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588Y1 -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 Google Patents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588Y1
KR200406588Y1 KR2020050030812U KR20050030812U KR200406588Y1 KR 200406588 Y1 KR200406588 Y1 KR 200406588Y1 KR 2020050030812 U KR2020050030812 U KR 2020050030812U KR 20050030812 U KR20050030812 U KR 20050030812U KR 200406588 Y1 KR200406588 Y1 KR 200406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pout
air
nozzl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2020050030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588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솔린 연료용 주유노즐의 스파우트를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주입구내로 삽입할 경우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오토바이 등과 같이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상작동 및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주유기의 호스에 연결되며 연료공급을 제어하는 레버(111)를 갖는 노즐몸체(110)와, 상기 노즐몸체(110)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의 감지를 위한 공기유입공(121)이 형성된 스파우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유기의 노즐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의 외주에 탄성부재(170)를 설치하여 상기 스파우트(120)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30)와, 상기 스파우트(120)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공(1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몸체(110)에 연결되어 공기유입공(121)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노즐몸체(110)로 이송하는 공기이송관(150)과,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후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40)과, 상기 슬라이더(130)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120)와 슬라이더(1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125)을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유기, 노즐, 슬라이더, 공기이송관, 개폐수단, 고정수단

Description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Fuel nozzle for mixing prevention of lubricator}
도 1 은 종래의 주유노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의 주유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슬라이더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 는 도 4에서 슬라이더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스파우트를 연료탱크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스파우트의 후방측에 걸림방지블럭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공기이송관의 확관부 내부에 공기유도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공기유도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노즐 110: 노즐몸체
111: 레버 120: 스파우트
121: 공기유입공 125: 고정수단
126: 스틸링
130: 슬라이더 131: 자석부재
132: 걸림링 133: 고정링
135: 유증기배출통로 140: 개폐수단
150: 공기이송관 151: 확관부
152: 경사면 160: 볼
170: 탄성부재 180: 스토퍼
185: 걸림방지블럭
190: 공기유도수단 191: 유도블럭
192: 우회로 193: 수용부
194: 절개부
본 고안은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가솔린 연료용 주유노즐의 스파우트를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주입구내로 삽입할 경우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오토바이 등과 같이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상작동 및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지하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호스를 통해 자동차 등에 유류를 주유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이는 내부에 유류흡입 및 이의 관련 각종 기계적인 장치들을 포함하는 주유기 본체와, 상기 본체와 호스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의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서 흡입된 유류를 차량의 연료탱크에 주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유노즐(1)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손으로 쉽게 파지 할 수 있도록 형성된 노즐몸체(2)와, 상기 노즐몸체(2)로 부터 연장/돌출되어 있는 스파우트(10)가 형성되어 호스(4)를 통해 상기 노즐몸체(2)로 유입된 유류를 차량의 연료탱크(20)로 주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몸체(2)의 하부측에는 레버(3)가 설치되어 사람의 당김 및 놓음 선택에 의해서 유로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레버(3)는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5)와 연결됨은 물론 일단부는 다이어프램(6)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유노즐(1)에는 주유시 사람이 상기 레버(3)를 계속적으로 잡고 당기지 않고서도 주유행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면서 주유완료 시점 에서는 상기 급유행정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조작수단이 구비된다.
상기한 자동조작수단은 다양한 구조가 있으나, 그 중 하나를 일예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조작수단은 상기 노즐몸체(2)의 스파우트(10) 끝부분에 공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11)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기유입공(1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스파우트(10) 내부의 공기이송관(12)을 따라 노즐몸체(2)의 내부로 이송되며, 이송된 공기중 일부는 상기 다이어프램(6)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유류와 함께 연료탱크(20)내로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를 당김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가 유로를 개방하게 됨과 동시에 유류는 연료탱크(20)내로 주유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공기유입공(11)을 통해 공기이송관(12)을 따라 유입되는 공기중 일부는 상기 다이어프램(6)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유류와 함께 연료탱크(20)내로 유입된다.
