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37Y1 - 복합식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식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37Y1
KR200435537Y1 KR2020060026805U KR20060026805U KR200435537Y1 KR 200435537 Y1 KR200435537 Y1 KR 200435537Y1 KR 2020060026805 U KR2020060026805 U KR 2020060026805U KR 20060026805 U KR20060026805 U KR 20060026805U KR 200435537 Y1 KR200435537 Y1 KR 200435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water
gas
fir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규
조현영
정성현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 엔케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케이텍 filed Critical (주) 엔케이텍
Priority to KR2020060026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불활성가스와 소화수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식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배출통로상에 혼합노즐을 설치하여 불활성가스의 분사시 소화수가 노즐의 내부로 자동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불활성가스와 소화수가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보다 훨씬 이전에 선혼합되도록 함으로서, 불활성가스와 소화수가 소화용 분사노즐을 통하여 워터미스트(Water mist: 물안개)식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동시작용에 의한 신속한 화재진압을 이루어내어 화재의 진압성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며, 불활성가스 및 소화수의 공급을 위한 배관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하여 소화장치의 설비 및 사용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복합식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재감지센서(11)와 소화용 분사노즐(12)이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용 분사노즐(12)은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17)을 거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를 분사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는 화재감지센서(1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박스(13)와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17)이 혼합노즐(18)에서 연결되어, 가스탱크(14)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의 분사에 따라 물탱크(15)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18)로 자동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노즐(18)로부터 연장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배출관(19)이 소화용 분사노즐(12)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혼합배출관(19)에는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와 함께 컨트롤박스(13)와 접속되는 개폐밸브(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박스(13)에 의한 토출밸브(14a) 및 개폐밸브(20)의 개방작동은 기동용기(22)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식 소화장치, 분무식 소화장치, 불활성가스, 소화수

Description

복합식 소화장치{Combined type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복합식 소화장치를 나타내는 배관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를 나타내는 배관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에 사용되는 혼합노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화장치 11 : 화재감지센서 12 : 분사노즐
13 : 컨트롤박스 14 : 가스탱크 14a : 토출밸브
15 : 물탱크 16 : 가스배출관 17 : 배수관
18 : 혼합노즐 19 : 혼합배출관 20 : 개폐밸브
21 : 안전밸브 22 : 기동용기 23 : 케이블
181 : 노즐부 182 : 부압실 183 : 혼합튜브
184 : 디퓨져 S : 전자사이렌 L : 방출표시등
본 고안은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불활성가스와 소화수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식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배출통로상에 혼합노즐을 설치하여 불활성가스의 분사시 소화수가 노즐의 내부로 자동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불활성가스와 소화수가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보다 훨씬 이전에 선혼합되도록 함으로서, 불활성가스와 소화수가 소화용 분사노즐을 통하여 워터미스트(Water mist: 물안개)식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동시작용에 의한 신속한 화재진압을 이루어내어 화재의 진압성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며, 불활성가스 및 소화수의 공급을 위한 배관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하여 소화장치의 설비 및 사용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복합식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연속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점화원과 산소 및 가연물과 연쇄반응이 존재하여야 하는 바, 산소의 공급을 차단시키거나 연소의 연쇄반응을 차단시키는 것과 같이 가연물이나 산소공급원 또는 연쇄반응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제거할 수 있다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각종 건물이나 공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화재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소화장치가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소화장치로는 불활성가스를 이용하여 연소범위내에 있는 산소의 농도를 약 