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825Y1 -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 Google Patents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825Y1
KR200432825Y1 KR2020060019265U KR20060019265U KR200432825Y1 KR 200432825 Y1 KR200432825 Y1 KR 200432825Y1 KR 2020060019265 U KR2020060019265 U KR 2020060019265U KR 20060019265 U KR20060019265 U KR 20060019265U KR 200432825 Y1 KR200432825 Y1 KR 200432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mask
head
face
spherica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김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경 filed Critical 김도경
Priority to KR2020060019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8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65Details; Accessories allowing a choice of facial features, e.g. to change the facial ex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38Dolls' ey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의 취미 소장용 또는 성인 및 유아의 완구 인형으로 정밀하게 인체 모형을 재현한 구체 관절 인형에 관한 것으로 구체 관절 인형은 인체의 각 관절이 움직이듯이 구체관절 인형의 관절은 각각의 관절마다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체 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은 인형의 머리와 헤드가 장착 탈착 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인형의 마스크 내부에는 구체 관절 인형의 안구가 인형 얼굴 헤드 부분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있으나 구체관절 인형의 표정 및 얼굴을 바꾸기 위해서는 인형 얼굴 헤드를 분해하고 텐션와이어를 분해한 후에야 얼굴을 교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인형의 다양한 표정을 표현할 수 있게 더욱 편리하면서 간편하게 인형의 얼굴을 자석을 이용해 원터치로 구체 관절 인형의 얼굴을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체 관절 인형은 사람이 얼굴에 가면을 쓰듯이 인형의 마스
크를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구체관절 인형의 다양한
표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구체 관절 인형의 몸체와 텐션와이어로 결합된 헤드 부분에 다양한 마스크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게 구성된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뒤헤드 부분에는 몸과 결합 되게 텐션와이어가 바벨 고리에 결려 구체
관절 인형의 몸과 결합 되며, 텐션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구체관절 인형의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거나 단단하게 관절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텐션와이어를 분해 하면 바벨 고리로부터 분해할 수 있어서 구체관절 인형의 몸과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뒤헤드 부분은 구체관절 인형과 결합 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구체관절 인형의 마스크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상기 헤드 부분에는 마스크의 고리 걸림 홈에 고리가 걸릴 수 있도록 헤드 부분의 내부 상단에는 고정고리가 구비되며, 구체 관절 인형의 몸과 텐션와이어로 결합하는 바벨 고리 아래쪽에는 상기 헤드 부분과 마스크가 편리하게 분해 결합을 하기 위래 뒤헤드 내부 아래쪽에는 자석이 부착된다.
상기 마스크 부분에는 구체관절 인형의 뒤헤드 부분과 간결한 결합을 위해 마스크 내측면에는 마스크내측홈이 형성되어 뒤헤드 부분의 내측면에 형성된 헤드내측턱 과 결합하여 더욱 간결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 사용시 진동이나 외부의 외력에 구체관절 인형의 마스크가 이탈하거나 분해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 부분에의 내 측면에는 구체관절 인형의의 안구가 장착될 눈구멍
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와의 간결한 결합을 위해 마스크의 내측 아래에는 자 석이 구비된다.
상기 자석 부분은 뒤헤드의 고정 고리와 마스크내측홈에 결합하면 헤드와 마스크를 서로 결합 시켜주기 위해 반대 극성을 가지는 자석을 이용하여 헤드와 마스크를 결합 시키는 작용을 하게 형성되어 구체관절 인형에서의 인형의 얼굴을 원터치 자석으로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얼 굴 교체 구체 관절 인형에 관한 것이다.
