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820Y1 - 관상용 인조 조형목 - Google Patents

관상용 인조 조형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820Y1
KR200436820Y1 KR2020060030676U KR20060030676U KR200436820Y1 KR 200436820 Y1 KR200436820 Y1 KR 200436820Y1 KR 2020060030676 U KR2020060030676 U KR 2020060030676U KR 20060030676 U KR20060030676 U KR 20060030676U KR 200436820 Y1 KR200436820 Y1 KR 200436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charcoal
ornamental
chip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애
Original Assignee
최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애 filed Critical 최영애
Priority to KR2020060030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8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7Artificial tr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짤막한 참숯토막을 연이어 결합함으로 다양한 형태의 인조나무를 형성하고, 상기 인조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는 모형과일 등과 같은 각종 장식물을 구비하여, 각자 다른 취향의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독특한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참숯토막 및 각종 장식물의 부착 및 분해가 간단히 이룰 수 있어, 고정된 형태의 일반적인 인테리어소품에 의한 지루하면서도 단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적 변경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참숯토막의 그 특성으로 인한 공기정화와 같은 실내 주거환경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관한 것이다.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을 연결시켜 줄기부와 가지부를 형성함으로 되는 인조나무와; 상기 제1,2참숯토막의 둘레 일면에 부착되어 장식효과를 발휘토록 하는 메인장식물과; 상기 제1,2참숯토막의 연이은 부착조립 및 상기 메인장식물의 부착을 위한 결합부재와; 그리고, 상기 인조나무의 지지고정 및 상기 제1,2참숯토막에 수분이 흡수될 수 있게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수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관상, 참숯토막, 자석, 금속판, 음이온, 장식물