계속되는 주유에 의해 연료탱크(20)내에 채워지는 유류의 표면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공기유입공(11)을 넘게되면, 이때의 유류가 공기유입공(11)을 폐쇄하게 되어 공기유입이 차단되는데, 이렇게 공기유입이 차단되면 상기 다이어프램(6)이 진공상태가 되어 축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레버(3)의 단부를 상측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레버(3)의 당김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레버(3)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가 유로를 다시 폐쇄하여 주유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유입공(11)이 유류에 의해 폐쇄되어 공기유입이 차단되면 상기 다이어프램(6)내에 있던 공기가 유류와 함께 빠져나가게 되면서 진공상태가 되고, 이때 다이어프램(6)이 축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레버(3)의 단부를 끌어당기게 되어 레버(3)의 당김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고 자동주유동작은 중단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료는 가솔린연료와 다젤연료 2가지로 대별되는데, 이들 연료가 바뀌어서 주유되면 안되므로 통상 디젤차량의 연료주입구는 가솔린차량의 연료주입구 보다 크게 제작되어 있어 디젤차량의 주유노즐은 가솔린차량의 연료주입구로 들어갈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반대로 가솔린차량의 주유노즐(1)은 디젤차량의 연료주입구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주유원의 실수로 연료주입구가 크게 형성된 디젤차량에 가솔린 주유노즐을 꽂아 주유하는 일이 간혹 일어나는 바, 이는 주입된 연료를 모두 버려야 하는 작은 문제로부터 디젤차량의 연료탱크와 엔진구동시 엔진을 손상시키는 문제까지 야기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솔린 연료용 주유노즐의 스파우트를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주입구내로 삽입할 경우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하고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작동원리에 의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상작동 및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안전성도 더욱 향상된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오토바이 등과 같이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간편하게 주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의성을 향상시킨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유기의 호스에 연결되며 연료공급을 제어하는 레버를 갖는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의 감지를 위한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스파우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유기의 노즐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의 외주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스파우트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스파우트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공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몸체에 연결되어 공기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노즐몸체로 이송하는 공기이송관과,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이송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슬라이더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와 슬라이더의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슬라이더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5 는 도 4에서 슬라이더가 후진한 상태 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스파우트를 연료탱크로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스파우트의 후방측에 걸림방지블럭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100)은 크게 노즐몸체(110)와, 스파우트(120)와, 슬라이더(130)와, 개폐수단(140)과, 고정수단(12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노즐몸체(110)는 주유기의 호스(4:종래) 끝단부에 연결되며 연료공급을 제어하는 레버(11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11)를 당김 또는 놓음으로서 노즐몸체(110) 내부의 솔레노이드밸브(5:종래)를 작동시켜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유류 공급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110)에는 레버(111) 외에도 유류를 자동으로 주유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5:종래)와 다이어프램(6:종래) 등과 같은 여러부품들이 구비되며, 이러한 노즐몸체(110)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함으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120)는 상기 노즐몸체(110)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의 감지를 위한 공기유입공(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120)의 외주에는 탄성부재(17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노즐몸체(110)측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70)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120)의 외주에는 슬라이더(130)가 결합되되, 상기 탄성부재(170)에 의해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스파우트(120)에서 노즐몸체(110)측 방향으로 설치되지만, 일측은 상기 슬라이더(130)의 일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120)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공(121)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노즐몸체(110)로 이송할 수 있도록 공기이송관(15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공(121)에 연통되게 연결/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몸체(110)에 연결/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유입공(1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여부에 따라 상기 노즐몸체(110)는 상기 레버(111)를 자동으로 조작하여 주유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기유입공(121)을 통해 공기가 계속 유입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111)의 당김상태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유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만,
