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378Y1 -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 Google Patents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378Y1
KR200435378Y1 KR2020060026942U KR20060026942U KR200435378Y1 KR 200435378 Y1 KR200435378 Y1 KR 200435378Y1 KR 2020060026942 U KR2020060026942 U KR 2020060026942U KR 20060026942 U KR20060026942 U KR 20060026942U KR 200435378 Y1 KR200435378 Y1 KR 200435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structure
frame
floating body
guide rod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민
권혁대
Original Assignee
이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민 filed Critical 이철민
Priority to KR2020060026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9Floating structures with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with windows ; Arrangements on floating structures of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on b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중구조물의 외주면에 장착된 벨트의 조임조작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고정장치와; 상기 위치고정장치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부와 모니터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체와; 상기 위치고정장치와 부유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에 카메라유닛이 설치되어, 수중구조물을 따라 승강하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사람이 수중에 들어갈 필요없이 수상의 부유체에서 촬영을 모니터링 하면서 수중구조물 또는 접안구조물, 그외 수중구조물의 상태를 직접 실시간으로 탐사 및 촬영할 수 있고, 부유체를 근접시킬 수 있어 더욱 정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수중구조물, 촬영, 카메라, 부유, 벨트, 권취

Description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underwater structure investigation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대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위치고정장치 4 : 부유체
6 : 촬영수단 20 : 프레임
21 ; 제1권취기 22 : 제2권취기
23 ; 고정구 24 : 지지수단
26 : 벨트 40 : 탑승공간
42 : 전력공급기 43 : 완충기
44 : 제어부 48 : 견인프레임
49 : 연결체인 60 : 가이드봉
62 : 내부통체 64 ; 카메라유닛
200 : 모터 241 : 브라켓
242 : 롤러 480 : 장홈
482 : 케이블권취기 602 : 치차
본 고안은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구조물의 측방에 인접한 채 수중구조물의 외주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중에 잠긴 수중구조물 하부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바다에 설치된 교량 또는 배의 접안구조물은 교각과 같은 다수개의 수중구조물으로 지지되며, 수중구조물의 하부, 즉 수중에 잠긴 하부에는 확장부를 형성하여,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동안 가해지는 외부의 힘에 의해 수중구조물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은 필연적이다.
즉, 동결융해로 인하여 강도가 저하되고, 수백톤의 상판무게에 따른 수직 축 방향 응력에 의해 파손되며, 파손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이탈 및 유실, 재료분리로 인한 철근의 부식, 강물의 유속 및 와류현상에 의한 마모, 침식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수중구조물의 손상은 붕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상 수중구조물에 대한 유지, 보수, 보강공사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 선행과정으로서 수중구조물의 파손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인력을 동원하여 수중 촬영을 수행했으나, 고가의 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인명사고의 위험까지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람이 수중에 들어갈 필요없이 수상의 부유체에서 촬영을 모니터링 하면서 교각 또는 접안구조물(이하 '수중구조물'이라 통칭함)의 상태를 직접 실시간으로 탐사 및 촬영할 수 있고, 부유체를 수중구조물에 근접시켜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수중구조물의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촬영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중구조물의 외주면에 장착된 벨트의 조임조작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고정장치와; 상기 위치고정장치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부와 모니터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체와; 상기 위치고정장치와 부유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에 카메라유닛이 설치되어, 수중구조물을 따라 승강하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A)는, 벨트(26)의 조임조작에 의해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위치고정장치(2)와; 상기 위치고정장치(2)와 소정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부(44)와 모니터(46)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체(4)와; 상기 위치고정장치(2)와 부유체(4)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60)에 카메라유닛(64)이 설치되어 승강하면서 촬영을 수행하는 촬영수단(6)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고정장치(2)는, 다수의 봉체를 연결하여 격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권취기(21,22)와; 상기 프레임(20)의 전방 양측에 복수개로 설치된 고정구(23)와; 상기 복수개의 권취기(21,2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20)에 힌지결합되며 끝단에 롤러(242)가 형성되고, 탄성수단(24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4)과; 상기 지지수단(24)의 롤러(242)에 지지된 채 양끝단이 상기 복수개의 권취기(21,22)에 권취되어 수중구조물(100)의 외주에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벨트(26)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권취기(21,22)는 제1권취기(21)과 제2권취기(22)로 구분하기로 하며, 자체에 마련된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벨트(26)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 및 제2권취기(21,22)는 제어부(44)의 신호에 따라 동시에 작동되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3)는 선단에 첨예한 팁(232)을 갖는 소정 길이의 봉체로써, 수중구조물(100)의 외면에 박혀짐으로써 후술될 부유체(4) 및 촬영수단(6)을 보다 안 정된 자세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지지수단(24)은, 전술한 고정구(23)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이 프레임(20)에 힌지결합된 브라켓(241)과, 이 브라켓(241)과 프레임(20)을 연결하며 브라켓(241)을 내측으로 당겨주어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항상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44)과, 상기 브라켓(241)의 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242)로 구성된다.
