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972Y1 - 휴대용 수저통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972Y1
KR200436972Y1 KR2020060030905U KR20060030905U KR200436972Y1 KR 200436972 Y1 KR200436972 Y1 KR 200436972Y1 KR 2020060030905 U KR2020060030905 U KR 2020060030905U KR 20060030905 U KR20060030905 U KR 20060030905U KR 200436972 Y1 KR200436972 Y1 KR 200436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hinge
portable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진 filed Critical 박종진
Priority to KR2020060030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9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의 식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위생적인 휴대용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식도구를 담을 수 있는 용적을 가지는 본체(4);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뚜껑(6); 및 상기 식도구가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적어도 상기 본체(4)와 뚜껑(6)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내식성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저통, 숟가락, 젓가락, 케이스, 보관, 휴대, 도시락

Description

휴대용 수저통{portable spoon cas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저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저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특히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수저통 4 ; 본체
6 ; 뚜껑 8,8',8" ; 고정구
10 ; 경첩 12 ; 체결편
14 ; 돌기 18,18' ; 안착홈
22 ; 누름구
본 고안은 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락의 시식 등을 위해 지참되는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의 식도구를 보관할 수 있는 위생적인 금속재질의 휴대용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
학교, 야외 등 가정 이외의 장소에서 도시락 또는 급식에 의한 식사를 하여야할 경우에, 숟가락 또는 젓가락 등을 보관 및 휴대하기 위한 휴대용 수저통이 필요시 된다. 종래의 휴대용 수저통은 부피 및 중량을 고려하여 직물 또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개폐수단으로는 지퍼가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사용된 수저 등을 세척 없이 바로 수저통에 넣어 여러 시간 보관하게 되면, 수저통은 수저 등에 묻어 있던 음식물 찌꺼기 내지 타액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게 된다. 수저통의 재질이 합성수지 또는 직물인 경우에는 봉합부위가 있어 깨끗하게 세척하기가 어렵고; 오랜 사용에 의해 내면에 흠집이 생기게 되면 그 부위를 통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고온에 의해 열변형되기 쉬운 재질적 특성상 삶음 소독을 하기도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직물로 제작된 종래 휴대용 수저통은 세균 번식의 온상지가 되어 학생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일요소가 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척이 용이하여 세균번식을 방지 할 수 있는 위생적인 금속제 휴대용 수저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목적은 수저 등을 고정할 수단에 의해 이동시에도 수저가 요동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수저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와 같은 식도구를 담을 수 있는 용적을 가지는 본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뚜껑; 상기 식도구가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적어도 상기 본체와 뚜껑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내식성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저통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저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특히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수저통(2)은 스테인레스와 같이 녹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의 본체(4), 뚜껑(6) 및 식도구(S)를 유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기본 구성요소로 한다.
본체는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와 같은 식도구(S)를 1벌 이상 담을 수 있는 용적을 가진다. 수저통은 휴대용이기 때문에 3벌 이상을 보관할 정도의 용적을 가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뚜껑(6)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4)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뚜껑(6)은 본체(4)와 유사하게 오목한 형태로서, 본체(4)와 뚜껑(6)에 의해 수저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본체(4)와 뚜껑(6)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내식성 금속재로서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며, 사용상 안전을 위해 각각의 날카로운 단부는 외부를 향하여 말려진다(curling).
본체(4)와 뚜껑(6)을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뚜껑과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는 경첩(10)이 양자로 하여금 힌지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뚜껑(6)의 타단에는 판재 형태의 체결편(12)이 용접 등으로 고정된다. 체결편(12)은 그의 일단이 본체(4)를 향해 연장되도록 고정된다. 체결편(12)에는 경첩(10)이 설치된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4)는 뚜껑이 닫힐 때 본체의 단부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6)과 결착됨으로써, 뚜껑(6)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체결편(12)은 뚜껑을 여닫을 때 탄성적으로 휘므로 돌기(14)와 걸림턱(16)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4)와 뚜껑(6)이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수단이 대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체와 뚜껑이 완전 분리될 수 있는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결합방식 또한 힌지방식이 아닌 슬라이드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고정구(8)는 본체에 보관되는 수저가 이동시 심하게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일례로서 제시된다. 고정구(8)는 수저통의 용이한 세척을 위해서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구(8)는 선형인 강선(wire)을 기하학적 모양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고정구(8) 역시 녹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고정구(8)의 높이와 폭은 본체와 뚜껑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고정구(8)에는 상방향, 즉 뚜껑 방향으로 개방되는 안착홈(18)이 마련된다. 숟가락, 젓가락 등의 손잡이 부분이 안착홈(18)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시에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수저통 내에서 심하게 유동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착홈(18)은 본체(4)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2곳에 마련된다. 안착홈(18)의 깊이는 보관되는 수저가 본체(4) 바닥면 또는 뚜껑(6)의 저면에 닿지 않도록 수저통의 높이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고정구에 관련된 것이다. 강선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고정구(8')는 그의 양단부가 경첩에 의해 이미 마련되어 있는 좁은 구멍(20)에 끼워짐으로써 수저통 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고정구(8')를 오므려 경첩의 구멍(20)에 끼워 본체 내에 설치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구(8')는 본체(4)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힌지운동에 의해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고정구(8')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본 체 바닥을 세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은 고정구(8")의 사시도로서, 이에 의하면 고정구(8")는 수저통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2개 이상의 안착홈(18')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숟가락과 젓가락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될 수 있게 된다.
식도구 고정수단과 관련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관된 식도구로 하여금 수저통 내에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략 디귿(ㄷ)자가 되도록 기다란 판재를 절곡하고 일단을 뚜껑에 결합하여 형성된 누름구(22)가 제공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누름구(22)는 핀에 의해 체결편(12)과 함께 뚜껑(6)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이 닫히게 되면, 누름구(22)는 안착홈(18)에 안착되는 식도구(S)를 위에서 가압하여 단단하게 고정되게끔 한다. 이로써 수저통이 요동될 경우에도 식도구와 수저통과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없게 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 누름구(22)는 고정구(8,8') 없이도 식도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누름구(22)가 명칭만을 달리할 뿐 고정구(8,8')와 같은 기능을 하는 식도구 고정수단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구(8,8')는 선형 형태인 강선을 절곡함에 의해 제공되 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판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안착홈(18,18') 또한 수직선 형태로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니은(ㄴ)자 형태 또는 사선 형태의 안착홈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고정구(8,8') 내지 누름구(22)는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도의 변형실시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음을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식성 금속 재질에 의해 위생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수저통이 제공된다. 또한, 수저가 보관된 상태에서 이동중에도 심히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수저통이 제공된다.