계속되는 주유에 의해 연료탱크(20)내에 채워지는 유류의 표면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공기유입공(121)을 폐쇄하게 되면 공기유입이 차단되는데, 이때 상기 레버(111)의 당김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자동주유동작이 중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노즐몸체(110)의 자동주유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은 종래와 동일함으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후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40)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140)은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 특정위치에 결합되는 자석부재(131)와, 상기 공기이송관(150)에 확관부(151)를 형성하여 상기 확관부(151)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자석부재(131)의 근접시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폐쇄하고 이격시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개방하는 볼(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부(151)는 공기이송관(150)과 동일 중심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볼(160)은 상기 자석부재(131)의 자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상기 볼(160)은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내부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151)는 상기 볼(16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볼(160)의 직경이 공기이송관(150)의 직경보다 커야하며, 따라서 상기 볼(160)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이송관(150)에는 반드시 확관부(151)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 확관부(151)는 공기이송관(1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확관부(151)는 내부에 볼(160)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단면적을 확보함은 물론 볼(160)의 크기를 증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 즉, 볼(160)의 크기가 작으면 공기흐름에 쉽게 유동하게 되어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할 우려가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볼(160)의 크기를 증가하게 되면 중량이 증가하여 공기흐름에 영향을 받지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확관부(151)내에 아래에서 설명될 별도의 공기유도수단(190)을 설치하여 볼(160)이 공기흐름의 영향을 전혀 받지않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석부재(131)는 상기 볼(160)을 충분히 흡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1500가우스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스파우트(120)의 둘레를 감싸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151)내에 설치된 볼(160)이 비교적 균일한 자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관부(151)에서 자석부재(131)를 향한 일측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진시 상기 자석부재(131)가 볼(160)측으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볼(160)이 자석부재(131)의 자력에 의해 끌려가면서 상기 확관부(151)의 경사면(152)을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볼(160)이 경사면(152)에 밀착된 상태로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기 때문에 밀폐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슬라이더(130)의 후진시 상기 자석부재(131)가 볼(160)로 부터 이격되면 상기 볼(160)은 자석부재(131)의 자력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때 상기 확관부(151)의 경사면(152)을 따라 자유낙하 하게 되면서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다시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이송관(15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0)의 자석부재(131)가 볼(160)측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 상기 볼(160)은 자석부재(131)의 자력에 의해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폐쇄 또는 개방하면서 주유노즐(100)의 주유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파우트(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진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180)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180)는 이탈방지를 위해 사각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탱크(20)의 연료주입구로 삽입하게 되면, 통상적으로는 상기 스토퍼(180)가 스파우트(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주입구내로 더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지만, 일부 차량의 연료탱크(20)의 경우 연료주입구가 약간 크게 제작되어 있어서 상기 스토퍼(180)까지 연료주입구내로 들어가게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80)가 연료주입구에 걸리거나 또는 연료주입구내로 들어갈경우 이를 다시 빼낼때 스토퍼(180)가 연료주입구와 부딪치는 과정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토퍼(180)를 사각 단면으로 형성하여 스파우트(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사각홈에 결합함으로서 면접촉에 의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80)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 결합된 자석부재(131)가 걸리도록 하여 슬라이더(130)의 전진 위치를 제한하게 되는데, 이때 자석부재(131)가 직접 스토퍼(180)에 접촉할 경우 자석부재(131)가 파손 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180)에 직접 걸릴 수 있도록 자석부재(131)의 전방측에 걸림링(132)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자석부재(131)가 슬라 이더(130)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자석부재(131)의 후방측에 고정링(133)이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는 걸림링(132), 자석부재(131), 고정링(133)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80)는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확관부(151) 일측방향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걸림링(132)이 스토퍼(180)에 걸려 정지한 위치에서 상기 자석부재(131)가 볼(160)을 충분한 자력으로 흡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180)와 걸림링(132)은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더(130)의 걸림링(132)이 상기 스토퍼(180)에 걸릴 경우, 상기 자석부재(131)의 자력에 의해 걸림링(132)이 스토퍼(180)에 일정한 자력으로 흡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30)는 일정이상의 외력을 받을 경우에만 후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평상시에는 상기 걸림링(132)이 상기 스토퍼(180)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자석부재(131)의 자력에 의해 상기 볼(160)을 흡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이송관(150)도 상기 볼(160)에 의해 평상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슬라이더(130)는 후방측에 설치된 탄성부재(170)에 의해서도 항상 전진할려고 하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30)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120)와 슬라이더(130)의 사이에는 고정수단(125)이 설치된다.