지지수단(24)은 프레임(20)의 전면에 2개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수단(244)은 코일스프링이 적당하다.
벨트(26)는 수중구조물(100)의 외주에 감싸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수단(24)의 롤러(242)에 지지된 채 그 양끝단이 상기 제1 및 제2권취기(21,2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권취기(21,22)의 정,역회전에 의해 벨트(26)는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부유체(4)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공간(40)이 마련된 보트 형상이며, 탑승공간(40) 내에는 촬영에 필요한 전력공급기(42)와 제어부(44) 및 모니터(46) 등의 장비가 탑재된다.
그리고, 부유체(4)는 상기 위치고정장치(2)와 소정 길이를 갖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부유체(4)의 바닥면에 수직되게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봉체(47)와, 상기 수직봉체(47)가 삽입되는 장홈(480)을 갖도록 대략 "Ⅱ"자 형상으로 된 견인프레임(48)과, 상기 견인프레임(48)과 완충수단(485)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합된 보조프레임(481)과, 상기 보조프레임(481)에 설치되며 전술한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과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체인(49)과, 상기 보조프레임(481)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술한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에 연결된 완충기(43)와, 상기 보조프레임(48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될 촬영수단(6)의 카메라유닛(64)에 연결된 전선케이블을 권취시키는 케이블권취기(4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인(49)은 프레임(20)의 양단부와 보조프레임(481)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 연결체인(49)에 의해 위치고정장치(2) 및 촬영수단(6)과 부유체(4)가 이격될 수 있으므로, 수면의 파도나 물살의 흐름을 완화시켜줌으로써 부유체(4)의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기(43)는 일단은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프레임(48)에 힌지결합되며, 통상의 가스식 또는 유압식 쇽업쇼바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48)의 완충수단(485)도 가스식 또는 유압식 쇽업쇼바가 사용된다.
따라서, 완충기(43)에 연결된 위치고정장치(2) 및 촬영수단(6)을 프레임(2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 부유체(4) 내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유체(4)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권취기(482)는 카메라유닛(64)이 승강될 때 전선케이블이 엉키지 않도록 항상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 채 권취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선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과, 제어부(44)의 신호를 받아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수단(6)은, 상기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60)과, 이 가이드봉(60)에 결합되어 승강되는 카메라유닛(6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봉(60)은 외주면에 치차(602)가 형성된 것이고, 그 내측에 내부봉체(62)를 끼워 결합시킨 것으로, 상기 내부봉체(62)를 끼워넣거나 빼냄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전에 가이드봉(60)의 내부봉체(62)를 빼내어 그 하단을 수중 지면에 박아 고정시켜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가이드봉(60)에는 승강 및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장치(67)가 설치되는데, 가이드봉(60)에 치합된 기어와, 이 기어가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모터로 구성되며, 이러한 높이조절장치(67)의 구성은 당업계의 종사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가이드봉(60)의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수질의 탁도에 따라 또는 수중구조물(100)과의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도조절부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60)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홀더(201)와, 상기 홀더(201)의 측벽에 결합된 조임볼트(202)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중구조물(100)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일때는, 가이드봉(60)을 복수개의 홀더(201) 중 후방(부유체(4)가 설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설정함)의 홀더(201)에 삽입한 후 적정한 기울기로 기울인 다음 조임볼트(202)를 조여서 고정시킨다.
또한, 수질의 탁도가 낮아서 잘 안보일때는 가이드봉(60)을 전방의 홀더(201)에 삽입한 후 카메라유닛(64)이 수중구조물(100)의 외면에 닿지않도록 적절한 거리를 유지한 채 정확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메라유닛(64)은 구동장치(642)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구동장치(642)는 전술한 가이드봉(60)의 치차(602)에 치합되는 기어를 갖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제어부(44)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642)가 승강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봉(60)과 카메라유닛(64)의 구동장치(642)는 통상의 랙과 피니언 또는 웜과 웜휠로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 또는 웜휠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구조는 공지의 기술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0)의 전면에 고정구(23)를 수평되게 설치하고, 후면 양측에는 제1 및 제2권취기(21,22)를 각각 설치하며, 전면 양측에 지지수단(24)을 각각 설치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권취기(21,22)를 연결하도록 벨트(26)를 결합시키되, 벨 트(26)의 내주면이 지지수단(24)의 롤러(242)에 지지되도록 하여 위치고정장치(2)를 조립한다.
