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542Y1 -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542Y1
KR200433542Y1 KR2020060024912U KR20060024912U KR200433542Y1 KR 200433542 Y1 KR200433542 Y1 KR 200433542Y1 KR 2020060024912 U KR2020060024912 U KR 2020060024912U KR 20060024912 U KR20060024912 U KR 20060024912U KR 200433542 Y1 KR200433542 Y1 KR 200433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ltage
hoist
curr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두연
Original Assignee
여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두연 filed Critical 여두연
Priority to KR2020060024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5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a single car or c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 B66B17/28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electr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위상 제어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위상 제어를 위하여 전원 변환부로 듀티비 또는 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호이스트, 위상제어, 트라이액, 사이리스터

Description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Hoist Controller}
도 1은 호이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전류-토크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전압 검출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전류-토크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호이스트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호이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100)는 창고,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분해·조립에 사용된다. 호이스트(100)는 권상용(捲上用) 로프(110) 끝에 훅(hook)(120)을 장치하 여 물체(130)를 들어 올리거나 들어 내린다. 호이스트(100)는 물체(130)를 권상, 권하 방향(x 방향, -x 방향), 횡행 방향(y 방향, -y 방향) 및 주행 방향(z 방향, -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호이스트(100)는 물체(130)를 권상하 방향, 횡행 방향 또는 주행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옮기기 위하여 호이스트 전동기와 호이스트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RST 단을 통하여 공급된 1차측 3상 전원을 2차측 3상 전원으로 변환하여 UVW 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마그넷 스위치(MCF : Magnet Contact Forward) 및 제2 마그넷 스위치(MCR : Magnet Contact Reverse)를 포함한다. 제1 마그넷 스위치(MCF)는 호이스트 전동기(210)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제2 마그넷 스위치(MCR)는 호이스트 전동기(210)를 역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마그넷 스위치(MCF) 및 제2 마그넷 스위치(MCR)는 유접점 스위치 소자이기 때문에 기동시 호이스트 전동기(210)에 직입 전전압을 공급하므로 기동전류가 높아 기계적 충격이 크다. 즉, 도 3의 종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전류-토크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마그넷 스위치(MCF) 또는 제2 마그넷 스위치(MCR)가 턴온하면, 정격 전류의 5배 내지 7배 크기의 돌입 전류가 호이스트 전동기(21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기계적 충격이 발생하여 호이스트 전동기(210)와 연결된 베어링이나 기어 등에서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제1 마그넷 스위치(MCF) 또는 제2 마그넷 스위치(MCR)의 턴온에 의하여 돌입 전류가 발생하므로 전동기의 회전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크립(creep) 기동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호이스트는 크립 기동용 전동기와 크립 기동용 전동기의 제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 마그넷 스위치(MCF) 및 제2 마그넷 스위치(MCR)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소형화를 제한한다.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호이스트 전동기(210)의 동작을 멈추게 하기 위하여 멈춤용 마스넷 스위치(R-MCF, R-MCR)를 포함한다. 즉, 멈춤용 마스넷 스위치(R-MCF, R-MCR)가 턴온하면 브레이크(220)의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어 호이스트 전동기(210)의 회전축과 브레이크(220)가 접촉함으로써 호이스트 전동기(210)가 멈춘다.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부피가 큰 멈춤용 마스넷 스위치(R-MCF, R-MCR)를 사용함으로써 정류기(230) 및 멈춤용 마스넷 스위치(R-MCF, R-MCR)를 별도의 모듈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호이스트 전동기(210)는 R 단 및 S 단으로 공급되는 1차측 전원을 변압기(240)로 감압하여 과부하를 검사하는 로드 리미터(load limiter)(300)를 포함하지 않는다. 왜냐하며, 로드 리미터(300)는 부피가 큰 변압기(240)를 포함하므로 종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별도의 모듈로 만들어진 로드 리미터(300)와 전류 검출부(CT)를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이스트 전동기에 가 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호이스트 전동기를 통하여 크립 기동이 가능하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로드 리미터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싱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위상 제어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위상 제어를 위하여 전원 변환부로 듀티비 또는 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정격 전류, 오프 셋, 액셀 타임에 해당하는 제1 입력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제1 입력 정보 신호를 저장하여 제1 입력 정보 신호에 해당하는 듀티비 또는 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변환부는 트리거 펄스를 공급받는 트라이액 소자 또는 양방향 사이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패스 워드에 해당하는 제2 입력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제2 입력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패스워드를 저장하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패스워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동작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호이스트용 전동기 내부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통하여 전류 불평형을 판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입력된 1차측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공급된 전압으로 입력 단상 또는 입력 역상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는 1차측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는 직렬 연결된 저항 및 리액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저장된 정격 전류를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입력된 1차측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와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브레이크에 직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1차측 전압을 정류하는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용 정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상, 입력역상, 과전류, 전류 불평형 또는 과부하 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300)는 입력부(410), 전원 변환부(420), 제어부(430), 전압 검출부(440), 전류 검출부(CT), 브레이크용 정류부(450), 디스플레이부(460), 경고부(47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정격 전류, 오프 셋(offset), 액셀 타임(accel time) 및 패스워드(pass word) 등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입력부(410)는 크립 기동을 위한 크립 기동 신호를 출력한다. 오프 셋은 정격 전압에 대한 특정 전압의 비율을 의미하고, 액셀 타임은 특정 전압으로부터 정격 전압까지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격 전압이 380 V 이고 특정 전압이 190 V라면, 오프셋은 50%이고 액셀 타임은 190 V로부터 380 V 까지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변환부(420)는 사이리스터(thyristor)의 일종인 제1 내지 제5 트라이액 소자(triac) (T1 내지 T5)를 포함하며 위상 제어를 통하여 R-S-T 단으로 공급된 3상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의 U-V-W 단에 공급한다. 3상 전압은 50/60 Hz, 220/380/440 V 일 수 있다. 전원 변환부(420)의 제1, 제2 및 제4 트라이액 소자(T1, T2, T4)가 동작하면 호이스트용 전동기(480)는 정회전을 하며, 전원 변환부(420)의 제1, 제3 및 제5 트라이액 소자(T1, T3, T5)가 동작하면 호이스트용 전동기(480)는 역회전을 한다.
