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396Y1 - 형광등 소켓 - Google Patents

형광등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396Y1
KR200450396Y1 KR2020080003253U KR20080003253U KR200450396Y1 KR 200450396 Y1 KR200450396 Y1 KR 200450396Y1 KR 2020080003253 U KR2020080003253 U KR 2020080003253U KR 20080003253 U KR20080003253 U KR 20080003253U KR 200450396 Y1 KR200450396 Y1 KR 200450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luorescent lamp
terminal member
wi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289U (ko
Inventor
홍긴표
Original Assignee
홍긴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긴표 filed Critical 홍긴표
Priority to KR2020080003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9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18Two-pole devices having only abutting contact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해짐으로써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단자부재와 형광등 단자의 연결부위 뿐만 아니라 단자부재와 전선의 연결부위까지 탄성이 유지되어 접속 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자부재의 삽입이 용이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생산성을 증진시키는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이다.
조명, 형광등, 발광, 전선

Description

형광등 소켓 {fluorescent lamp socket}
본 고안은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해짐으로써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단자부재와 형광등 단자의 연결부위 뿐만 아니라 단자부재와 전선의 연결부위까지 탄성이 유지되어 접속 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자부재의 삽입이 용이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생산성을 증진시키는 형광등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과 같은 조명기구는 건물 내부 천장이나 건물의 옥외 등의 간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안정기와 형광등 소켓 등을 먼저 설치한 후, 전기 배선 작업과 형광등을 끼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 배선 작업이란 통상적으로 전선을 형광등 소켓 내부로 삽입시켜 형광등 소켓에 내장된 단자부재와 접속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단자부재와 형광등 단자를 통해 형광등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도 1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형광등 소켓(100)은 크게 소켓몸체(200), 단자부재(300), 캡(4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소켓몸체(200)는 형광등의 양측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두개의 단자구멍(210)을 관통 형성하여 형광등의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수의 결합구멍(220)을 형성하여 상기한 캡(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소켓몸체(200)는 전면에 2개의 하우징(230)을 형성하고, 각각의 하우징(230)에는 걸림턱(232)을 형성하고, 전선삽입홈(231)을 형성하여 전선의 삽입을 도모하며, 개방부(233)를 형성하여 하우징(230) 내부 공간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자부재(300)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과 형광등의 단자를 통전되도록 연결해주는 부품으로, 상부에 탄성을 갖는 단자접속부(310)를 형성하여 형광등의 단자와 접속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는 전선삽입구멍(320)을 형성하여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전선삽입구멍(320)의 상방에는 절곡된 형상의 클램핑부(330)를 형성하여 삽입된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클램핑부(330)의 일부에는 스토퍼(340)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한 걸림턱(232)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클램핑부(330)의 피로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400)은 상기한 하우징(230)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테두리 부분에 다수의 후크(410)를 형성하고, 정면에는 구멍(420)을 형성하여 별도의 드라이버나 송곳 등과 같은 도구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단자부재(300)의 클램핑부(330)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형광등 소켓은 단자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아 제조 단가가 높았다.
특히 상기 단자부재 중 전선이 연결되는 측의 스톱퍼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자부재를 프레싱 한 후 단자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시켜야 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단자부재 중 형광등 단자가 연결되는 측의 경우 단자부재의 탄성을 유지할 수 없어 장기간 사용시 형광등 소켓과 단자부재 사이가 이격되어 접속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은 단자부재의 삽입 공간이 협소하여 단자부재의 삽입이 어려워 조립이 용이하지 못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자부재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부재와 형광등 단자의 연결부위 뿐만 아니라 단자부재와 전선의 연결부위까지 탄성을 유지시켜 접속 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부재의 삽입이 용이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생산 성을 증진시키는 형광등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형광등 단자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조립되어 전선이 연결되며, 내측 바닥면에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삽입지지편을 갖는 덮개, 상기 덮개에 삽입되어 상기 형광등 단자와 상기 전선을 통전시키는 단자부재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 조립시 상기 단자부재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형광등 단자와 상기 전선 삽입에 의해 상기 단자부재가 설정 간격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광등 