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952B1 -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 Google Patents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952B1
KR101284952B1 KR1020130052102A KR20130052102A KR101284952B1 KR 101284952 B1 KR101284952 B1 KR 101284952B1 KR 1020130052102 A KR1020130052102 A KR 1020130052102A KR 20130052102 A KR20130052102 A KR 20130052102A KR 101284952 B1 KR101284952 B1 KR 10128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fuel
nozzle
stopper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관
Original Assignee
전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관 filed Critical 전명관
Priority to KR102013005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05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연료 혼유방지용 주유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파우트의 내부에 혼유방지용 작동자를 복원시키는 스프링수단을 내장시키고 작동자가 스파우트를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이종의 연료 혼합을 방지하도록 하며 스파우트 외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생략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주유구에 걸려있던 주유기가 빠져나와 유류를 땅에 쏟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이종연료 혼유방지용 주유노즐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주유호스가 연결되고, 레버와, 이 레버용 괘정부를 포함하는 노즐몸체와, 이 노즐몸체로부터 스파우트가 연장되며 이 스파우트에 공기유입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여부를 감지하는 공기센서부가 구비되며 스파우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개방 및 폐쇄하는 작동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있어서, 상기한 스파우트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설치공간을 갖는 튜브형태의 설치관체와; 상기 설치관체에 탄설되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설치관체와 연동되면서 스파우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결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스프링수단을 가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연결되며 스파우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수단에 의해 복원되어 공기유입통공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Two kinds of anti-fuel mixture in the spout}
본 발명은 이종연료 혼유방지용 주유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파우트의 내부에 혼유방지용 작동자를 복원시키는 스프링수단을 내장시키고 작동자가 스파우트를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이종의 연료 혼합을 방지하도록 하며 스파우트 외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생략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하고 탄성부재에 의해 주유구에 걸려있던 주유기가 빠져나와 유류를 땅에 쏟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이종연료 혼유방지용 주유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지하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호스를 통해 자동차 등에 유류를 급유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는 내부에 유류흡입 및 이의 관련 각종 기계적인 장치들을 포함하는 주유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흡입된 유류를 급유원이 차량의 연료탱크(미도시됨)에 급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유노즐(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유원이 손으로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노즐몸체(11)와 이 노즐몸체로부터 주둥이 식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파우트(12)가 형성되어 호스(16)를 통해 상기 노즐몸체(11)로 유입된 유류를 자동차의 연료탱크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몸체(11)의 하부측에는 레버(14)가 설치되어 조작자의 당김 및 놓음 선택에 의해서 유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주유노즐(10)에는 급유시 조작자가 상기 레버(14)를 계속적으로 잡고 당기지 않고서도 급유행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급유완료 시점에서는 상기 급유행정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작수단이 구비된다.
이 자동조작수단은 상기 노즐몸체(11)의 스파우트(12) 끝부분에 공기를 이용 한 공기감지센서부(13)를 설치하여 급유행정에 의해서 차량의 연료탱크(T)에 채워지는 유류의 표면 수위를 감지토록 하고, 상기 레버(14)의 일측 노즐몸체(11)에는 상기 레버(14)를 당김상태로 걸림 고정하거나 상기 공기감지센서부(13)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른 작동에 의해서 상기 레버(14)의 걸림을 해제하는 괘정부(1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시, 주유노즐(10)의 스파우트(12)를 차량의 연료탱크(T)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레버(14)를 당기면 내부의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유로가 개방됨과 동시에 콘트롤러에 의한 동작명령으로 주유가 시작된다.
상기 레버(14)를 괘정부(15)에 걸어 놓은 상태로 수작업 없이 계속적인 급유행정을 수행하되, 연료가 점차 연료통에 차 오르면 그 표면 수위가 높아지므로 이 수위가 공기감지센서부(13)에 이르면 공기의 이동이 없으므로 이의 신호를 콘트롤러에 보내게 되고,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는 괘정부(15)에 동작명령을 내려 상기 레버(14)의 걸림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주유동작은 중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료는 가솔린연료와 디젤연료 2가지로 대별되는바, 이들 연료를 바꿔서 주입하면 안되므로 통상 디젤차량의 연료주입구는 가솔린차량의 연료주입구보다 크게 제작되어 있어 디젤차량의 주유기는 가솔린차량의 연료주입구로 들어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차종에 따라 상기 연료주입구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이종 연료의 혼유가 발생되는바 이러한 이종 연료의 혼유를 방지하고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74138호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과 같은 구조의 주유기가 제안된바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74138호의 주유노즐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호스(16)가 연결되고, 레버(14)와, 이 레버용 괘정부(15)를 포함하는 노즐몸체(11)와, 이 노즐몸체(11)로부터 스파우트(12)가 연장되며 이 스파우트(12)에 공기감지센서부(13)가 구비되는 통상의 주유노즐(10)에 있어서 상기한 스파우트(12)의 외경에 복귀스프링(21)을 삽입하고, 그 복귀스프링의 끝단에 상기한 공기감지센서부(13)의 구멍(13a)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링(22)을 구비하여서 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74138호인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은 스파우트(12)의 외경에 완충스프링(17)과 복귀스프링(21)을 설치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과 주유구의 입구에 복귀스프링(21)이 걸려 있다가 복원되면서 주유기가 주유구로부터 빠져나와 연료가 바닥에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물질이 완충스프링(17)과 복귀스프링(21)에 묻어 주유구 내부로 들어가 연료라인을 막게 되어 운행을 정지시키는 커다란 문제점과 외부충격에 의해 복귀스프링(21)이 변형되어 개폐링(22)이 작동되지 않게 됨으로 혼유방지 기능 저하 및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74138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3727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51972호.