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178Y1 - 개량형 옷걸이 부재 - Google Patents

개량형 옷걸이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178Y1
KR200435178Y1 KR2020060022185U KR20060022185U KR200435178Y1 KR 200435178 Y1 KR200435178 Y1 KR 200435178Y1 KR 2020060022185 U KR2020060022185 U KR 2020060022185U KR 20060022185 U KR20060022185 U KR 20060022185U KR 200435178 Y1 KR200435178 Y1 KR 200435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es
plate
hanger
back plat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승
Original Assignee
이기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승 filed Critical 이기승
Priority to KR2020060022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47G25/50Hooks on hangers for supporting trousers or skir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형 옷걸이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복수개의 판을 전후방에 이격되게 설치하고, 어느 한 판에 옷걸이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옷걸이에 옷을 장시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 양측이 형태 변형되지 않도록 한 개량형 옷걸이 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옷을 걸기 위한 옷걸이에 있어서,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방판(24)이 배치되며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그 중앙이 연결봉(26)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배면판(22)의 상면 양측에는 각각 활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양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중앙 소정부에는 옷걸이의 고리(4)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옷을 장시간 걸어둘 때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이격 간격에 의해 옷의 상단 양측이 튀어나오거나 자국이 생기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배면판(22) 및 전방판(24)이 일정거리 이격되어져 있으므로, 옷(10)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뜨려진다고 하여도, 옷걸이 부재(20)의 어느 한 지점을 가압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장시간 옷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이 튀어나오는 등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량형 옷걸이 부재{AN IMPROVED COAT HANGER}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고리, 10:옷(상의),
11:바지, 20:개량형 옷걸이부재,
22:배면판, 24:전방판,
26:연결봉, 28:상부형태유지부,
30:바지걸이, 40:개량형 옷걸이부재,
42:연결봉, 44:걸림고리,
46:옷걸이몸체, 48:걸림턱.
본 고안은 개량형 옷걸이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복수개의 판을 전후방에 이격되게 설치하고, 어느 한 판에 옷걸이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옷걸이에 옷을 장시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 양측이 형태 변형되지 않도록 한 개량형 옷걸이 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옷걸이는 빨래 걸이 및 옷장 등에 옷을 쉽게 걸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옷걸이(2)는 상단에 옷장내의 옷걸이 봉(미도시) 또는 빨래 걸이봉(미도시)에 걸기 위한 고리(4)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고리(4)의 하단에 연장되면서 트라이앵글 형태의 몸체(6)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몸체(6)를 옷의 내부에 삽입하여 옷을 걸게 되면 상기 몸체(6)가 옷의 내부 상단에 걸려서 옷이 옷걸이(2)에 매달리게 된다.
상기 몸체(6)의 양측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져 옷의 폭방향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폭방향 형태 유지부(8)가 마련되어져 있다. 따라서, 옷(10)을 옷걸이(2)에 걸게 되면 옷의 내부 상단이 옷걸이(2)에 걸리면서 옷의 폭방향 형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옷(10)이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지게 걸린다.
하지만, 이러한 옷걸이(2)의 경우에는 장시간 옷(10)을 걸어두게 되면, 옷(10) 자체의 중량에 의해 옷(10)이 상기 폭방향 형태 유지부(8)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폭방향 형태 유지부(8)를 가압하는 옷의 부분이 튀어나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옷걸이(2)에 걸어둔 옷을 입으려고 하면, 옷(10)의 상부 양 측단이 튀어나온 자국이 생기므로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개의 판을 전후방에 이격되게 설치하고, 어느 한 판에 옷걸이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옷걸이에 옷을 장시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 양측이 형태 변형되지 않도록 한 개량형 옷걸이 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옷을 걸기 위한 옷걸이에 있어서,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ㅈ전방판(24)이 설치되며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그 중앙이 연결봉(26)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배면판(22)의 상면 양측에는 각각 활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양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중앙 소정부에는 옷걸이의 고리(4)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옷을 장시간 걸어둘 때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이격 간격에 의해 옷의 상단 양측이 튀어나오거나 자국이 생기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판(24) 또는 배면판(22)의 어느 한 판의 하면에 바지를 걸기 위한 바지걸이 고리(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판(24)은 배면판(22)에 비해 그 크기가 더 작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가 제공된다.
