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323Y1 - 천장 몰딩구조 - Google Patents

천장 몰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323Y1
KR200436323Y1 KR2020070007706U KR20070007706U KR200436323Y1 KR 200436323 Y1 KR200436323 Y1 KR 200436323Y1 KR 2020070007706 U KR2020070007706 U KR 2020070007706U KR 20070007706 U KR20070007706 U KR 20070007706U KR 200436323 Y1 KR200436323 Y1 KR 200436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eiling
molding
separato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70007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3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3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between ceiling and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 E04F19/061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used to finish off an edge or corner of a wall or floor covering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몰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재의 시공, 교체 및 수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천장 몰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와 천장의 마감재가 중첩적으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마감재 중 일부를 수리, 교체할 때 다른 마감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벽과 천장의 접합부분 몰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부분의 몰딩을 위한 구조에서, 이격배치된 상층 수평판과 하층 수평판이 하나의 수직판의 일측면에 각각 직각으로 결합하여 단면이 ㅑ자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의 판면이 상기 벽체와 건식으로 부착되는 몰딩용 분리재;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상층 수평판 상면과 접하면서 천장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천장 마감재; 및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수직판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벽체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벽체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몰딩구조를 제공한다.
몰딩, 분리재, 마감재

Description

천장 몰딩구조{Ceiling molding structure}
도1은 종래의 천장 몰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몰딩구조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체 20 : 몰딩용 분리재
30 : 천장마감재 40 : 벽체마감재
50 : 벽체바탕재
본 고안은 천장 몰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재의 시공, 교체 및 수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벽체와 천장의 접합부분 몰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벽체와 천장의 접합부분 몰딩은 일반적으로 습식공법을 사용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와 천장을 석고보드로 마무리하는 경우 벽체 석고보드와 천장 석고보드가 중첩되는 부위가 발생하였고, 이 부분에 반자돌림대를 대어 마무리하는 경우는 접착제를 사용해왔다. 이에 따라 상기 벽체 석고보드, 천장 석고보드, 반자돌림대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모든 마감재에 불가피한 훼손이 가해져 왔으므로 건물 내부의 리모델링 공사 및 일부 수선공사에서는 불필요한 자재의 낭비가 많아져 공사비용이 커짐은 물론 이러한 건축 폐기물은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벽체와 천장의 마감재가 중첩적으로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마감재 중 일부를 수리, 교체할 때 다른 마감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벽과 천장의 접합부분 몰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부분의 몰딩을 위한 구조에서, 이격배치된 상층 수평판과 하층 수평판이 하나의 수직판의 일측면에 각각 직각으로 결합하여 단면이 ㅑ자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의 판면이 상기 벽체와 건식으로 부착되는 몰딩용 분리재;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상층 수평판 상면과 접하면서 천장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천장 마감재; 및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수직판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벽 체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벽체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몰딩구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몰딩구조의 실시예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몰딩구조는 몰딩용 분리재(20), 천장 마감재(30), 벽체 마감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예는 상기 기본 구성요소에 벽체 바탕재(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몰딩용 분리재는 이격배치된 상층 수평판(21a) 및 하층 수평판(21b)이 수직판(22)의 일측면에서 각각 직각으로 결합하여 단면이 ㅑ자로 구성되는 길이부재이다. 상기 몰딩용 분리재(20)는 수직판(22)의 판면이 상기 벽체(10)에 건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몰딩용 분리재(20)는 벽체와 천장의 접합부분에 몰딩 마감을 할 때 벽체와 천장의 마감재를 분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상기 몰딩용 분리재(20)의 상층 수평판(21a)은 천장 마감재(30)의 조립, 설치 기준면이 되고, 하층 수평판(21b)은 벽체 마감재(40)의 조립, 설치 기준면이 된다.
상기 몰딩용 분리재(20)를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부위에 설치하면 설계단계에서 설정한 조립기준면에 맞추어 벽체와 천장 마감재의 제작이 가능하여 상기 벽체 마감재, 천장 마감재의 재활용이나 재사용, 자재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용 분리재(20)에 의해 각 마감재가 분리되므로 벽과 천장이 만나는 부 위에서 마감재의 일부만을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경우 마감재의 중첩에 의해 발생하는 인접 마감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딩용 분리재(20)는 상층 수평판(21a)과 하층 수평판(21b)이 이격배치됨에 따라 형성되는 홈(1)은 벽과 천장이 만나는 부분의 몰딩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몰딩용 분리재(20)는 실내를 두르면서 부착되는 부재이므로 벽과 천장이 만나는 부분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홈이 형성되어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자돌림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천장 마감재(30)는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상층 수평판(21a) 상면에 접하면서 천장에 건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벽체 마감재(40)는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수직판(22)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벽체(10)와 건식으로 부착된다. 이때 상기 벽체(10)와 몰딩용 분리재(20) 및 벽체 마감재(40) 사이에는 벽체 바탕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벽체 바탕재(50)는 상기 벽체(10), 몰딩용 분리재(20), 벽체 마감재(40)와 각각 건식으로 부착된다. 즉 상기 벽체 바탕재(50)는 벽체(10)에 건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몰딩용 분리재(20)가 상기 벽체 바탕재(50)에 건식으로 부착된 후 상기 벽체 마감재(40)가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수직판(22)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벽체 바탕재(50)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것이다. 이처럼 벽체 마감을 상기 벽체 바탕재(50)와 벽체 마감재(40)로 이중 마감하면 마감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리모델링이나 부분 보수시 상기 벽체 마감재(40)의 교체만으로도 원하는 연출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체(10)와 상기 벽체 마감재(40) 또는 벽체 바탕재(50)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 중간 중간에 스터드를 설치하여 상기 벽체 마감재 또는 벽체 바탕재를 용이하게 조립, 해체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천장 마감재(30), 벽체 마감재(40), 벽체 바탕재(50)는 석고보드를 사용하면 손쉽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마감재(30)와 벽체 마감재(40)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반자돌림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반자돌림대(60)는 상기 천장 마감재(30)와 벽체 마감재(40)에 건식으로 부착되므로 반대돌림대(60)의 교체 또는 수선시 다른 마감재의 훼손에 대한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벽체와 천장의 마감재가 몰딩용 분리재에 의해 분리되어 실내 리모델링을 위한 일부분의 수리, 교체시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둘째, 각 마감재는 건식으로 결합되므로 상호 결합된 마감재의 일부를 다른 마감재의 훼손 없이 교체 또는 수선할 수 있다.
셋째, 설계단계에서 설정된 벽체와 천장 마감재 조립기준면을 몰딩용 분리재 에 의해 정확히 맞출 수 있으므로 마감재의 규격화 제작이 가능하여 마감재의 재활용이나 재사용, 자재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넷째, 벽체 마감을 벽체 바탕재와 벽체 마감재로 이중적으로 구성하면 마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벽체 마감재만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몰딩용 분리재의 상층 수평판과 하층 수평판을 이격 배치함에 따라 발생한 홈은 벽과 천장이 만나는 부분에 장식적인 효과를 주어, 반자돌림대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천장 마감재와 벽체 마감재에 부착되도록 반자돌림대를 설치하되, 건식으로 부착시키면 반자돌림대의 교체나 수선시 천장 마감재나 벽체 마감재가 훼손될 우려가 없다.