즉, 일반적인 가솔린차량이나 디젤차량만을 주유할 때에는 상기 고정수단 (125)이 불필요하지만, 오토바이 등과 같이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면서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디젤차량 처럼 큰 경우에도 주유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125)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125)은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 결합된 자석부재(131)의 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120)의 후방측 외주면에 스틸링(126)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슬라이더(130)의 후진시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 결합된 자석부재(131)가 상기 스틸링(126)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자석부재(131)와 스틸링(126)이 자력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더(130)가 후진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물론 슬라이더(130)를 다시 전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더(130)에 대해 전진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자석부재(131)와 스틸링(126)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어 슬라이더(130)가 탄성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 스파우트(12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자석부재(131)의 자력으로 볼(160)을 흡인함으로서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고 있는 슬라이더(130)의 위치를 스파우트(120)의 후방측으로 후진시킨 후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공기이송관(150)이 개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면서 오토바이와 같이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면서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주유를 간편히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30)에는 주유시 차량의 연료탱크에서 배출되는 유증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유증기배출통로(1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파우트(120)의 선단부를 연료탱크(20)의 연료주입구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130)가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연료주입구측에 밀착되기 때문에 연료탱크(20)내에서 발생한 유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며, 이렇게 유증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면 연료탱크(20)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주유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30)에 유증기배출통로(135)를 형성함으로서, 주유시 연료탱크(20)내의 유증기가 상기 유증기배출통로(135)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어 주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따른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100)은 가솔린 차량용으로서 가솔린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이나 오토바이 등에만 주유가 가능하도록 작동하며, 디젤차량에 주유할 경우에는 주유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130)는 평상시 후방측에 설치된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한 상태가 되어 상기 걸림링(132)이 스토퍼(180)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상기 볼(160)은 자석부재(131)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확관부(151)내에서 움직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먼저,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작은 가솔린차량을 주유할 경우에는, 상기 스파우트(120)를 상기 연료주입구에 삽입하게 되면 스파우트(120)는 연료주입구내로 삽입되지만, 상기 슬라이더(130)는 연료주입구 보다 크기 때문에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170)는 압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30)가 후진함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131)가 볼(160)로 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160)을 흡인하고 있는 자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고 있던 볼(160)은 상기 확관부(151)내의 초기위치로 자유낙하하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개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유가 가능하게 되며, 이때 노즐몸체(110)의 레버(111)를 당겨 주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계속되는 주유에 의해 연료탱크(20)내에 채워지는 유류의 표면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공기유입공(121)을 넘게되면, 이때의 유류가 공기유입공(121)을 폐쇄하게 되어 공기유입이 차단되는데, 이렇게 공기유입이 차단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종래)의 당김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며 상기 레버(3:종래)의 당김이 해제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종래)가 유로를 다시 폐쇄하여 주유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주유가 완료되어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주입구로 부터 인출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130)는 후방측에 설치된 탄성부재(1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링(132)이 상기 스토퍼(180)에 걸릴때 까지 전진하게 되고 이렇게 슬라이더(130)의 전진운동이 완료되면 상기 볼(160)은 자석부재(131)의 자력에 의해 흡인되어 다시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게 된다.
다음으로,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디젤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주입구내로 삽입하게 되면 스파우트(120)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더(130)까지 모두 연료주입구내로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 상기 슬라이더(130)의 자석부재(131)에 의해 흡인된 볼(160)이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의 주유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가솔린연료를 사용하면서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오토바이의 경우에는,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주입구로 그냥 삽입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디젤차량과 같이 주유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슬라이더(130)를 수동으로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자석부재(131)와 스파우트(120)의 후방측에 설치된 스틸링(126)을 자력으로 결합시킴으로서 슬라이더(130)가 후진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131)가 볼(160)로 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160)을 흡인하고 있는 자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고 있던 볼(160)은 상기 확관부(151)내의 초기위치로 자유낙하하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개방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주입구내로 삽입하여 주유를 하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파우트(120)의 후방측에 자력으로 고정된 슬라이더(130)를 초기위치로 