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298Y1 - 맨홀 인상링 - Google Patents

맨홀 인상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298Y1
KR200435298Y1 KR2020060020372U KR20060020372U KR200435298Y1 KR 200435298 Y1 KR200435298 Y1 KR 200435298Y1 KR 2020060020372 U KR2020060020372 U KR 2020060020372U KR 20060020372 U KR20060020372 U KR 20060020372U KR 200435298 Y1 KR200435298 Y1 KR 2004352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nhole
support
heigh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2020060020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2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2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8Repairs of manhole shaf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의 인상시 맨홀상부에 안착되는 인상링의 안착부 두께에 의해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인상높이를 줄일 수 있는 맨홀 인상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도로의 보수시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높이에 맞게 맨홀의 높이를 인상시켜주기 위해 맨홀받침(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상링(30)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뚜껑안착부에 삽입되면서 상단 내측에 뚜껑안착턱(33)을 구비한 삽입부(32)와;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부와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뚜껑지지부(34)와; 상기 뚜껑지지부(34) 내에 삽입되는 뚜껑(20)의 양측 개방홈(22a)(22b)과 대응되는 상기 삽입부(32) 상단과 뚜껑지지부(34)에 두 몸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뚜껑안착턱(33)에서 상기 뚜껑지지부(34)의 상단의 높이가 뚜껑(20)과 높이와 일치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35)를; 구성하여 인상링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인상링은, 뚜껑지지부와 뚜껑안착부를 가지는 삽입부가 뚜껑 양측의 개방홈에 수용되는 크기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실제 뚜껑안착부가 맨홀받침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포장재의 덧씌움 높이를 설계할 때 종래의 인상링과는 달리 상기 인상링의 안착부 두께가 빠지게 되며, 그로인해 실제 시공시 포장재의 덧씌움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결국 포장재의 덧씌움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맨홀, 인상링, 연결부, 포장, 덧씌움

Description

맨홀 인상링{Manho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인상링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인상링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3b는 도 2의 A-A선 단면에 따른 분리 및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인상링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5b는 도 4의 B-B선 단면에 따른 분리 및 결합 단면도.
도 6은 두 몸체로 된 본 고안 인상링의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두 몸체로 된 본 고안 인상링의 또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연결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맨홀받침 12 - 뚜껑지지부 13 - 안착턱
20 - 뚜껑 22a,22b - 개방홈 30 - 인상링
32 - 삽입부 33 - 안착턱 34 - 뚜껑지지부
35 - 연결부 36 - 단턱 37 - 인서트
40 - 인상링 42 - 삽입부 43 - 안착턱
44 - 뚜껑지지부 45 - 연결돌출부 46a,46b - 핀공
47 - 연결핀
본 고안은 맨홀 인상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의 인상시 맨홀받침상부에 안착되는 인상링의 안착부 두께에 의해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인상높이를 줄일 수 있는 맨홀 인상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 인상링은 도로의 보수공사시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높이로 인하여 기존에 설치된 맨홀의 높이를 인상시켜야 할 때 채택하는 부품이다.
인상링의 구조는 맨홀받침과 같이 맨홀뚜껑을 안착시키기 위한 구조, 즉 뚜껑 안착턱과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 뚜껑을 삽입시켜 뚜껑의 둘레를 지지하는 뚜껑지지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부에 인상을 필요로하는 맨홀받침의 뚜껑지지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인상링을 이용하여 맨홀의 높이를 인상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인상링의 삽입부를 뚜껑의 상부에 삽입시키면 상기 인상링의 삽입부와 뚜껑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이 상기 맨홀받침의 상단에 걸쳐지게 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인상링을 이용하여 도로 포장재의 덧씌움 높이를 설계할 때, 기본적으로 포함시켜야 할 높이가 있다. 즉 맨홀을 인상시키더라도 맨홀에는 항상 뚜껑이 필수적 구성품이므로 뚜껑의 높이를 기본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특히 안착턱 두께 값을 기본적으로 포함켜야 한다.
