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527Y1 - 그릇 뚜껑세움구 - Google Patents

그릇 뚜껑세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527Y1
KR200435527Y1 KR2020060023648U KR20060023648U KR200435527Y1 KR 200435527 Y1 KR200435527 Y1 KR 200435527Y1 KR 2020060023648 U KR2020060023648 U KR 2020060023648U KR 20060023648 U KR20060023648 U KR 20060023648U KR 200435527 Y1 KR200435527 Y1 KR 200435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wl
bowl lid
certai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희 이
Original Assignee
정 희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희 이 filed Critical 정 희 이
Priority to KR2020060023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릇(냄비 포함 : 이하 같음) 뚜껑세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위치한 곳의 그릇 뚜껑 내부에는 일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그릇 뚜껑세움구를 제공함으로써, 그릇외의 곳에 그릇 뚜껑을 놓을 때 그릇 뚜껑을 비스듬히 세워둘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뜨거운 뚜껑을 뒤집어 둔 후 다시 들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3)가 형성되고 그릇 뚜껑내부에 일정 홈(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릇, 그릇 뚜껑세움구, 일정 형태의 돌출부, 뚜껑내부에 일정 홈

Description

그릇 뚜껑세움구{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를 윗면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를 윗면에서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그릇 뚜껑내부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그릇 뚜껑내부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릇 뚜껑
2 : 그릇 뚜껑 손잡이
3 : 그릇 뚜껑 외부의 일정 형태 돌출부
4 : 그릇 뚜껑 내부의 일정 홈
5 : 그릇 뚜껑 외부의 일정 형태 돌출부의 다른 형태
6 : 그릇 뚜껑 외부의 일정 형태 돌출부의 또 다른 형태
본 고안은 그릇(냄비 포함 : 이하 같음) 뚜껑세움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위치한 곳의 그릇 내부에는 일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그릇 뚜껑세움구를 제공함으로써, 그릇외의 곳에 그릇 뚜껑을 놓을 때 그릇 뚜껑을 비스듬히 세워 둘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뜨거운 뚜껑을 뒤집어 둔 후 다시 들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릇 뚜껑을 그릇에서 들어서 다른 곳에 둘 때에는 그릇 뚜껑 내부에 묻은 음식잔여물 및 물기 때문에 그릇 뚜껑을 뒤집어 뚜껑 손잡이 부분이 밑으로 가게 하여 놓는다. 하지만 이 경우 그릇 뚜껑을 놓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놓기가 마땅찮은 경우가 많고 뜨거운 음식을 요리한 경우 행주 등으로 손을 보호한 상태에서 뒤집어 놓은 뚜껑을 다시 들려면 들기가 매우 불편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뚜껑을 그릇손잡이 부분에 수직으로 꽂을 수 있는 방법으로 해결한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뚜껑이 수직으로 놓여 뚜껑내부의 음식잔여물이 흘러내리거나 불이 타고 있는 상태에서 그릇손잡이에 뚜껑이 놓여 있음으로 뜨거운 열기가 가열되어 뚜껑손잡이에 전달됨으로 뚜껑을 마음대로 다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그릇 뚜껑 손잡이를 길게 늘려 뚜껑을 세울 수 있게 하였으나 이 방법도 그릇 뚜껑이 수직으로 세워 져 음식잔여물이 흘러내리거나 그릇 뚜껑을 씻을 때 구석진 부분을 닦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위치한 곳의 그릇 뚜껑 내부에는 일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그릇 뚜껑세움구를 제공함으로써, 그릇외의 곳에 그릇 뚜껑을 놓을 때 그릇 뚜껑을 비스듬히 세워 둘 수 있게 함으로써 그릇 뚜껑을 놓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고 뜨거운 뚜껑을 완전히 뒤집어 두지 않음으로서 뜨거운 뚜껑을 쉽게 들 수 있게 하고 종래 기술과는 달리 불이 타고 있는 상태에 뚜껑을 두지 않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뚜껑을 다룰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그릇 뚜껑 내부에 일정 홈을 형성함으로써 그릇 뚜껑의 내부 음식잔여물 및 물기가 이 일정 홈에 모이도록 하여 뚜껑 내부의 음식잔여물 및 물기가 바닥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고 그릇 뚜껑을 씻을 때 쉬게 딱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위치한 곳의 그릇 뚜껑 내부에는 일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는 상기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양 기둥 또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그릇 뚜껑 내부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그릇 뚜껑 내부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릇 뚜껑(1)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3)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그릇 뚜껑과 만나는 지점의 각도는 뚜껑을 세우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그릇 뚜껑을 제작할 당시에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일정 형태의 돌출부(3)는 도 5와 같이 두 개의 기둥(5)으로도 할 수 있고 그 외 일정 형태는 그릇 뚜껑의 세움이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면 도 6과 같이 단순한 각으로 이뤄진 거북모양(6)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3의 그릇 뚜껑 내부홈(4)은 평상시 음식물 잔여물이 끼지 않고 또한 그릇 뚜껑을 씻을 때 편리하도록 미세한 곡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그릇 뚜껑세움구는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정 형태의 돌출부가 위치한 곳의 그릇 뚜껑 내부에 는 일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릇외의 곳에 그릇 뚜껑을 놓을 때 그릇 뚜껑을 비스듬히 세워 둘 수 있게 되어 그릇 뚜껑을 놓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하고 뜨거운 뚜껑을 완전히 뒤집어 두지 않게 됨으로써 뜨거운 뚜껑을 쉽게 들 수 있게 하고 종래 기술과는 달리 불길이 있는 조리기구에 뚜껑을 두지 않게 됨으로써 뜨겁지 않게 뚜껑을 다룰 수 있게 되며 그릇 뚜껑 내부의 일정 홈에는 그릇 뚜껑의 내부 음식잔여물 및 물기가 이 일정 홈에 모여 뚜껑 내부의 음식잔여물 및 물기가 바닥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며 한편으로 뚜껑을 쉽게 세척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그릇 및 냄비 뚜껑 외부(1)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뚜껑세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3)가 위치한 곳의 그릇 뚜껑 내부에 일정 홈(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뚜껑세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2)가 양 기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뚜껑세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 뚜껑 외부에 일정 형태의 돌출부(2)가 거북모양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 뚜껑세움구
KR2020060023648U 2006-09-01 2006-09-01 그릇 뚜껑세움구 KR200435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648U KR200435527Y1 (ko) 2006-09-01 2006-09-01 그릇 뚜껑세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648U KR200435527Y1 (ko) 2006-09-01 2006-09-01 그릇 뚜껑세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527Y1 true KR200435527Y1 (ko) 2007-01-29