소켓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재는 일측에 탄성을 갖도록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형광등 단자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접속되는 단자접속부 및 타측에 탄성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둘레를 가압하여 접속되며, 전선끼움구를 갖는 전선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형광등 단자와 접속되는 상기 단자부재의 접속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1지지편, 상기 제1지지편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보강하며, 상기 단자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 상기 전선과 접속되는 상기 단자부재의 접속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2지지편 및 상기 단자부재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단자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3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은 단자부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해짐으로써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부재와 형광등 단자의 연결부위 뿐만 아니라 단자부재와 전선의 연결부위까지 탄성이 유지되어 접속 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단자부재의 삽입이 용이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생산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 소켓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 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에서 덮개에 단자부재를 안착시킨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커버만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은 몸체(30), 덮개(40), 단자부재(50) 및 지지고정부(6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30)는 형광등 단자(10)가 삽입되도록 단자구(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40)는 몸체(3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단자구(32) 부위를 커버링하게 되며, 형광등 단자(10)와 접속시키기 위한 전선(20)을 삽입할 수 잇도록 전선삽입구(4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몸체(30)는 덮개(40)를 원하는 위치에 조립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삽입유도부재(34)를 구비한다.
상기 삽입유도부재(34)는 몸체(30)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40) 조립시 덮개(40)를 몸체(30)의 일정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재(50)는 덮개(40)에 삽입되며, 덮개(40)를 몸체(30)에 조립시 덮개(40)와 몸체(3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몸체(30)에 삽입되는 형광등 단자(10)와 덮개(40)에 삽입되는 전선(20)을 서로 통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덮개(40)는 단자부재(50)가 삽입 안착되어 몸체(30)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자부재(50)의 삽입 부위에 삽입지지편(4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지지편(44)은 덮개(40) 조립시 단자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하여 몸체(30)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덮개(40) 내측 바닥면에 ㄱ자 형상으 로 한 쌍이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재(50)는 형광등 단자(10)의 접속을 위한 단자접속부(52)와, 전선(20)의 접속을 위한 전선접속부(54)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접속부(52)는 단자부재(50)의 일측에 탄성을 갖도록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몸체(30)의 단자구(32)에 삽입되는 형광등 단자(10)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접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선접속부(54)는 단자부재(50)의 타측에 탄성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덮개(40)의 전선삽입구(42)로 삽입되는 전선(20)의 둘레 일부를 가압하여 접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재(50)는 단자접속부(52)와 전선접속부(54)가 일 축으로만 절곡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그로 인해 제조 단가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0)와 덮개(40)의 조립 부위에는 덮개(40)를 몸체(3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착탈결합부(7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결합부(70)는 체결구(72)와 후크부재(74)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72)는 몸체(30)의 일부를 통공하여 형성되며, 덮개(4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재(74)는 덮개의(40) 둘레에 탄성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체결구(72)에 삽입시 탄성적으로 휘었다가 삽입 후 원상 복원되면서 체결구(72) 주변에 걸려 고정된다.
즉, 상기 착탈결합부(70)는 덮개(40)를 몸체(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하여 단자부재(50)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고정부(60)는 몸체(30)에 형성되며, 덮개(40) 조립시 단자부재(50)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형광등 단자(10)와 전선(20) 삽입에 의해 단자부재(50)가 설정 간격 이상으로 벌어져 탄성을 잃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자부재(50)의 설정 간격이란 형광등 단자(10)와 전선(20)의 직경을 의미한다.
