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748Y1 -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 Google Patents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748Y1
KR200435748Y1 KR2020060026189U KR20060026189U KR200435748Y1 KR 200435748 Y1 KR200435748 Y1 KR 200435748Y1 KR 2020060026189 U KR2020060026189 U KR 2020060026189U KR 20060026189 U KR20060026189 U KR 20060026189U KR 200435748 Y1 KR200435748 Y1 KR 200435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toenail
ingrown
claw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2020060026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 양 끝단에 각각 부착된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톱 전체에 걸쳐 강력한 교정력을 가지며, 사용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에 적합하며, 함입조 수술 후 자라는 발톱이 곧게 자라도록 할 수 있고 구부러진 발톱을 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The corrective device for ingrown toenail and incurvated toenail}
도 1은 일반적인 발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의 시험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톱본체 3: 발톱뿌리
5: 프리엣지(Free Edge) 7: 큐티클(Cuticle)
9: 네일월(Nail Wall) 10: 발톱
11: 네일그루브(Nail Groove) 13: 중심부재
15: 발톱 측면 걸이부 15a: 중심부재 연결부
15b: 연결부 15c: 발톱하부지지부
15d: 중심부재 삽입부 15e: 요철
본 고안은 족부 족지함입조(足部足指陷入爪) 및 내향성 족지(內向性足指) 발톱의 교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톱 전체에 걸쳐 강력한 교정력을 가지며, 사용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에 적합하며, 함입조 수술 후 자라는 발톱이 곧게 자라도록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체의 발톱(10)은 발가락의 끝과 발가락 뼈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발톱본체(Nail Body)(1)와 발톱 뿌리(Nail Root)(3) 및 프리엣지(Free Edge)(5)로 구성된다. 발톱뿌리(3)는 발톱이 자라기 시작하는 곳이며, 발톱의 근원이 되는 곳으로서 피부 밑에 묻혀 있고, 프리 엣지(5)는 발톱의 끝으로서 발가락 밖으로 나와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발톱을 싸고 있는 피부는 병균침입을 막아주는 큐티클(Cuticle)(7)과 발톱 양 측면의 피부인 네일 월(nailwall)(9) 및 네일 월과 발톱 사이의 홈인 네일 그루브(nailgroove)(11)로 이루어져 있다.
족부 족지함입조는 네일 그루브(11)로 파고 들어간 상태의 발톱을 의미하며, 내향성 족지 발톱은 발톱 본체(1)가 양 네일그루브(11)로 파고 들어가 피하조직까지 관통하여 발톱 벽을 따라 성장하는 발톱을 의미한다. 상기의 내향성 족지 발톱은 발톱무좀, 발가락뼈의 기형이나 구조적 이상, 위생상 불결하거나 발톱을 잘못 깎았을 때 발생하며, 또한 끝이 뾰족한 구두나 높은 구두굽으로 인해서 발가락에 압박을 주는 것도 부수적인 원인이 된다. 이러한 족부 족지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은 신발을 신을 경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연조직에의 감염의 우려가 있다. 내향성 족지 발톱이 심한 경우는 도 2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발톱의 측면이 많이 구부러져 통증과 염증으로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주는 문제마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족부 족지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수술을 행하였다. 내향성 족지 발톱을 수술한 이후에도 선천적으로 구부러진 발톱은 펴지지 않으며, 이 때 구부러진 발톱은 추후 내향성 족지 발톱의 재발이나 핀칭 발톱을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악의 경우는 수술 후 재발율이 8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1,451,311에는 탄성력을 갖는 한쌍의 스트립으로 구성된 내성발톱교정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슬라이드 방식이라는 특성상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져 일상생활에서 사용이 불편하고, 발톱의 본체에 접촉하는 부분과 발톱의 측면 피 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구비해야 하는 조건이 상이함에도, 상기 교정구 전체를 탄성력 있는 하나의 재료로 만들게 됨에 따라, 각각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발톱의 본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이 일정값 이상이어야 할 필요가 있으나, 발톱의 측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이 강할 경우 가공상의 어려움이 있고, 피부와 직접 접촉해야 하므로 재료선택시 위생측면을 고려하여야 함에도, 상기 발명은 통상의 탄성력 있는 재질로 장치의 전체를 구성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발명은 통상의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장기사용시 영구변형이 일어나므로 유효한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어 더 이상 발톱을 교정하는 효과를 갖지 못하게 되어 지속적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수강이나 합성수지로 된 판상의 탄성체를 피부로 덮이지 않고 노출된 발톱의 폭정도의 길이로 절단해서 형성한 내생발톱교정구를 발톱의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한 예가 있다. 