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890B1 -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890B1
KR102613890B1 KR1020210053922A KR20210053922A KR102613890B1 KR 102613890 B1 KR102613890 B1 KR 102613890B1 KR 1020210053922 A KR1020210053922 A KR 1020210053922A KR 20210053922 A KR20210053922 A KR 20210053922A KR 102613890 B1 KR102613890 B1 KR 102613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rown nail
correction
ingrown
nail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957A (ko
Inventor
김영호
방철환
이지현
진송완
우재홍
강혁
신준화
김선홍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8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9Nail evaluation, e.g. for nail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61F13/1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for the finger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53Wound bandages for red nails, in-grown nails or felons (inflamed digits )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향성손발톱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를 포함하고, 교정부는 상온이 되면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내향성손발톱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Ingrown nail correction device and correction system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flexible plastic}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향성손발톱에 부착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교정부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내향성손발톱을 교정하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8년 보고된 국내 자료에 의하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전체 발생률이 인구 10만명당 307.5명자들이며, 점점 해가 거듭할수록 내향성손발톱을 가진 환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내향성손발톱은 주로 엄지발톱에 발생하며, 이는 손발톱이 측면의 손발톱주름으로 과도하게 자라 이물로 작용하여 통증 및 염증을 일으키며, 과다한 육아조직증식을 일으키기도 한다.
종래의 내향성손발톱의 치료 방법은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이 있다.
수술적인 방법으론 파고드는 손발톱을 부분제거하는 방법과 화학적 기질제거술 또는 전기지짐술과 같은 기질제거술도 있다.
한편,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파고드는 내향성손발톱 밑으로 솜 또는 거즈를 넣거나, 내향성손발톱의 측면에 손발톱주름을 테이프를 당겨주는 방법, 파고드는 손발톱 밑으로 작은 관을 넣어주는 거터술이 있다.
상기한 비수술적인 방법 중 하나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2188040호에서는 내향성손발톱교정기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양측 교정부재를 발톱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시켜 고정된 교정부재가 상호 인장력이 발휘되도록 결속 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균일한 인장력을 제공하는 발톱교정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2188040호는 내향성손발톱의 증상 중 일부를 완화시켜주나, 교정기의 고리부를 손발톱의 양측단부에 걸어 내향성손발톱을 교정시키기 때문에 시술자의 손발톱이 부스러지거나 걸리지 않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비수술적인 방법 중 다른 하나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361813호 에서는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내향성손발톱 네일 교정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네일교정기의 일단부인 고리부는 탄성편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고리부는 손발톱의 양측단부 중 변형된 변형부위를 탄력적으로 펼쳐 교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문헌들은 시술 시 손발톱내부로 금속부분이 들어가면서 출혈이나 통증, 감염 및 이물감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여 이로 인한 불편함과 근본적인 치료가 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1880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61813호
삭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플라스틱으로 된 부착부와 형상기억합금의 소재인 교정부를 결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를 통하여 형상기억합금의 복원력과 편리한 부착방법으로 휘어진 손발톱을 복원시키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착부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응하도록 밀착됨으로써 시술 또는 마취에 따라 동반되는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고, 이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시키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에 갖춰진 각도측정부에서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를 측정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 개개인에게 맞춤형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를 제작하여 내향성손발톱에 적용시킴에 따라 서로 다른 내향성손발톱에 맞춤형으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향성손발톱에 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와 결합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응하는 초기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 및 상기 부착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교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온이 되면, 상기 초기형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의 양측부가 상방으로 펴지면서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내향성손발톱을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향성손발톱에 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응하는 초기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 및 상기 부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교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온이 되면, 상기 초기형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의 양측부가 상방으로 펴지면서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내향성손발톱을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양측부는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부착부의 중앙부는 상기 내향성손발톱과 밀착되며, 상기 부착부의 폭은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상기 부착부의 폭은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2개이고, 상기 2개의 교정부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교정부는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는, 서로 평행하면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의 일단은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일측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2개이고, 상기 2개의 교정부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교정부는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가 상기 상온에 도달하면 상기 교정부의 