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440B1 -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440B1
KR100849440B1 KR1020060095286A KR20060095286A KR100849440B1 KR 100849440 B1 KR100849440 B1 KR 100849440B1 KR 1020060095286 A KR1020060095286 A KR 1020060095286A KR 20060095286 A KR20060095286 A KR 20060095286A KR 100849440 B1 KR100849440 B1 KR 10084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voltage
current
uni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345A (ko
Inventor
여두연
Original Assignee
여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두연 filed Critical 여두연
Priority to KR102006009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440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1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 measuring apparent energ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부하 모드 신호, 선택된 부하의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 신호 및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에 대한 부하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위상 제어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선택된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부하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부하 모드 신호, 동작 명령 신호 및 부하 정보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선택된 부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제어부, 입력된 전압을 제어부에 맞는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압 정보 신호를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 및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 정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SYSTEM INTEGRATED MULTI-PURPOSE POWER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의 메모리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제어장치는 다양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한다. 다양한 부하로는 예를 들어 전동기, 히터(heater)나 수배전반 부하설비 등이 될 수 있으며, 전력제어장치는 다양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제어한다.
일반적인 전력제어장치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부하가 전동기인 경우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장치가 필요하고, 부하가 히터인 경우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수배전반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역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부하를 취급하는 작업 현장에서는 각 부하에 맞는 전력제어장치를 모두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부하가 전동기 및 히터일 경우, 전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장치와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장치가 모두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부하에 따라 전력제어장치가 다르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각 부하에 맞는 전력제어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경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부하에 따라 전력제어장치가 다르므로 전력제어장치의 보관 또한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부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력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하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부하 모드 신호, 선택된 부하의 동 작에 대한 동작 명령 신호 및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에 대한 부하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위상 제어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선택된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부하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부하 모드 신호, 동작 명령 신호 및 부하 정보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선택된 부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제어부, 입력된 전압을 제어부에 맞는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압 정보 신호를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 및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 정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는 입력부(110), 전원 변환부(120), 메모리부(130), 제어부(140), 전압 검출부(150), 전류 검출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브레이크용 정류부(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와 같은 것으로 부하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부하 모드 신호, 선택된 부하의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 신호 및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에 대한 부하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에 전동기를 연결한 다음 전동기 에 해당하는 키패드의 키를 누르면 입력부(110)는 전동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하여 전동기의 기동, 오프셋, 액샐 타임 등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면, 해당 동작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동기의 구동을 위한 정격 전압이나 정격 전류 등에 해당하는 부하 정보 신호를 출력한다.