그러나, 탄성계수가 큰 특수강이나 탄성체를 접착제로 발톱표면에 부착하는 경우, 접착력 보다 큰 탄성력을 가질 수 있어 발톱에 잘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탄성계수가 작은 특수강이나 탄성체를 사용할 경우, 탄성한계보다 강한 응력이 가해져 영구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더 이상 발톱을 교정하는 효과를 갖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탄성 물질을 사용할 경우 적당한 접착제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합성수지의 복원력을 이용한 예도 있으나, 재질의 특성상 탄성력이 약하며,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접착제로 부착한 부위에서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고, 장기간 부착해야 하는 경우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85247호에는 내성발톱에 대한 성형효과를 갖는 인조 평발톱에 관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으나, 두께가 두꺼워 장기간 사용에 불편하고, 발톱의 노출된 표면에만 플라스틱판재를 접착제로 접착함으로써 네일그루브로 파고 들어간 부분에까지 힘이 전달되지 않아 충분한 교정효과를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특개평9-253110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함입조교정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기술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었다. 첫째, 발톱이 빠진 후 자라는데 까지는 1년이 소요되어 초기발톱의 성장모양을 조절하려면 적어도 2~3개월간 발톱에 기구가 장착이 되어야 하는데 접착제, 금속 및 발톱의 성질이 달라 금속과 발톱의 분리가 잘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발톱의 변형은 발톱의 중앙부보다 변연부 쪽으로 갈수록 심한데 종래 기술과 같이 이 기술 또한 노출된 발톱의 표면에만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중앙부에만 교정력이 가해지므로 충분한 교정효과를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톱 전체에 걸쳐 강력한 교정력을 가지며, 사용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에 적합하며, 함입조 수술 후 자라는 발톱이 곧게 자라도록 할 수 있고 구부러진 발톱을 펴지도록 할 수 있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중심부재(13); 및 상기 중심부재 양 끝단에 각각 부착된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15)를 포함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형상회복온도는 25~30℃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상기억 합금은 니켈함량이 52.1~59.9중량%인 Ni-Ti계 합금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부재(13)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판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15)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티타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15)는 중심부재 연결부(15a), 발톱하부지지부(15c) 및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와 발톱하부지지부(15c)를 연결하는 연결부(1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는 그 내부에 중심부재 삽입부(15d)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의 길이:상기 발톱하부 지지부(15c)의 길이는 0.5:1~3:1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 및 발톱하부지지부(15c)의 발톱접촉면간의 거리가 0.5~2mm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의 발톱접촉면의 표면 또는 상기 발톱하부지지부(15c)의 발톱접촉면의 표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요철(15e)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철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반원형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중심부재(13); 및 상기 중심부재 양 끝단에 각각 부착된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합금으로 일정한 모양을 만들고 나서 힘을 가해 전혀 다른 모양으로 변형시킨 후에 온도를 높여주면 처음의 모양을 기억해서 그 모양으로 돌아가는 합금을 말하며, 형상기억합금의 특징은 철보다 10~20배 정도 복원력이 크며, 부드럽게 변형되고 부식에 잘 견딘다는 것이다. 모든 금속은 탄성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탄성한계보다 작은 응력(단위 면적당 가하는 힘을 응력이라고 한다.)을 받아 일어난 변형의 경우, 그 응력을 없애면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간다. 이것을 탄성변형이라 한다. 그러나 탄성한계보다 큰 응력을 가하면, 가했던 응력을 없애도 처음의 모양으로 돌아가지 않는 영구적인 변형이 일어난다. 영구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시점의 변형 정도, 즉 탄성한계보다 큰 응력을 주었을 때의 변형은 원래 모양의 1%를 넘지 않으며, 그 후에 일어나는 것이 영구적인 변형인 소성변형이다. 이처럼 보통 금속 재료는 적당한 힘을 가해 변형시키면 그 형상으로 유지되므로 굽히거나 늘려서 자유로운 형상으로 모양을 만들고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형상기억합금은 변형된 다음 이 합금을 다시 가열하면 처음 변형되기 전의 형상을 기억하고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간다. 본 고안은 형상기억합금의 설정온도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성질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발의 온도인 27~28℃에서,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형상을 기억시킨 중심부재를 이용할 경우 그 보다 낮은 온도인 20℃정도에서 자유롭게 형상을 변형시켜, 발톱에 장착함으로써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온에 의해 기억된 형상으로 돌아가게 될 때 발생하는 복원력(F방향 힘)이 발톱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이 다시 휘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형상회복온도는 25~3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발의 체온을 고려한 것으로, 발의 체온은 대략 27~28℃로 통상적인 체온인 겨드랑이 온도 36.9℃보다 낮기 때문이다. 