Description

관상용 인조 조형목{ORNAMENTAL TREE}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참숯을 이용한 관엽수 재배용 목탄화분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관상용 인조 조형목, 1 : 인조나무, 2 : 메인장식물
2' : 보조장식물, 3 : 결합부재, 10 : 줄기부
11 : 제1참숯토막, 20 : 가지부, 21 : 제2참숯토막
31 : 자석, 32 : 금속판, 33 : 볼트
34 : 너트, 100 : 수반, 200 : 접착제
300 : 자갈
본 고안은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짤막한 참숯토막을 연이어 결합함으로 다양한 형태의 인조나무를 형성하고, 상기 인조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에 간단히 부착될 수 있는 모형과일 등과 같은 각종 장식물을 구비하여, 각자 다른 취향의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독특한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참숯토막 및 각종 장식물의 부착 및 분해가 간단히 이룰 수 있어, 고정된 형태의 일반적인 인테리어소품에 의한 지루하면서도 단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적 변경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참숯토막의 그 특성으로 인한 공기정화와 같은 실내 주거환경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산업발전에 따른 윤택한 삶의 영위로 인해,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인테리어 용품이 시판되고 있다. 특히, 예로부터 현재까지도 고풍스러운 멋을 내는데 주로 활용되는 화초, 도자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실내 장식효과와 더불어, 악취제거 및 공기청정을 위한 음이온을 발생시켜주고 소수의 관엽수가 식재된 참숯둥치를 이용한 관상식물들이 다량으로 제공 판매되고 있다.
참숯이라 함은, 참나무 따위를 구워서 만든 숯으로써, 참숯의 85% 정도를 구성하고 있는 탄소성분은 물질의 신선도의 유지 및 공기청정 효능을 발휘하는데 필 요한 음이온을 방사한다. 따라서, 참숯을 냉장고 등에 넣어두면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에 배치하면 공기를 맑게 하면서도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유해전자파를 차단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국내 공고특허 제10-293160호에를 통하여, 자연적인 산수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장식적인 미려함의 표출로 고품위의 장식성을 발휘할 수 있으면서도 실내 배치시 주변의 냄새를 탈취하고 습도도 함께 조절하여 줌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참숯을 이용한 관엽수 재배용 목탄화분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참숯을 이용한 관엽수 재배용 목탄화분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한 종래 고안은, 단순히 참나무둥치에 소수의 관엽수를 식재한 구성으로,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관엽수들이 온전히 식생할 수 있도록 사람이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최초 제작시의 그 형상만으로 장식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밖에 없어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는 보는 이가 식상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참숯토막을 연이어 조립함으로 줄기부와 가지부를 갖는 인조나무를 구성하고, 상기 참숯토막의 일 둘레면에 간단히 부착되는 모형과일 등의 각종 장식물을 더 구비하여, 실내 장식효과와 더불어 참숯에 의한 공기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관상용 인조 조형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조나무의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참숯토막 및 각종 장식물들의 위치조합을 사람들 각각의 취향에 맞도록 간편히 변형실시 할 수 있도록 하여, 변형된 연출로 인한 장식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게 한 관상용 인조 조형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인조 조형목은,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을 연결시켜 줄기부와 가지부를 형성함으로 되는 인조나무와; 상기 제1,2참숯토막의 둘레 일면에 부착되어 장식효과를 발휘토록 하는 메인장식물과; 상기 제1,2참숯토막의 연이은 부착조립 및 상기 메인장식물의 부착을 위한 결합부재와; 그리고, 상기 인조나무의 지지고정 및 상기 제1,2참숯토막에 수분이 흡수될 수 있게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수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A) 은,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11)(21)을 연결시켜 줄기부(10)와 가지부(20)를 형성함으로 되는 인조나무(1)와, 상기 제1,2참숯토막(11)(21) 둘레 일면에 부착되어 장식효과를 발휘토록 하는 메인장식물(2)과, 제1,2참숯토막(11)(21)의 연이은 부착조립 및 상기 메인장식물(2)의 부착조립을 위한 결합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조나무(1)의 밑둥치를 바닥면 상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된 상기 인조나무(1)로 수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수반(100)이 더 구비된다.
인조나무(1)는, 장식을 위한 조형목을 이루는 나무의 기본 형상으로, 참나무를 구워서 만든 짤막한 길이의 형태이고, 그들을 연이어 줄기부(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제1참숯토막(11) 및 가지부(20)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참숯토막(21)을 상호 부착시켜 연결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11)(21)의 일 외측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A)이 실물에 보다 가까운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인조나뭇잎 또는 인조새싹 등과 같은 보조장식물(2')이 일체로 더 결합될 수도 있다.
메인장식물(2)은, 상기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11)(21) 둘레 일면에 부착되어 극대화된 장식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으로, 모형의 과일 및 조화 또는 새 등과 같이 각종 동식물의 모형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3)는, 상기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11)(21)이 각각 연이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거나 그들의 둘레 일면에 메인장식물(2)을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참숯토막(11)(21)의 양단면과 둘레 일면 및 상기 각 종 메인장식물(2)의 배면이나 저면에 선택적으로 구비결합된 한쌍의 자석(31)과 금속판(32)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결합부재(3)를 구성하는 자석(31)을 대신하는 볼트(33)와 금속판(32)을 대신한 너트(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설명부호, (200)은 인조나무가 수반에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실리콘 등의 접착제이고, (300)는 수반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자갈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관상용 인조 조형목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조나무(1)의 줄기부(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제1참숯토막(11) 각각의 상,하단에 결합된 결합부재(3)의 자석(31)과 금속판(32)을 이용하여 상하로 연이어 조립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침숯토막(11) 중 인조나무(1)의 나무둥치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제1참숯토막(11) 밑단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접착제(200)를 도포시켜 상기 수반(100)의 바닥면 상에 일체로 지지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각 사람마다의 취향에 맞게 다수개의 제2참숯토막(21)을 이용하여 상기 줄기부(10)로부터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가지부(20)를 형성하는 것이며, 역시 그들의 양단에 결합된 결합부재(3)의 자석(31)과 금속판(32)을 양방향으로 연이어 조립결합함으로 가능케 된다. 이렇게 상술한 줄기부(10)와 가지부(20)가 형성됨으로 인조나무(1)가 완성되는 것이며, 상기 줄기부(10) 및 가지부(20)를 이루는 다수 개의 제1,2참숯토막(11)(21)의 일단부면과 둘레 일면에는 보는 이가 실물에 가깝게 느껴질 수 있도록 장식되는 모형의 나뭇잎이나 새싹으로 된 보조장식물(2')이 일체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역시 모형의 각종 과일이나 새 꽃 등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들의 배면이나 저면에 상기 자석(31) 또는 금속판(32)이 결합된 상기 메인장식물(2)들을 제1,2참숯토막(11)(21)의 둘레 일면에 구비된 자석(31)에 부착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관상용 인조 조형목(A)을 완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를 통하여 다수개의 상기 제1,2참숯토막(11)(21)을 간단히 연이어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상기 제1,2참숯토막(11)(21)의 둘레 일면에 더 구비된 자석(31)에 다양한 종류의 상기 메인장식물(2)들을 그 배면이나 저면에 함께 결합된 금속판(32) 또는 자석(31)을 이용하여 간단히 부착시켜줌으로써, 조립에 능숙한 자가 아니더라도 간단히 본 고안의 인조 조형목(A)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장식물(2')과 메인장식물(2)의 조립결합으로 상기 제1,2참숯토막(11)(21)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분리되거나 형태가 변형됨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재(3)를 볼트(33)와 너트(34)로 구성하여, 보다 견고한 조립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다수개의 제2참숯토막(21)과 각종 메인장식물(2)들의 그 배치관계를 일정한 틀에 국한하지 않고 변화시켜 조합구성함으로써, 한가지 형태의 통상의 인테리어소품에 의해 다소 식상할 수 있음을 변화시키는 다양한연출이 가능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관상용 인조 조형목은, 줄기부와 가지부를 형성하여 나무의 형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참숯토막 및 장식물을 자석과 금속판과 같은 결합부재로 간단히 연이어 조립하거나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조형목의 구조를 간단히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자석과 금속판을 이용한 탈부착으로 그들을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그 형태를 시시때때로 변형시킴이 가능하여 실내 인테리어에 따른 장식효과의 연출을 필요시마다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인조나무를 이루는 다수개의 참숯토막으로 인해 장식효과를 포함하는 실내공기정화와 같은 쾌적한 주거환경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을 연결시켜 줄기부와 가지부를 형성함으로 되는 인조나무와;
    상기 제1,2참숯토막의 둘레 일면에 부착되어 장식효과를 발휘토록 하는 메인장식물과;
    상기 제1,2참숯토막의 연이은 부착조립 및 상기 메인장식물의 부착을 위한 결합부재와; 그리고,
    상기 인조나무의 지지고정 및 상기 제1,2참숯토막에 수분이 흡수될 수 있게 일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수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나무는, 참나무를 구워서 만든 짤막한 길이의 형태이고, 줄기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제1참숯토막과, 가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참숯토막으로 구성되되, 그들을 상호 연이어 부착시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식물은, 상기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의 둘레 일면에 부착되고, 모형의 과일 및 조화 또는 새 등과 같은 동식물의 모형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2참숯토막의 양단면과 둘레 일면 및 상기 각종 메인장식물의 배면이나 저면에 선택적으로 구비결합된 한쌍의 자석과 금속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2참숯토막의 일 외측에는, 인조나뭇잎 또는 인조새싹 등과 같은 보조장식물이 일체로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조형목.
KR2020060030676U 2006-11-29 2006-11-29 관상용 인조 조형목 KR200436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76U KR200436820Y1 (ko) 2006-11-29 2006-11-29 관상용 인조 조형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76U KR200436820Y1 (ko) 2006-11-29 2006-11-29 관상용 인조 조형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820Y1 true KR200436820Y1 (ko) 2007-10-05