양측이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양측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됨에 따라 상기 내향성손발톱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내향성손발톱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촬영부; 상기 이미지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각도를 측정한 각도정보를 생성하는 각도측정부; 상기 각도측정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측정된 각도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각도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측정된 각도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각도정보를 비교하는 정보처리부;를 제공할 수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촬영부는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도록 촬영하여 생성한 상기 이미지정보를 상기 각도측정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정보는,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는 방향과 수직한 제1 접선(L1)과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일측단을 지나고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는 방향과 수직하면서 상기 제1 접선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제2 접선(L2)이 이루는 제1 둔각(α); 및상기 제1 접선(L1)과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타측단을 지나고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는 방향과 수직하면서 상기 제1 접선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제3 접선(L3)이 이루는 제2 둔각(β);을 포함하고,
상기 제1둔각(α) 및 제2둔각(β)는 각각 100°일 경우,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측정된 각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둔각(α) 및 제2둔각(β)는 각각 140°일 경우,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측정된 각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각도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각도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3D 프린터로 전송하고, 상기 3D 프린터는 상기 내향성손발톱과 상응하는 교정부를 3D 프린팅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플렉서블 플라스틱으로 된 부착부와 형상기억합금의 소재인 교정부를 결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를 통하여 형상기억합금의 복원력과 편리한 부착방법으로 휘어진 손발톱을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효과는, 부착부가 연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응하도록 밀착됨으로써 시술 또는 마취에 따라 동반되는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고, 이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효과는,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에 갖춰진 각도측정부에서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를 측정한 정보를 기반으로 3D 프린터에서 부착부를 제조하여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적용시킴에 따라 환자별로 각각 다른 내향성손발톱에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를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가 내향성손발톱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사진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의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에 구비된 각도측정부에서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를 수치화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제1 실시예: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
이하, 도1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 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를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는 부착부(110), 교정부(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삭제
도 1을 참조하면, 부착부(110)는 내향성손발톱에 밀착된다.
부착부(110)는 서로 각각 다른 내향성손발톱에 부착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간편한 밴드형식으로 용이하게 내향성손발톱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휴대가 간편한 점이 있다는 것이다.
상기한 부착부(110)는 연성의 특성을 가진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적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부(110)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민(ABS), 폴리우레탄 탄성체(TPU) 및 폴리프로피렌(PP)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착부(110)는 연성의 특징 및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부착부(110)는 3D 프린터(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나 내성향손발톱의 모양에 맞도록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부(110)는 시술에 따른 내향성손발톱의 감염, 통증 또는 내향성손발톱의 부러짐 등에 대한 부작용을 해소 할 수 있다.
부착부(110)의 양측부는 내향성손발톱의 양끝단에 위치하며, 부착부(110)의 양측부는 내향성손발톱의 양끝단보다 노출되지 않게 제작하도록 한다.
또한, 부착부(110)의 중앙부와 양측부는 내향성손발톱과 밀착한다. 부착부(110)의 폭은 내향성손발톱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부착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부착부(110)를 부착시켜 시술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이 자라게 됨에 따라 최초 내향성손발톱에 부착시킨 부착부(110)가 자라난 내향성손발톱을 따라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최초 내향성손발톱에 부착된 부착부(110)의 후방에 새로운 부착부(110)를 부착시켜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성장에 맞춰 지속적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교정부(120)는 부착부(11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교정부(120)는 상온이 되면 초기형상에서 상방으로 펴지면서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된다. 기설정된 형상은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이한 직선의 형상이거나,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에 따라 완만한 형태의 호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교정부(120)는 Ni-Ti(니켈-티타늄)계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형상기억합금은 40% 내지 55%의 니켈 및 45% 내지 60%의 티타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교정부(120)의 소재는 Ni-Ti(니켈-티타늄)계 형상기억합금으로만 한정하지 않으며, 스테인리스 또는 그 외의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교정부(120)는 치과교정용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정부(120)는 다양한 와이어 두께 및 다양한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치과교정용와이어는 와이어단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의 종류로 나뉘고, 0.1mm 내지 0.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교정부(120)는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상태 및 휘어진 정도에 따라 교정부(120)의 두께 및 개수를 다르게 적용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내향성손발톱의 형상에 맞춰 부착된다.
