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172Y1 - 배수구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172Y1
KR200434172Y1 KR2020060026987U KR20060026987U KR200434172Y1 KR 200434172 Y1 KR200434172 Y1 KR 200434172Y1 KR 2020060026987 U KR2020060026987 U KR 2020060026987U KR 20060026987 U KR20060026987 U KR 20060026987U KR 200434172 Y1 KR200434172 Y1 KR 200434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losing plate
weigh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종합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종합자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종합자재
Priority to KR2020060026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를 차단하고 하수의 역류를 예방함과 아울러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구조가 간단한 배수구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배수구용 개폐장치는 배수구 뚜껑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빗물 유입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빗물 유입공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힌지축; 상기 빗물 유입공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끝단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힌지축 고정 블럭; 상기 빗물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결된 무게조정부를 갖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개폐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DRAINAGE}
도 1은 종래의 배수구용 개폐장치를 보여 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배수구 뚜껑과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의 전면를 보여 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수구용 개폐장치의 배면을 보여 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수구 뚜껑과 배수구용 개폐장치의 측면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의 전면을 보여 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의 전면을 보여 주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의 전면을 보여 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배수구용 개폐장치 11, 31 : 사각 프레임
11-1 : 외주부 11-2: 횡단부
12, 32 : 힌지축 고정블럭 13 : 힌지축
14 : 빗물 유입공 15, 35 : 개폐판
16 : 무게조정부 16-1 : 추
16-1 : 보조조정부 18 : 축지지부
20 : 배수구 뚜껑
본 고안은 배수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나 하수처리를 위하여 각 도시에는 배수로가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고, 도로변에 그 배수로와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뚜껑이 덮여진다. 이 뚜껑을 통해 지면 상에서 흐르는 물이나 빗물이 배수로로 유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구에는 하수와 많은 오물이 석여 있어 악취가 심하게 나며, 이러한 악취는 배수구 뚜껑을 통해 지상으로 유출되고 있다. 이러한 악취는 혹서기에 더 심하다. 따라서, 배수구 인근의 주민이나 상인들은 배수구로부터의 악취를 막기 위해 비닐, 천, 판자 등으로 배수구 뚜껑을 덮는 일이 빈번하다. 따라서, 배수구를 차폐하여 악취의 유출을 막고 또한, 배수를 위하여 배수를 개방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큰 단점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8213호에 개시된 장치는 도 1과 같이 두꺼운 벽면부와 힌지 하나당 하나의 차폐판이 부착되어 두께가 두껍고 많은 힌지가 필요하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197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3598호 역시 두꺼운 몸체부와 힌지 하나당 하나의 차폐판이 부착되어 두께가 두껍고 많은 힌지가 필요할 뿐 아니라 무게부(또는 추)로 인하여 과중량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1794는 배수구 뚜껑에 형성된 구멍마다 무게중심판이 형성된 개폐구본체를 힌지로 체결하고, 그 개폐구본체에 다시 보조 개폐부를 형성하여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는 하수구 개폐장치의 개폐동작을 위하여 주로 스프링 등의 탄성수단을 이용하였으나, 스프링은 그 재질의 특성상 하수에 의하여 쉽게 부식되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개폐동작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고안으로써,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구조가 간단한 배수구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 는 상기 배수구 뚜껑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빗물 유입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빗물 유입공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힌지축; 상기 빗물 유입공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끝단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힌지축 고정 블럭; 상기 빗물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결된 무게조정부를 갖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개폐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회전 구동 중, 상기 개폐판 또는 상기 무게조정부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전 구동이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2개씩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개폐부들에 연결된 무게조정부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수구용 개폐장치는, 상기 개폐판과 상기 무게 조정부 간의 무게 불균형을 보상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고 상기 무게 조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배수구용 개폐장치(10)는 배수구 뚜껑(혹은, 맨홀 뚜껑)(20)에 와이어결선 또는, 스크류 등으로 고정된다.
이 배수구용 개폐장치(10)는 배수구 뚜껑(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빗물 유입공(14)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11), 사각 프레임(11)에 형성된 빗물 유입공(14)을 가로지르는 힌지축(13), 사각 프레임(11)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힌지축 고정블럭(12), 상기 빗물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15) 및 상기 개폐판(15)에 연결된 무게조정부(16)을 갖고 상기 개폐판(15)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힌지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개폐부를 구비한다.
