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044B1 -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 Google Patents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044B1
KR101277044B1 KR1020120036195A KR20120036195A KR101277044B1 KR 101277044 B1 KR101277044 B1 KR 101277044B1 KR 1020120036195 A KR1020120036195 A KR 1020120036195A KR 20120036195 A KR20120036195 A KR 20120036195A KR 101277044 B1 KR101277044 B1 KR 10127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elastic
elastic block
width direction
br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동준
Original Assignee
선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동준 filed Critical 선동준
Priority to KR102012003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044B1/ko
Priority to US13/851,780 priority patent/US9241823B2/en
Priority to CN201310116092.5A priority patent/CN10335632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단부가 내측으로 말려 변형된 교정 대상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손발톱과 나란히 놓이며, 탄성을 가져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방형의 탄성 블록; 및, 상기 탄성 블록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손발톱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손발톱의 상기 양 측단부에 각각 걸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돌기부; 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블록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 측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착되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손발톱을 폭 방향으로 펼치는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와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는 탄력적으로 수축 또는 확장되면서, 변형된 손톱 또는 발톱을 적절한 넓이로 펼쳐 네일 교정기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고, 그를 이용한 네일 교정기는 용이하게 장착되어 네일 교정에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Auxiliary Device for mounting nail deformity correction device and Nail deformity correction device mounted on a nail by the same}
본 발명은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형된 손톱 또는 발톱에 네일 교정기를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손톱이나 발톱은 피부가 변형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한 경도를 가지며,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끝마디 부분에서 외측으로 자라난다. 정상적인 경우, 손톱 또는 발톱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굽어져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표피와 밀착된다.
하지만,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원인으로 인해서 손톱이나 발톱은 정상적이지 못한 형태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변형된 손톱이나 발톱은 외관상으로 좋지 못한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건강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손톱 또는 발톱의 측단부가 내측으로 말려 표피를 파고 들어가는 내향성 손발톱(Ingrown nail)의 경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를 계속 방치하면 피하조직의 내측으로 침투되어 출혈을 유발하고,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조직을 괴사시켜 2차 감염의 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손톱 또는 발톱의 변형은 선천적인 기형에 의한 것일 수도 있으나, 걸음걸이와 같은 개인의 습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손톱 또는 발톱에 침투하여 그 형태를 변형시키는 무좀균에 의한 것과 같이 병으로 인해 얻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된 손톱 또는 발톱을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하기 위해서 종래 네일 교정기(Nail deformity correction device)라 불리는 교정기구가 사용되어 왔다. 네일 교정기는 변형된 손톱이나 발톱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끼워진 후에는 말려들어간 손톱 또는 발톱의 측단부를 압박하여 굴절된 부위를 정상적인 형태로 펼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72064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6079호 등에는 이러한 네일 교정기의 일 례로, 클립 형태로 절곡 형성되거나, 양 단부에 걸이부가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탄력을 유지하는 교정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네일 교정기는 단독으로 변형된 손톱이나 발톱에 적절하게 끼워 넣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서로 다른 정도로 굴절된 손톱 또는 발톱에 맞추어 교정기를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집게 등을 사용하여 굴절된 측단부를 강제로 펼쳐야 하며, 이마저도 숙련된 경우가 아니면 잘 끼워지지 않거나, 억지로 끼워 넣는 상황에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네일 교정기는 클립 형상과 같이 손톱이나 발톱에 밀착되기 어려운 형상이거나 또는 두께가 충분히 얇지 못하여, 손톱이나 발톱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손톱 또는 발톱에 불필요한 압박을 가하게 되고, 교정기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양말이나 신발 등을 신기 어려워 일상 생활에도 지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정기가 체온의 영향을 받는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탄력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예기치 않은 온도 변화에 의해 과도한 탄성이 가해져 교정 대상인 손톱 또는 발톱에 무리를 주거나, 또는 반대로 탄성이 급격히 줄어들어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 되는 문제 또한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0646호(2007.05.21), 도면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6079호(2007.09.11), 도면 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형된 손톱 또는 발톱에 네일 교정기를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는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와,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손톱 또는 발톱에 완전히 밀착되며, 부가적으로 체온에 관계없이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네일 교정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의 일 실시예는, 측단부가 내측으로 말려 변형된 교정 대상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손발톱과 나란히 놓이며, 탄성을 가져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방형의 탄성 블록; 및, 상기 탄성 블록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손발톱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손발톱의 양 측단부에 각각 걸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돌기부; 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블록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 측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착되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손발톱을 폭 방향으로 펼칠 수 있다.