즉, 상기 지지고정부(60)는 단자부재(50)의 단자접속부(52)와 전선접속부(54)가 각가 형광등 단자(10)와 전선(20)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져 탄성을 잃을 때 발생하게 되는 접속 불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고정부(60)는 제1지지편(62), 리브(64), 제2지지편(66) 및 제3지지편(68)으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지지편(62)은 몸체(30)의 단자구(32)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단자부재(50)의 단자접속부(52)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편(62)은 몸체(30)의 단자구(32)로 형광등 단자(10)가 삽입될 때 형광등 단자(10)에 의해 벌어지는 단자부재(50)의 단자접속부(52)가 형광등 단자(10)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단자접속부(52) 양측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편(62)이 단자접속부(52)의 벌어짐을 방지함으로써 단자접속 부(52)의 탄성이 유지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단자접속부(52)와 형광등 단자(10)의 접속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형광등의 잦은 교체시에도 탄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브(64)는 몸체(30)의 단자구(32)와 착탈결합부(70)의 체결구(72) 사이에 형성되어, 체결구(72)로 인해 몸체(30)의 강성이 약해지는 것을 보강하며, 단자부재(50)의 단자접속부(52)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단자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편(66)은 리브(64)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몸체(30)의 단자구(32)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며, 단자부재(50)의 전선접속부(54)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편(66)은 덮개(40)의 전선삽입구(42)로 전선(20)이 삽입될 때 전선(20)에 의해 벌어지는 단자부재(50)의 전선접속부(54)가 전선(20)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전선접속부(54)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편(66)이 전선접속부(54)의 벌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전선접속부(54)의 탄성이 유지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전선접속부(54)와 전선(20)의 접속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전선(20)의 잦은 교체시에도 탄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지지편(68)은 제2지지편(66)에 인접하게 돌출 형성되어 단자부재(50)의 전선접속부(54)의 형성을 위해 절곡된 단자부재(50)의 일측 부분을 지지하여 단자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40)에 단자부재(5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단자부재(50)는 덮개(40)의 내측 벽면과 삽입지지편(44) 사이에 안착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삽입지지편(44)에 의해 단자부재(50) 유동 방지되어 덮개(4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단자부재(50)는 종래 기술처럼 협소한 공간에 억지로 끼워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이 용이한 덮개(40)에 삽입된 후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40)는 착탈결합부(70)에 의해 몸체(3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덮개(40)는 후크부재(74)가 몸체(30)에 형성된 체결구(72)에 휘어지면서 삽입되며, 삽입 후 탄성적으로 원상 복원되면서 체결구(72) 주변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덮개(40)는 몸체(30)의 삽입유도부재(34)에 의해 정해진 위치로 조립되기 때문에 후크부재(74)가 체결구(72)에 정확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74)는 칼이나 드라이버 등으로 누르게 되면 체결구(72)로부터의 이탈이 가능하여 덮개(40)를 몸체(3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덮개(40)는 몸체(3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조립됨으로써 단자부재(50)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40) 결합시 지지고정부(60)의 리브(64)가 착탈결합부(70)의 체결구(72) 주변의 강성을 보강하여 몸체(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삽입된 단자부재(50)의 단자접속부(52) 부위를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형광등 단자(10)는 몸체(30)의 단자구(32)에 삽입된다.
상기 형광등 단자(10)는 단자부재(50)의 단자접속부(52)를 양측으로 벌리면서 삽입되어 단자부재(50)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지지고정부(60)의 제1지지편(62)이 단자접속부(50) 양측을 각각 지지하여 단자접속부(52)가 형광등 단자(10)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단자접속부(52)는 설정 간격 이상으로의 벌어짐이 방지됨으로써 탄성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형광등의 잦은 교체에도 탄성을 잃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20)은 덮개(40)의 전선삽입구(42)에 삽입된다.
상기 전선(20)은 전선삽입구(42)를 지나 단자부재(50)에 형성된 전선접속부(54)의 전선끼움공(55)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전선(20)은 절곡되게 형성된 단자부재(50)의 전선접속부(54)를 구부리면서 삽입된다.
상기 전선(20)은 구부러진 전선접속부(54)의 탄성에 의해 전선접속부(54)와의 접속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고정부(60)의 제2지지편(66)이 전선접속부(54)를 지지하여 전선접속부(54)가 전선(20)의 직경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선접속부(54)는 설정 간격 이상으로의 벌어짐이 방지됨으로써 탄성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선의 잦은 교체에도 찬성을 잃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고정부(60)의 제3지지편(68)이 전선접속부(54)의 절곡된 부위를 지지하여 단자부재(5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단자부재(50)는 몸체(30)와 덮개(4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형광등 단자(10)와 전선(20)을 통전시키며, 오랜 기간 탄성이 유지되어 접속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은 단자부재(5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해짐으로써 제조 단가가 낮아지며, 단자부재(50)와 형광등 단자(10)와의 연결부위 뿐만 아니라 단자부재(50)와 전선(20)과의 연결부위까지 탄성이 유지되어 접속 불량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단자부재(50)의 삽입이 용이해 조립이 편리하여 작업자의 생산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 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등 소켓에서 덮개에 단자부재를 안착시킨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커버만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광등 단자 20 : 전선
30 : 몸체 40 : 덮개
50 : 단자부재 60 : 지지고정부