한편, 촬영수단(6)의 가이드봉(60)을 상기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에 마련된 홀더(201)에 끼워 수직으로 설치하고, 가이드봉(60)에는 카메라유닛(64)을 설치하되, 전술한 구동장치(642)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결합시킨다.
한편, 부유체(4)의 견인프레임(48)에 연결된 연결체인(49)을 전술한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 후단에 연결하고, 견인프레임(48)은 부유체(4)의 수직봉체(47)에 끼워 결합시키되, 견인프레임(48)의 전단에 마련된 완충기(43)를 상기 위치고정장치(2)의 프레임(20) 후단에 고정시키고, 견인프레임(48)의 상부 일측에 케이블권취기(482)를 설치한다.
이후, 부유체(4)에는 전술했듯이 전력공급기(42)와 제어부(44) 및 모니터(46) 등의 장비를 탑재하고, 카메라유닛(64)에 연결된 전선케이블을 상기 케이블권취기(482)에 권취시킨 후 제어부(44) 및 모니터(46)에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A)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A)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부유체(4)에 추력장치(미도시)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탑승한 후 수중구조물(100) 근처로 부유체(4)를 이동시키고, 벨트(26)의 일단을 제1권취기(21)로부터 해제시킨 후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을 감싼 다음 벨트(26)를 다시 제1권취기(21)에 결합시킨다.
이때, 벨트(26)는 수중구조물(100)과 충분한 여유간격이 있도록 한다.
이후, 양측의 제1 및 제2권취기(21,22)를 회전시켜 벨트(26)를 감으면 부유체(4)가 서서히 수중구조물(100)에 접근하게 되고, 지지수단(24)의 롤러(242)가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외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좀더 접근하면 고정구(23)가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에 박히게 된다.
고정구(23)가 박히면서 발생된 충격력은 전술한 완충기(43) 및 완충수단(485)을 통해 완화되므로 부유체(4)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미미해진다.
아울러, 부유체(4)는 연결체인(49)에 의해 유동적인 상태이고, 견인프레임(48)의 장홈(480) 내에서 수직봉체(47)가 이동될 수 있으므로, 파도의 롤링에 의한 흔들림을 완화시킬 수 있어 부유체(4)의 전복위험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후, 계속해서 제1 및 제2권취기(21,22)를 작동시켜 벨트(26)를 감아서 조이면 고정구(23)는 더욱 깊이 박히게 되고, 부유체(4)가 수중구조물(100)과 인접된 채 위치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높이조절장치(67)를 구동하여 가이드봉(60)을 하강시켜 내부봉체(62)의 하단이 수중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카메라유닛(64)을 승강시키면서 수중구조물(100)의 외면을 촬영하게 되고,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46)를 통해 출력되므로 부유체(4)에 탑승한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 일측에 대해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촬영한 후에는 부유체(4)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 타측에 대해서도 촬영을 수행한다.
즉, 높이조절장치(67)를 구동시켜 가이드봉(60)을 상승시켜 내부봉체(62)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후, 제1 및 제2권취기(21,22)의 벨트(26)를 약간 풀어주어 고정구(23)가 수중구조물(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후 제1권취기(21)를 감으면서 제2권취기(22)를 풀어주면, 부유체(4)는 반시계방향으로 횡이동하게 된다.