Claims (2)

  1.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부분의 몰딩을 위한 구조에서,
    이격배치된 상층 수평판과 하층 수평판이 하나의 수직판의 일측면에 각각 직각으로 결합하여 단면이 ㅑ자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의 판면이 상기 벽체와 건식으로 부착되는 몰딩용 분리재;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상층 수평판 상면과 접하면서 천장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천장 마감재; 및
    상기 몰딩용 분리재의 수직판 하부와 접하면서 상기 벽체에 건식으로 부착되는 벽체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몰딩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벽체와 몰딩용 분리재 및 벽체 마감재 사이에는 벽체 바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벽체 바탕재는 상기 벽체, 몰딩용 분리재, 벽체 마감재와 각각 건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몰딩구조.
KR2020070007706U 2007-05-10 2007-05-10 천장 몰딩구조 KR200436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706U KR200436323Y1 (ko) 2007-05-10 2007-05-10 천장 몰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706U KR200436323Y1 (ko) 2007-05-10 2007-05-10 천장 몰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974 Division 200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323Y1 true KR200436323Y1 (ko) 2007-07-27

Family

ID=4508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706U KR200436323Y1 (ko) 2007-05-10 2007-05-10 천장 몰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3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74B1 (ko) *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20220076644A (ko) 2020-12-01 2022-06-08 이철호 천장패널 지지용 벽체 내진 감쇠 몰딩
KR20230013579A (ko)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하나우드 천장용 마감몰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574B1 (ko) *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KR20220076644A (ko) 2020-12-01 2022-06-08 이철호 천장패널 지지용 벽체 내진 감쇠 몰딩
KR20230013579A (ko)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하나우드 천장용 마감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323Y1 (ko) 천장 몰딩구조
KR101393616B1 (ko) 건축물 외장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마감방법
KR101254430B1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US20200217081A1 (en) Mounting member and building wall structure
CN105239749A (zh) 一种建筑拼装式整装构造
JP2012031567A (ja) 屋上防水施工方法
RU2010134884A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гловых панелей
KR101448675B1 (ko) 노출 콘크리트 보드 시공방법
KR101303473B1 (ko)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101136574B1 (ko)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JP5650516B2 (ja) 建物の間仕切壁構造
KR100765358B1 (ko) 창호 몰딩구조
KR101869417B1 (ko) 바닥면 방수구조 및 시공방법
CN205046684U (zh) 一种盖缝组件及使用该盖缝组件的石膏板隔墙
US20240011292A1 (en) Modular building assembly and wall cladding system
JP7323407B2 (ja) 外壁構造、及びその改修方法
CN112368454B (zh) 制造墙的方法和干式墙板
CN210263690U (zh) 一种阳角组件
JP2009250019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タイル張り工法
KR101197132B1 (ko) 마감재를 이용한 발코니 시공방법 및 그 마감재
JP2017071945A (ja) 改修用支持架台とこれを用いた改修防水構造および改修防水工法
KR101136690B1 (ko) 신축 및 리모델링 용이성을 고려한 벽체용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의 마무리 구조
KR20140002830U (ko) 판재 연결 구조물
KR20160010082A (ko) 이중바닥재용 판넬
CN106609585A (zh) 一种窗边瓷砖固定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