또한, 교정부(120)는 인체 내부에서 녹슬지 않는 재질 및 생물학적으로 친화성이 높은 재질로 됨에 따라 시술 시 교정부(120)의 재질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도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의 평면도이다.
도3의 (a) 내지 (f) 를 참조하면, 교정부(120)는 추가적으로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부착부(110)의 상면에서 교정부(120)의 개수, 위치, 방향 등을 다르게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교정부(120)를 증감하여 교정의 강도를 조절 할 수 있어 개개인에 맞는 맞춤별 시술이 가능하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2개의 교정부(12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2개의 교정부(120)는 서로 평행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3개의 교정부(12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3개의 교정부(120)는 서로 평행하다.
도 3의 (a), (b)의 2개 내지 3개의 교정부(120)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a) 및 (b)는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이 전체적으로 심하게 휘어졌을 경우 부착 할 수 있다.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된 교정부(120)는 상기한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균등한 강도를 적용하여 교정할 수 있다.
또한, 2개 내지 3개의 교정부(120)는 두께의 차를 주어 교정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내향성손발톱중 휘어진정도가 심한 부분에는 두께가 굵은 교정부(120)를 배치하고, 휘어진 정도가 약한 부분은 얇은 교정부(120)를 적용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맞춤별시술이 가능하며, 맞춤별시술로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성장에 맞춰 지속적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2개의 교정부(12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교정부는 서로 교차된다.
상기한 2개의 교정부(120)는 X자 형으로 서로 교차되어 부착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10)의 양끝단의 꼭지점에 배열되어 내향성손발톱을 교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교차된 2개의 교정부(120)는 내향성손발톱의 양끝단에 집중적으로 강도의 세기를 주어 집중적으로 내향성손발톱의 양끝단을 교정할 수 있다.
도 3의 (d) 내지 (f)를 참조하면, 상기 교정부(120)는 3개이고, 서로 평행하면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3개의 교정부(120)의 일단은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일측단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한 3개의 교정부(120) 중 부착부(110)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2개의 교정부(120)는 부착부(110)의 중앙에 위치한 1개의 교정부(120)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교정부(120)의 길이의 차이에 따라 내향성손발톱의 양측단 중 심하게 휘어진 내향성손발톱의 일측단을 교정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단 중 일측단이 심하게 휘어진 경우 도 3의 (d) 또는 (e)처럼 교정부(120)의 길이의 차이를 준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를 내향성손발톱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3의 (f) 길이 차가 있는 3개의 교정부(120)로서 불규칙한 굴곡을 가진 내향성손발톱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각 다른 두께를 적용하여 길이와 두께의 차에 따라 내향성손발톱에는 각자 다른 강도로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맞춤별 시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접착제(미도시)는 부착부(110)에 도포되어, 부착부(110)를 내향성손발톱의 표면에 접착 시킨다.
예시적으로 접착제(미도시)는 피부조직을 봉합하는 의료용 더마본드일 수 있으며, 부착부(110)를 내향성손발톱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접착제(미도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피브린글루, 젤라틴 글루 및 폴리우레탄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착부(110)를 내향성손발톱에 접착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접착제(미도시)는 상온, 상압에서 부착부(110)와 교정부(120)를 빠르게 접착 시킬 수 있으며, 멸균성 및 무독성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고정부(130)는 부착부(110)와 교정부(120)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고정부(130)는 연성재질을 가진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착부(110)와 유사한 소재 또는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민(AB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체(TPU) 및 폴리프로피렌(P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미도시)의 소재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고정부(130)는 부착부(110)와 교정부(120)가 부착된 상태를 고정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연성재질의 소재이면 어떠한 소재라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30)의 소재는 더 다양한 소재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가 내향성손발톱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사진이다.
부착부(110)는 내향성발톱에(30)표면에 부착된다.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교정부(120)는 부착부(110)의 상면에 결합한다.
교정부(120)는 상온이 되면, 교정부(120)의 양측부가 상방으로 퍼지면서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된다. 기설정된 형상은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이한 직선의 형상이거나,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에 따라 완만한 형태의 호형상 일 수 있다.
예시 사진처럼 제 1실시예의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는 부착부(110), 교정부(120), 고정부(130)가 차례대로 적층되어 내향성손발톱에 부착된다.