복귀하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더(130)에 대해 전진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자석부재(131)와 스틸링(126)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해제되어 슬라이더(130)가 탄성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상기 자석부재(131)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볼(160)이 공기이송관(150)을 개폐하도록 하는 간단한 작동원리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상작동 및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최근에는 디젤차량이면서 연료탱크(20)의 연료주입구(21)의 직경이 일 반 디젤차량 보다 작거나 그 내측에 턱(22)이 형성된 차량이 출시되고 있으며, 상기 턱(22)부분에는 유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홀(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유시 상기 연료주입구(21)의 내측으로 상기 스파우트(120)를 삽입하게 되면, 도 7a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0)가 연료주입구(21)의 내측 턱(22)에 걸리거나, 특히 턱(22)부분에 형성된 배출홀(23)에 걸리게되어 슬라이더(130)가 후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슬라이더(130)가 후진하게 되면 디젤차량에 가솔린연료가 주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주입구(21)의 입구측에 복수개의 돌기(24)가 형성된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로주입구(21)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더(130)를 전방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부재(170)가 상기 돌기(24)에 걸려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서 역시 슬라이더(130)가 후진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파우트(120)의 후방측에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주입구(21)내로 삽입시 상기 슬라이더(130)가 연료주입구(21) 내측의 턱(22)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방지블럭(185)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방지블럭(185)의 외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유원이 상기 노즐몸체(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파우트(120)를 연료주입구(21)내로 삽입하게 되면, 도 7a와 같이 슬라이더(130)가 연료주입구(21)내의 턱(22)에 걸려 후진 할 수 있지만, 이때 주유원의 미는 힘에 의해 스파우트(120)가 계속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방지블럭(185)이 연료주입구(21) 의 입구에서 걸리게 되며, 이렇게 걸림방지블럭(185)이 연료주입구(21)의 입구에서 걸리게 되면 도 7b와 같이 주유원이 미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방지블럭(185)을 중심으로 후방측인 노즐몸체(110) 부분이 상측방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반대로 전방측인 스파우트(120) 부분은 하측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 스파우트(120) 부분이 하측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 상기 연료주입구(21)내의 턱(22)에 걸려있던 슬라이더(130)도 함께 하측방향으로 내려가게 되면서 턱(22)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걸림이 해제되고, 곧바로 탄성부재(170)에 의해 전진하게 되어 주유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걸림방지블럭(185)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70)가 연료주입구(21)의 입구에 형성된 돌기(24)로부터 이격되어 탄성부재(170)의 걸림도 해결할 수 있다.
도 8 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공기이송관의 확관부 내부에 공기유도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용 노즐에서 공기유도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확관부(151)의 내부에 상기 볼(160)이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통해 이송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공기흐름방향을 유도하는 공기유도수단(19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유도수단(190)은 상기 확관부(151)내의 공기유입방향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기이송관(150)을 따라 이송되는 공기가 상기 볼(160)을 우회하여 흐르도록 유도하는 우회로(192)가 형성되며, 상기 우회로(192)의 하측방향 일측면에는 상기 볼(160)을 수용하는 수용부(193)가 곡면으로 형성된 유도블럭(19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도블럭(191)의 수용부(193) 상측에는 상기 우회로(192)와 연통하는 절개부(194)를 형성하여 상기 우회로(192)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가 확관부(151) 내부의 가장자리측으로 우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솔린 차량에 주유할 경우, 상기 스파우트(120)를 상기 연료주입구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130)는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자석부재(131)의 볼(160)을 흡인하는 자력이 해제되어 상기 볼(160)은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서 상기 유도블럭(191)의 수용부(193)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111)의 작동으로 주유를 시작하게 되면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통해 공기가 노즐몸체(110)로 이송되기 시작하는데, 이때 상기 확관부(151)의 내부를 이송하는 공기는 상기 유도블럭(191)의 우회로(192)를 통과하면서 상기 볼(160)을 우회하여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상기 볼(160)을 우회하여 흐르기 때문에 볼(160)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만일 상기 볼(160)이 이송되는 공기의 영향을 많이 받게되면 상기 볼(160)은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폐쇄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스파우트(120)는 하측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인 상태로 연료주입구에 삽입하여 주유를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볼(160)이 자중에 의해 상기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할 우려가 있지만, 상기 공기유도수단(190)의 유도블럭(191)에 의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은, 가솔린 연료용 주유노즐의 스파우트를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주입구내로 삽입할 경우 연료가 주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하고 디젤차량의 연료탱크와 엔진 등의 파손도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 운동시 상기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 상기 볼이 공기이송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작동원리로 이루어짐으로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장시간 사용시에도 이상작동 및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의 후방측에 걸림방지블럭을 설치함으로서, 디젤차량이면서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일반 디젤차량 보다 작거나 그 내측에 턱이 형성된 경우에도 연료주입구내로 스파우트의 삽입시 슬라이더가 턱부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이종연료의 혼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공기유도수단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볼이 상기공기이송관을 흐르는 공기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서도 상기 공기이송관을 폐쇄할 우려를 사전에 예방하여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오토바이 등과 같이 연료주입구의 직경이 큰 경우에도 간편한 주유가 가능하다.

