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251Y1 - 지퍼 조립형 가방 - Google Patents

지퍼 조립형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251Y1
KR200433251Y1 KR2020060024780U KR20060024780U KR200433251Y1 KR 200433251 Y1 KR200433251 Y1 KR 200433251Y1 KR 2020060024780 U KR2020060024780 U KR 2020060024780U KR 20060024780 U KR20060024780 U KR 20060024780U KR 200433251 Y1 KR200433251 Y1 KR 200433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bag
bag body
teeth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희 주
Original Assignee
연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희 주 filed Critical 연희 주
Priority to KR2020060024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2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지품이 담기기 위한 가방본체 형태와, 가방본체를 사용자의 어깨에 걸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의 형태가 한 줄의 지퍼를 채우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지퍼 조립형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품이 담기는 가방본체와, 가방본체를 어깨에 걸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이 형성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한 가방본체의 형성을 위하여 지퍼 테이프의 외측 양쪽에 이빨이 마련된 바닥형성부분과, 길이가 긴 지퍼테이프의 외측 양쪽에 이빨이 마련된 측면형성부분이 슬라이더로써 연속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방, 지퍼, 슬라이더, 멜빵

Description

지퍼 조립형 가방{Bag made of zip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이 조립되기전 지퍼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 조립전 지퍼의 상부모습을 보인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 조립전 지퍼의 하부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조립과정 중 바닥형성부분의 지퍼가 채워지는 외측모습을 보인 도면.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조립과정 중 바닥형성부분의 지퍼가 채워지는 내측모습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가방본체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가방본체의 조립이 완성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멜빵이 조립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퍼 조립형 가방 110 : 가방본체
120 : 멜빵 130 : 결속수단
200 : 지퍼 200a : 측면형성부분
200b : 바닥형성부분 200c : 멜빵형성부분
210 : 상부편 212 : 이빨
220 : 하부편 222 : 이빨
230 : 분지부 240 : 종지부
300 : 슬라이더
본 고안은 지퍼 조립형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지품이 담기기 위한 가방본체 형태와, 가방본체를 사용자의 어깨에 걸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의 형태가 한 줄의 지퍼를 채우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지퍼 조립형 가방에 관한 것이다.
오래 전부터 생활필수품의 하나가 된 가방은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고유의 기능을 가지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복장과 함께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패션 액서서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시중에서 공급 및 사용되고 있는 가방의 종류 및 형태는 그 구분기준을 정하기가 어려울 정도고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즉, 가방의 고유 기능인 물품의 보관 및 운반 기능을 우선시하여 담기는 목적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가방이 제공되고 있으며, 가방의 고유 기능보다는 패션 기능을 우선시하여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가방이 제공되고 있다. 물론,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가방은 고가에서 저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는 보다 다양한 형태와 모양을 가진 가방 제품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가방제공업자는 보다 더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가방의 제공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지품이 담기기 위한 가방본체 형태와, 가방본체를 사용자의 어깨에 걸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의 형태가 한 줄의 지퍼를 채우는 과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지퍼 조립형 가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물품이 담기는 가방본체와, 가방본체를 어깨에 걸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이 형성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한 가방본체의 형성을 위하여 지퍼 테이프의 외측 양쪽에 이빨이 마련된 바닥형성부분과, 길이가 긴 지퍼테이프의 외측 양쪽에 이빨 이 마련된 측면형성부분이 슬라이더로써 연속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가방본체의 측면형성부분 말단에서는 지퍼 테이프의 한쪽에만 이빨이 형성된 형태로 분지되어 연속되어지되, 그 분지된 위치로부터 가방둘레의 절반에 이르는 분지된 하측 지퍼 테이프에는 분지된 지퍼 테이프의 각각의 끝단이 고정형성되어, 가방본체의 형성시 사용된 슬라이더로써 분지된 구간을 연속하여 채우므로서 가방본체의 양측에 멜빵이 형성된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가방본체의 측면형성부분은 일측에만 이빨이 마련된 채로 별도로 제작된 상/하부 두 편의 지퍼 테이프가 접합되어 형성되어지되, 가방본체의 바닥형성부분은 측면형성부분의 상부편이 가방본체의 바닥을 왕복하는 길이만큼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길이가 짧은 하부편의 끝단에 슬라이더로써 채워질 수 있도록 감아 접힌 상태에서 그 마주하는 부분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상부편과 하부편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지퍼 조립형 가방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이 조립되기전 지퍼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 조립전 지퍼의 상부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 조립전 지퍼의 하부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조립과정 중 바닥형성부분의 지퍼가 채워지는 외측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조립과정 중 바닥형성부분의 지퍼가 채워지는 내측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가방본체가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가방본체의 조립이 완성되기 직전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멜빵이 조립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은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지퍼 조립형 가방을 지시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구성부분을 가방본체(110)와 멜빵(120)으로 크게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100)은 가방의 조립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방본체(110) 및 멜빵(120)의 형태가 존재하지만, 가방의 조립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조립된 상태에서 해체되면 가방 고유의 형태를 잃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200)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퍼가 조립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방의 형태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지퍼의 형태에서 도 1에 도시된 가방의 형태로 변환되기까지 에는 지퍼에 마련된 하나의 슬라이더(300)를 채우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형태가 완성되기 전 상태의 지퍼(200)에 대해 지퍼 조립형 가방(100)에 부여된 도면부호와는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지퍼 조립형 가방(100)과 지퍼(200)에 대한 도면부호는 따로 부여되었지만, 그 도면부호 자체가 별도의 대상물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지퍼는 그 구성부분이 지퍼 테이프, 이빨, 슬라이더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 수 있을 정도로 시중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지퍼는 한쌍의 지퍼 테이프 일측에 이빨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어느 일측에 위치된 슬라이더가 위치이동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이빨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이때, 지퍼는 본체에 부착되는 하나의 부속물로써 본체의 개방된 부분을 닫거나, 폐쇄된 부분을 개방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고안에 의한 지퍼 조립형 가방(100)에 사용되는 지퍼(2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지퍼의 기능에서 벗어나 본체의 부속물로써가 아닌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가방본체(110) 및 멜빵(120) 자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퍼(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형성부분(200a), 바닥형성부분(200b), 멜빵형성부분(200c)으로 구분형성되는데, 이 세부분 전체는 길이가 긴 한 쌍의 지퍼 테이프가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이 다. 