Claims (3)

  1. 형광등 단자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조립되어 전선이 연결되며, 내측 바닥면에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는 삽입지지편을 갖는 덮개;
    일측에 탄성을 갖으며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형광등 단자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접속되는 단자접속부와, 타측에 탄성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선의 둘레를 가압하여 접속되며, 전선끼움구를 갖는 전선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내측 둘레면과 상기 덮개의 삽입지지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형광등 단자와 상기 전선을 통전시킬 수 있도록 된 단자부재; 및
    상기 형광등 단자와 접속되는 상기 단자부재의 접속 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1지지편과, 상기 제1지지편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보강하며, 상기 단자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리브와, 상기 전선과 접속되는 상기 단자부재의 접속 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2지지편과, 상기 단자부재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단자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3지지편으로 이루어진 지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 소켓.
  2. 삭제
  3. 삭제
KR2020080003253U 2008-03-12 2008-03-12 형광등 소켓 KR200450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53U KR200450396Y1 (ko) 2008-03-12 2008-03-12 형광등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53U KR200450396Y1 (ko) 2008-03-12 2008-03-12 형광등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89U KR20090009289U (ko) 2009-09-16
KR200450396Y1 true KR200450396Y1 (ko) 2010-09-29

Family

ID=4153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253U KR200450396Y1 (ko) 2008-03-12 2008-03-12 형광등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067B1 (ko) 2013-04-02 2014-02-25 하성룡 형광램프용 압착터미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50Y1 (ko) * 1993-10-13 1996-07-22 배호철 형광등용 소켓
KR960010306Y1 (ko) * 1993-12-30 1996-12-06 채인석 형광등 소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150Y1 (ko) * 1993-10-13 1996-07-22 배호철 형광등용 소켓
KR960010306Y1 (ko) * 1993-12-30 1996-12-06 채인석 형광등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067B1 (ko) 2013-04-02 2014-02-25 하성룡 형광램프용 압착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89U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120B1 (ko) 조명등용 전원 연결장치
KR200450396Y1 (ko) 형광등 소켓
CN205331877U (zh) 一种方形的led灯管
CN212408331U (zh) 一种便携插拔式led灯
US7714494B2 (en) Plug-in fluorescent lamp and lamp holder used therewith
KR20100000120U (ko) 전등케이스와 전등커버의 결합장치
KR200376372Y1 (ko) 등기구용 전선연결단자
KR200436419Y1 (ko) 형광등 소켓
KR100574835B1 (ko) 램프홀더어셈블리
KR101627495B1 (ko) 소켓부 분리구조를 갖는 리트로핏형 led 램프
CN206540032U (zh) 导光条安装结构及灯具光源结构
KR101325019B1 (ko) 조명등 장착장치
CN204829424U (zh) Led筒灯
CN105180028A (zh) 快装吸顶灯
KR100645025B1 (ko) 분리형 램프의 접속장치
CN211450386U (zh) 一种led条形灯
CN211738722U (zh) 灯板防收缩条形灯
CN204201663U (zh) 一种方便快速接线的三防灯
KR200399889Y1 (ko) 등기구의 마구리 구조
CN209200215U (zh) 一种插套及插座
KR101758982B1 (ko) 조명등용 링 형 전기 컨택 부재
KR200254253Y1 (ko) 형광 램프 장치
KR200315411Y1 (ko) 형광등용 소켓
KR20180028222A (ko) Led조명용 전등선
JP2008047358A (ja) 照明器具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