Claims (7)

  1. 주유기의 호스에 연결되며 연료공급을 제어하는 레버(111)를 갖는 노즐몸체(110)와, 상기 노즐몸체(110)로부터 연장되며 단부측에는 공기의 감지를 위한 공기유입공(121)이 형성된 스파우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유기의 노즐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의 외주에 탄성부재(170)를 설치하여 상기 스파우트(120)에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30)와,
    상기 스파우트(120)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일단부는 상기 공기유입공(1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몸체(110)에 연결되어 공기유입공(121)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노즐몸체(110)로 이송하는 공기이송관(150)과,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후 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이송관(15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140)과,
    상기 슬라이더(130)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파우트(120)와 슬라이더(1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12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40)은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 특정위치에 결합되는 자석부재(131)와,
    상기 공기이송관(150)에 확관부(151)를 형성하여 상기 확관부(151)내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부재(131)의 근접시 공기이송관(150)을 폐쇄하고 이격시 공기이송관(150)을 개방하는 볼(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25)은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 결합된 자석부재(131)의 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스파우트(120)의 후방측 외주면에 스틸링(126)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라이더(130)의 전진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180)가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180)는 이탈방지를 위해 사각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180)에 직접 걸릴수 있도록 상기 자석부재(131)의 전방측에 걸림링(132)이 결합되고 상기 자석부재(131)의 후방측에는 자석부재(1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링(13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120)의 후방측에는 스파우트(120)를 연료탱크(20)의 연료주입구(21)내로 삽입시 상기 슬라이더(130)가 연료주입구(21) 내측의 턱(22)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방지블럭(18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30)에는 주유시 차량의 연료탱크(20)에서 배출되는 유증기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유증기배출통로(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2020050030812U 2005-09-29 2005-10-31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200406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812U KR200406588Y1 (ko) 2005-09-29 2005-10-31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986 2005-09-29
KR2020050030812U KR200406588Y1 (ko) 2005-09-29 2005-10-31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588Y1 true KR200406588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12U KR200406588Y1 (ko) 2005-09-29 2005-10-31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5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133A (en) Fuel dispensing nozzle
US6923221B2 (en) Vapor recovery system with ORVR compensation
US5474115A (en) Specialty fuel dispensing nozzle
DK2687479T3 (en) filling Gun
KR101625039B1 (ko) 증기 벤트 제어 장치, 시스템 및 증기 벤트 제어 장치를 갖는 아웃보드 선박 엔진
EP1465831B1 (en) Non tank pressurizing fast fill receiver and system for vehicles
KR200383919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200382958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US7575028B2 (en) Hydraulic interlocking fuel nozzle
RU2482057C2 (ru) Топливораздаточный пистолет
KR200406588Y1 (ko) 주유기의 혼유 방지용 노즐
KR20110083401A (ko) 혼유방지 및 유증기 포집 기능을 갖는 주유기
CA2956828C (en) Breather check valve
US5004023A (en) Gasoline nozzle with emergency shut-off
KR102215905B1 (ko) 차량용 부착식 혼유방지장치
US20180251367A1 (en) Delivery valve
KR200374138Y1 (ko)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
KR20110136239A (ko) 이종 연료 주유 방지를 위한 노즐 스파우트
KR100581265B1 (ko) 차량용 연료 주유건
KR100451972B1 (ko) 주유기
KR200376996Y1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JP4643515B2 (ja) フロート弁を備えた燃料油のポンプユニット
US7343944B2 (en) High flow fuel inlet pipe
KR101218362B1 (ko) 혼유방지용 주유기
CN212559445U (zh) 一种具有监测预警功能的油气回收加油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