상기 탄성 블록은 탄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블록은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탄성을 강화하는 제1 탄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블록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발톱의 폭방향으로 수축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굴절될 수 있다.
상기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는 상기 돌기부 사이의 상기 탄성 블록의 일부가 상기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변형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 블록이 상기 변형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수축 및 복원될 수 있다.
상기 변형 가이드 홈은, 상기 돌기부의 사이로 개방되고 폭이 일정한 개방부 및, 상기 탄성 블록의 내측을 향해 점차로 폭이 감소하여 끝단부가 뾰족한 절점을 형성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일 교정기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교정대상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온과 무관하게 일정한 탄성을 가져 굴절된 후 탄력적으로 복원되며, 상기 탄성 블록의 상부에 밀착되는 탄성 바; 및, 상기 탄성 바의 양 끝단부로부터 각각 하방 굴절되어 상기 탄성 바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 블록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한 쌍의 고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발톱으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 바는 상기 손발톱의 상부에 밀착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손발톱의 양 측단부에 걸려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바는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을 강화하는 제2 탄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네일 교정기는 상기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와 함께 포장될 수 있으며, 상기 네일 교정기는 복수개로, 서로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는 탄력적으로 수축 또는 확장되면서, 변형된 손톱 또는 발톱을 적절한 넓이로 펼쳐 네일 교정기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네일 교정기는 교정 대상 손톱 또는 발톱 위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체온에 관계없이 일정한 탄성력을 가져 변형된 손톱 또는 발톱의 교정 효과를 극대화하고, 교정기 착용자가 원만하게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해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와 네일 교정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네일 교정기가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를 이용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네일 교정기의 교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에 의해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해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와 네일 교정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는 크게 방형으로 형성된 탄성 블록(100) 및, 교정 대상 손발톱에 삽입되는 돌기부(200)로 형성되며, 교정 대상 손발톱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2)는 크게 탄성 바(10) 및, 고리부(20)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 상에서 '네일' 또는 '손발톱'이라 함은,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마디 끝에서 외측으로 자라나는 손톱 또는 발톱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네일 교정기(2)가 장착되거나, 돌기부(200)가 삽입되는 신체부위를 말하며, 예를 들어, 손발톱에 장착되거나 삽입된다는 것은 이러한 손톱 또는 발톱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거나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이 더욱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손톱 또는 발톱은 '손발톱'으로 통칭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상에서 손발톱의 '길이 방향'은 일반적으로 손발톱이 자라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며, 손발톱의 '폭 방향'은 이러한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교정 대상 손발톱이 변형을 일으켜 굴절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는 돌기부(200)를 교정대상 손발톱의 내측에 삽입하여 손발톱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놓일 수 있으며, 네일 교정기(2)는 끝단부에 형성된 고리부(20)를 이용하여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의 탄성 블록(100) 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네일 교정기(2)는 탄성 블록(100)을 따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돌기부(200)를 지나 돌기부(200)가 삽입된 교정대상 손발톱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는 탄성 블록(100)의 탄성을 이용하여, 측단부, 바람직하게는 양 측단부가 말려 변형된 교정대상 손발톱을 적절하게 펼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일 교정기(2)는 손쉽게 교정대상 손발톱 위로 이동되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네일 교정기(2)의 장착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고, 우선,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 및, 네일 교정기(2)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탄성 블록(100)은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의 몸체로 기능하며, 전체적으로 방형인 블록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블록(100)은 돌기부(200)가 형성된 일단부가 교정 대상 손발톱을 향하도록 손발톱의 길이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탄성 블록(100)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방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교정 대상 손발톱의 폭이나 전체적인 크기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으며, 폭이나 두께, 길이 역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블록(100)은 전체적으로 방형의 블록 형상이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블록(100)의 두께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5~2.5 mm, 바람직하게는 2mm로 형성되어, 네일교정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탄성 블록(100)은 탄성을 가져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수축되거나 반대로 확장되면서 다시 복원된다. 이를 위해, 탄성 블록(100)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및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블록(100)은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지지플레이트(110)와, 지지플레이트(110) 표면에 적층되어 지지플레이트(110)의 탄성을 강화하는 제1 탄성 수지층(12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및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수지층(120)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록(100)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항복강도 5~20 MPa 이고, 경도는 비커스경도(Vickers hardness) 200~480 HV일 수 있다. 상기 항복강도와 경도 범위에서, 보조기구의 조작이 용이하고, 교정대상 손발톱을 적절하게 펼칠 수 있다.
