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242Y1 - 승하강 화장실 - Google Patents

승하강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242Y1
KR200434242Y1 KR2020060024947U KR20060024947U KR200434242Y1 KR 200434242 Y1 KR200434242 Y1 KR 200434242Y1 KR 2020060024947 U KR2020060024947 U KR 2020060024947U KR 20060024947 U KR20060024947 U KR 20060024947U KR 200434242 Y1 KR200434242 Y1 KR 200434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anure
storage unit
disab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림교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림교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림교역
Priority to KR2020060024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2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7/00Wheeled lav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승하강 화장실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된 화장실본체와; 화장실본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화장실 부스와; 제 1 화장실 부스 내부에 장착된 제 1 변기와; 탑재부의 일 측에 위치되고 소정 높이만큼 수직으로 상하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와; 수직이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수직이동부에 장착되며 수직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와;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 내 장착된 제 2 변기와;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에 장착되며 제 2 변기의 분뇨가 저장되는 임시분뇨저장부와; 제 1 변기 또는 임시분뇨저장부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되는 오수저장부; 및 일단은 임시분뇨저장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오수저장부와 연결된 오수 송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승하강 화장실은 차량에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장애인용화장실이 바닥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장애인용화장실을 이용하는 사람이 안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식 화장실, 상승 하강, 승하강, 장애인