그런데, 실제 포장재를 덧씌움 작업을 할 때, 인상링의 뚜껑 안착부의 두께를 제외한 뚜껑의 높이 이하로 포장 두께를 설계하여도 될 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상링의 구조상 어쩔 수 없이 포함시켜야할 기본적 높이, 즉 뚜껑의 높이에 안착부의 두께를 더한 값을 포장재 덧씌움 높이로 설계해야만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상링을 이용하여 도로 포장재의 덧씌움 높이를 설계할 때 상기 인상링의 안착부 두께를 제거한 상태의 덧씌움 높이가 가능하도록 하여 결국 포장재의 덧씌움 두께를 줄이므로써 포장재의 덧씌움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인상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로의 보수시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높이에 맞게 맨홀의 높이를 인상시켜주기 위해 맨홀받침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상링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의 뚜껑 안착부에 삽입되면서 상단 내측에 뚜껑안착턱을 구비한 삽입부와;
상기 맨홀받침의 상부와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맨홀받침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뚜껑지지부와;
상기 뚜껑지지부 내에 삽입되는 뚜껑의 양측 개방홈과 대응되는 상기 삽입부 상단과 뚜껑지지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뚜껑안착턱에서 상기 뚜껑지지부의 상단의 높이가 뚜껑과 높이와 일치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인상링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인상링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a,3b는 도 2의 A-A선 단면에 따른 분리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0은 맨홀받침을 도시한 것으로, 상부에 뚜껑(20)이 삽입될 내경을 이루면서 뚜껑(20)의 삽입 깊이의 내측에 뚜껑안착턱(13) 및 그 상부 둘레에 뚜껑지지부(12)를 구비한 일반적인 맨홀받침(10) 구조를 갖는다.
도면부호 20은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부에 삽입 안착되는 뚜껑을 도시한 것으로, 양측에 개방홈(22a)(22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30은 본 고안의 인상링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받침(10)의 상부에 삽입되면서 상단 내측에 뚜껑안착턱(33)을 구비한 삽입부(32)와,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부와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뚜껑지지부(34)를 구성한다. 상기 삽입부(32)의 외경은 맨홀받침(10)의 뚜껑지지부(12)의 내경보다 작아 맨홀받침(10)의 상부에 삽입되며, 삽입부(32)의 상단 내측에는 뚜껑(20)이 안착되는 안착턱(33)을 이룬다. 그리고 삽입부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뚜껑지지부(34)가 연결되며, 상기 뚜껑지지부(34)의 하단과 삽입부(32)의 상단 외측이 이루는 경계부에는 맨홀받침(10)의 상단에 걸쳐지는 단턱(36)이 형성된다.
상기 두 몸체는 도면상에 경계부가 얇게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이에 관계없이 서로의 몸체가 분리된 상태이어도 무방하다. 단지 상기 뚜껑지지부(34)가 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35)를 통해 상기 삽입부(32)와 한 몸체를 이루도록 하면된다.
상기 연결부(35)는 뚜껑지지부(34) 내에 삽입되는 뚜껑(20)의 양측 개방홈(22a)(22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그 위치에서 상기 삽입부(32)와 뚜껑지지부(34)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35)는 삽입부(32)와 뚜껑지지부(34)와 별도의 몸체로 구성되어 연결에 의해 일체화 시킬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상링의 제조시 하나의 몸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35)는 두 몸체를 연결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어 뚜껑(20)의 삽입 안착에 방해를 받을 수도 있으나, 그 크기를 뚜껑(20)의 양측에 형성된 개방홈(22a)(22b)내에 수용되는 정도의 크기로 한정시켜, 뚜껑(20)을 닫을 때 상기 개방홈(22a)(22b)을 연결부(35)에 일치시켜 닫게 되면 상기 연결부(35)가 개방홈(22a)(22b)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뚜껑(20)의 삽입 안착기능에 전혀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뚜껑지지부(34)의 둘레에는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내부에 매립되어 견고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인서트(3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35)의 구조에 의해 상기 뚜껑안착턱(33)에서 상기 뚜껑지지부(34)의 상단의 높이가 뚜껑(20)과 높이와 일치하도록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뚜껑지지부(34)의 횡방향으로의 유동도 방지해주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 구조에 의해 맨홀의 인상 높이를 더욱더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뚜껑지지부(34)의 높이를 줄이고, 그 줄어든 높이 만큼 연결부(35)를 길게 형성하여 삽입부(32)의 안착턱(33)에서 상기 뚜껑지지부(34)의 상단 까지의 높이를 뚜껑(20)의 높이와 일치시켜주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인상링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a,5b는 도 4의 B-B선 단면에 따른 분리 및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인상링(40)의 구조는 삽입부(42)와 뚜껑지지부(44)를 별도의 몸체로 형성하고, 두 몸체를 도 5a와 같이 연결핀(47)으로 연결시킨 타입이다.
