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419Y1 - 형광등 소켓 - Google Patents

형광등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419Y1
KR200436419Y1 KR2020070005624U KR20070005624U KR200436419Y1 KR 200436419 Y1 KR200436419 Y1 KR 200436419Y1 KR 2020070005624 U KR2020070005624 U KR 2020070005624U KR 20070005624 U KR20070005624 U KR 20070005624U KR 200436419 Y1 KR200436419 Y1 KR 200436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wire
housing
terminal
lamp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긴표
Original Assignee
홍긴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긴표 filed Critical 홍긴표
Priority to KR2020070005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4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의 양측에 접속되는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단자구멍과 하우징을 갖는 소켓몸체와,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자판과, 하우징을 커버하기 위해 소켓몸체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형광등 소켓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걸림턱과, 전선의 삽입을 위한 전선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판은 형광등의 단자와 탄성 접촉되는 단자접속부와, 전선의 삽입을 위한 전선삽입구멍과, 삽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와, 상기 걸림턱에 걸려 클램핑부의 피로 발생을 줄이는 스토퍼를 형성하며; 상기 캡은 클램핑부의 탄성 변형을 위해 별도의 도구 삽입 가능하도록 구멍을 형성한 형광등 소켓을 제공한다.
형광등, 소켓, 단자판, 단자.

Description

형광등 소켓{Fluorescent ramp socket}
도 1은 본 고안인에 의해 선 출원된 형광등 소켓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형광등 소켓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형광등 소켓 200 : 소켓몸체
210 : 단자구멍 220 : 결합구멍
230 : 하우징 231 : 전선삽입홈
232 : 걸림턱 233 : 개방부
300 : 단자판 310 : 단자접속부
320 : 전선삽입구멍 330 : 클램핑부
340 : 스토퍼 400 : 캡
410 : 후크 420 : 구멍
C : 전선 D : 도구
T : 단자
본 고안은 형광등의 양측 단자와 접속이 이루어지는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인이 선출원한 형광등 소켓(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00647호)을 보다 개량한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는 건물 내부 천장이나 건물의 옥외 등의 간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안정기와 형광등 소켓 등을 먼저 설치한 후, 전기 배선 작업과 형광등을 끼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 배선 작업이란 통상적으로 전선을 형광등 소켓 내부로 삽입시켜 형광등 소켓에 내장된 단자판과 접속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단자판과 형광등 단자를 통해 형광등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형광등 소켓은 전선이 결합된 이후, 전선을 빼내고자 할 때에 강제로 빼낼 수밖에 없으며, 이 과정에서 단자판과 같은 부품의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형광등 소켓에 결합된 캡을 개방한 후에 전선을 빼내야만 하는 등 여러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형광등 소켓(국내 출원번호 제20-2007-0000647호)을 고안하여 출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종래의 문제점인 형광등 소켓에 삽입된 전선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 고, 그에 따른 단자판의 변형이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인에 의해 고안된 형광등 소켓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외적이기는 하지만, 빈번하게 전선을 빼내거나 끼울 경우에 클램핑부(33)와 인접한 절곡부(A1)에 피로가 발생되어 탄성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삽입된 전선(C)을 강하게 눌러주지 못하므로 단자판(30)과 전선(C)의 접속 불량이 발생되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곳 같은 도구(D)를 통해 클램핑부(33)를 가압하는 경우, 클램핑부(33)는 상방향으로 회전하듯 탄성 변형되고, 클램핑부(33) 부분의 틈새는 확대 개방된다. 따라서 전선(C)은 클램핑부(33)에서 쉽게 빼낼 수 있으나, 클램핑부(33)의 과도하고 빈번한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절곡부(A1)에는 피로(스트레스)가 집중 발생되고, 이러한 피로는 절곡부(A1)의 탄성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부(33)는 도 1의 부분 확대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A1)의 탄성 저하로 인하여 삽입된 송곳 같은 도구(D)가 제거되더라도 원래 위치로 복귀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전선(C)이 다시 삽입되더라도 전선(C)을 클램핑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C)의 접속 상태가 불량해지거나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을 빈번하게 빼내거나 끼우는 경우에도 클램핑부와 인접한 절곡부의 피로 발생을 줄여 클램핑부와 전선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형광등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형광등 소켓 중 단자판이 결합된 부분의 공기 흐름이 비교적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므로 형광등 소켓의 과열과 그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부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형광등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광등 소켓은 단자구멍과 하우징을 갖는 소켓몸체와,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자판과, 하우징을 커버하기 위해 소켓몸체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형광등 소켓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걸림턱과, 전선의 삽입을 위한 전선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판은 형광등의 단자와 탄성 접촉되는 단자접속부와, 전선의 삽입을 위한 전선삽입구멍과, 삽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와, 상기 걸림턱에 걸려 클램핑부의 피로 발생을 줄이는 스토퍼를 형성하며; 상기 캡은 클램핑부의 탄성 변형을 위해 별도의 도구 삽입 가능하도록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형광등 소켓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형광등 소켓(100)은 크게 소켓몸체(200), 단자판(300), 캡(400)으로 이 루어진다.
먼저, 소켓몸체(200)는 형광등의 양측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2,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단자구멍(210)을 관통 형성하여 형광등의 단자(T)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수의 결합구멍(220)을 형성하여 상기한 캡(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켓몸체(200)는 전면에 2개의 하우징(230)을 형성하고, 각각의 하우징(230)에는 걸림턱(232)을 형성하고, 전선삽입홈(231)을 형성하여 전선(C)의 삽입을 도모하며, 개방부(233)를 형성하여 하우징(230) 내부 공간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자판(300)은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C)과 형광등의 단자(T)를 통전되도록 연결해주는 부품으로, 상부에 탄성을 갖는 단자접속부(310)를 형성하여 형광등의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는 전선삽입구멍(320)을 형성하여 전선(C)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전선삽입구멍(320)의 상방에는 절곡된 형상의 클램핑부(330)를 형성하여 삽입된 전선(C)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클램핑부(330)의 일부에는 스토퍼(340)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한 걸림턱(232)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클램핑부(330)의 피로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캡(400)은 상기한 하우징(230)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테두리 부분에 다수의 후크(410)를 형성하고, 정면에는 구멍(420)을 형성하여 별도의 드라이버나 송곳 등과 같은 도구(D)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단자판(300)의 클램핑부(330)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형광등 소켓(100)에 전선(C)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전선삽입홈(231)과 전선삽입구멍(320)을 통해 삽입된 전선(C)은 클램핑부(330)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클램핑되고, 이로 인하여 전선(C)은 단자판(3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그 설치상태가 유지된다.
도 4는 형광등 소켓(100)에 설치된 전선(C)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캡(400)의 구멍(420)으로 드라이버나 송곳 등의 별도 도구(D)를 삽입하는 경우, 클램핑부(330)는 도구(D)의 가압에 의해 그 위치가 탄성 변경되고, 이로 인하여 클램핑부(330)는 더 이상 전선(C)을 클램핑하지 않게 되어 작업자는 전선(C)을 단자판(3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클램핑부(330)는 송곳과 같은 도구(D)에 의해 그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스토퍼(340)와 걸림턱(232)에 의해 그 위치 변경 폭이 제한되며, 또한 그 형상의 특성상 탄성 변형에 따른 피로는 스토퍼(340)의 절곡부(A2)에 집중된다. 따라서 절곡부(A2)에는 스트레스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전선(C)의 잦은 접속이나 분리 작업에도 클램핑부(330)를 통한 전선(C)의 클램핑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고안의 형광등 소켓(10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0)에 개방부(233)가 형성되므로 하우징(230) 내외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 록 하였다. 따라서 하우징(230) 내부에서 고열이 발생되는 경우 하우징(230)의 일부나 소켓몸체(200)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판 중 클램핑부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하우징에는 걸림턱을 형성하므로 전선의 삽입과 분리에 따른 절곡부의 피로 누적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선을 빈빈하게 삽입 및 분리하는 경우에 클램핑부를 통한 전선의 클램핑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소켓몸체의 하우징에 개방부를 형성하므로 하우징 내외부의 공기 순환이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하우징 내부를 공냉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자구멍과 하우징을 갖는 소켓몸체와,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자판과, 하우징을 커버하기 위해 소켓몸체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형광등 소켓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0)은 걸림턱(232)과, 전선(C)의 삽입을 위한 전선삽입홈(231)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판(300)은 형광등의 단자와 탄성 접촉되는 단자접속부(310)와, 전선(C)의 삽입을 위한 전선삽입구멍(320)과, 삽입된 전선(C)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330)와, 상기 걸림턱(232)에 걸려 클램핑부(330)의 피로 발생을 줄이는 스토퍼(340)를 형성하며;
    상기 캡(400)은 클램핑부(330)의 탄성 변형을 위해 별도의 도구(D) 삽입 가능하도록 구멍(420)을 형성한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0)은 공기 순환을 도모하도록 개방부(23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300)의 스토퍼(340)는 클램핑부(330)를 부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KR2020070005624U 2007-04-05 2007-04-05 형광등 소켓 KR200436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24U KR200436419Y1 (ko) 2007-04-05 2007-04-05 형광등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624U KR200436419Y1 (ko) 2007-04-05 2007-04-05 형광등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419Y1 true KR200436419Y1 (ko) 2007-08-14