상기 형상회복온도가 25℃미만인 경우는 형상기억합금 중심부재를 다루기 위해 온도를 많이 낮추어야 할 염려가 있고, 30℃초과인 경우는 통상의 발의 온도에서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지 않아 지속적인 복원력의 유지라는 효과를 얻지 못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니켈계, 구리계, 철계 등으로 아연, 알루미늄, 금, 은 등의 금속을 조합한 Ni-Ti, Cu-Zn-Ni, Cu-Al-Ni, Ag-Ni, Au-Cd 등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일반적으로 초탄성의 속성을 갖는다. Ni-Ti계 합 금에서는 Ni함량이 52.1%~59.9%일 수 있다. 상기 Ni함량이 52.1% 미만이거나 59.9% 초과인 경우는 형상회복온도인 25~30℃로 설정하기 어려울 염려가 있고, 발톱을 평평한 형태로 유지하기에 적절한 탄성력을 유지하기 어려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중심부재(13)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 또는 판형일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심부재의 단면의 형상이 판형으로 된 경우에는 그 넓이를 조절함으로써 교정력의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중심부재(13)의 길이는 발톱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13)의 양 끝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발톱측면걸이부(15)가 부착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재(13)의 양 끝단에 각각 상기 발톱측면걸이부(15)를 결합하여 발톱에 장착함으로써, 발톱의 측면부에는 상방향으로 향하는 힘(F방향 힘)이 형상기억합금의 복원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작용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발톱의 중심부에 대해서는 중심부재가 하방향으로 밀어내는 힘(f방향 힘)을 작용하게 되며, 이 힘은 지렛대 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F방향 힘을 증가시키게 되어 복원력을 더욱 증가시키며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할 경우 세지점에 힘을 지속적으로 주는 삼점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기술의 경우는 접착제와 형상기억합금의 물성이 달라 이탈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f방향 힘은 발생하기 어렵고, 지렛대효과 또한 나타나기 어렵다.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의 재질은 강도가 충분하며,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티타늄 등을 사 용할 수 있다.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15)는 발톱측면에 걸 수 있는 구조인 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재 연결부(15a), 발톱하부지지부(15c) 및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와 발톱하부지지부(15c)를 연결하는 연결부(15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는 그 내부에 중심부재 삽입부(15d)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중심부재 삽입부(15d)에 상기 중심부재(13)의 끝단을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중심부재(13)의 끝단에 상기 발톱측면걸이부(15)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13)의 끝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중심부재 삽입부(15d)에 밀어넣거나, 상기 중심부재(13)의 끝단을 상기 중심부재 삽입부(15d)에 밀어넣은 상태에서 핀치로 중심부재 연결부(15a) 표면에 압력을 가하여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의 길이:상기 발톱하부 지지부(15c)의 길이는 0.5:1~3:1일 수 있으며, 상기 비율 미만으로 발톱하부 지지부(15c)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발톱하부 지지부(15c)가 쉽게 발톱에서 빠질 염려가 있고, 상기 비율을 초과하여 발톱하부 지지부(15c)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중심부재 연결부(15a)와 중심부재(13)간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아서 중심부재(13)가 쉽게 빠질 염려가 있다.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 및 발톱하부 지지부(15c)의 발톱접촉면간의 거리는 0.5~2mm일 수 있다. 상기 거리가 0.5mm 미만일 경우는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15)가 발톱에 결합하기 위한 공간이 불충분할 염려가 있고, 2mm 초과인 경우는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15)가 발톱에서 빠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15a)의 발톱접촉면의 표면 또는 상기 발톱하부지지부(15c)의 발톱접촉면의 표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요철(15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15e)의 단면 형상은 도 5a의 삼각형, 도 5b의 사각형, 도 5c의 반원형일 수 있다. 상기 요철(15e)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를 발톱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각형의 요철이 톱날모양을 갖도록 하여 발톱에 결합은 쉽게 하며 동시에 발톱에서 이탈은 어렵게 할 수 있어 장기 사용시에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교정기구가 상기 요철에 의해 발톱에 강하게 결합하여 제거가 어려운 경우라도 발톱이 자라게 되면 발톱을 깍아 줌으로써 상기 교정기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는 사용중 이탈 등의 염려가 없고, 발톱에 밀착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큰 불편이 없다.