특히, 평판형으로 형성된 탄성 블록(100)의 경우에는 손발톱의 폭방향으로 수축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굴절될 수 있어 용이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상방은 손가락 또는 발가락 면에서 손발톱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하방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탄성 블록(100)에는 탄성 블록(100)의 일부분이 만입되어 형성된 변형 가이드 홈(130)이 형성된다. 변형 가이드 홈(130)은 돌기부(200)의 사이에서 손발톱의 길이방향으로 만입되어 탄성 블록(100)의 내측을 향하는 것일 수 있으며, 탄성 블록(100)은 변형 가이드 홈(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블록(100)의 좌 우 측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블록(100)은 변형 가이드 홈(13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역시 대칭적으로 즉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이드 홈(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00)의 사이로 개방되고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개방부(130a)와, 탄성 블록(100)의 내측을 향해 점차로 폭이 감소하여 끝단부가 뾰족한 절점(131)을 형성하는 만입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점(131)의 주위는 자유단(自由端: Free end)이 되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절점(131)은 탄성 블록(100)이 수축되거나 다시 확장되기 용이하도록 변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돌기부(200)는 한 쌍으로 탄성 블록(100)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교정대상 손발톱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돌기부(200)는 탄성 블록(100)으로부터 나란히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되,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 굴절된 교정대상 손발톱의 양 측단부에 각각 걸리게 된다. 돌기부(200)는 탄성 블록(100)이 수축되거나 다시 복원됨에 따라 탄력적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다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블록(100)의 측부에 외력을 가하여 수축시킨 상태로 돌기부(200)를 삽입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돌기부(2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각각의 돌기부(2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정대상 손발톱의 양 측단부에 밀착되고, 탄성 블록(100)의 복원력에 의해 양 측단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굴절된 손발톱을 적절히 펼칠 수 있는 것이다.
돌기부(200)는 탄성 블록(100)과 동일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이한 소재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00)는 금속재와 같이 경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정 정도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기부(200)는 탄성 블록(100)의 내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서로를 탄력 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탄성 블록(100)이 지지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경우, 돌기부(200)는 지지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부(200)는 길이 2~5mm, 두께 0.2~1mm일 수 있으며, 소재에 따라 상기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의 경우 두께 0.2mm, 일반 스틸의 경우 1mm일 수 있다.
네일 교정기(2)를 이루는 탄성 바(10)는 교정대상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져 굴절된 후에 다시 탄력적으로 복원된다. 탄성 바(10)는 네일 교정기(2)가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와 결합될 때, 탄성 블록(100)의 상부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 바(10)는 두께가 얇으면서도 탄성이 강한 소재로, 바람직하게는 체온에 따라 그 형상이 변형되는 소재(이를 테면, 형상기억합금(形狀記憶合金) 등)가 아닌, 체온과 관계없이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체온은 인간의 몸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섭씨 25~40도일 수 있으며, 신체 부위에 따라 상이하여 발의 체온은 대략 섭씨 25~30도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바(10)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탄성 수지로 이루어져, 체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바(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지지부재(11)와, 지지부재(11)의 표면에 적층되어 지지부재(11)의 탄성을 강화하는 제2 탄성 수지층(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네일 교정기(2)는 이러한 탄성 바(10)에 의해 예기치 않게 온도가 변화하는 상황에서도 적절한 탄성을 유지하여 손발톱의 교정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11)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및 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탄성 수지층(12)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탄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수지층(12)은 상기 지지부재(11)와 손발톱의 사이에 개재되어 손발톱의 표면에 부드럽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두께는 0.25~0.6mm일 수 있다.
상기 탄성바(10)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항복강도 5~20 MPa 이고, 경도는 비커스경도(Vickers hardness) 200~480 HV일 수 있다. 상기 항복강도와 경도 범위에서, 네일 교정기의 조작이 용이하고, 교정대상 손발톱을 적절하게 펼칠 수 있다.