제어부(430)는 입력부(410)로부터 입력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입력 정보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가 정격 전류, 오프셋 또는 액셀 타임에 대한 입력 정보 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430)는 정격 전류, 오프셋 도는 액셀 타임을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한다. 정격 전류는 1 ~ 99.9 A까지, 오프셋은 0 ~ 100%까지, 액셀 타임은 0 ~ 30 초까지 설정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호이스트용 전동기의 정격 전류, 오프셋 및 액셀 타임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입력부(410)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이후 입력부(410)로부터 입력된 패스워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동작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트라이액 또는 양방향 사이리스터(T1, T2, T3, T4, T5)의 게이트 단에 트리거 펄스를 공급한다. 제어부(430)가 듀티비(duty ratio)와 개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트라이액 또는 양방향 사이리스터(T1, T2, T3, T4, T5)의 게이트 단에 공급하면, 전원 변환부(420)는 기동시 전압의 크기가 변환된 3상 전압을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도 전동기인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의 회전속도와 방향이 변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호이스트용 전동기(480) 내부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의 전류 불평형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권선이 지락될 경우 리액턴스가 급격히 변하므로 호이스트용 전동기(480) 내부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입력된 각 상전류의 크기를 대칭좌표법(ia+ib+ic=0)으로 해석하여 중성선의 전류를 구하여 전류의 크기가 30 % 이상 차이가 생기면 전류 불평형으로 판단한다.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300)는 유접점 스위치 소자인 마그넷 스위치 대신에 무접점, 무접촉, 무소음 소자인 트라이액 소자 또는 양방향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므로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및 크립 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압 검출부(440)는 R-S-T 단으로 입력된 1차측 3상 전압을 제어부(430)에 맞는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제어부(43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압 검출부(440)는 380V의 3상 전압을 5 V 3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430)에 공급한다. 제어부(430)는 전압 검출부(440)로부터 공급된 3상 전압으로 입력 단상 및 입력 역 상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30)는 전압 검출부(440)를 통하여 공급된 상 전압들 중 하나 이상의 상 전압 공급이 없을 경우 입력 단상으로 판단하다. 또한 제어부(430)는 전압 검출부(440)를 통하여 공급된 상 전압들의 위상과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 전압들의 위상을 비교하여 입력 역상 여부를 판단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의 전압 검출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300)의 전압 검출부(440)는 R-S-T 단으로 각각 입력된 380 V의 상 전압을 직렬 연결된 저항(R1, R2, R3)과 리액터(L1, L2, L3)를 통하여 5V상 전압으로 강하한 후 5V 상 전압을 제어부(43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300)의 전압 검출부(440)는 종래의 부피가 큰 변압기 대신에 부피가 작은 저항(R1, R2, R3)과 리액터(L1, L2, L3)를 사용하므로 전압 검출부(440)의 부피가 줄어든다.
전류 검출부(CT)는 U-W 단을 통하여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430)로 출력한다. 제어부(430)는 전류 검출부(CT)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격 전류를 비교하여 전류 검출부(CT)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격 전류보다 크면 호이스트용 모터에 과전류가 흐른다고 판단한다.
제어부(430)는 전압 검출부(440)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전류 검출부(CT)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한다.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300)는 부피가 작은 전압 검출부(440)를 포함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모듈 로 제작된 로드 리미터없이도 과부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브레이크용 정류부(450)는 R-S 단을 통하여 단상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브레이크용 정류부(450)는 단상 전압을 정류하기 위하여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브레이크용 정류부(450)의 사이리스터는 제어부(430)로부터 트리거 펄스를 공급받아 단상 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만 공급하고, 다이오드는 사이리스터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정류하여 브레이크(49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490)의 전자석에 전류가 공급되어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의 회전축과 브레이크(490)가 접촉함으로써 호이스트용 전동기(480)가 멈춘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용 정류부(450)는 부피가 큰 멈춤용 마그넷 스위치(R-MCF, R-MCR) 대신에 부피가 작은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모듈로 만들 필요가 없다.
디스플레이부(46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장치(300)의 동작 상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6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호이스트 전동기의 정회전 및 역회전 동작 상황, 입력단상 발생여부, 입력역상 발생여부, 과전류 여부, 전류 불평형 여부, 과부하 여부, 각 상입력 전압, 각 상출력 전류 및 전력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경고부(47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상, 입력역상, 과전류, 전류 불평형 또는 과부하 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 호이스트용 전동기(480)의 전류-토크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300)의 제어부(4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정격 전류, 오프셋 및 액셀 타임에 따라 듀티비 와 개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제1 내지 제5 트라이액 소자(triac) 또는 양방향 사이리스터(T1 내지 T5)의 게이트단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호이스트용 전동기(4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정격 전류, 오프셋 및 액셀 타임에 맞게 전류 및 토크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장치(300)는 종래와 같이 마그넷 스위치의 사용으로 인한 돌입 전류의 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장치(300)는 위상 제어를 통하여 호이스트용 전동기(480)를 구동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크립 기동용 전동기와 별도의 제어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용 제어장치(300)는 전원 변환부(420), 전압 검출부(440), 브레이크용 정류부(450), 전류 검출부(CT)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하나의 모듈에 통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위상 제어를 통하여 호이스트용 전동기를 구동함으로써 소프트 스타트(start) 기능을 제공하고 호이스트용 전동기의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호이스트용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정격 전류, 오프셋 및 액셀 타임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크립 기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는 전원 변환부, 전압 검출부, 및 브레이크용 정류부 및 전류 검출부를 하나의 모듈에 통합할 수 있다.