설명의 편의상 상부편(210)과 하부편(220)으로 구분된 한 쌍의 지퍼 테이프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부편(210) 및 하부편(220)의 일측에는 지퍼의 이빨(212,222)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측면형성부분(200a)을 이루는 상부편(210)과 하부편(220)은 각각의 이빨(212,222)은 서로 마주한 상태가 아닌 지퍼 테이프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하부편(210,220)의 겹치는 부분이 재봉 등으로써 접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슬라이더(300)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상부편(210)에 일체로 형성된 이빨(212)이 하부편(220)에 일체로 형성된 이빨(222)에 맞물리는 과정이 여러 차례 반복되는 과정을 통하여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가방본체(110)가 완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측면형성부분(200a)의 전체길이는 바닥형성부분(200b)을 둘레로 하여 여러차례 감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형성부분(200b)은 상부편(210)의 지퍼 테이프가 가방본체의 바닥을 왕복하는 길이만큼 하부편(220)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된 상태에서 그 절반위치에서 내측으로 접어 상부편(210)에 일체로 형성된 이빨의 일부가 하부편(220)에 일체로 형성된 이빨과 맞물릴 수 있는 조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가방본체(110)의 바닥면은 상부편(210) 만으로 형성되는데, 그 지퍼 테이프가 겹치는 부분은 재봉 등에 의한 방식으로 접합되고, 상부편(210) 지퍼 테이프의 외측에 마련된 이빨(212)은 슬라이더(300)의 전진동작과 함께 하부편(220)에 마련된 이빨(222)에 차례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편(220)의 끝단과 상부편(210)의 끝단은 재봉 등에 의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 내측에 슬 라이더(300)가 상부편과 하부편에 마련된 이빨들을 채울 수 있는 조건으로 조립된다.
슬라이더(300)를 채우는 과정에서 바닥형성부분(200b)의 외측단 부분에서는 하부편(220)의 이빨이 바닥형성부분(200b)의 이빨에 맞물리면서 슬라이더(300)의 진행방향을 곡선상으로 변환되고, 다시 바닥형성부분(200b)의 길이만큼 직선상으로 이동되던 슬라이더(300)는 바닥형성부분(200b)의 내측단이 위치된 부분에서 그 진행방향이 곡선상으로 변환된 후 다시 바닥형성부분(200b)의 길이만큼 직선상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멜빵형성부분(200c)은 전술한 측면형성부분(200a)과는 달리 상부편(210) 및 하부편(220)이 서로 접합되지 않고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부편(210) 및 하부편(220)의 이빨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접합된 채로 진행되던 측면형성부분(200a)의 상단에서 양측에서 서로 분지되어 슬라이더(300)의 연속동작에 의해 하부편(220) 만이 가방본체(110)의 둘레를 한바퀴 더 돌면서 가방본체(110) 부분을 이루게 되도록 형성되고, 이후에는 그 분지부(230)를 시점으로 하여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멜빵(120)이 이빨이 마주하는 한쌍의 지퍼 테이프(상/하부편)의 조립으로 완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부편(210) 및 하부편(220)의 양측 상부 끝단은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가방본체(110)가 완성된 상태에서의 분지부(230)와 마주하는 위치에 재봉 등에 의한 방식으로 서로 나란히 고정장착되는 종지부(240)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패션감각이 고취될 수 있도 록 하기 위하여 전술한 상부편(210)과 하부편(220)의 지퍼 테이프는 서로 색상이 다른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슬라이더(300)에는 사용이 편리한 고리형 손잡이(31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완성된 가방본체(110)에 소지품을 담은 상태에서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방개폐수단(112)으로서 후크 타입의 단추가 부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퍼(200)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형태가 완성되는 과정을 이하에 간단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바닥형성부분(200a), 측면형성부분(200b), 멜빵형성부분(200c)으로 구분형성된 지퍼(200)에 마련된 하나의 슬라이더(300)를 연속하여 차례로 채워나가는 과정만을 실시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가방본체(110)와 멜빵(120)을 갖춘 가방의 조립이 완성된다. 즉, 바닥형성부분(200b)과 측면형성부분(200a)이 조립되면서 가방본체(110)의 하부가 완성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측면형성부분(200a)이 여러차례 회전하면서 가방본체(110)의 둘레부분 형태가 완성되고, 가방본체(110)의 상단부에서는 분지부(230)를 시점으로 하여 멜빵(120)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이다.
반대로,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가방본체(110) 및 멜빵(120)이 완성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00)를 푸는 과정을 통해서는 가방의 형태가 점차 사라지면서 기다란 지퍼의 형태만이 남게 되는 것이다. 지퍼 조립형 가방(100)의 해체과정은 조 립과정과 슬라이더(300)의 진행방향만을 달리 하면 되는 것이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가방을 세탁하게 되는 경우에는 가방본체(110)의 내부가 보다 깨끗하게 세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방의 형태가 해체된 상태로 세탁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소정의 길이가 필요한 끈이 필요할 비상시의 경우에는 가방의 형태가 지퍼의 형태로 해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지퍼 조립형 가방은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것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방의 형태를 구성하는 과정이 슬라이더를 채우는 과정만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서 가방의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그 조립 및 해체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물품이 담기는 가방본체와, 가방본체를 어깨에 걸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이 형성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한 가방본체의 형성을 위하여 지퍼 테이프의 외측 양쪽에 이빨이 마련된 바닥형성부분과, 길이가 긴 지퍼테이프의 외측 양쪽에 이빨이 마련된 측면형성부분이 슬라이더로써 연속하여 채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조립형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방본체의 측면형성부분 말단에서는 지퍼 테이프의 한쪽에만 이빨이 형성된 형태로 분지되어 연속되어지되, 그 분지된 위치로부터 가방둘레의 절반에 이르는 분지된 하측 지퍼 테이프에는 분지된 지퍼 테이프의 각각의 끝단이 고정형성되어, 가방본체의 형성시 사용된 슬라이더로써 분지된 구간을 연속하여 채우므로서 가방본체의 양측에 멜빵이 형성된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조립형 가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방본체의 측면형성부분은 일측에만 이빨이 마련된 채로 별도로 제작된 상/하부 두 편의 지퍼 테이프가 접합되어 형성되어지되, 가방본체의 바닥형성 부분은 측면형성부분의 상부편이 가방본체의 바닥을 왕복하는 길이만큼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길이가 짧은 하부편의 끝단에 슬라이더로써 채워질 수 있도록 감아 접힌 상태에서 그 마주하는 부분이 접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조립형 가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편과 하부편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조립평 가방.
KR2020060024780U 2006-09-14 2006-09-14 지퍼 조립형 가방 KR200433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80U KR200433251Y1 (ko) 2006-09-14 2006-09-14 지퍼 조립형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780U KR200433251Y1 (ko) 2006-09-14 2006-09-14 지퍼 조립형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251Y1 true KR200433251Y1 (ko) 2006-12-08