탄성 바(10)의 길이 및, 두께는 교정대상인 손발톱의 굴절 정도 및 전체적인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탄성 바(10)의 길이는 손발톱의 양 측단부 사이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바(10)의 두께는 0.25~1mm, 바람직하게는 0.7~1mm 사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얇은 두께를 갖는 탄성 바(10)로 인해서, 네일 교정기(2)는 교정대상 손발톱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변형된 손발톱 주변의 환부에 불필요한 압박을 받지 않아, 예를 들면 네일 교정기(2)가 장착된 채로, 양말이나 신발 등을 신는 것과 같은 일상 생활을 무리없이 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변형된 손발톱의 교정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수 있을 만큼 네일 교정기(2)의 장착 기간을 연장시키는 장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고리부(20)는 탄성 바(10)의 양 끝단부로부터 각각 고리형상으로 하방 굴절된다. 따라서, 고리부(20)와 탄성 바(10)와의 사이에는 탄성 블록(100)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1)이 마련된다. 수용홈(21)의 폭은 탄성 블록(100)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서 탄성 블록(100)의 두께보다 크거나 적어도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21)의 폭은 탄성 블록(10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1.5~2.5mm, 바람직하게는 2mm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20)는 탄성 바(10)와 동일 소재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이한 소재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부(200)와 마찬가지로 경도가 높은 소재, 이를 테면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재(11) 끝단부가 확장되어 지지부재(1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20)의 발톱 내측에 접하는 부분의 길이는 1.5~2.5mm, 바람직하게는 2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바람직하게 발톱에 용이하게 장착되면서 동시에 사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네일 교정기(2)는 수용홈(21)에 탄성 블록(100)의 단부가 수용되고, 탄성 바(10)가 탄성 블록(10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탄성 블록(10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네일 교정기(2)는 탄성 블록(100)을 따라 평행이동 되며, 네일 교정기(2)의 탄성 바(10)는 손발톱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고리부(20)는 손발톱의 굴절된 양 측단부에 걸린 상태로 교정대상 손발톱 위에 손쉽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네일 교정기의 장착과정 및, 교정 대상 손발톱에 장착된 네일 교정기의 교정 효과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네일 교정기가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를 이용해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네일 교정기의 교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교정대상이 되는 손발톱(N)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단부가 손발톱(N)의 내측으로 말려 들어 변형되어 전체적으로 둥글게 굴절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발톱(N)의 중앙부는 상방으로 부풀어 올라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표피에 밀착되지 못하고, 반대로 말려 들어간 양 측단부는 하방으로 손발톱(N) 주변의 피부조직을 압박하여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는 이러한 손발톱(N)의 길이 방향으로 손발톱과 나란히 놓이며, 돌기부(200)가 손발톱(N)의 끝단부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삽입된다. 이 때, 탄성 블록(100)의 양 측부에 화살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탄성 블록(100)이 수축되며, 이에 따라 돌기부(200) 사이의 거리가 적절히 감소하여, 돌기부(200)는 손발톱(N)의 내측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손발톱(N)의 너비는 변형된 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외력의 크기를 조절하면, 돌기부(200) 사이의 거리 역시 그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 과정에 있어서, 탄성 블록(100)은 변형 가이드 홈(130)을 사이에 두고 손발톱(N)의 폭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수축되며, 특히, 변형 가이드 홈(130)의 말단에 형성된 절점(131)은 그 주위로 변형을 유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블록(100)이 대칭적으로, 용이하게 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200)가 손발톱(N) 내측에 삽입되고 난 후,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탄성 블록(100)이 탄력적으로 확장되면서, 돌기부(200)는 손발톱(N)의 양 측단부 내측에 각각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는 변형된 손발톱(N)을 적절히 펼칠 수 있게 된다. 