한편, 본 고안은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며, 배면판(22)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전방판(24)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각각 좌우에 복수개 구성된 연결봉(4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그 연결봉(42)의 중앙에는 반원형태의 걸림고리(44)가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그 좌우에 형성된 걸림턱(48)이 상기 걸림고리(44)에 결합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구성된 옷걸이 몸체(46)가 구성되고, 그 옷걸이 몸체(46)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고리(4)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20)는 복수개의 판을 전후방에 이격되게 설치하고, 어느 한 판에 옷걸이의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옷걸이에 옷을 장시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 양측이 형태 변형되지 않도록 한 개량형 옷걸이 부재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20)는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며, 배면판(22)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전방판(24)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연결봉(26)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20)는 상기 배면판(22)의 상면 양측에는 각각 활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양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중앙 소정부에는 옷걸이의 고리(4)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형태 유지부(28)는 옷이 자중에 의해 밀착되게 되므로, 그 형태가 옷의 상단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20)는 상기 전방판(24) 또는 배면판(22)의 어느 한 판의 하면에 바지를 걸기 위한 바지걸이 고리(30)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방판(24) 및 배면판(22) 모두의 하단에 상기 바지걸이 고리(30)가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때, 상기 바지걸이 고리(30)는 상기 전방판(24) 및 배면판(22)의 하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그 전방판(24) 및 배면판(22)의 길이방향으로 사용자의 임의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바지(11)의 상단 폭길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20)는 상기 배면판(22) 및 전방판(24)이 일정거리 이격되어져 있으므로, 옷(10)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뜨려진다고 하여도, 옷걸이 부재(20)의 어느 한 지점을 가압하는 구조 가 아니므로 장시간 옷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이 튀어나오는 등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20)는 상기 배면판(22)의 크기에 비해 상기 전방판(24')의 크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역시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옷(10)이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에 의해 나뉘어 걸려져 있으므로 옷의 상단이나 측면에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40)는 복수개의 판을 전후방에 이격되게 설치하고, 각 판을 연결하는 연결봉의 중앙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그 절곡부에 옷걸이를 삽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옷을 장시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 양측이 형태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먼저 복수개의 판을 옷의 내부 상단에 삽입하고, 옷걸이 몸체를 나중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옷걸이를 옷의 내부에 삽입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형 옷걸이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40)는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며, 배면판(22)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전방판(24)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각각 좌우에 복수개 구성된 연결봉(4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다. 그 연결봉(42)의 중앙에는 반원형태의 걸림고리(44)가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그 좌우에 형성된 걸림턱(48)이 상기 걸림고리(44)에 결합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구성된 옷걸이 몸체(46)가 구성되고, 그 옷걸이 몸체(46)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고리(4)가 연장되게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40)는 상기 연결봉(42)으로 연결된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을 먼저 티셔츠 등의 옷(10) 내부 상단으로 삽입하고, 그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사이로 상기 옷걸이 몸체(46)를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옷걸이 몸체(46)의 중앙 상방으로 돌출된 고리(4)는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방으로 인출되며, 상기 옷걸이 몸체(46)의 좌우측단에 형성된 걸림턱(48)은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봉(42)의 걸림고리(44)에 걸리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옷걸이 몸체(46)의 중앙 상방으로 돌출된 고리(4)를 옷장이나 빨래용 봉(미도시)에 걸게 되면 개량형 옷걸이 부재(40)가 옷을 매단채 봉에 걸리게 된다. 