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30U - 판재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판재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30U
KR20140002830U KR2020120010056U KR20120010056U KR20140002830U KR 20140002830 U KR20140002830 U KR 20140002830U KR 2020120010056 U KR2020120010056 U KR 2020120010056U KR 20120010056 U KR20120010056 U KR 20120010056U KR 20140002830 U KR20140002830 U KR 201400028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nstruction
plate
latc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보군
김종목
Original Assignee
권보군
김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보군, 김종목 filed Critical 권보군
Priority to KR2020120010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30U/ko
Publication of KR20140002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재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구조물은,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양 내측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걸림 홈부를 갖는 판재, 및 상기 판재들의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접한 판재들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 홈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판재와 판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연결 부재를 선 시공으로 벽이나 바닥, 천정에 고정하고 마감판재를 끼워서 고정 시공함으로서 시공의 간편성과 이에 따르는 시공시간, 인건비의 절감 및 시공 후 마감의 불필요성에 따르는 시공비의 절감으로 건축의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바닥 난방 바닥재, 천장재, 멱 마감재 등에 두루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 연결 구조물{connection structure for board}
본 고안은 판재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의 연결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각 판재 간의 이음매의 이격, 박리 등을 보완하고 시공성을 편리하게 하여 시공 단가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신속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판재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천정, 벽 마감재는 나무, 플라스틱, 종이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일부 돌이나 타일을 이용하기도 한다.
나무의 경우 홈통 끼워 맞추기 등의 시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는데 이러한 시공은 시공 후 팽창과 수축에 의해 면의 꿀렁 거림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홈통의 범위를 벋어나 이탈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용도별로 보면 온돌 문화가 없는 지역에서는 나무나 돌 등을 주로 사용하고, 온돌 문화지역에서는 플라스틱이나 종이 등을 사용하며, 현대에 들어 바닥재로 각광받는 제품은 얇은 합판이나 고강도의 MDF 등에 모양지나 무늬목을 붙여 사용한다.
이러한 바닥재나 판재의 시공에는 전면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못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는데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공한 경우 습기나 온도 등에 따라 접착제가 이음매 부분에서 새어 나오거나 수축 등에 의해 제품이 떨어져 나오는 문제가 있을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사용되는 환경 물질 등에 의해서 새집 증후군 등의 문제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대두 되고 있다.
그리고 벽면의 마감은 도배나 합판 또는 페인트 등으로 마감하거나 모양지가 부착된 목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벽면에 접착제나 못 등으로 고정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작업성의 곤란성이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연결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각 판재 간의 이음매의 이격, 박리 등을 보완하고 시공성을 편리하게 하여 시공 단가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신속하게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판재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판재 연결 구조물은,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양 내측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걸림 홈부를 갖는 판재, 및 상기 판재들의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접한 판재들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 홈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바닥 난방용 바닥 마감용 시공과 벽면의 마감용 시공, 간이 칸막이용 시공, 건축물의 천정 등 손상된 바닥의 보수 등에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변 벽의 마감이나 사무실 등의 간이 칸막이나 화장실 칸막이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판재의 면에 모양지나 무늬목을 이용하여 마감한 후 시공하면 별도의 페인트나 도배 등이 불필요하며, 바닥 데크의 경우 못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는데 시공후 못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각 데크 간의 간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넓은 면적의 데크를 수직 방향으로 잡고 있기 때문에 데크의 추후 선상을 최소화 할수 있으며, 특히 WPC 제품의 경우 굴곡 강도의 약화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충격강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화장실의 천정재의 경우 습기에 강한 플라스틱이나 WPC재질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시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연결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 연결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 으로 도시한 판재 연결 구조물은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양 내측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걸림 홈부(14)를 갖는 판재(12), 및 이 판재(12)들의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접한 판재(12)들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 홈부(14)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18)가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연결 부재(1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걸림 돌기(18)에는 판재(12)에 끼워졌을 때 쉽게 이격되지 않게 고안된 형상의 미늘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공 방법은 우선적으로 연결 부재(16)를 바닥, 천정 또는 벽면에 선시공하고 판재(12)를 이음매에 끼워 시공하는 것으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빠르며, 시공 후 이음매 부분이 깔끔하고 강제적으로 떼어내지 않는 한 쉽게 빠져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판재(12)에는 못 등의 사용이 없어 시공 후 마감의 처리기 불필요하며, 자국이 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한 판재(12)는 WPC,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16)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데 신축성이 적고 복원 탄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열 변형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벽이나 바닥, 천정에 고정하여 마감용 판재(12)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 부재(16)로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상기 연결 부재(16)는 벽이나 바닥에 고정할 시 못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연결 구조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판재 연결 구조물, 12 : 판재,
14 : 걸림 홈부, 16 : 연결 부재,
18 : 걸림 돌기

Claims (1)

  1. 판재 연결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양 내측 길이를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걸림 홈부를 갖는 판재; 및
    상기 판재들의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접한 판재들의 하부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 홈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결 구조물.
KR2020120010056U 2012-11-05 2012-11-05 판재 연결 구조물 KR201400028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56U KR20140002830U (ko) 2012-11-05 2012-11-05 판재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56U KR20140002830U (ko) 2012-11-05 2012-11-05 판재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30U true KR20140002830U (ko) 2014-05-14

Family

ID=5244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56U KR20140002830U (ko) 2012-11-05 2012-11-05 판재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3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412B2 (en) Alignable foam board
US8795813B2 (en) Ribbed backed panels
US20210164242A1 (en) Mesh seam connection element
US8522508B1 (en) Flashing support cant for a wall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US20200340255A1 (en) Flooring system, a pa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DK2344702T3 (en) Plate Fixation
US20100205889A1 (en) Floor covering system
JP6146244B2 (ja) 外部床の防水構造および防水工法
KR20140002830U (ko) 판재 연결 구조물
KR101810739B1 (ko) 통기공이 형성된 지붕용 패널 및 그 지붕용 패널을 이용한 지붕 시공방법
US20230131686A1 (en) A floor panel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436323Y1 (ko) 천장 몰딩구조
JP6147054B2 (ja) パラペットの防水構造
CN211622218U (zh) 一种搭接式天花板
JP7173722B2 (ja) 屋根構造
JP4181608B2 (ja) 通気断熱材及び断熱パネル並びに断熱屋根
CN219061034U (zh) 井干式木屋
CN204728604U (zh) 整体卫浴壁板
JP2009250019A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タイル張り工法
KR102015653B1 (ko) 스틸 방수 패널의 결합구조
US20170121968A1 (en) Prefabricated wall system
TWI565863B (zh) Waterproof roof ridge device
JP7274248B2 (ja) 防水構造、施工方法
CN206571096U (zh) 一种波纹板
KR20040018024A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원목 마루판의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