이 때, 탄성 블록(100)은 약간 만곡된 형태로 탄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발톱(N) 역시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네일 교정기(2)가 탄성 블록(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네일 교정기(2)는 손발톱(N)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블록(100)의 단부를 통해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블록(100)을 따라 손발톱(N)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평행이동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네일 교정기(2)는 손쉽게 돌기부(200) 위를 지나 펼쳐진 손발톱(N) 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탄성 블록(100)에 결합된 네일 교정기(2)는 탄성 블록(100)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탄성 블록(100)과 마찬가지로 약간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며, 네일 교정기(2)가 손발톱(N)에 장착되고 나면, 돌기부(200)를 손발톱(N)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는 제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네일 교정기(2)는 변형된 손발톱(N)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네일 교정기(2)의 표면에 형성된 제2 탄성 수지층(도 2의 12 참조)은 지지부재(역시 도 2의 11 참조)의 사이에 개재되어 손발톱(N)의 표면과 부드럽게 밀착될 수 있다. 즉, 제2 탄성 수지층(12)은 탄성 바(10)의 탄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네일 교정기(2)와 손발톱(N)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네일 교정기(2)가 통증 없이 부드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네일 교정기(2)가 무리 없이 손발톱(N)에 밀착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이 끝난 네일 교정기(2)는 손발톱(N)의 화살표로 표시된 상방 및 하방으로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여 변형된 손발톱(N)을 정상적인 상태로 펼치게 된다. 이 때, 탄성 바(10)는 손발톱(N)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손발톱(N)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압박하며, 반대로 고리부(20)는 손발톱(N)의 양 측단부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변형에 의해 솟아오른 중앙부는 다시 하방으로, 내측으로 말린 양 측단부는 다시 바깥쪽으로 펼쳐져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네일 교정기(2)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도 1의 1 참조)와 함께 포장될 수 있다. 이 때, 네일 교정기(2)와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를 각각 포장하여 하나의 포장으로 재포장하거나, 일체로 하나의 포장으로 포장할 수 있다.
함께 포장시 네일 교정기(2)는 변형된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손발톱(N)을 적절히 교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길이가 상이한 것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네일 교정기(2) 길이는 16.5mm, 18mm, 19.5mm, 21mm, 22.5mm, 24mm, 또는 28mm 등일 수 있다. 이 때, 세트로 구성된 네일 교정기(2) 각각은 탄성 바(10)의 길이 역시 손발톱(N)의 폭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네일 교정기(2) 세트는 전술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가 포함된 보조기구 세트와 함께 제공되어 네일 교정 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네일 교정 키트에 제공된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와 함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네일 교정기(2)를 이용하면,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변형된 손발톱(N)을 좀 더 적절히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네일 교정기(2)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스테인레스 스틸(SUS304) 소재의 금속판을 두께 0.1~0.6mm, 길이 16~36mm, 폭 10~30mm로 하여 프레스 커팅한 후, 초음파 세척 후 전해 연마 후, 다시 초음파 세척하여 지지부재(도 2의 11)를 준비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지부재(11)를 수지도포를 위한 금형에 넣고,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Grilamid TR90, EMS-DHEMIE(Korea) Ltd., 한국}을 투입하고, 섭씨 270도 조건에서 실린더 압축 방법으로 제2 탄성수지층(도 2의 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노출된 지지부재 양 말단을 프레스로 둥근 U자 형상으로 하여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네일교정기(2)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네일교정기(2)는 이오가스(E.O.Gas) 등으로 멸균포장할 수 있다.