사각 프레임(11)은 사각형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주부(11-1)와 상기 외주부의(11-1)의 중심을 폭 방향(또는, y방향)으로 가로지도록 형성되는 횡단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 프레임(11)은 힌지축 고정 블럭(12)을 지지하고 빗물 유입공(14)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개폐판(15)의 스토퍼(stopper) 역할을 겸한다. 또한, 사각 프레임(11)은 용접이나 와이어 결선으로 배수구 뚜껑(20)에 체결되어 배수구용 개폐장치(10) 전체를 배수구 뚜껑(20)에 고정한다. 이 사각 프레임(11)은 배수구 뚜껑(20)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되며, 배수구 뚜껑(20)이 원형, 타원형 등으로 변경되면 그 배수구 뚜껑(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사각 프레임(11)은 배수구 뚜껑(20)과 체결되지 않고 그 위에 배수구 뚜껑(20)을 단순 적층하는 구조로 배수구 뚜껑(20)과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 프레임(11)과 배수구 뚜껑(20)의 연결부재가 필요없게 되고 사각 프레임(11)과 배수구 뚜껑(20)을 체결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또한, 배수구 뚜껑(11)의 형상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10)를 배수구 뚜껑 아래에 간 단히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힌지축(13)은 사각 프레임(11)의 횡단부(11-2)와 빗물 유입공(14)이 인접하는 부근에서, 상기 횡단부(11-2)와 평행하게 배열되며, 양 끝단이 힌지축 고정블럭(12)에 고정된다.
힌지축 고정블럭(12)은 사각 프레임(11)의 횡단부(11-2)와 빗물 유입공(14)이 인접하는 부근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11)의 외주부(11-2) 상에 배열된다. 상기 힌지축 고정블럭(12)은 사각 프레임(11)에 용접 또는 억지끼워 맞춤 형태로 체결되거나 사각 프레임(11)의 일부를 절개한 후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사각 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축(13)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각 개폐부는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를 포함한다.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무게조정부(16)는 개폐판(15)으로부터 연장됨으로써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힌지축(13)이 배열되고, 축지지부(18)와 개폐부 사이에 형성된 힌지축 삽입공을 통해 힌지축(13)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축 지지부(18)는 힌지축(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와 일정한 공간을 두고서 개폐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가 열결되는 부분의 일부를 절개한 후 안쪽(또는, z 방향)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개폐부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그 무게가 평형 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이 평형을 이룰 때에 상기 계폐판(15)은 사각 프레임(11)과 맞닿음으로써 빗물 유입공(14)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폐판(15)에 빗물 등의 중량으로 하강 압력이 가해지면 힌지축(13)을 중심으로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 간에 무게 불균형이 발생하여 개폐판(15)이 하방향으로 회동하여 빗물 유입공(14)을 개방함으로써 빗물 유입공(14)를 통해 빗물을 하수구로 흘려보내는 반면, 빗물이 없거나 빗물의 중량이 작을 때에는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6) 사이에 다시 무게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개폐판(15)이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빗물 유입공(14)을 차폐하게 된다. 한편, 개폐판(15)에 의해 빗물 유입공(14)이 안정되게 차폐될 수 있도록 개폐판(15) 각각의 폭(W1)은 빗물 유입공(14)의 폭(W2)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15) 각각의 길이(L1)는 빗물 유입공(14)의 길이(L2)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판(15)의 폭(W1) 또는 길이(L1)를 빗물 유입공의 폭(W2) 또는 길이(L2) 보다 약간 크게 형성함으로써, 개폐판(15)이 상방향으로 회동시에는 개폐판(15)이 프레임(14)의 외주부(11-1)에 접촉됨으로써 빗물 유입공(14)을 차폐할 수 있고, 하방향으로 회동시에 무게조정부(16)가 프레임(14)의 횡단부(11-2)에 접촉됨으로써 빗물 유입공(14)과 차폐판(15) 사이에 개방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무게조정부(16)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개폐판(16)과의 실질적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판(15)는 일정한 무게 이상의 빗물이 유입될 경우에만 개폐될 수 있도록 무게조정부(16)의 무게를 개폐판(15)의 무게보다 다소 무겁게 형성하거나 상기 개폐판(15)과 무게조정부(19)간의 연결되 각도(θ)를 작게 설정할 수도 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으며 