2. 제2 실시예: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200)
이하, 도5내지 도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200)를 설명하되,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내지 도6에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부착부(210)는 내향성손발톱에 밀착되고 연성의 재질을 가진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쉽게 탈 부착이 가능한 밴드형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3D 프린터(10)를 이용하여 제조 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210)의 양측부는 내향성손발톱 양끝단에 위치하며, 부착부(210)의 중앙부와 양측부는 내향성손발톱과 밀착한다. 이에 따른 부착부(210)의 폭은 내향성손발톱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200)는 부착부(210), 교정부(220) 및 고정부(230)을 포함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부착부(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220)가 부착통로(2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부착통로(211)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고 있으며, 한 통로에 다수개의 교정부(220)가 삽입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220)는 부착부(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끝단을 향해 삽입 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220)는 추가적으로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부착부(210)내부로 삽입하여 부착통로(211)로 관통하는 교정부(120)의 개수를 다르게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삽입된 교정부(220)를 가감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교정부(220)를 더 추가하여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내향성손발톱을 교정 시킬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 내지 (c)는 제2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2개의 교정부(22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서로 평행한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3개의 교정부(22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3개의 교정부(220)는 서로 평행한다.
도 7의 (a), (b)의 2개 내지 3개의 교정부(220)는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한 2개 내지 3개의 교정부(220)는 부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도7의 (a), (b)의 교정부(220)는 동일한 길이 및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어 각각 휘어진 정도가 다른 내향성손발톱에 균등한 강도를 적용하여, 내향성손발톱이 균등하게 교정 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교정부(220)를 부착부(210)에 더 추가하여 부착부(210)를 탈착하지 않고 지속적인 시술이 가능하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2개의 교정부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2개의 교정부(220)는 서로 교차된다.
이러한 2개의 교정부(220)는 부착부(210)의 각각의 양끝단의 꼭지점에 삽입되어 교차될 수 있다.
상기한 교정부(220)는 내향성손발톱의 굴곡에 따라 교정부(220)의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부착부(2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향성손발톱의 양측단이 심하게 휘어진 경우 도 7의 (c)처럼 2개의 교정부(220)가 교차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를 내향성손발톱에 부착할 수 있다.
교차된 교정부(220)는 양측단에 집중적으로 강도를 적용 시킬 수 있어, 특히 양끝단에 심하게 휘어진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시술을 할 수 있다.
고정부(230)는 부착부(210)의 내부로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220)를 부착부(210)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형상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된 마개 또는 캡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2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도구이면 무방하다.
또한 고정부(230)는 부착부(210)의 양측면에 부착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교정부(220)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고 내부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30)는 교정부(22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해준다. 예를 들어, 장기간 부착 시 교정부는(220)는 부착통로(211)의 외부로 빠질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된 교정부(220)에 의해 손발톱 주위에 상처가 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30)는 고정시키는 역할 및 손발톱 주위의 살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한 제 2실시예의 부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에 따라 교정부(220)를 부착부(210)에 삽입한다. 또는 3D프린터(30)를 통해 부착통로(211)가 형성된 부착부(210)를 내향성손발톱에 부착 할 수도 있다.
3D 프린터를 통해 제작된 부착부(210)는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강도에 따라 부착통로(211)의 개수를 증감시켜 교정부(220)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200)는 개개인별로 맞춤별 시술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3.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400)
이하, 도 8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30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의 순서도이며, 도 8을 참조하면,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400)은 3D프린터,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 200) 및 내향성손발톱 교정지원장치(300)를 포함한다.
내향성손발톱 교정지원장치(300)은 이미지촬영부(310), 각도측정부(320), 데이터베이스(330) 및 정보처리부(3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촬영부(310)는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도록 촬영하여 내향성손발톱의 이미지정보를 생성한다..
이미지촬영부(310)는 촬영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카메라, 스마트 폰 또는 생체인식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촬영 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촬영부(310)는 내향성손발톱을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여 각도측정부(320)로 전송한다.
각도측정부(320)는 이미지촬영부(21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내향성손발톱의 각도를 측정한 각도정보를 생성한다.