Claims (12)

  1. 호이스트용 전동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위상 제어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상기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위상 제어를 위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로 듀티비 또는 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호이스트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정격 전류, 오프 셋, 액셀 타임에 해당하는 제1 입력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입력 정보 신호를 저장하여 상기 제1 입력 정보 신호에 해당하는 듀티비 또는 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된 상기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트리거 펄스를 공급받는 트라이액 소자 또는 양방향 사이리스터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제2 입력 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제2 입력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패스워드를 저장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패스워드와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동작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이스트용 전동기 내부의 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통하여 전류 불평형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1차측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공급된 전압으로 입력 단상 또는 입력 역상 중 적어도 하나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1차측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는 직렬 연결된 저항 및 리액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전류와 저장된 정격 전류를 비교하여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입력된 1차측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와 상기 호이스트용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전류 를 이용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에 직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1차측 전압을 정류하는 사이리스터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용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상, 입력역상, 과전류, 전류 불평형 또는 과부하 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KR2020060024912U 2006-09-15 2006-09-15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KR200433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12U KR200433542Y1 (ko) 2006-09-15 2006-09-15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912U KR200433542Y1 (ko) 2006-09-15 2006-09-15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612A Division KR100817474B1 (ko) 2006-09-15 2006-09-15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542Y1 true KR200433542Y1 (ko) 2006-12-11

Family

ID=4178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912U KR200433542Y1 (ko) 2006-09-15 2006-09-15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5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86A1 (ko) * 2016-12-13 2018-06-21 (주)현대호이스트 로드 리미터 일체형 블랙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86A1 (ko) * 2016-12-13 2018-06-21 (주)현대호이스트 로드 리미터 일체형 블랙박스
KR20180067935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로드 리미터 일체형 블랙박스
KR101949512B1 (ko) * 2016-12-13 2019-05-10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로드 리미터 일체형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0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626400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cue operation of elevator car during power failure
US63150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in power failure
KR101445023B1 (ko) 전력 변환 장치
US7882937B2 (en) Elevating machine control apparatus
CN102457224B (zh) 用于包括直流/交流转换器的电力转换系统的控制设备
KR100817474B1 (ko)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CN101320958B (zh) 半桥逆变器拖动多台电机异步同时实现转子变频调速系统
US20080309282A1 (en) Restart control of an A.C. motor drive
CN100589318C (zh) 一个逆变器拖动四台电机异步同时实现转子变频调速系统
KR200433542Y1 (ko)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CN101525107B (zh) 变频起重控制系统
EP3219655B1 (en) Method for determining speed of an electric motor, an elevator control unit utilizing the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60109136A (ko) 부하적응형 부스트 전압을 제공하는 인버터
JPH10164883A (ja) インバータ制御装置
JP4448300B2 (ja) 同期機の制御装置
CN201406279Y (zh) 变频起重控制系统
CN101312333A (zh) 电力变换装置
KR100486587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 모터의 락킹 검출방법
EP3139489B1 (en) Method for braking an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motor
KR100849440B1 (ko)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JP306193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200434297Y1 (ko)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CN210867543U (zh) Dc电动机汽车升降机
KR20180120520A (ko) 고압인버터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