또한, 네일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의 일 구체예에 의하면, 두께 0.2~1mm 두께의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금속판을 프레스 커팅한 후, 초음파 세척 후 전해 연마 후, 다시 초음파 세척하여 돌기부 형성용 지지플레이트(도 2의 110)를 준비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지지플레이트(110)를 수지도포를 위한 금형에 넣고,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Grilamid TR90, EMS-DHEMIE(Korea) Ltd., 한국}을 투입한 후, 섭씨 270도 조건에서 실린더 압축 방법으로 제1 탄성수지층(도 2의 12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20)의 길이는 2~5mm, 두께는 0.2~1mm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네일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1)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네일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2)는 이오가스(E.O.Gas) 등으로 멸균포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2: 네일 교정기
10: 탄성 바 11: 지지부재
12: 제2 탄성 수지층 20: 고리부
21: 수용홈 100: 탄성 블록
110: 지지플레이트 120: 제1 탄성 수지층
130: 변형 가이드 홈 130a: 개방부
130b: 만입부 131: 절점
200: 돌기부
N: 손발톱

Claims (10)

  1. 측단부가 내측으로 말려 변형된 교정 대상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손발톱과 나란히 놓이며, 탄성을 가져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방형의 탄성 블록; 및,
    상기 탄성 블록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손발톱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손발톱의 양 측단부에 각각 걸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돌기부; 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 블록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양 측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착되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손발톱을 폭 방향으로 펼치는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탄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인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탄성을 강화하는 제1 탄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인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블록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발톱의 폭방향으로 수축시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굴절되는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사이의 상기 탄성 블록의 일부가 상기 손발톱의 길이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변형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 블록이 상기 변형 가이드 홈을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이드 홈은, 상기 돌기부의 사이로 개방되고 폭이 일정한 개방부 및, 상기 탄성 블록의 내측을 향해 점차로 폭이 감소하여 끝단부가 뾰족한 절점을 형성하는 만입부를 포함하는 것인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교정대상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온과 무관하게 일정한 탄성을 가져 굴절된 후 탄력적으로 복원되며, 상기 탄성 블록의 상부에 밀착되는 탄성 바; 및,
    상기 탄성 바의 양 끝단부로부터 각각 하방 굴절되어 상기 탄성 바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 블록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한 쌍의 고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손발톱으로 이동 되어 상기 탄성 바는 상기 손발톱의 상부에 밀착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손발톱의 양 측단부에 걸려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는 상기 손발톱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탄성을 강화하는 제2 탄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인 네일 교정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와 함께 포장되는 네일 교정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네일 교정기는 복수개로, 서로 길이가 상이한 네일 교정기.
KR1020120036195A 2012-04-06 2012-04-06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KR10127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95A KR101277044B1 (ko) 2012-04-06 2012-04-06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US13/851,780 US9241823B2 (en) 2012-04-06 2013-03-27 Auxiliary device for mounting nail deformity correction device and nail deformity correction device mounted on a nail by the same
CN201310116092.5A CN103356322B (zh) 2012-04-06 2013-04-03 用于安装指甲变形矫正器的辅助装置及通过该辅助装置安装到指甲上的指甲变形矫正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195A KR101277044B1 (ko) 2012-04-06 2012-04-06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044B1 true KR101277044B1 (ko) 2013-06-20

Family

ID=4886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195A KR101277044B1 (ko) 2012-04-06 2012-04-06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41823B2 (ko)
KR (1) KR101277044B1 (ko)
CN (1) CN10335632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289A (ko)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KR20150137288A (ko)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2635B2 (ja) * 2013-11-04 2016-05-24 丸山 政雄 巻き爪矯正具
JP1518157S (ko) * 2014-05-30 2015-02-23
JP6808935B2 (ja) * 2015-12-25 2021-01-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描画装置及び描画方法
WO2018103849A1 (de) * 2016-12-08 2018-06-14 Neubourg Skin Car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korrektur eines nag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8656A (en) 1976-09-30 1978-01-17 Barbara Ann Barmore Orthopedic toenail device
JP2004321586A (ja) 2003-04-25 2004-11-18 Cogit:Kk 巻き爪矯正用具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376A (en) * 1907-09-19 1908-04-14 Charles J Foster Device for curing ingrowing toe-nails.
US1213673A (en) * 1916-02-16 1917-01-23 Theodore L Marvel Toe-nail protector.