몰론, 이러한 개량형 옷걸이 부재(40)도 역시 옷의 좌우측단의 내부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일정간격 유격된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으로 인해, 장시간 옷을 걸어두어도 그 상부 좌우측단이 튀어나오는 자국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옷걸이 몸체(46)의 좌우측단에 형성된 걸림턱(48)을 이용해서는 바지(11)를 걸 수도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옷을 신속하게 걸 수 있고, 그 개량형 옷걸이 부재(40)로부터 옷을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하면에도 바지걸이 고리(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량형 옷걸이 부재는 배면판(22) 및 전방판(24)이 일정거리 이격되어져 있으므로, 옷(10)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뜨려진다고 하여도, 옷걸이 부재(20)의 어느 한 지점을 가압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장시간 옷을 걸어두어도 옷의 상단이 튀어나오는 등의 형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방판(24)이 배치되며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그 중앙이 연결봉(26)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상기 배면판(22)의 상면 양측에는 각각 활 형태로 이루어진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양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상부 형태 유지부(28)의 중앙 소정부에는 옷걸이의 고리(4)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옷을 장시간 걸어둘 때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이격 간격에 의해 옷의 상단 양측이 튀어나오거나 자국이 생기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판(24) 또는 배면판(22)의 어느 한 판의 하면에 바지를 걸기 위한 바지걸이 고리(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판(24)은 배면판(22)에 비해 그 크기가 더 작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
  4. 옷(10)의 폭방향 길이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박막 의 배면판(22)이 구성되고, 그 배면판(22)의 전방에는 그 배면판(22)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며, 배면판(22)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전방판(24)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배면판(22)과 전방판(24)은 각각 좌우에 복수개 구성된 연결봉(4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고, 그 연결봉(42)의 중앙에는 반원형태의 걸림고리(44)가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배면판(22)과 전방판(24)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그 좌우에 형성된 걸림턱(48)이 상기 걸림고리(44)에 결합되도록 삼각형 형태로 구성된 옷걸이 몸체(46)가 구성되고, 그 옷걸이 몸체(46)의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고리(4)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옷걸이 부재.
KR2020060022185U 2006-08-18 2006-08-18 개량형 옷걸이 부재 KR200435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185U KR200435178Y1 (ko) 2006-08-18 2006-08-18 개량형 옷걸이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185U KR200435178Y1 (ko) 2006-08-18 2006-08-18 개량형 옷걸이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178Y1 true KR200435178Y1 (ko) 2007-01-10

Family

ID=4155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185U KR200435178Y1 (ko) 2006-08-18 2006-08-18 개량형 옷걸이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1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4778Y2 (ko)
EP3222171B1 (en) Clothes hanger with bendable hook
US20050023310A1 (en) Hanger
KR200435178Y1 (ko) 개량형 옷걸이 부재
JP3202063U (ja) 衣類用ハンガー
KR101227054B1 (ko) 사용이 편리한 옷걸이
KR20130111116A (ko) 이중바 구조로 바지의 구김과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옷걸이
USD946288S1 (en) Sectioned clothes hanger
KR20120002287U (ko) 다기능 옷걸이
JP5908823B2 (ja) タートルネック及びフード付衣類用洗濯物干しハンガー
KR102323043B1 (ko) 옷걸이
CN211049039U (zh) 多功能的防滑衣架
KR200340582Y1 (ko) 바지걸이 겸용 옷걸이
KR20130096352A (ko) 이중바 구조로 바지의 구김과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옷걸이
JP3150943U (ja) 衣料用ハンガー
KR19980058233U (ko) 옷걸이
JP4708165B2 (ja) ベルト通し付き衣服用ハンガー
KR200178662Y1 (ko) 타이 걸이
KR200417226Y1 (ko) 의류용 집게
KR20230000866U (ko) 코디 옷걸이
KR200455631Y1 (ko) 롤형 집게를 구비하는 옷걸이
KR20240001825A (ko) 옷걸이
JPH0641496Y2 (ja) 衣紋掛整理用ハンガー
JP3190221U (ja) 下半身用衣料のハンガー
JP2006247314A (ja) 組み立て式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