두 몸체를 핀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뚜껑지지부(44)에 삽입 안착되는 뚜껑(20) 양측의 개방홈(22a)(22b)과 대응되는 상기 뚜껑지지부(44)의 내측에 상기 개방홈(22a)(22b)에 수용되는 연결돌출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돌출부(45) 및 이와 접하는 삽입부(42)의 상면(43)에 핀공(46a)(46b)을 형성하여 상기 핀공(46a)(46b)에 연결핀(47)을 쐐기박음하여 두 몸체를 연결한 것이다.
물론 두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돌출부(45) 및 연결핀(47)의 크기가 뚜껑(20)의 개방홈(22a)(22b) 내에 수용될 정도의 크기이어야 한다.
도 6은 두 몸체로 된 본 고안 인상링의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핀공(46a)(46b)과 연결핀(47)의 구조를 나사공(56a)(56b)과 체결나사(57)로 치환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공(56a)(56b)에 체결 나사(57)를 체결하여 그 체결력으로 두 몸체를 연결한 할 수도 있다.
도 7은 두 몸체로 된 본 고안 인상링의 또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다른 한편, 인상링(40')의 삽입부(42')와 뚜껑지지부(44')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도 7, 도 8에서와 같이 상향절곡된 상부말단(551)과 하향절곡된 하부말단(552)을 가진 크랭크 절곡형태의 봉 또는 판형 연결핀(55)을 마련하여, 상기 맨홀받침(10)의 뚜껑안착턱(13)에 삽입된 삽입부(42')와 맨홀받침(10) 사이의 틈새에 상기 하부말단(552)을 압입시키고, 상기 연결핀(55)의 상부말단(551)을 외부로 노출시켜 뚜껑지지부(44')의 외측면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뚜껑지지부(44')를 맨홀받침(10)의 상부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에는 도 5a,5b,도 6에 도시된 인상링(40)에 도시된 연결부(35)가 필요없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뚜껑지지부(44')의 하부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핀홈을 형성하여 이에 상기 연결핀(55)의 상단을 삽입시켜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세 타입의 인상링(30)(40)(40') 구조는 삽입부(42)와 뚜껑지지부(44)의 연결이 연결부(35)나 핀(47), 체결나사(57) 및 연결핀(55)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큰 힘을 받지 못하는 구조로 인식될 수도 있으나, 그 힘은 연결부(35)나 핀(47) 또는 체결나사(57)가 충분히 힘을 받을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 완료후에는 포장재가 뚜껑지지부(44)의 둘레를 감싸 지지하므로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은 뚜껑지지부(44)의 하부가 맨홀받침(10)의 상단에 안착되고 또 상기 삽입부(42) 또한 맨홀받침(10)의 안착턱(13)에 지지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상링은, 뚜껑지지부와 뚜껑안착턱을 가지는 삽입부가 뚜껑 양측의 개방홈에 수용되는 크기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실제 뚜껑안착턱이 맨홀받침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포장재의 덧씌움 높이를 설계할 때 종래의 인상링과는 달리 상기 인상링의 뚜껑안착턱 두께가 빠지게 되며, 그로인해 실제 시공시 포장재의 덧씌움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결국 포장재의 덧씌움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도로의 보수시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높이에 맞게 맨홀의 높이를 인상시켜주기 위해 맨홀받침(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상링(30)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뚜껑안착부에 삽입되면서 상단 내측에 뚜껑안착턱(33)을 구비한 삽입부(32)와;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부와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뚜껑지지부(34)와;
    상기 뚜껑지지부(34) 내에 삽입되는 뚜껑(20)의 양측 개방홈(22a)(22b)과 대응되는 상기 삽입부(32) 상단과 뚜껑지지부(34)에 두 몸체를 연결하면서 상기 뚜껑안착턱(33)에서 상기 뚜껑지지부(34)의 상단의 높이가 뚜껑(20)과 높이와 일치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부(35)를;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링.