전원 변환부(120)는 사이리스터(thyristor)의 일종인 제1 내지 제5 트라이액 소자(triac) (T1 내지 T5)를 포함하며 위상 제어를 통하여 R-S-T 단으로 공급된 3상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부하(190)의 U-V-W 단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변환부(120)는 트라이액 소자 대신에 양방향 사이리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3상 전압은 50/60 Hz, 220/380/440 V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원 변환부(120)는 부하에 따라 사용되는 트라이액 소자가 다르다. 예를 들어, 부하(190)가 전동기일 경우, 제1, 제2 및 제4 트라이액 소자(T1, T2, T4)가 동작하면 전동기는 정회전을 하며, 제1, 제3 및 제5 트라이액 소자(T1, T3, T5)가 동작하면 전동기는 역회전을 한다. 또한, 부하가 히터일 경우 제1, 제2 및 제4 트라이액 소자(T1, T2, T4)만 동작한다. 전원 변환부(120)의 제1 내지 제5 트라이액 소자는 무접점 소자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고 유접점 마그네트 스위치에 비하여 전압의 크기 변화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부하의 종류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부하의 종류에 따른 각종 데이터나 입력부(110)를 통하여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수치 계산부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수치 계산부는 이후에 설명되는 제 어부(140)에 내장(embeded)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에 전동기, 히터 또는 수배전반부하가 연결될 경우, 메모리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용, 히터용 및 수배전반 부하용 데이터와 저장된 각 부하용 데이터나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수치를 계산하기 위한 전동기용, 히터용 및 수배전반 부하용 수치 계산부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각 부하에 해당하는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류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부(110)로부터 출력된 부하 정보 신호에 따른 것이다. 수치 제어부가 제어부(140)에 하드웨어적으로 내장될 경우,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30)로부터 수치 계산부를 읽어 들여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40) 자체 내에서 특정 수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의 전반적인 동작과 부하의 동작에 대한 제어를 실행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부하 모드 신호와 동작 명령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특정 부하용 데이터와 특정 부하용 수치 계산부를 이용하여 특정 수치를 계산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듀티비 및 개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제1 내지 제5 트라이액 소자(triac) (T1 내지 T5)의 게이트단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는 부하에 맞는 전압이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가 전동기일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는 정격 전류, 오프셋 및 액셀 타임에 맞는 전 압 또는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전동기의 토크를 제어한다. 오프 셋은 정격 전압에 대한 특정 전압의 비율을 의미하고, 액셀 타임은 특정 전압으로부터 정격 전압까지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전압 검출부(150)는 R-S-T 단으로 입력된 1차측 3상 전압을 제어부(140)에 맞는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압 정보 신호를 제어부(140)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압 검출부(150)는 380V의 3상 전압을 5V 3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공급한다.
전류 검출부(160)는 U-V-W 단을 통하여 부하(190)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 정보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나 부하의 동작 상황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상 발생여부, 입력역상 발생여부, 과전류 여부, 전류 불평형 여부, 과부하 여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브레이크용 정류부(18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에 전동기가 연결될 경우 전동기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브레이크용 정류부(180)는 R-S 단을 통하여 단상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공급한다. 브레이크용 정류부(180)는 단상 전압을 정류하기 위하여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브레이크용 정류부(180)는 단상 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전압을 브레이크(400)의 전자석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의 회전축과 브레이크(400)의 접촉으로 인해 전동기가 멈춘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용 정류부(180)는 부피가 큰 멈춤용 마그넷 스위치(R-MCF, R-MCR) 대신에 부피가 작은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모듈로 만들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50) 및 전류 검출부(160)로부터 부하에 입력되는 전압 및 전류를 입력받아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실효치를 계산하고,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실효치를 이용하여 전력(KW), 전력량(KWh) 및 역률(power factor)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을 통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 메모리부(130)는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전력(KW), 전력량(KWh) 및 역률(power factor)의 계산을 위한 수치 계산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압 및 전류의 실효치, 전력(KW), 전력량(KWh) 및 역률(power factor)의 계산을 위한 수치 계산부는 제어부(14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부하 모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선택된 부하의 정격 전류 및 과전류 작동시간에 대한 동작 정보 신호가 입력되면 메모리부(130)에 해당 부하의 정격 전류 및 과전류 작동시간을 저장한다. 과전류 작동시간은 정격 전류보다 큰 과전류가 흐를 때 부하에 과전류가 흐를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정격 전류는 0.1 A 이상 4000 A 이하이고, 과전류 작동 시간은 0.1 초 이상 10 초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전동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와, 전동기의 정격 전류 및 전동기의 과전류 작동 시간에 대한 동작 정보 신호를 입력부(110)로 부터 입력받으면, 제어부(140)는 정격 전류 및 과전류 작동 시간을 메모리부(130)의 전동기용 데이터의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40)가 전류 검출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치를 실효치로 계산하여 저장된 정격 전류와 비교함으로써 과전류 여부를 판단하고, 과전류가 과전류 작동시간 이상 흐를 경우 트리거 펄스의 듀티비 및 개수를 조절하여 전원 변환부(120)에 출력함으로써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부하(190) 내부에 흐르는 전류와 전압 검출부(150)로부터 입력된 상전압을 이용하여 부하(190)의 전류 불평형을 판단한다. 메모리부(130)는 전류 불평형을 판단하기 위한 대칭 좌표법의 수치 계산부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전동기의 권선이 지락될 경우 리액턴스(reactance)가 급격히 변하므로 제어부(140)는 전동기 내부의 권선에 흐르는 각 상전류의 크기를 대칭 좌표법(ia+ib+ic=0)으로 해석하여 중성선의 전류를 구하여 전류의 크기가 30% 이상 차이가 생기면 전류 불평형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50)로부터 공급된 3상 전압으로 입력 단상 및 입력 역상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50)를 통하여 공급된 상 전압들 중 하나 이상의 상 전압 공급이 없을 경우 입력 단상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50)를 통하여 공급된 상 전압들의 위상과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상 전압들의 위상을 비교하여 입력 역상 여부를 판단한다. 상 전압들의 위상은 메모리부(130)의 복수 개의 부하용 데이터 영역 중 하나에 저장된다.