Family

ID=4178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780U KR200433251Y1 (ko) 2006-09-14 2006-09-14 지퍼 조립형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2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44Y1 (ko) 2013-02-01 2014-04-02 김가온 고정도르래를 구비한 가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44Y1 (ko) 2013-02-01 2014-04-02 김가온 고정도르래를 구비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612A (en) Collapsible article with attached storage pouch
KR200433251Y1 (ko) 지퍼 조립형 가방
JP6468542B1 (ja) 折り畳みかばん
US3809194A (en) Garment bags
CN108903193B (zh) 一种四边开合的箱包
CN209750098U (zh) 一种可折叠包
JP3149690U (ja) 手提げバッグ
CN205597363U (zh) 多功能包
JP3145506U (ja) 収納体
KR200333093Y1 (ko) 지퍼구조
JP3135119U (ja) 手提げ袋
JP3020268U (ja) バッグ組体
JP3139524U (ja) 買物袋
JP3059764U (ja) 和服用付け帯兼用バッグ
JP3184829U (ja) 買物袋
CN208192428U (zh) 折叠购物袋
CN216970547U (zh) 一种多功能塑料编织袋
CN212448687U (zh) 茶饼包装包
JP3157114U (ja) 手提げバッグ
KR102669982B1 (ko) 백팩형 포장박스
JP3072878U (ja) 包装袋
CN205597394U (zh) 多功能包
JP3126401U (ja) 買い物袋
CN207461674U (zh) 一种可折叠收纳的抽绳背包
KR200486460Y1 (ko)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