15% 이하로 유지시키는 가스계 소화장치나, 연소범위내에 소화수를 직접 분사시킴으로서 방호대상물이 소화수의 증발열에 의하여 냉각되도록 함과 동시에, 소화수가 증발되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하여 방호대상물 주변의 질식효과를 함께 유도하는 수계 소화장치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소화장치 중에서 가스계 소화장치는 불활성가스의 확산속도가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방호구역의 모양이나 각종 장애물에 거의 구애를 받지 않고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창문이나 환기구과 같이 개구부가 있는 방호구역에서는 화재진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고, 할론(Halon)에 비하여 소화성능이 떨어지는 대체소화약제를 이용하여 소화장치를 구성할 경우 가스저장탱크의 부피가 매우 크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계 소화장치의 경우는 방호대상물에 소화수를 직접 분사시켜 냉각 및 질식소화를 병행토록 함으로서 보다 안전한 화재진압이 가능하지만, 방호구역내의 소화수 분사경로상에 각종 장애물이 있을 경우 원활한 화재진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방호대상물이 소화수에 의하여 젖게 되므로 화재의 진압 후 대부분의 방호대상물과 시설을 새로 교체하여야 하며, 특히, 화재의 진압 후 소화수에 젖은 전자제품이나 전자기기는 대부분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가스계 소화장치와 수계 소화장치가 가지는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해당 장치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을 통하여 질소가스와 증류수를 동시에 분사시킴으로서, 화재발생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증류수가 안개와 같이 분무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증류수에 의한 방호대상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하면서도 질소가스에 의한 소화효과를 동시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 질소가스를 이용한 증류수 미분무 소화장치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3-93852호(2003년 12월 11일 공개)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분무 소화장치(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재감지센서(2)와 분사노즐(3)이 실내의 천정(C)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재감지센서(2)는 케이블(9)에 의하여 컨트롤박스(4)와 접속되고, 상기 분사노즐(3)은 배출관(6)(8)에 의하여 질소탱크(5) 및 증류수 탱크(7)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질소탱크 중 하나의 질소탱크(5')는 배출관(6')에 의하여 증류수 탱크(7)와 연결 설치되고, 질소탱크(5)와 분사노즐(3)을 연결하는 배출관(6) 및 질소탱크(5')와 증류수 탱크(7)를 연결하는 배출관(6')에는 컨트롤박스(4)와 케이블(9)로 접속되는 개폐밸브(6a)와 감압밸브(6b)가 각각 설치되며, 증류수 탱크(7)와 분사노즐(3)을 연결하는 배출관(8)에는 여과기(8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센서(2)로부터 화재신호가 컨트롤박스(4)에 입력됨과 동시에 컨트롤박스(4)가 개폐밸브(6a) 및 감압밸브(6b)를 개방시키게 됨으로서, 질소탱크(5)로부터 배출관(6)을 통하여 질소가스가 분사노즐(3)측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다른 질소탱크(5')로부터 배출관(6')을 거쳐 증류수 탱크(7)의 내부로 질소가스가 유입됨으로서 증류수 탱크(7)에 저장된 증류수 또한 가스의 유입압력에 의하여 배출관(8)을 거쳐 분사노즐(3)로 공급되며, 이로 인하여 증류수가 질소가스와 함께 분사노즐(3)을 통하여 미분무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분무 소화장치(1)는 질소가스의 배출관(6)과 증류수의 배출관(8)이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3)에서 연결됨에 따라 질 소가스와 증류수의 혼합시점이 소화용 분사노즐(3) 자체가 됨으로서, 질소가스에 의한 증류수의 미분무 기능이 다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는 증류수가 분사노즐(3)을 통하여 분사되기 이전에 질소가스에 의하여 복잡하게 교란되는 시간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질소가스에 의한 증류수의 교란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지기 전에 분사노즐(3)을 통한 증류수의 분사가 시작되므로, 실질적으로는 분사노즐(3)을 통하여 증류수가 미분무식으로 분사되지 못하고 질소가스와 증류수가 따로 분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증류수에 의한 방호대상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킨다는 측면과, 질소가스에 의한 소화효과를 동시에 적용시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질소탱크 중 하나의 질소탱크(5')를 증류수의 배출을 위한 가스구동원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증류수의 배출을 위하여 증류수 탱크(7)의 내부로 주입된 질소가스는 화재의 실질적인 진압에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됨으로서 질소가스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과, 질소탱크(5) 및 증류수 탱크(7)를 분사노즐(3)과 연결하기 위하여 분사노즐(3) 직전까지 2개의 배출관(6)(8)이 연장 설치되고, 다른 질소탱크(5')와 증류수 탱크(7)의 사이에도 별도의 배출관(6')이 설치되어 소화장치(1)를 이루는 전체적인 배관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소화장치(1)의 설비 및 사용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는 가스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의 배출통로상에 혼합노즐을 설치하여 불활성가스의 분사시 소화수가 노즐의 내부로 자동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불활성가스와 소화수가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보다 훨씬 이전에 선혼합되도록 함으로서, 불활성가스와 소화수가 소화용 분사노즐을 통하여 워터미스트(Water mist: 물안개)식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동시작용에 의한 신속한 화재진압을 이루어내어 화재의 진압성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며, 불활성가스 및 소화수의 공급을 위한 배관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하여 소화장치의 설비 및 