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파우트의 외경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을 생략하고 또한 복귀스프링을 스파우트의 내측에 장입시켜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주유구의 입구에 복귀스프링이 걸려 있다가 복원되면서 주유기가 주유구로부터 빠져나와 연료가 바닥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물질이 복귀스프링에 묻어 주유구 내부로 들어가 연료라인을 막게 되어 운행을 정지시키는 커다란 문제점과 외부충격에 의해 복귀스프링이 변형됨으로써 개폐링이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혼유방지 기능 저하 및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것을 일거에 방지하도록 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있어서, 스파우트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설치공간을 갖는 튜브형태의 설치관체와; 상기 설치관체에 탄설되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설치관체와 연동되면서 스파우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결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스프링수단을 가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연결되며 스파우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수단에 의해 복원되어 공기유입통공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토퍼가 작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토퍼가 작동수단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합 설치되는 볼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설치관체가 스파우트의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설치관체가 스파우트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면서 스파우트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체의 내측에 와이어가 설치되되 일측은 작동수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주유기의 손잡이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은 스파우트의 외경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을 생략하고 또한 복귀스프링을 스파우트의 내측에 장입시켜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주유구의 입구에 복귀스프링이 걸려 있다가 복원되면서 주유기가 주유구로부터 빠져나와 연료가 바닥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이물질이 복귀스프링에 묻어 주유구 내부로 들어가 연료라인을 막게 되어 운행을 정지시키는 커다란 문제점과 외부충격에 의해 복귀스프링이 변형됨으로써 개폐링이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혼유방지 기능 저하 및 기능 상실을 초래하는 것을 일거에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주유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종래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끝단 형상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스토퍼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끝단 형상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인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1)의 구조는 주유호스가 연결되고, 레버와, 이 레버용 괘정부를 포함하는 노즐몸체(11)와, 이 노즐몸체(11)로부터 스파우트(200)가 연장되며 이 스파우트(200)에 공기유입통공(410)으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 여부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부(400)가 구비되며 스파우트(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개방 및 폐쇄하는 작동수단(10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기에 있어서, 상기한 스파우트(200)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설치공간(310)을 갖는 튜브형태의 설치관체(300)와, 상기 설치관체(300)에 탄설되는 스프링수단(500)과, 상기 설치관체(300)과 연동되면서 스파우트(2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결 형성된 가이드공(600)과, 상기 가이드공(600)에 삽입되어 스프링수단(500)을 가압하는 스토퍼(700)와, 상기 스토퍼(700)가 연결되며 스파우트(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수단(500)에 의해 복원되어 공기유입통공(410)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때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700)가 작동수단(100)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700)가 작동수단(100)에 형성된 나사공(110)에 나합 설치되는 볼트부재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치관체(300)는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부위에 격벽(320)을 설치하여 가압되는 스프링수단(50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공간(310)으로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관체(300)가 스파우트(200) 내측의 일부에만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관체(300)가 스파우트(200)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면서 스파우트(200)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체(300)의 내측에 와이어(800)가 설치되되 일측은 작동수단(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주유기의 손잡이(H)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P)에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휘발유 주유를 일예로 설명하며 그 작동은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200)를 주유기 내부로 밀어 넣으면 상기 스파우트(200)는 주유구 내부로 들어가지만 스파우트(200)의 외부에 설치된 작동수단(100)은 주유구에 걸려 정지하게 되어 상기 스파우트(200)가 주유구 내부로 인입됨으로 마치 후단으로 밀리는 것처럼 보여지게 된다.
상기 작동수단(100)이 주유구 선단에 걸려지게 되면 스파우트(200)가 인입과 동시에 작동수단(100)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700)에 의해 스프링부재(500)가 가압되게 된다. 상기 스프링수단(500)의 가압은 스토퍼(700)가 상기 설치관체(300)과 연동되면서 스파우트(2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결 형성된 가이드공(600)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작동수단(100)이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고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부재(500)가 가압 되더라도 스프링수단(500)이 위치 이탈이 아니 되는 이유는 상기한 스파우트(200)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튜브 형태로 이루어진 설치관체(300)의 설치공간(31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설치관체(300)에 탄설되는 스프링수단(500)이 가압된 상태로 주유를 실시하는 것이지만 경유 차량에 본 발명의 주유기를 이용하여 주유할 때 작동수단이 주유구의 선단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주유구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주유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혼유가 방지된다.