Description

승하강 화장실{Movable lifting and dropping bathroom}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화장실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이동부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이동부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a는 도 2에 장착된 차단막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차단막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5...제 1 화장실 부스(115) 117...제 1 변기(117)
120...수직이동부 125...장애인용 화장실 부스
127...제 2 변기 130...임시분뇨저장부
140...오수저장부(140) 및 150...오수 송출부(150)
본 고안은 승하강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의해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분뇨 등 오수를 수용하기 위한 정화조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사장이나 공원 등과 같은 부지에 따로 정화조를 설치하여야하는 번거로움, 설치 작업시 인력과 시간 및 비용 등이 많이 지출되기 때문에 이동식 화장실을 구비하여 일시적으로 필요하거나, 정화조설치가 어려운 부지 등에 간단한 시공만으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화장실을 구비한다.
이러한 화장실은 차량에 탑재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소정 높이에 화장실이 장착되게 된다.
종래 이동식 화장실(10)에 사용되는 승하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히, 몸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승하강 장치(11)를 이용하여 장애인용화장실(15)로 이동하였다.
상기 승하강 장치(11)는 장애인이 상기 승하강 장치(11)에 탑재하여 이동하는 도중에 급작스런 동작 멈춤과 같은 장치 고장이나 탑승시 상기 승하강 장치(11)에 걸려 넘어지는 사고로 인하여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장실(15)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11)가 내려가고 올라오는 구동시간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대/소변을 급히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몸이 불편한 사람이 승하강 장치가 작동이 갑자기 멈추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된 승하강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승하강 화장실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된 화장실본체와; 상기 화장실본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화장실 부스와; 상기 제 1 화장실 부스 내부에 장착된 제 1 변기와; 상기 탑재부의 일 측에 위치되고 소정 높이만큼 수직으로 상하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 내 장착된 제 2 변기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변기의 분뇨가 저장되는 임시분뇨저장부와; 상기 제 1 변기 또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되는 오수저장부; 및 일단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오수저장부와 연결된 오수 송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이동부는 수직방향의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피니언기어 및 도르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본체의 일 측면과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부스의 일 측면이 서로 맞대어 위치되며, 상기 화장실의 일 측면엔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의 일 측면엔 상기 롤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수 송출부는, 일단이 상기 임시 분뇨 저장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오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지그재그로 주름지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된 주름관; 및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로부터 상기 주름관을 통하여 상기 오수저장부로 분뇨를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에 적재된 분뇨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뇨가 적재된 위치가 저장공간의 한계치 여부인가를 판단하고, 저장공간 한계치인 경우,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수 송출부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오수저장부로 이동된 후, 상기 오수저장부로 이동된 분뇨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화장실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직이동부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직이동부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a는 도 2에 장착된 차단막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차단막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먼저 승하강 화장실(100)은 화장실본체(110)와, 제 1 화장실 부스(115)와, 제 1 변기(117)와, 수직이동부(120)와, 동력부(미도시)와,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와, 제 2 변기(127)와, 임시분뇨저장부(130)와, 오수저장부(140) 및 오수 송출부(150)를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차량(C)에 장착되어 차량(C)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100)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110)는 상기 차량(C)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화장실본체(1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화장실 부스(11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변기(117)는 상기 제 1 화장실 부스(115) 내부에 장착되 어, 사용자가 대소변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부(120)는 상기 탑재부의 일 측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 높이만큼 수직으로 상하 이동된다.
상기 수직이동부(120)는 수직방향의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피니언기어 및 도르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부(120)가 도르레인 경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는 상기 수직이동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이동부(1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 내에는 상기 제 2 변기(127)가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는 핀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161,162)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가 상승된 후 상승이 멈추거나, 하강한 후 하강이 멈춘 경우,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가 상기 화장실 본체(110)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핀(161,162)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 측면과 상기 화장실본체(110)의 좌/우측면에 위치되어 나사와 볼트의 형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와 상기 화장실본체(110)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대응면에 고정대(265)가 더 구비되어 상기 핀(261,262)을 끼워넣어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본체(110)의 일 측면과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부스(125)의 일 측면이 서로 맞대어 위치되며, 상기 화장실의 일 측면엔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 능한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의 일 측면엔 상기 롤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롤러와 롤러 가이드는 상기 수직이동부가 동작하는 경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승하강 화장실(100)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의 상부 일 측에 높이 제한 스위치(170)를 더 구비하여,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는 상기 제 2 변기(127)로 장애인이 배설한 분뇨가 저장되는 임시분뇨저장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에 적재된 분뇨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수저장부(140)는 상기 제 1 변기(117)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되며,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된다.
상기 오수 송출부(150)는 일단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오수저장부(140)와 연결되어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로부터 분뇨가 상기 오수저장부(140)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오수 송출부(150)는, 지그재그로 주름지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된 주름관(151) 및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로부터 상기 주름관(151)을 통하여 상기 오수저장부(140)로 분뇨를 이동시키는 펌프(15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관은 구부러짐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125)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여도 쉽게 부러지지 않는다.
상기 오수 송출부(150)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오수저장부(140)로 이동된 후, 상기 오수저장부(140)로 이동된 분뇨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180)은 상기 오수저장부(140)로부터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로 분뇨가 흘러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은 심장판막과 같은 원리로 상기 분뇨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수저장부(140)로 흐르는 분뇨의 유동력에 의해 상기 차단막(180)은 열리게 되며, 상부에서 하부로는 상기 차단막(180)이 오무러진 상태에서 분뇨의 중력에 의해 오무러짐이 유지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180)은 베이스틀(181)과 4개의 날개(18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틀(181)은 펌프의 유입구에 위치되어 분뇨가 흐를 수 있도록 중앙이 개방되고, 상기 4개의 날개는 상기 날개 중 하부, 측부의 3개는 중력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열리지 않도록 고정되며 나머지 상부 측의 1개 날개는 자유롭게 외 측으로 열리고 내측으로 닫힘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자유롭게 내외 측으로 열림·닫힘이 가능한 상기 날개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고 측 부 3개의 상기 날개는 좌석으로 이루어져, 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시, 상기 오수저장부(130)로부터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로 분뇨가 흐르지 않도록 상기 차단막(180)을 단단히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 화장실(100)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130)의 분뇨를 상기 오수 저장부(140)로 이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수위센서(132)의 수위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뇨가 적재된 위치가 저장공간의 한계치 여부인가를 판단하고, 저장공간 한계치인 경우, 상기 펌프(156)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1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이동부(120)는 차량(C)이 이동될 땐 상기 장애인용화장실부스(125)를 상승시킨 후 상승된 위치를 유지시키고, 화장실을 이용할 경우는 바닥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이동부(120)는 차량(C)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애인용화장실부스(125)가 상승하여 바닥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량(C)이 이동하지 않으며 화장실로 이용할 때는, 장애인용화장실부스(125)를 바닥에 맞닿게 하여 몸이 불편한 사람이 장애인용화장실부스(125)로 이동하는 중 승하강 장치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승하강 장치가 갑작스럽게 멈추는 등의 장치고장으로 화장실사용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부수적으로,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화장실은 상기 승하강 장치가 내려가고 올라오는 구동시간을 기다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화장실은 화장실로 가기 위하여 이동장치의 작동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승하강 화장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직이동부는 차량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애인용화장실부스를 상승시켜 바닥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이동하지 않으며 화장실로 이용할 때는, 장애인용화장실부스를 바닥에 맞닿게 하여 몸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장애인용화장실부스로 이동하는 중 승하강 장치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승하강 장치가 갑작스럽게 멈추는 등의 장치고장으로 화장실사용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승하강 장치가 내려가고 올라오는 구동시간을 기다려야 불편이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탑재부 상부에 위치된 화장실본체와;
    상기 화장실본체 내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화장실 부스와;
    상기 제 1 화장실 부스 내부에 장착된 제 1 변기와;
    상기 탑재부의 일 측에 위치되고 소정 높이만큼 수직으로 상하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수직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 내 장착된 제 2 변기와;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변기의 분뇨가 저장되는 임시분뇨저장부와;
    상기 제 1 변기 또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로부터 이동된 분뇨가 저장되는 오수저장부; 및
    일단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오수저장부와 연결된 오수 송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는 수직방향의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피니언기어 및 도르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본체의 일 측면과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부스의 일 측면이 서로 맞대어 위치되며, 상기 화장실의 일 측면엔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장애인용 화장실 부스의 일 측면엔 상기 롤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송출부는,
    일단이 상기 임시 분뇨 저장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오수저장부와 연결되며, 지그재그로 주름지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된 주름관; 및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로부터 상기 주름관을 통하여 상기 오수저장부로 분뇨를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에 적재된 분뇨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 측정값에 기초하여 분뇨가 적재된 위치가 저장공간의 한계치 여부인가를 판단하고, 저장공간 한계치인 경우,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송출부는,
    상기 임시분뇨저장부에 저장된 분뇨가 상기 오수저장부로 이동된 후, 상기 오수저장부로 이동된 분뇨가 상기 임시분뇨저장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강 화장실.
KR2020060024947U 2006-09-15 2006-09-15 승하강 화장실 KR200434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47U KR200434242Y1 (ko) 2006-09-15 2006-09-15 승하강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47U KR200434242Y1 (ko) 2006-09-15 2006-09-15 승하강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242Y1 true KR200434242Y1 (ko) 2006-12-18