Family

ID=4163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624U KR200436419Y1 (ko) 2007-04-05 2007-04-05 형광등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4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533B2 (en) LED illumination apparatus
EP3260774B1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KR200444408Y1 (ko) 형광등용 컨넥터 단자
KR100841120B1 (ko)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
US20060098442A1 (en) Removable LED lampholder
KR200436419Y1 (ko) 형광등 소켓
CN2886836Y (zh) 快速接线盒
KR101713040B1 (ko) 탈부착형 조명장치
JP2013134857A (ja) 車両用灯具
KR200376372Y1 (ko)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KR200409283Y1 (ko) 자동차 실내등 전구 접점 단자기능의 관통홈을 갖는 피시비 기판
KR200450396Y1 (ko) 형광등 소켓
KR101684103B1 (ko) 엘이디 형광등의 전원 접속구 및 그 제조방법
CN105889767B (zh) 便于拆装的连接结构及包含该连接结构的灯具
CN204829424U (zh) Led筒灯
CN114122776B (zh) 一种连接器及连接装置
CN216952690U (zh) 压线结构及灯具
CN219414655U (zh) 一种防水线及灯具
CN215869889U (zh) 插座
CN216624776U (zh) 指示灯模块和用电器
KR200399889Y1 (ko) 등기구의 마구리 구조
KR200447572Y1 (ko) 소켓 단자
CN110571723B (zh) 一种压线板及具有压线板的电器
CN216643980U (zh) 一种插拔式安装的免接线灯具
CN103148367B (zh) 一种led管型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