또한 상기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는 발톱의 크기와 필요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을 하나의 발톱에 부착할 수 있어 교정력의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중심부재가 판형으로 된 경우에는 그 넓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원통형 와이어(제조사: 제일테크, 재질: 스테인레스, 외경: 1.2mm, 내경: 1.0mm, 길이: 10.0mm)를 중심부재 연결부 및 발톱하부지지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하 며, 중심부재 연결부 및 발톱하부지지부의 발톱접촉면간의 거리가 1mm가 되도록 구부려 'ㄷ'자 형태로 만들어 발톱측면걸이부를 2개 제작하였다.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선형 와이어(제조사: 진성기업(주); 함량비: Ni 55.96중량%, O 0.049중량%, C 0.031중량%, Ti Balance; 형상회복온도: 27℃; 형상기억형태: 직선; 직경: 1.0mm; 길이: 30mm)의 한쪽 끝을 상기 발톱측면걸이부중 하나의 삽입부에 삽입한 후, 핀치로 고정하였다. 상기 원통형 와이어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선형 와이어의 반대편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발톱측면걸이부를 결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형태의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를 조립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살속으로 깊이 들어간 발톱과 발톱이 자라는 발톱 성장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템플레이트(template)를 이용하여 남은 발톱의 길이를 잰 다음 길이에 맞게 형상 기억 합금으로 된 선형 와이어를 절단하고 차가운 물에 상기 선형 와이어를 넣어 구부린 다음 상기 실시예 1의 발톱측면걸이부의 삽입부에 끼우고 핀치로 고정 하였다. 상기 선형와이어가 결합된 발톱측면걸이부를 발톱의 일측면에 걸어준 후, 발톱의 타 측면에 발톱측면걸이부를 끼우고, 발톱측면걸이부가 결합되지 않은 선형와이어의 한쪽 끝단을 발톱걸이부의 중심부재 삽입부에 밀어넣고 핀치로 고정하였다. 그 상태를 유지하면 체온에 의해 형상기억합금이 본래의 형태인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입조의 수술 후, 발톱의 형태 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는 발톱 전체에 걸쳐 강력한 교정력을 가지며, 사용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에 적합하며, 함입조 수술 후 자라는 발톱이 곧게 자라도록 할 수 있고 구부러진 발톱을 펴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1)

  1.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중심부재; 및 상기 중심부재 양 끝단에 각각 부착된 조립식 발톱 측면 걸이부를 포함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형상회복온도는 2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 합금은 니켈함량이 52.1~59.9중량%인 Ni-Ti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의 재질은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티타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 측면 걸이부는 중심부재 연결부, 발톱하부지지부 및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와 발톱하부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는 그 내부에 중심부재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의 길이 : 상기 발톱하부 지지부의 길이는 0.5:1~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 및 발톱하부지지부의 발톱접촉면간의 거리가 0.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재 연결부의 발톱접촉면의 표면 또는 상기 발톱하부지지부의 발톱접촉면의 표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반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KR2020060026189U 2006-09-28 2006-09-28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KR200435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89U KR200435748Y1 (ko) 2006-09-28 2006-09-28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89U KR200435748Y1 (ko) 2006-09-28 2006-09-28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451A Division KR100756079B1 (ko) 2006-09-28 2006-09-28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748Y1 true KR200435748Y1 (ko) 2007-02-15

Family

ID=4162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89U KR200435748Y1 (ko) 2006-09-28 2006-09-28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7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289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KR20150137288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289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KR20150137288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KR102188040B1 (ko) 2014-05-29 2020-12-07 주식회사 지씨에스 발톱 교정기
KR102290313B1 (ko) * 2014-05-29 2021-08-18 주식회사 지씨에스 발톱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079B1 (ko)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JP4324638B2 (ja) 陥入爪の矯正装置
KR20110118701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KR101659219B1 (ko) 내향성 발톱 교정구
JP3474998B2 (ja) 陥入爪矯正具
KR101277044B1 (ko)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KR200435748Y1 (ko)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JP4109154B2 (ja) 陥入爪治療具
JP5070347B2 (ja) 変形爪矯正具
JP3133233U (ja) 変形爪治療具
KR102008561B1 (ko) 변형 조 교정구
JP6887408B2 (ja) 変形爪矯正具
KR102329825B1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기
KR200471630Y1 (ko) 발톱교정기구
JP4687926B2 (ja) 巻き爪矯正具
KR20180005085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내향성 발톱 개선용 패드
CN207590822U (zh) 灰指甲矫正器
CN217091071U (zh) 一种嵌甲矫正装置
KR102451149B1 (ko) 형상기억합금 및 바이모프를 사용한 일체형 내향성 손톱 또는 발톱 교정기구
KR100485247B1 (ko) 내생발톱 성형용 인조 평발톱
CN216754760U (zh) 一种新型嵌甲矫正器
KR102613890B1 (ko)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JP3195770U (ja) 爪変形矯正装具用圧着子
JP3530901B2 (ja) 爪の変形を直す矯正具
KR20170065862A (ko)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