Family

ID=4163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676U KR200436820Y1 (ko) 2006-11-29 2006-11-29 관상용 인조 조형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8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05B1 (ko) 2008-03-06 2010-03-24 경북이앤지(주) 장식용 인조나무
KR101133052B1 (ko) * 2009-07-15 2012-04-04 주식회사 진성엘엔엘 친환경 가로수의 가지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05B1 (ko) 2008-03-06 2010-03-24 경북이앤지(주) 장식용 인조나무
KR101133052B1 (ko) * 2009-07-15 2012-04-04 주식회사 진성엘엔엘 친환경 가로수의 가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3921B (zh) 一种有机蓝莓盆景的培育方法
US3992812A (en) Topiary shaping frame
KR200436820Y1 (ko) 관상용 인조 조형목
JPS61500001A (ja) 配植着生植物の培養および輸送方法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JP6244512B1 (ja) 立体花卉鉢架台
KR200404327Y1 (ko) 인공 흙을 이용한 식물 재배용 투명 화분
Brilmayer All about miniature plants and gardens indoors and out
JP3194240U (ja) プリザーブド植物を利用した盆栽、及び同盆栽用の鉢
CN204317089U (zh) 一种新型绿色健康家居装饰物具
JP3197001U (ja) 献植台
CN209983167U (zh) 一种用于室内种植的鲸鱼状陶瓷用具
CN217445954U (zh) 一种组合式陶装饰性花盆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KR101446930B1 (ko) 줄기식물용 조립분해형 인테리어 조목
CN202232303U (zh) 一种绿色环保装饰组件
KR100818147B1 (ko) 탄성 화분
JP3183477U (ja) 人工葉および人工観葉植物
JP3205296U (ja) 造花フラワー付き観賞植物
KR200356749Y1 (ko) 실내화단구현을 위한 블록체
JP3094534U (ja) 花器装飾品
KR200483887Y1 (ko) 화분
CN201580200U (zh) 花卉装饰动物造型饰品
TWM624376U (zh) 裝飾裝置
CN2347791Y (zh) 长青保健植物盆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