이고, 결합판(312)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이 강도가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밀착스프링(310)과 밀착패드(320)가 알루미늄과 같이 강도가 높은 판형의 재질인 결합판(312)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밀착스프링의 탄성력이 밀착패드(320)의 전체면에 골고루 작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밀착스프링(310)의 타측이 지지되도록 슬라이딩몸체(200)의 외측에 끼워맞춤되는 보호커버(330)는 밀착스프링(310)의 타측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슬라이딩몸체(200)를 보호하게 된다.
이처럼 보호커버(330)에 의해서 슬라이딩몸체(200)가 보호됨으로써, 슬라이딩몸체(200)가 끼워진 스파우트(100)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부주의로 인해 슬라이딩몸체(200) 또는 스파우트(100)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개폐수단(300)은 슬라이딩몸체(20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기유입공(13h)을 개방하고, 슬라이딩몸체(200)가 전방측으로 복귀되면 공기유입공(13h)을 폐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주유기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파우트(100)에 헐거움 끼워맞춤된 슬라이딩몸체(200)가 스파우트(100)의 전방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스파우트(100)의 가이드홈(110)은 스파우트(10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공기유입공(13h)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몸체(200)가 스파우트(100)의 전방측에 위치 시 밀착패드(320)와 스파우트(100)의 밀 착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몸체(200)의 일측(공기유입공(13h)의 반대측)에는 d1만큼의 공간이 형성되고, 슬라이딩몸체(200)의 타측(공기유입공(13h)측)은 스파우트(100)의 외측면으로 더욱 밀착되어 밀착패드(320)와 스파우트(100)간의 밀착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몸체(200)가 스파우트(100)의 전방측에 위치 시 밀착스프링(310)도 더욱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탄성력이 높아져 밀착력은 더욱 높아진다.
이처럼 밀착패드(320)와 스파우트(100)간의 밀착성이 높도록 밀착패드(320)가 스파우트(100)의 외측면으로 밀착됨에 따라서 공기유입공(13h)의 폐쇄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00)의 단부측의 일부를 연료탱크(T)로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14)를 당겨 주유를 하는 경우에는, 스파우트(100)에 헐거움 끼워맞춤된 슬라이딩몸체(200)가 스파우트(100)의 후방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스파우트(100)의 가이드홈(11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몸체(200)의 일측(공기유입공(13h)의 반대측)은 스파우트(100)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슬라이딩몸체(200)의 타측(공기유입공(13h)측)에는 d2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가이드홈(110)의 단부(공기유입공(13h)의 반대측)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홈(114)에는 슬라이딩몸체(200)의 가이드돌기(210)가 걸쳐지므로 완충스프링(17)에 의해 전방측으로 복귀되는 것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디몸체가 후방측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주유가 진행되고, 연료탱크(T)의 연료수위가 점점 높아져서 스파우트(100)의 공기유입공(13h)에 이르게 되면 공기유입공(13h)으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공기감지수단(18)이 이를 감지하고 노즐몸체(11)의 레버(14)를 놓음 위치로 작동시켜서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주유를 완료하게 된다.
주유가 완료된 후 슬라이딩몸체(200)를 고정홈(114)의 형성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완충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해서 슬라이딩몸체(200)가 전방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딩몸체의 외경보다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연료탱크로 스파우트를 삽입하면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아 공기유입공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몸체의 외측에 보호커버를 마련함으로써, 주유기를 지면에 떨어뜨리거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슬라이딩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슬 라이딩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파우트의 가이드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된 경우보다 전방측으로 복귀된 경우에 스파우트와 밀착패드의 밀착성이 높아지므로 공기감지수단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밀착패드의 마모가 적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공측의 가이드홈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환형홈을 형성하고, 이 환형홈에 마모방지링을 결합함으로써 가이드돌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마모방지링이 마모된 경우에는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공기유입공 반대측의 가이드홈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돌기가 걸쳐져 슬라이딩몸체가 고정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완충스프링의 양측에 와셔가 각각 결합되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연료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레버가 구비된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단부측의 일부가 연료주입구에 삽입되는 스파우트와;
    상기 공기유입공의 공기유입을 감지하는 공기감지수단과;
    상기 스파우트의 외측에 끼워지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에 당접되도록 상기 스파우트 단부의 외측에 헐거움 끼워맞춤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연료주입구에 삽입한 경우에는 상기 연료주입구의 상단면과 당접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연료주입구로부터 빼낸 경우에는 상기 완충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측으로 복귀되는 슬라이딩몸체와;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밀착스프링과, 상기 밀착스프링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스파우트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와,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밀착스프링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딩몸체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방하고 상기 슬라이딩몸 체가 전방측으로 복귀되면 상기 공기유입공을 폐쇄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공기유입공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된 경우보다 전방측으로 복귀된 경우에 상기 스파우트와 상기 밀착패드의 밀착성이 높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스파우트의 양측에 대칭되게 한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공기유입공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환형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환형홈에는 마모방지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공기유입공의 반대측 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후방측으로 슬라 이딩된 경우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걸쳐져 상기 슬라이딩몸체가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의 양측에는 와셔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패드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에 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딩몸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완충스프링의 일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
KR2020070000164U 2007-01-04 2007-01-04 주유기 KR200437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164U KR200437277Y1 (ko) 2007-01-04 2007-01-04 주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164U KR200437277Y1 (ko) 2007-01-04 2007-01-04 주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277Y1 true KR200437277Y1 (ko) 2007-11-21

Family

ID=4163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164U KR200437277Y1 (ko) 2007-01-04 2007-01-04 주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2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60Y1 (ko) 2010-09-27 2011-03-07 전배용 혼유방지구
KR101767013B1 (ko) 2016-10-25 2017-08-23 전배용 혼유 방지 주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60Y1 (ko) 2010-09-27 2011-03-07 전배용 혼유방지구
WO2012043928A1 (ko) * 2010-09-27 2012-04-05 Jeon Bae Yong 혼유방지구
KR101767013B1 (ko) 2016-10-25 2017-08-23 전배용 혼유 방지 주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91095A1 (en)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0437277Y1 (ko) 주유기
US7430814B2 (en) Oil filling structur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2215905B1 (ko) 차량용 부착식 혼유방지장치
JP5888795B2 (ja) フィラーパイプ
KR200383919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20110083401A (ko) 혼유방지 및 유증기 포집 기능을 갖는 주유기
KR200382958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US7854486B2 (en) Container equipped on vehicle
US201603471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detachable fuel pipe of a vehicle fueling system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CN106891834B (zh) 用于保护车辆免受特别是燃油软管损伤的装置
KR200406588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JP7095755B2 (ja) 車両
KR101567234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KR200374138Y1 (ko)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
KR100980950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WO2015178060A1 (ja)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
KR200376996Y1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101271931B1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KR101284952B1 (ko)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KR100451972B1 (ko) 주유기
KR200415549Y1 (ko) 자동차용 주유뚜껑
KR102692353B1 (ko) 사이폰 방지 밸브 구조
CN107531409A (zh) 泄漏防止装置和设置有这种装置的用于运输液体的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20

Effective date: 2008092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