Family

ID=4178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47U KR200434242Y1 (ko) 2006-09-15 2006-09-15 승하강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23B1 (ko) 2007-04-13 2007-08-02 이우호 다기능 이동식 화장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23B1 (ko) 2007-04-13 2007-08-02 이우호 다기능 이동식 화장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6763B2 (ja) 開閉式浴槽
KR100756652B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JPH0880333A (ja) 側部に出入口を備えた浴槽
US20160120722A1 (en) Lift
KR200434242Y1 (ko) 승하강 화장실
US9918887B1 (en) Medical toilet bed system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WO2012023878A1 (en) Pool with a movable floor
WO1997015222A1 (en) Telescoping bathtub assembly
JP3286910B2 (ja) 水槽の昇降式二重底床装置
JP5032044B2 (ja) ホームエレベータ
KR101071307B1 (ko) 풋 밸브를 구비한 소변기용 무전력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소변장치
JP7112630B2 (ja) 扉およびドレインを備えたバスタブ
JP3132903U (ja) 要介護者用入浴、排泄装置
KR102499534B1 (ko)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KR200153406Y1 (ko) 매입형 승강식 휠체어 이동장치
KR102156847B1 (ko) 수압식 절수형 높이조절장치
JPH11197194A (ja) 油圧式昇降機を取り付けた入浴、トイレ兼用の介護ベッド
JP2003033417A (ja) 収納式入浴装置
JP2001104433A (ja) 浴 槽
JP2006230882A (ja) エレベータ連絡階段のバリアフリー構造
JP3740140B2 (ja) 船舶のバリアフリー昇降装置
JPH0423549Y2 (ko)
CN204280987U (zh) 一种环保型电梯
RU2161435C2 (ru) Механизм подъема и опускания сиденья для ван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