Family

ID=4161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648U KR200435527Y1 (ko) 2006-09-01 2006-09-01 그릇 뚜껑세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5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572A1 (ko) * 2022-04-07 2023-10-12 김종민 반찬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5572A1 (ko) * 2022-04-07 2023-10-12 김종민 반찬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147U (ja) ふた下敷手段を具備した料理用鍋
ATE429839T1 (de) Kessel zum kochen eines getränks, elektrischer heizkessel und schnurloser elektrischer heizkessel zum kochen eines getränks
US9801497B2 (en) Electric frying pan
KR200435527Y1 (ko) 그릇 뚜껑세움구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JP313453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釜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CN102599807A (zh) 双层防溢水壶
JP2020199211A (ja) 炊飯用補助容器及び炊飯方法
CN209489908U (zh) 一种多功能锅
CN205251257U (zh) 泡茶器
CN205612206U (zh) 一种陶瓷壶
JP3193755U (ja) 急須
CN2933222Y (zh) 防溢锅
KR200395265Y1 (ko) 냄비의 뚜껑 겸용 받침대
CN215348220U (zh) 一种方便处理茶叶的玻璃茶壶
KR200441195Y1 (ko) 끓어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JPH0436748Y2 (ko)
JP3175357U (ja) 急須
CN220089195U (zh) 一种多功能电饭煲
CN210540935U (zh) 一种防溢锅盖
CN214595542U (zh) 一种具有防烧把机构的奶锅
CN220917150U (zh) 便于煮茶的茶具套装
KR200455726Y1 (ko) 냄비
JP3164618U (ja) 急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