제어부(140)는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해야 할 경우 부하의 변화에 의한 과부하 발생시 급격한 전류의 증가를 막기 위하여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받은 부하 모드 신호에 따라 공급 전압 및 과부하 기준 전류를 메모리부(130)의 복수 개의 부하용 데이터 영역 중 하나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440)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전류 검출부(CT)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이용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동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 사용자가 설정하려는 정격 전류, 오프 셋(offset), 액셀 타임(accel time)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오프 셋은 정격 전압에 대한 특정 전압의 비율을 의미하고, 액셀 타임은 특정 전압으로부터 정격 전압까지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부하 모드 신호 및 동작 명령 신호에 따라 제어부(140)는 듀티비와 개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전원 변환부(120)에 공급함으로써 전동기를 구동한다.
제어부(140)는 히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 열을 공급받는 대상이 되는 대상체의 종류에 따른 동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경우, 메모리부(130)로부터 대상체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읽어 들여 트리거 펄스의 듀티비 및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전원 변환부(120)의 동작을 조절한다. 즉, 메모리부(130)는 정 전압형(CV : Constant Voltage) 모드, 정 전류형(CC : Constant Current) 모드, 정 전력형(CP : Constant Power) 모드 및 주파수 조정형(ZC : Zero Crossing) 모드에 대한 전류 및 전압 특성을 저장한다. 정 전압형 모드는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가 크지않은 대상체일 때, 정 전류형 모드는 초기 저항은 작고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가 큰 대상체일 때, 정 전력형 모드는 초기 저항 크고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가 큰 대상체일 때, 그리고 주파수 조정형은 전압 및 전류의 변화에 대한 노이즈를 줄이려 할 때 사용된다.
또한 제어부(140)가 히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와, 대상체 및 대상체의 목표 온도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으면 메모리부(130)의 히터용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제어부(140)는 전압 검출부(150) 및 전류 검출부(160)로부터 대상체로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입력받아 메모리부(130)로부터 읽어들인 히터용 수치 계산부를 이용하여 저항을 계산한 후 대상체의 온도 및 저항 특성과 비교하여 대상체의 현재 온도를 계산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대상체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기 위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듀티비와 개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전원 변환부(12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대상체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과정에서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대상체의 온도 제어에 대한 선형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는 도 1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에 제어용 통신부(310)와 경고부(320)가 더 추가되며, 이하에서는 제어용 통신부(310)와 경고부(3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어용 통신부(310)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원격에서 관리하기 위 한 원격관리컴퓨터(330)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입력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조정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격에 있는 원격관리컴퓨터(330)를 통하여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를 조정한다. 제2 실시예의 제어용 통신부(310)는 원격감시컴퓨터(330)와 제어부(140)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RS―485 통신 모듈이나 RS―232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경고부(3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상, 입력역상, 과전류, 전류 불평형 또는 과부하 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는 부하에 따른 정격 전류 및 과전류 작동시간의 설정이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부하에 적용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는 다양한 부하에 대한 전력제어를 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 시간 및 작업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4)

  1. 부하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부하 모드 신호, 상기 선택된 부하의 동작에 대한 동작 명령 신호 및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에 대한 부하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위상 제어를 통하여 전압의 크기를 변환시켜 상기 선택된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부하의 종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부하 모드 신호, 상기 동작 명령 신호 및 상기 부하 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부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제어부;