각도측정부(320)에서 측정된 각도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330)로 전송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400)에 구비된 각도측정부에서 내향성손발톱의 휘어진 정도를 수치화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8의 각도측정부(32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9의 각도측정부(320)는 제1접선(L1), 제2접선(L2), 제3접선(L3), 제1둔각(α), 제2둔각(β)을 포함한다.
제1접선(L1)은 내향성손발톱의 중심을 지나고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는 방향과 수직한 접선이다. 또한, 제1접선(L1)은 각도정보를 측정할 때 가장 중심이 되는 접선이다.
제 2접선(L2)은 내향성손발톱의 일측 끝단에서의 접선이며, 제1접선(L1) 과 한점에서 만난다. 또한, 제2접선(L2)은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는 방향과 수직하며, 제1 접선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제3 접선(L3)은 내향성손발톱의 타측 끝단에서의 접선이며, 제1접선(L1)과 한점에서 만난다.
또한, 제3접선(L3)은 내향성손발톱의 끝단을 바라보는 방향과 수직하며 제1접선(L1)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제1둔각(α)은 제1접선(L1)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제2접선(L2)이 이루는 각이다.
또한, 제 2둔각(β)은 제1접선(L1)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제 3접선(L3)이 이루는 각이다.
상기한 제1둔각(α) 및 제2둔각(β)은 기설정된 각도정보와 비교하여 맞춤형으로 커스터마이징이 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를 환자들에게 시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각도정보는 손발톱의 각도가 정상일 경우 및 손발톱의 각도가 비정상일 경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손발톱이 정상일 경우 각도의 범위는 130° 초과 150° 이하이고, 손발톱이 비정상일 경우 각도의 범위는 95° 초과 내지 130°이하이다.
이에 따라 각도측정부(320)에서 측정된 제1둔각(α) 및 제 2둔각 (β)의 각도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33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부(330)는 상기 각도측정부(32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측정된 각도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각도정보를 저장한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330)에서는 측정된 각도정보를 통하여 치료 전과 치료 후의 내향성손발톱의 차이를 비교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330)는 각도측정부(320)에서 측정된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대한 각도정보를 최초로 저장한 이후, 수 개월이 지난 후 각도측정부(320)에서 측정된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대한 각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부(330)는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대하여 측정된 각도정보를 복수 개로 저장하여 정보처리부(34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처리부(340)는 데이터베이스부(33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측정된 각도정보와 상기 기설정된 각도정보를 비교한다.
예시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측정부(320)가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을 측정한 제1둔각(α) 및 제2둔각(β)이 각각 100°일 경우, 정보처리부(340)는 측정된 각도정보가 기설정된 각도정보의 범위 내에 해당하므로 측정된 각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시술자가 환자에게 맞는 교정부(120, 220)를 적용하여 맞춤별 시술을 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각도측정부(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측정부(320)가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을 측정한 제1둔각(α) 및 제2둔각(β)이 각각 140°일 경우 정보처리부(340)는 측정된 각도정보가 기설정된 각도정보의 범위 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측정된 각도정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시술자에게 환자의 손발톱이 내향성이 아님을 알린다.