US1451311A (en) * 1920-09-20 1923-04-10 Smith Guy Wm Ingrown-toenail appliance
US1420085A (en) * 1921-08-05 1922-06-20 Figielek Anthony Toenail-growing guide
US1596532A (en) * 1925-05-25 1926-08-17 Haener Frank Ingrowing-toenail appliance
US1708716A (en) * 1928-02-18 1929-04-09 Everett V Andersen Device for curing ingrown toenails
US2024412A (en) * 1935-03-18 1935-12-17 David E Wilson Holder for correcting ingrowing toenails
US2202926A (en) * 1938-02-25 1940-06-04 Schmidthofer Ernest Device for curing ingrowing toenails
US2342530A (en) * 1942-05-15 1944-02-22 Erwin F Coates Protective nail device
US2405547A (en) * 1945-04-26 1946-08-13 Harold C Armagost Ingrown nail correcting device
US2505086A (en) * 1946-02-11 1950-04-25 Ralph P Andrews Means for correcting and curing ingrowing toenails
US2499851A (en) * 1947-02-06 1950-03-07 Fredrik N Cronholm Apparatus for curing ingrowing nails and infections caused by said ingrowing nails
US2542324A (en) * 1949-04-15 1951-02-20 Scott W Gibbons Device for relieving and correcting ingrown toenails
US2567601A (en) * 1950-07-05 1951-09-11 Cassius D Heinold Nail corrector
US2613667A (en) * 1951-08-08 1952-10-14 Russell M Stanley Toenail correcting device
US2632441A (en) * 1952-04-15 1953-03-24 John M Tuve Means for correcting ingrown toenails
CA1100375A (en) 1977-07-05 1981-05-05 Anthony Klisowsky Ingrown toe nail clamp
US5261872A (en) * 1992-05-01 1993-11-16 Goldenberg Zana S Ingrown toenail correction appliance
JP2648735B2 (ja) * 1995-02-08 1997-09-03 英一 町田 陥入爪矯正具
JPH11348A (ja) 1997-06-09 1999-01-06 Minoru Tandai 形状記憶合金による義爪を固着してなる爪の矯正法
JP2003010218A (ja) 2001-06-27 2003-01-14 Isao Maruoka 陥入爪矯正具
KR20050072348A (ko) 2004-01-06 2005-07-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웨이퍼의 에지 다이 노광시 레벨링에 의한 디포커스 감소방법
CN1695571A (zh) 2004-05-11 2005-11-16 杨铁英 一种趾甲内嵌生长的矫正治疗方法
JP2006234553A (ja) 2005-02-24 2006-09-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WO2007094125A1 (ja) * 2006-02-14 2007-08-23 Tohoku University 変形爪矯正具
KR100756079B1 (ko) * 2006-09-28 2007-09-11 김재영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DE102007056614A1 (de) * 2007-11-23 2009-05-28 Bernd Stolz Vorrichtung zur Vornahme von Nagelkorrekturen
US8435200B2 (en) * 2008-12-22 2013-05-07 Masanori Yoshikawa Ingrown nail correcting device
WO2011064889A1 (ja) 2009-11-30 2011-06-03 株式会社リフレプロジャパン 爪の矯正具
WO2011129435A1 (ja) * 2010-04-16 2011-10-20 株式会社古河テクノマテリアル 陥入爪矯正具、陥入爪矯正具の製造方法、および陥入爪矯正具の耐久性と矯正力の向上方法
US9498284B2 (en) * 2011-05-31 2016-11-22 Emblation Limited Treating and preventing nail disor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8656A (en) 1976-09-30 1978-01-17 Barbara Ann Barmore Orthopedic toenail device
JP2004321586A (ja) 2003-04-25 2004-11-18 Cogit:Kk 巻き爪矯正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289A (ko)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KR20150137288A (ko)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 엠아이서지칼 발톱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1823B2 (en) 2016-01-26
US20130267879A1 (en) 2013-10-10
CN103356322B (zh) 2015-01-14
CN103356322A (zh)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044B1 (ko)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CA2677079C (en) The corrective device for ingrown toenail and incurvated toenail
JP2648735B2 (ja) 陥入爪矯正具
KR101361813B1 (ko) 네일 교정기
JP5009434B1 (ja) 爪矯正具および爪矯正治療セット
JPWO2008142880A1 (ja) 陥入爪の矯正装置
JP5922635B2 (ja) 巻き爪矯正具
KR20110118701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KR102188040B1 (ko) 발톱 교정기
KR101565692B1 (ko) 내향성발톱 교정기
US202002222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endage support
DK176217B1 (da) Tvinge til at korrigere det ydre öre
JP4109154B2 (ja) 陥入爪治療具
KR20170125200A (ko) 형상기억합금 탄성체를 이용한 손발톱 교정기
JP3519858B2 (ja) 陥入爪矯正具
JP5767296B2 (ja) 爪変形防止具
KR102290313B1 (ko) 발톱 교정기
KR20160120012A (ko) 네일 교정기
KR101532367B1 (ko) 열수축 튜브를 이용한 발톱 교정기
JP2010172687A (ja) 陥入爪矯正具
JP4687926B2 (ja) 巻き爪矯正具
KR102596246B1 (ko) 손발톱 교정밴드
KR20180079853A (ko) 내성발톱 교정장치
KR20180005085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내향성 발톱 개선용 패드
KR20160019683A (ko) 네일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