주유가 완료되면 주유기를 주유구에서 스파우트(200)를 빼내면 가압되어 있던 스프링수단(5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700)가 밀리게 되면서 주유기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력의 해지와 동시에 스파우트(200)가 주유구로부터 빠져나오면서 가압되어 있던 스토퍼(700)를 밀어내면 스토퍼(700)는 가이드공(600)을 따라 밀려나면서 원위치로 복원된다.
상기 가이드공(600)의 위치는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관체(300)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설치관체(300)의 위치는 첨부도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감지센서부(400)의 반대쪽에 형성시킬 수도 있지만 공기감지센서부(400)에 근접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700)가 작동수단(100)에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700)가 작동수단(100)에 형성된 나사공(110)에 나합 설치되는 볼트부재를 사용하면 스토퍼(700)의 관통 길이를 조절하면 작동수단(10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작동수단(100)의 이동속도 조절은 볼트부재를 설치공간(310) 내부로 밀어 넣으면 설치관체(300)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며 접촉강도에 따라 작동수단(10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동수단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다.
첨부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관체(300)가 스파우트(200)의 내측 일부에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관체(300)가 스파우트(200)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면서 스파우트(200)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설치관체(300)를 첨부도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시켜 사용할 경우 적어도 가이드공(600)보다 길게 형성되는 위치에 격벽(320)을 형성시키되 격벽(320)의 위치는 가이드공(600)의 길이보다는 조금 길게 형성시켜야 한다.
한편 첨부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관체(300)가 스파우트(200)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면서 스파우트(200)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체(300)의 내측에 와이어(800)가 설치되되 일측은 작동수단(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주유기의 손잡이(H)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P)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100) 및 와이어(800), 와이어(800)에 연결된 밸브(P)의 작동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8362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한다.
1 : 주유노즐 11 : 노즐몸체
100 : 작동수단 200 : 스파우트
300 : 설치관체 310 : 설치공간
320 : 격벽 400 : 공기감지센서부
410 : 공기유입통공 500 : 스프링수단
600 : 가이드공 700 : 스토퍼
800 : 와이어

Claims (5)

  1. 주유호스가 연결되고, 레버와, 이 레버용 괘정부를 포함하는 노즐몸체와, 이 노즐몸체로부터 스파우트가 연장되며 이 스파우트에 공기유입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여부 감지하는 공기센서부가 구비되며 스파우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개방 및 폐쇄하는 작동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에 있어서,
    상기한 스파우트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면서 설치공간을 갖는 튜브형태의 설치관체와;
    상기 설치관체에 탄설되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설치관체와 연동되면서 스파우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절결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스프링수단을 가압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연결되며 스파우트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수단에 의해 복원되어 공기유입통공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작동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작동수단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합 설치되는 볼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체가 스파우트의 일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체가 스파우트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면서 스파우트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체의 내측에 와이어가 설치되되 일측은 작동수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주유기의 손잡이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KR1020130052102A 2013-05-08 2013-05-08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KR10128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02A KR101284952B1 (ko) 2013-05-08 2013-05-08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102A KR101284952B1 (ko) 2013-05-08 2013-05-08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952B1 true KR101284952B1 (ko) 2013-07-10

Family

ID=4899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102A KR101284952B1 (ko) 2013-05-08 2013-05-08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58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티엠엘 주유확인패널의 가격 표시 자릿수를 초과한 숫자의 주유중 확인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500A (ja) * 1990-09-24 1994-03-15 Husky Corp 改良燃料分与ノズル
KR200382958Y1 (ko) 2005-02-15 2005-04-27 김덕수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500A (ja) * 1990-09-24 1994-03-15 Husky Corp 改良燃料分与ノズル
KR200382958Y1 (ko) 2005-02-15 2005-04-27 김덕수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58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티엠엘 주유확인패널의 가격 표시 자릿수를 초과한 숫자의 주유중 확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3946B1 (en) Trigger release mechanism for fluid metering device
US7607459B2 (en) Liquid dispenser nozzle
EP2631211B1 (en) Testable overfill prevention valve
CA2925459C (en) Fully-integrated flow-control valve assembly for top-filled fuel tanks
ES2375019T3 (es) Pistola para el suministro de combustible, con dispositivo para la aspiración de los vapores del combustible.
KR101284952B1 (ko) 이종연료 혼합방지용 주유노즐
KR200382958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DE602006013087D1 (de) Vorrichtung zum Verhindern einer Falschbetankung mit Brennstoff
US10273137B2 (en) Fuel dispensing nozzle with interlock
KR200383919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20110083401A (ko) 혼유방지 및 유증기 포집 기능을 갖는 주유기
KR102215905B1 (ko) 차량용 부착식 혼유방지장치
KR200374138Y1 (ko)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
KR100581265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건
US2934103A (en) Gasoline dispensing nozzles
EP2615217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from the tank of a flushing system
KR200406588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100451972B1 (ko) 주유기
KR100581266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건
KR100428224B1 (ko) 주유건의 잔류연료 흡입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568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esidual fuel in a dispensing nozzle
KR200275258Y1 (ko) 주유기
TWM460003U (zh) 車用注油器
US20180002907A1 (en) An inlet valve arrangement for a toilet cistern
JP2505264Y2 (ja) 地下タンク装置の溢出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