나아가, 정보처리부(340)는 데이터베이스부(330)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최초 각도정보와 수 개월이 지난 후 환자의 내향성손발톱에 대한 추후 각도정보를 비교하여 내향성손발톱에 대한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차이를 통한 환자의 치료 경과나 추후 시술 방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따라 환자들은 정보처리부(340)의 각도정보를 바탕으로 도 1내지 도3에서의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100) 또는 도5내지 도7에서의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200)를 선택하여 맞춤별 시술이 가능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3D 프린터
20: 발
30: 내향성발톱
100, 200: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110, 210: 부착부
211: 부착통로
120, 220: 교정부
130, 230: 고정부
300: 내향성손발톱 교정지원장치
310: 이미지촬영부
320: 각도측정부
330: 데이터베이스부
340: 정보처리부
400: 내향성손발톱 교정시스템
L1: 제1접선, L2: 제2접선, L3: 제3접선
α: 제1 둔각, β: 제2둔각

Claims (10)

  1. 95° 초과 130° 이하의 각도로 휘어진 내향성손발톱에 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결합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응하는 초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교차되는 2개의 교정부; 및
    상기 2개의 교정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부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온이 되면, 상기 초기형상에서 상기 2개의 교정부의 양측부가 상방으로 펴지면서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교정부는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중심에 접하는 접선인 제1 접선(L1)과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일측 끝단에서의 접선인 제2 접선(L2)이 이루는 각도인 제1 둔각(α) 및 상기 제1 접선(L1)과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타측 끝단에서의 접선인 제3 접선(L3)이 이루는 각도인 제2 둔각(β)이 130° 초과 1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내향성손발톱을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2. 내향성손발톱에 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통로;
    상기 부착통로의 내부로 삽입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표면 곡률과 상응하는 초기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교차되는 2개의 교정부; 및
    상기 부착통로의 양끝단에 상기 교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온이 되면, 상기 초기형상에서 상기 2개의 교정부의 양측부가 상방으로 펴지면서 기설정된 형상으로 복원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교정부는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중심에 접하는 접선인 제1 접선(L1)과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일측 끝단에서의 접선인 제2 접선(L2)이 이루는 각도인 제1 둔각(α) 및 상기 제1 접선(L1)과 상기 내향성손발톱의 타측 끝단에서의 접선인 제3 접선(L3)이 이루는 각도인 제2 둔각(β)이 130° 초과 150°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내향성손발톱을 교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부착부를 내향성손발톱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53922A 2021-04-26 2021-04-26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KR102613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22A KR102613890B1 (ko) 2021-04-26 2021-04-26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22A KR102613890B1 (ko) 2021-04-26 2021-04-26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57A KR20220146957A (ko) 2022-11-02
KR102613890B1 true KR102613890B1 (ko) 2023-12-15

Family

ID=8408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22A KR102613890B1 (ko) 2021-04-26 2021-04-26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8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13B1 (ko) 2013-06-12 2014-02-11 (주)지디코리아 네일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4998B2 (ja) * 1996-03-21 2003-12-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陥入爪矯正具
JP3519858B2 (ja) * 1996-03-21 2004-04-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陥入爪矯正具
KR102188040B1 (ko) 2014-05-29 2020-12-07 주식회사 지씨에스 발톱 교정기
KR101640500B1 (ko) * 2014-09-04 2016-07-18 (주)지디코리아 네일교정기 및 네일교정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813B1 (ko) 2013-06-12 2014-02-11 (주)지디코리아 네일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57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493B2 (ja) 陥入爪及び巻き爪の矯正器具
US5850837A (en) Device for correcting an ingrown nail
AU698093B2 (en) A device to stabilise the lamina
EP1171050B1 (en) Semi-rigid compressive clamp for use in sternotomy, and forceps for its application
US5713839A (en) Pre-operative nasal splint for endoscopic sinus surgery
US9895252B2 (en) Septal implant
KR20110118701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용구
NO317214B1 (no) Anordning for posisjonering pa epidermis.
JPS581442A (ja) 脊柱側彎の接合用の自動調節フツク
US20100042139A1 (en) Device for reshaping bones
ES2354357T3 (es) Implante para la extensión de los lóbulos nasales.
JP3474998B2 (ja) 陥入爪矯正具
JP2545244B2 (ja) 型保持部材を有するかつら
KR101277044B1 (ko) 네일 교정기 장착용 보조기구 및, 그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네일 교정기
KR102613890B1 (ko) 형상기억합금과 플렉서블 플라스틱을 이용한 내향성손발톱 교정장치 및 교정시스템
CN109789031A (zh) 用于睡眠呼吸暂停、打鼾和舌及口腔重塑的牙科器具
US5827212A (en) Splinting device for auricular hematoma
JP3519858B2 (ja) 陥入爪矯正具
WO2004026201A1 (en) Auricular hematoma clamp
KR102304879B1 (ko) 발성 장애 치료 기구
JP5695038B2 (ja) 結合装置
JP2009523045A (ja) プレートおよび椎弓根スクリューを備え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適用
KR200435748Y1 (ko) 족부 족지 함입조 및 내향성 족지 발톱의 교정기구
JP4687926B2 (ja) 巻き爪矯正具
US10548581B2 (en) Surgical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