Claims (4)

  1.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와 같은 식도구(S)를 담을 수 있는 용적을 가지는 본체(4);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뚜껑(6); 상기 본체(4) 또는 뚜껑(6)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도구가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4)와 뚜껑(6)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내식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휴대용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4)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도구(S)의 손잡이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18,18')이 마련되는 고정구(8,8")이며, 상기 안착홈(18,18')은 상기 본체(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1개 이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저통.
  2.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와 같은 식도구(S)를 담을 수 있는 용적을 가지는 본체(4);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되는 뚜껑(6); 상기 본체(4) 또는 뚜껑(6)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도구가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4)와 뚜껑(6)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내식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휴대용 수저통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는 경첩(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식도구(S)의 손잡이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안착홈(18)이 마련되도록 강선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고정구(8')로서, 양단부가 상기 경첩(10)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멍(2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저통.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6)의 내부에는 기다란 판재를 대략 디귿(ㄷ)자가 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서 일단이 상기 뚜껑(6)에 일체로 결합되어 안착홈(18,18')에 안착되는 식도구(S)를 위에서 가압하는 누름구(2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저통.
KR2020060030905U 2006-12-04 2006-12-04 휴대용 수저통 KR200436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05U KR200436972Y1 (ko) 2006-12-04 2006-12-04 휴대용 수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05U KR200436972Y1 (ko) 2006-12-04 2006-12-04 휴대용 수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972Y1 true KR200436972Y1 (ko) 2007-10-22

Family

ID=4163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905U KR200436972Y1 (ko) 2006-12-04 2006-12-04 휴대용 수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9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38B1 (ko) 2008-01-24 2011-05-09 김순일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젓가락
KR200454495Y1 (ko) * 2008-12-26 2011-07-06 임승욱 휴대용 수저 케이스
KR101594329B1 (ko) * 2015-11-11 2016-02-16 성지훈 탄소 발열 전기소독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38B1 (ko) 2008-01-24 2011-05-09 김순일 탈부착이 가능한 유아용 젓가락
KR200454495Y1 (ko) * 2008-12-26 2011-07-06 임승욱 휴대용 수저 케이스
KR101594329B1 (ko) * 2015-11-11 2016-02-16 성지훈 탄소 발열 전기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845B2 (en) Holder for receiving a lid or a cover
US9771188B2 (en) Personal utensil and container
USD530160S1 (en) Combined container and compartmented lid having retainer clips with eating utensils
US20080060206A1 (en) Hygienic utensil
CN105266601A (zh) 包括具有带器具靠置架的手柄的盖子的厨具
US6062397A (en) Over-the-sink utensil holder and stabilizer
KR200436972Y1 (ko) 휴대용 수저통
US8590877B2 (en) Corralling utensil with associated cutting board
US20070051729A1 (en) Container with utensil pocket
JP7011974B2 (ja) 食器具携帯用ケース
US6739473B2 (en) Grill implements with removable handle
US666633A (en) Kettle or dish cleaner, & c.
WO2013177066A1 (en) Cookware article having utensil supporting means
KR200436971Y1 (ko) 휴대용 수저통
JP5356846B2 (ja) 鍋等用箸置き具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US6712412B2 (en) Grill implements with removable handle
US20070138186A1 (en) Lid storage and washing container
JP3161311U (ja) 食材支持具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KR102084911B1 (ko) 주방용 조리기구의 손잡이 구조
KR100938617B1 (ko) 주방용 집게
JP3136410U (ja) 鍋敷
KR200496371Y1 (ko) 수저통
KR200282729Y1 (ko) 취식도구용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기보온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