역으로, 제1권취기(21)를 풀어주면서 제2권취기(22)를 감으면 부유체(4)는 시계방향으로 횡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렇게 부유체(4)를 횡이동시킨 후 전술했듯이 제1 및 제2권취기(21,22)를 감아 벨트(26)를 조여서 고정시킨 다음 높이조절장치(67)를 역구동시켜 가이드봉(60)을 하강시켜 하단이 지면에 박히게 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촬영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부유체(4)의 횡이동과 촬영작업을 연속으로 수행함으로써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 전체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다른 현장으로 이동할때는, 완충기(43)를 부유체(4) 내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완충기(43)에 결합된 위치고정장치(2) 및 촬영수단(6)도 함께 부유체(4) 내측으로 접어 수납한 다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즉, 위 실시예는 수중구조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배를 접안하는 접안시설물 또는 기타 수중에 설치된 구조물의 탐사 및 촬영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람이 수중에 들어갈 필요없이 수상의 부유체에서 촬영을 모니터링 하면서 교량의 수중구조물 또는 배의 접안구조물, 그외 수중구조물의 상태를 직접 실시간으로 탐사 및 촬영할 수 있고, 부유체를 근접시킬 수 있어 더욱 정밀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Claims (9)

  1. 벨트(26)의 조임조작에 의해 수중구조물(1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위치고정장치(2)와;
    상기 위치고정장치(2)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제어부(44)와 모니터(46)가 설치되고,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으며,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체(4)와;
    상기 위치고정장치(2)와 부유체(4)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봉(60)에 결합되어 승강되면서 수중구조물의 외주면을 촬영하는 촬영수단(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2)는,
    다수의 봉체를 연결하여 격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6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형성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및 제2권취기(21,22)와;
    선단에 첨예한 팁(232)을 갖는 소정 길이의 봉체이며, 상기 프레임(20)의 전방 양측에 설치된 고정구(23)와;
    상기 제1 및 제2권취기(21,2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힌지결합되며, 끝단에 롤러(242)가 형성되고, 탄성수단(24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 는 복수개의 지지수단(24)과;
    상기 지지수단(24)의 롤러(242)에 지지된 채 양끝단이 상기 제1 및 제2권취기(21,22)에 권취되며, 상기 수중구조물(100)의 외주에 감싸지도록 설치되는 벨트(2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4)은,
    상기 고정구(23)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프레임(20)에 힌지결합된 브라켓(241)과;
    상기 브라켓(241)과 프레임(20)을 연결하며 브라켓(241)을 내측으로 당겨주는 장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44)과;
    상기 브라켓(241)의 선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2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4)의 연결수단은,
    상기 부유체(4)의 바닥면에 수직되게 복수개로 설치된 수직봉체(47)와;
    상기 수직봉체(47)가 삽입되는 장홈(480)을 갖는 견인프레임(48)과;
    상기 견인프레임(48)과 완충수단(485)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합된 보조프레 임(481)과;
    상기 보조프레임(481)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0)과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체인(49)과;
    상기 보조프레임(481)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0)에 연결된 완충기(43)와;
    상기 보조프레임(48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수단(6)에 연결된 전선케이블을 권취시키는 케이블권취기(48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6)은,
    상기 가이드봉(60)의 치차(602)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가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장치(642)와, 상기 구동장치(642)에 결합된 카메라유닛(6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60)은, 내측에 내부봉체(62)가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에는 가이드봉(60)을 승강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6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67)는, 상기 가이드봉(60)에 치합된 기어와, 상기 기어가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권취기(482)는, 상기 전선케이블이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봉(60)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홀더(201)와, 상기 홀더(201)의 측벽에 결합된 조임볼트(2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KR2020060026942U 2006-09-29 2006-09-29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KR200435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42U KR200435378Y1 (ko) 2006-09-29 2006-09-29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42U KR200435378Y1 (ko) 2006-09-29 2006-09-29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378Y1 true KR200435378Y1 (ko) 2007-01-18

Family

ID=4155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42U KR200435378Y1 (ko) 2006-09-29 2006-09-29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3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614B1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US6698376B2 (en) Device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an underwater vehicle and implementation method
CN107521639B (zh) 一种深潜器布放回收对接锁紧装置及对接锁紧方法
KR101908914B1 (ko) 신축 붐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잠수정 진회수 장치
US20090045631A1 (en) Deployment apparatus for submerged power plant
JP5895291B2 (ja) 潮力発電所を設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6759331B (zh) 水上打桩装置
KR102019053B1 (ko) 신축 붐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잠수정 진회수 장치
FI84248C (fi) Offshore-lasthanteringsystem.
KR20140006832A (ko) 전력 생성 장비
US6536743B2 (en) Fixed umbilical cable flotation docking head
CN115626252A (zh) 一种无缆水下机器人收放装置
CN110937077B (zh) 船用洗窗装置
KR200435378Y1 (ko) 수중구조물 복합 탐사장치
US5230588A (en) Method and device for paying out or hauling in the supply line cable of an underwater device
JP5324960B2 (ja) フローティングクレーン
KR101434605B1 (ko) 수중구조물의 안전진단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전진단기구
CN111216849A (zh) 一种桥梁水下检测船
JP2007112167A (ja) 海中曳航体の着水・曳航方法、着水揚収装置及び着水揚収装置を備えた船舶
CN207191356U (zh) 一种深潜器布放回收摆动架结构
JP4316919B2 (ja) 炉内点検装置
JPH08146186A (ja) 原子炉内構造物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869857B2 (ja) 船舶における水中えい航体の揚収装置及び展開器
JP7219681B2 (ja) 移送装置および移送方法
CN220147527U (zh) 一种船锚收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