상기 '실질적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는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무게조정부(16)가 개폐판(16)과 무게 평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기 무게조정부(16)와 개폐판(16)은 서로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θ)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무게조정부(16)와 개폐판(16) 사이의 각도(θ)가 90도 또는 90도보다 작다면 무게중심이 개폐판(15)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개폐판(15)이 사각프레임(11)이 위치한 수평면 아래로 하강하여 빗물유입공(14)은 항상 개방 상태에 놓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무게조정부(16)와 개폐판(16) 사이의 각도(θ)가 180도가 되면, 상기 무게조정부(16)가 사각 프레임(11)의 횡단부(11-2)와 맞닿게 되어 개폐판(15)이 움직일 수 없으므로, 빗물유입공(14)을 개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무게조정부(16)와 개폐판(16)은 서로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θ)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개폐판(16)이 수평면으로부터 하강하는 각도(Ψ)를 60도 내지 80도로 설정할 경우, 상기 무게조정부(16)와 개폐판(16) 사이의 각도(θ)는 100도 내지 120도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판(16)은 빗물 유입공(14)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빗물 유입공(14)의 크기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무게조정부(16)는 배수구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수구 내부의 하수에 침수될 경우에는 상기 개폐판(16)의 회동운동을 방해하거나 하수의 원할한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무게 조정부(16)는 개폐판(16)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며, 특히 무게 조정부(16)의 길이(x방향의 길이)는 개폐판(16)의 길이(L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이 무게 조정부(16)의 크기가 개폐판(16)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그 만큼 감소되는 무게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무게 조정부(16)의 일단부에 추(16-1)를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추(16-1)는 상기 개폐판(16)과 무게 조정부(16) 사이에 발생하는 무게의 불균형을 보상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16-1)는 무게조정부(16)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주철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게조정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15)의 한 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개폐판(15)의 사각프레임(11)의 횡단부(11-1)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열될 경우, 각각의 개폐판(15)에 연결된 무게조정부(16)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무게조정부(16)가 개폐판(15)의 한 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판(15)의 한 변 중 무게조정부(16)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는 보조조정부(16-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조정부(16-2)는 무게조정부(16)와 함께 개폐판(15)과의 무게균형을 이루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축 지지부(18)를 부착 또는 형성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개폐판(15)과 각각에 연결된 무게조정부(16)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무게 조정부(16)의 길이(x방향의 길이)는 사각 프레임(11)의 횡단부(11-2)의 길이(x방향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조정부(16)는 개폐판(15)의 한 변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한 쌍의 개폐판(15)이 사각프레임(11)의 횡단부(11-1)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구조에서, 무게조정부(16)를 개폐판(15)의 한 변 전체에 걸쳐서 형성할 경우에는, 한 쌍의 무게조정부(16)가 회전 구동시 서로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길이가, 한 쌍의 개폐판(15)의 한 변의 일측에 형성되어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 구조를 갖는 무게조정부(16)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무게조정부(16)를 개폐판(15)의 한 변 전체에 걸쳐서 형성하면, 그 짧아진 길이만 큼 감소된 무게를 보상하기 위한 추(16-1)의 무게를 크게 해야 하며, 이와 같이 추(16-1)의 무게를 크게 할 경우에는 작은 양의 빗물이 유입될 경우 개폐판(15)의 회전 구동 능력이 다소 감소될 수 있다.