  2. 도로의 보수시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높이에 맞게 맨홀의 높이를 인상시켜주기 위해 맨홀받침(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인상링(40)에 있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뚜껑안착부에 삽입되면서 상단 내측에 뚜껑상면(43)을 구비한 삽입부(42)와;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부와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면서 상기 맨홀받침(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뚜껑지지부(44)를 별도로 구성하고,
    상기 뚜껑지지부(44)와 삽입부(42)를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뚜껑지지부(44)에 삽입 안착되는 뚜껑(20) 양측의 개방홈(22a)(22b)과 대응되는 상기 뚜껑지지부(44)의 내측에 쌍기 개방홈(22a)(22b)에 수용되는 연결돌출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돌출부(45) 및 이와 접하는 삽입부(42)의 상면(43)에 핀공(46a)(46b)을 형성하고,
    상기 핀공(46a)(46b)에 연결핀(47)을 쐐기박음하여 두 몸체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링.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뚜껑지지부(44)에 삽입 안착되는 뚜껑(20) 양측의 개방홈(22a)(22b)과 대응되는 상기 뚜껑지지부(44)의 내측에 쌍기 개방홈(22a)(22b)에 수용되는 연결돌출부(45)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돌출부(45) 및 이와 접하는 삽입부(42)의 상면(43)에 나사공(56a)(56b)을 형성하여 이에 체결나사(57)를 체결하여 두 몸체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링.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향절곡된 상부말단(551)과 하향절곡된 하부말단(552)을 가진 크랭크 절곡형태의 연결핀(55)을 마련하고,
    상기 맨홀받침(10)의 뚜껑안착턱(13)에 삽입된 삽입부(42')와 맨홀받침(10) 사이의 틈새에 상기 하부말단(552)을 압입시키고,
    상기 연결핀(55)의 상부말단(551)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뚜껑지지부(44')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뚜껑지지부(44')를 맨홀받침(10)의 상부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링.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지지부(34)(44)의 둘레에는 덧씌워지는 포장재의 내부에 매립되어 견고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인서트(37)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인상링.
KR2020060020372U 2006-07-28 2006-07-28 맨홀 인상링 KR200435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72U KR200435298Y1 (ko) 2006-07-28 2006-07-28 맨홀 인상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72U KR200435298Y1 (ko) 2006-07-28 2006-07-28 맨홀 인상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298Y1 true KR200435298Y1 (ko) 2007-01-16

Family

ID=4155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372U KR200435298Y1 (ko) 2006-07-28 2006-07-28 맨홀 인상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2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28B1 (ko) * 2009-08-14 2010-02-24 (주)창원기술개발 인상링 기능을 갖는 사각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028B1 (ko) * 2009-08-14 2010-02-24 (주)창원기술개발 인상링 기능을 갖는 사각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509B1 (ko) 향상된 위치결정 및 유지 핀을 가진 개스킷 조립체와 이 개스킷 조립체의 제작 방법
USD563785S1 (en) Container cover
USD592906S1 (en) Drink pouring dispenser
US20060118073A1 (en) Cylinder head cover assembly for the cylinder hea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cylinder head cover assembly
GB2513250A (en) Sink with Drain Cover
KR200435298Y1 (ko) 맨홀 인상링
USD605032S1 (en) Door wedge
US6344137B1 (en) Superimposed drain cover
ITRM20100068U1 (it) Elemento di sicurezza per ridurre la pressione e piccolo container con sistema di riduzione della pressione.
JP3954991B2 (ja) グラウト継手のシールキャップ
JP6205293B2 (ja) キャップ
USD522365S1 (en) Portion of a glow-in-the-dark beverage lid
KR200403028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100949742B1 (ko)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ITTO960802A1 (it) Fondello con guarnizioni di tenuta ancorate, per una cartuccia per rubinetto idraulico.
KR100712408B1 (ko) 경사형 잠금장치 맨홀
KR20090126711A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KR102170494B1 (ko) 착유기의 받침링 구조
JP4169430B2 (ja) マンホール蓋における蓋板の貫通孔の閉止構造
FR2922908A1 (fr) Regard de chaussee.
KR200388681Y1 (ko) 맨홀의 고정장치
KR102305434B1 (ko) 양변기 압축장치
JP2023014326A (ja) 調整枠および筐体
USD620561S1 (en) Faucet sprayer neck
JP4345053B2 (ja) 排水マス等における芯出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