사용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재감지센서와 소화용 분사노즐이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용 분사노즐은 가스탱크의 토출밸브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과 물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을 거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를 분사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탱크의 토출밸브는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박스와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스탱크의 토출밸브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과 물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이 혼합노즐에서 연결되어, 가스탱크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의 분사에 따라 물탱크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로 자동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노즐로부터 연장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배출관이 소화용 분사노즐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혼합배출관에는 가스탱크의 토출밸브와 함께 컨트롤 박스와 접속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박스에 의한 토출밸브 및 개폐밸브의 개방작동은 기동용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를 나타내는 배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에 사용되는 혼합노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재감지센서(11)와 소화용 분사노즐(12)이 실내(바람직하게는 실내의 천정면)에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11)는 케이블(23)에 의하여 전자사이렌(S) 및 방출표시등(L)과 함께 컨트롤박스(13)와 접속되며, 상기 소화용 분사노즐(12)은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17)을 거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를 화재발생시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로 분사토록 설치되며, 이는 종래의 미분무 소화장치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17)이 혼합노즐(18)에서 연결되어, 가스탱크(14)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의 분사에 따라 물탱크(15)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18)로 자동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노즐(18)로부터 연장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배출관(19)이 소화용 분사노즐(12)과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혼합배출관(19)에는 케이블(23)에 의하여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와 함께 컨트롤박스(13)와 접속되는 개폐밸브(20)가 설치되며, 상기 혼합배출관(19)의 일단에는 혼합배출관(19)의 내부를 유동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배출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상승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안전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10)의 가스탱크(14)에 저장되어 화재의 진압에 사용되는 불활성가스는 할론(Halon)가스나 질소가스 또는 그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의 소화약제가 사용될 수 있고, 물탱크(15)에 저장되는 소화수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수돗물이나 정제수 또는 종래와 같은 증류수가 될 수도 있으며, 소화수의 배출을 위한 배수관(17)에 종래의 경우와 같이 여과기가 설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혼합노즐(18)은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배출관(16)이 후단부에 연결되고 배수관(17)이 하단부에 연결되는 몸체의 내부에 가스배출관(16)과 연결되는 노즐부(181)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노즐부(181)의 전방측 공간이 부압실(182)을 형성하며, 그 전방측으로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 및 배출을 위한 혼합튜브(183)와 디퓨져(Diffuser)(184)가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퓨져(184)의 선단측에 혼합배출관(19)이 연결 설치된 구성 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스탱크(14)에 고압으로 저장된 불활성가스가 가스배출관(16)을 거쳐 혼합노즐(18)의 노즐부(181) 내측에 형성된 좁은 목부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매우 빠른 속도(노즐부의 형상에 따라 음속 또는 초음속)로 분사되고, 이로 인하여 노즐부(181)의 전방측에 형성된 부압실(182)이 거의 진공상태로 조성됨에 따라 대기압하에 있던 물탱크(15)의 소화수가 배수관(17)을 거쳐 혼합노즐(18)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노즐(18)을 통한 불활성가스의 분사과정에서 물탱크(15)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18)의 내부로 자동 유입되기 때문에, 혼합노즐(18)의 혼합튜브(183)와 디퓨져(184)를 거쳐 불활성가스가 소화수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혼합배출관(19)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도 3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산업용 이젝터(Ejector)나 분사펌프(제트펌프: Jet pump) 또는 분류펌프와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 및 혼합배출관(19)에 설치된 개폐밸브(20)의 개방작동을 상기 컨트롤박스(13)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수행토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토출밸브(14a) 및 개폐밸브(20)의 용량을 크게 하여 불활성가스 및 소화수의 공급을 보다 더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컨트롤박스(13)에 의한 토출밸브(14a) 및 개폐밸브(20)의 개방작동이 