    입력된 전압을 상기 제어부에 맞는 전압의 크기로 변환하여 전압 정보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공급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선택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전류 정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히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와, 열을 공급받는 대상이 되는 대상체의 종류에 따른 동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대상체로 공급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듀티비 및 개수를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상기 전원 변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양방향 사이리스터 또는 트라이액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 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각 부하용 수치 계산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수치를 계산하는 각 부하용 수치 계산부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전동기, 히터 및 수배전반부하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 모드 신호, 상기 동작 명령 신호, 상기 부하 정보 신호, 상기 전압 정보 신호 및 상기 전류 정보 신호, 및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를 이용하여 과전류 상태, 전류 불평형 상태, 입력 단상 상태, 입력 역상 상태, 및 과부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전압 정보 신호와 상기 전류 정보 신호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부하에 입력되는 전압, 전류 및 전력의 실효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동기에 해당하는 부하 모드 신호와 정격 전류, 오프 셋(offset), 액셀 타임(accel time)에 해당하는 동작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 변환부로 듀티비와 개수가 제어된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또는 전압의 패턴에 대한 데이터는 정 전압형 모드, 정 전류형 모드, 정 전력형 모드 및 주파수 조정형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ID 제어 방식으로 대상체에 대한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원격 관리용 원격관리컴퓨터가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용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통신부는 RS―485 통신 모듈 또는 RS―232 통신 모듈을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상, 입력역상, 과전류, 전류 불평형 또는 과부하 발생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KR1020060095286A 2006-09-29 2006-09-29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KR10084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86A KR100849440B1 (ko) 2006-09-29 2006-09-29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286A KR100849440B1 (ko) 2006-09-29 2006-09-29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00U Division KR200434297Y1 (ko) 2006-09-29 2006-09-29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45A KR20080029345A (ko) 2008-04-03
KR100849440B1 true KR100849440B1 (ko) 2008-08-01

Family

ID=3953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286A KR100849440B1 (ko) 2006-09-29 2006-09-29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12B1 (ko) 2013-06-13 2015-04-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날로그와 디지털 피드백 보상방식을 연계한 전력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60A (ko) * 1993-08-25 1995-03-21 엘 에이 크 러프닉 전력을 스위칭시키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2041A (ko) * 2005-07-13 2005-09-16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전력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60A (ko) * 1993-08-25 1995-03-21 엘 에이 크 러프닉 전력을 스위칭시키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2041A (ko) * 2005-07-13 2005-09-16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인크. 전력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412B1 (ko) 2013-06-13 2015-04-1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날로그와 디지털 피드백 보상방식을 연계한 전력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45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437B1 (ko) 위상천이를 이용한 인버터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US8203304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feedback indicative of load flux
KR101737364B1 (ko) 공기조화기
JP6277288B2 (ja) 監視装置と監視方法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制御装置と制御方法
KR20160113858A (ko) 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5504748B2 (ja) インバータ装置
CN104066991B (zh) 电动压缩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冷藏库
US9853587B2 (en) System for operating a three-phase variable frequency drive from an unbalanced three-phase or single-phase AC source
JP2009000724A (ja) エンジン溶接機
JP3328830B2 (ja)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制御装置
KR100849440B1 (ko)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KR200434297Y1 (ko) 시스템 통합형 전력제어장치
KR100817474B1 (ko)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KR20070030073A (ko) 인버터 에어컨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232840B (en) Take-up device
KR101902885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US6724167B1 (en) Numerical control drive system
KR101039435B1 (ko) 전동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848561B1 (ko) 인버터의 과전압 억제를 위한 유도 전동기 감속 제어 장치및 방법
KR100393793B1 (ko) 비엘디씨 모터의 센서리스 제어장치
KR200433542Y1 (ko) 호이스트용 제어 장치
CN101312333A (zh) 电力变换装置
GB2538493A (en) A control method and system
US9742340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TW201826685A (zh) 有效的發動機控制方法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