사각 프레임(11), 개폐판(15) 및 무게조정부(16)를 각각 1mm~2mm정도의 얇은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사각 프레임(11), 한 쌍의 개폐판(15), 힌지축 고정블럭(12), 힌지축(13) 및 축지지부(18)는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나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사각 프레임(11), 개폐판(15) 및 무게조정부(16)을 1 mm 두께의 스테인레스로 제작하고 상기 무게조정부(16)에 200g의 주철추(16-1)을 부착한 결과, 20g의 빗물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때 빗물 유입공(14)이 대략 60° 내지 80°정도 개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30)의 전면을 보여 주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수구용 개폐장치(30)는 배수구 뚜껑(20)에 체결되며 복 수의 빗물 유입공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31), 각각의 빗물 유입공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힌지축(미도시), 각각의 빗물 유입공 양측에서 사각 프레임(31)에 형성되는 힌지축 고정블럭(32), 상기 빗물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32)과, 상기 개폐판(32)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록 연결된 무게조정부를 갖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개폐판(15)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는 힌지축이 사각 프레임(31) 내부에 다수 쌍의 개폐부가 형성된 점을 제외하여 하나의 빗물 유입공, 한 쌍의 개폐판(35), 힌지축 및 힌지축 고정 블럭(32)의 결합 구조가 도 2 내지 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사각 프레임(31)의 강성이 더 커지고 긴 배수구 뚜껑(20)에 적합하다는 잇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배수구용 개폐장치로써 배수구 뚜껑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때 그 형상에 대응하여 프레임과 개폐판의 구조가 변경된 예를 보여 준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는 어떠한 형상의 배수구 뚜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는 하수구로부터의 악취를 차단하고 하수의 역류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배수구 뚜껑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들이 하나의 개폐판에 의해 개폐되므로 두께가 얇고 가벼 우며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는, 개폐판과 무게조정부 사이에 무게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적은 양의 빗물에 의하여 개폐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개폐판을 개방한 후, 다시 중력을 이용하여 개폐판을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개폐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장기간 원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개폐장치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의 내부 구조에 관계없이 단지 지표면에 설치된 배수구 뚜껑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치 및 폐기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작업의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배수구 뚜껑에 체결되는 배수구용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뚜껑의 아래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빗물 유입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빗물 유입공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힌지축;
    상기 빗물 유입공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양끝단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힌지축 고정 블럭;
    상기 빗물 유입공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결된 무게조정부를 갖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개폐판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회전 구동 중, 상기 개폐판 또는 상기 무게조정부가 상기 프레임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전 구동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2개씩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개폐부들에 연결된 무게조정부들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과 상기 무게 조정부 간의 무게 불균형을 보상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고, 상기 무게 조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개폐장치.
KR2020060026987U 2006-09-29 2006-09-29 배수구용 개폐장치 KR200434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87U KR200434172Y1 (ko) 2006-09-29 2006-09-29 배수구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987U KR200434172Y1 (ko) 2006-09-29 2006-09-29 배수구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172Y1 true KR200434172Y1 (ko) 2006-12-18

Family

ID=4178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987U KR200434172Y1 (ko) 2006-09-29 2006-09-29 배수구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1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40B1 (ko) * 2008-12-30 2009-08-11 오웅배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0458921Y1 (ko) * 2009-09-03 2012-03-21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악취차단형 배수로 덮개
KR101383819B1 (ko) 2012-12-20 2014-04-08 주식회사 원일레이져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40B1 (ko) * 2008-12-30 2009-08-11 오웅배 악취방지용 배수로 덮개
KR200458921Y1 (ko) * 2009-09-03 2012-03-21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악취차단형 배수로 덮개
KR101383819B1 (ko) 2012-12-20 2014-04-08 주식회사 원일레이져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862Y1 (ko) 배수구용 개폐장치
JP4339912B2 (ja) 遮集管渠の土砂流入防止装置
KR100714488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0562712B1 (ko) 악취방지용 덮개
KR200434172Y1 (ko) 배수구용 개폐장치
KR20150118000A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및 그를 가지는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0434948Y1 (ko) 하수구용 배스트랩
KR100825374B1 (ko) 그레이팅 개폐장치
KR20110101323A (ko)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JP2004522016A (ja) 道路の下水溝に取り付けられる下水逆流及び悪臭防止装置
KR200303581Y1 (ko) 하수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101306829B1 (ko) 하수관거용 악취저감 가림막장치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639585B1 (ko)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배수구 덮개
WO2009025482A3 (en) Cover preventing an offensive odor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20100116979A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JP2004150171A (ja) 排水トラップ
KR20120000758U (ko) 맨홀의 악취방지장치
KR101129398B1 (ko) 악취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JP2000192491A (ja) マンホ―ル蓋の飛散防止装置
KR20100130708A (ko)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100826869B1 (ko) 역류시 동작 가능한 배수구 개폐장치
KR100942607B1 (ko) 악취차단장치가 구비된 맨홀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