기동용기(22)(Actuating cylinder)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동용기(22)는 화재발생시 화재감지센서(11)와 컨트롤박스(13)의 연동으로 기동용기(22)의 전자밸브가 작동되면, 기동용기(22)내에 저장되어 있던 가스(저장량: 약 1리터, 저장압력: 약 0.65kg/cm2)가 혼합배출관(19)의 개폐밸브(20)를 가스압으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를 작동시켜 가스배출관(16)으로 불활성가스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종 가스계 소화장치에 널리 적용되는 기술적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10)가 설비되는 각종 건물이나 공장 등의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11)가 이를 인식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컨트롤박스(13)로 전송시킴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전자사이렌(S)을 작동시켜 경보를 울리고, 방출표시등(L)을 점등시켜 본 고안에 의한 소화장치(10)가 작동됨을 외부에 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센서(11)로부터 화재발생신호가 컨트롤박스(13)에 입력되면, 컨트롤박스(13)가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 및 혼합배출관(19)의 개폐밸브(20)를 개방{기동용기(22)가 설치된 경우 밸브의 개방작동은 기동용기(22)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스탱크(14)에 고압으로 저장된 불활성가스가 가스배출관(16)을 거쳐 혼합노즐(18)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불활성가스가 혼합노즐(18)로 유입되면, 가스배출관(16)과 연결된 혼합노즐(18)의 노즐부(181)를 불활성가스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노즐부(181)의 내측에 형성된 좁은 목부위에 의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분사되고, 이로 인하여 노즐부(181)의 전방측에 형성된 부압실(182)이 거의 진공상태로 조성됨에 따라 대기압하에 있던 물탱크(15)의 소화수가 배수관(17)을 거쳐 혼합노즐(18)의 내부로 자동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노즐(18)을 통한 불활성가스의 분사과정에서 물탱크(15)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18)의 내부로 자동 유입된 다음, 혼합노즐(18)의 혼합튜브(183)와 디퓨져(184)를 거쳐 불활성가스가 소화수와 함께 혼합된 상태로 혼합배출관(19)으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혼합배출관(19)을 따라 배출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약제가 실내에 설치된 소화용 분사노즐(12)을 통하여 워터미스트(Water mist: 물안개) 형식으로 미분무 됨으로서,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10)에 따르면, 불활성가스의 가스배출관(16)과 소화수의 배수관(17)이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12)보다 훨씬 이전에 위치하는 혼합노즐(18)에서 연결됨에 따라, 소화용 분사노즐(12)에 의한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실질적인 분사시점 이전에 소화수가 불활성가스에 의하여 복잡하게 교란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불활성가스에 의한 소화수의 교란작용이 혼합노즐(18)과 혼합배출관(19)을 거치면서 충분하게 이루어진 다음 소화용 분사노즐(12)을 통한 혼합약제(불활성가스+소화수)의 분사가 진행되므로, 소화용 분사노즐(12)로부터 매우 미세한 입자를 가지는 물방울이 불활성가스와 함께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측으로 골고루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화용 분사노즐(12)로부터 매우 미세한 입자를 가지는 물방울이 불활성가스와 함께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측으로 골고루 분사되면, 소화수에 의한 방호대상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소화수와 불활성가스의 동시작용에 의하여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소화장치(10)에 의한 화재진압 성능을 보다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혼합노즐(18)을 통한 불활성가스의 분사과정에서 물탱크(15)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18)의 내부로 자동 유입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다수 개의 질소탱크 중 하나의 질소탱크(5')를 증류수의 배출을 위한 가스구동원으로 사용한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불활성가스의 전체량을 화재진압에 직접 이용하여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탱크(14)와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배수관(17)이 혼합노즐(18)에서 합류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노즐(18)로부터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배출관(19)으로 단일화시킨 다음, 이와 같이 단일화 된 혼합배출관(19)이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12)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질소탱크(5) 및 증류수 탱크(7)로부터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3)의 직전까지 2개의 배출관(6)(8)이 연장되고, 다른 질소탱크(5')와 증류수 탱크(7)의 사이에도 별도의 배출관(6')이 설치되도록 한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소화장치(10)의 전체적인 배관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의 진압에 따른 방호대상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화재의 진압에 사용되는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화장치(10)를 이루는 전체적인 배관구조 또한 단순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에 소화장치(10)를 설비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및 소화장치(10)를 사용하는 데에 따른 비용의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복합식 소화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소화용 분사노즐에 의한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실질적인 분사시점 이전에 소화수가 불활성가스에 의하여 복잡하게 교란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소화용 분사노즐로부터 매우 미세한 입자를 가지는 물방울이 불활성가스와 함께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측으로 골고루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소화수에 의한 방호대상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소화수와 불활성가스의 동시작용에 의하여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되어 화재진압 성능을 보다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혼합노즐을 통한 불활성가스의 분사과정에서 물탱크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의 내부로 자동 유입되도록 하여, 가스탱크를 소화수의 배출을 위한 가스구동원으로 사용한 경우와는 달리 불활성가스의 전체량을 화재진압에 직접 이용하게 되어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가스배출관과 배수관이 혼합노즐에서 합류되도록 한 다음, 혼합노즐로부터는 단일화 된 혼합배출관만을 연장시켜 소화용 분사노즐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소화장치의 전체적인 배관구조 또한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재의 진압에 따른 방호대상물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화재의 진압에 사용되는 불활성가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화장치를 이루는 전체적인 배관구조 또한 단순화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방호구역이나 방호대상물에 소화장치를 설비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및 소화장치를 사용하는 데에 따른 비용의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화재감지센서(11)와 소화용 분사노즐(12)이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소화용 분사노즐(12)은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17)을 거쳐 공급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를 분사토록 설치되며, 상기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는 화재감지센서(1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박스(13)와 접속되도록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로부터 연장되는 가스배출관(16)과 물탱크(1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17)이 혼합노즐(18)에서 연결되어, 가스탱크(14)로부터 배출되는 불활성가스의 분사에 따라 물탱크(15)에 저장된 소화수가 혼합노즐(18)로 자동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노즐(18)로부터 연장되는 불활성가스와 소화수의 혼합배출관(19)이 소화용 분사노즐(12)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혼합배출관(19)에는 가스탱크(14)의 토출밸브(14a)와 함께 컨트롤박스(13)와 접속되는 개폐밸브(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13)에 의한 토출밸브(14a) 및 개폐밸브(20)의 개방작동은 기동용기(22)(Actuating cylinder)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소화장치.
KR2020060026805U 2006-09-29 2006-09-29 복합식 소화장치 KR200435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05U KR200435537Y1 (ko) 2006-09-29 2006-09-29 복합식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805U KR200435537Y1 (ko) 2006-09-29 2006-09-29 복합식 소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571A Division KR100820724B1 (ko) 2006-09-29 2006-09-29 복합식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37Y1 true KR200435537Y1 (ko) 2007-01-29

Family

ID=4161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805U KR200435537Y1 (ko) 2006-09-29 2006-09-29 복합식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724B1 (ko) 복합식 소화시스템
KR100585936B1 (ko) 소화용 분무장치
KR20040088038A (ko) 소화방법 및 소화장치
RU96108943A (ru) Система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в ограниченных пространствах, сопло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истеме с низким давлением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с помощью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JP2003278500A (ja)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TWI488667B (zh) 具有多劑排放能力之雙模用劑排放系統
KR200435537Y1 (ko) 복합식 소화장치
KR102234900B1 (ko)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CN212662507U (zh) 一种储能集装箱全氟己酮灭火装置
KR100976172B1 (ko) 질소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화재 진압 시스템
JPH1170180A (ja) 固定式消火システム
JP2001333994A (ja) 液体金属火災消火装置
JP2999766B1 (ja) 水噴霧付き気体消火装置
KR20110085509A (ko) 질소발생기와 물분사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소화시스템
JP2006075644A (ja) 消火設備
RU2474447C1 (ru) Установка модуль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2007252636A (ja) 消火システム
KR100464827B1 (ko) 배연차
US6443233B1 (en) Appliance for introducing an inert gas into an extinguishant
KR20080097261A (ko) 소형 소방차
CN2502732Y (zh) 细水雾灭火装置
CN219375959U (zh) 一种板式喂料机的消防系统
JP2003095404A (ja) ゴミ収集車
RU2414271C1 (ru) Порошков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KR20090113421A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