구체관절인형. 인형. 인형마스크. 얼굴교체. 얼굴교체인형

Description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 Ball Jointed Doll which is possible to change the face }
도 1은 종래의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의 조립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체 관절 인형의 뒤쪽 얼굴 헤드 부분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 관절 인형의 앞쪽 얼굴 헤드 부분의 내측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내면에 장착되는 바벨 고
리의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와 몸의 조립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헤드 12 : 상부머리
13 : 텐션와이어 14 : S걸이
15 : 바디 16 : 뒤헤드
17 : 마스크 18 : 고정고리
19 : 헤드내측턱 20 : 헤드자석
21 : 마스크자석 22 : 눈구멍
23 : 고리걸림홈 24 : 마스크내측홈
25 : 인형얼굴 26 : 안구
27 : 바벨걸이 28 : 텐션걸이
29 : 텐션매듭 30 : 텐션구멍
본 고안은 개인의 취미 소장용 또는 성인 및 유아의 완구 인형으로 사용되는
정밀하게 인체 모형을 재현한 구체 관절 인형에 관한 것으로 구체 관절 인형은 인체의 각 관절이 움직이듯이 구체관절 인형의 관절은 각각의 관절마다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은 머리 윗부분을 분해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인형 얼굴 헤드 내부에는 유리 안구가 인형 얼굴 헤드 부분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있으나 구체관절 인형의 표정 및 얼굴을 바꾸기 위해서는 인형 얼굴 헤드를 분해하고 텐션와이어를 분해한 후에야 얼굴을 교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사람의 다양한 표정을 표현할 수 있게 더욱 편리하면서 간 편하게 인형의 얼굴을 자석을 이용해 원터치로 구체 관절 인형의 얼굴을 교체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구체 관절 인형은 독일의 초현실주의 조형미술가인 벨머(Hans Bellmer)가 구
체로 관절인형을 만들어 인체를 표현한 것이 구체관절인형의 시초이다. 이를 1980년대부터 일본의 전통인형 작가들이 응용하면서 현재의 구체관절인형으로 발전하였다.
구체관절인형의 가장 큰 특징은 관절 부분을 둥글게 만들되, 각 관절들이 분
해된다는 점이다. 즉 인체의 각 관절 부위를 만들어, 이 부위들을 서로 결합하면 하나의 인형이 완성된다. 종류에 따라 목 부분에만 구체가 있는 것에서, 손가락 마디 하나하나까지 구체관절로 연결되는 정교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주재료는 가볍고 단단한 석소(石素:돌가루 성분) 점토이며, 크기가 큰 인형
의 경우에는 나뭇가루를 반죽해 쓰기도 한다. 1990년대 말 일본에서 만들어진 구체관절인형의 경우에는 우레탄을 소재로 한 것도 있다.
눈은 대부분 유리로 만들고, 머리카락이나 눈썹은 인공 털을 이용한다. 사람
의 모습과 거의 닮은 정교한 인형을 만드는 데는 2~3개월 정도 걸리기 때문에 가격도 비싸다. 한국에서도 2000년 이후 독자적인 제작기법이 개발되어 다양한 형태의 인형이 만들어지고 있다. 2003년에는 한국구체관절인형협회가 설립되어 전시회도 열고 있다.
종래의 구체 관절은 각각의 분해된 관절이 하나의 텐션와이어에 의해 하나
의 구체관절 인형으로 결합 되어 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다양한 표정의 얼굴을 표현하기 위해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부분을 교체 하기위해서는 모든 텐션와이어를 분해하여 얼굴 부분을 교체하고 구체관절 인형의 결합시키기 위해 텐션와이어로 모든 관절과 얼굴 부분을 고정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구체 관절 인형 헤드부의 얼굴을 간편하게 자석을 이용하여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얼굴 교체 구체 관절 인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다양한 표정의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을 텐션와이어로 결합된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에서 탈착 및 부착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며, 다양한 표정의 얼굴이 장착 및 탈착이 되는 구체관절 인형에서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부와 얼굴이 결합 되는 부분은 유격이 생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나타내기 위해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와 얼굴이 장착되는 면에는 홈과 턱을 형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미적인 부분도 기존의 구체관절 인형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구체관절 인형의 몸을 지지하는 텐션와이어의 끝 매듭이 S고리에 걸리고 매듭이 걸린 S고리 의해 상부 머리 내측면에 구비된 헤드걸이에 걸리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의 조립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부분의 분해도로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와 마스크를 나타내며, 헤드에 구비되는 헤드자석, 고정고리와 마스크에 구비되는 유리안구, 마스크자석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체 관절 인형의 뒤쪽 얼굴 헤드 부분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상세도로 구체 관절 인형의 몸에서 올라온 텐션와이어가 헤드에 구비된 바벨고리에 의해 고정되는 것과 마스크의 내측면의 고리걸림홈에 결합될 고정고리 와 마스크 와 헤드의 간결한 결합을 위해 형성된 헤드내측턱과 헤드와 마스크를 자력의 힘으로 고정하는 헤드자석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 관절 인형의 앞쪽 얼굴 헤드 부분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상세도로 헤드가 마스크와 간결한 결합을 하기 위해 마스크 내측면에 형성된 마스크내측홈과 고리걸림홈이 형성되고 마스크 내부에는 구체관절 인형의 눈 구멍 안으로 안구가 장착될 수 있게 눈구멍이 구비되고 마스크와 헤드를 결합시키는 마스크 자석이 구비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헤드 내면에 장착되는 바벨 고리의 상세도 로 구체관절 인형의 몸에서 올라온 텐션와이어의 매듭이 바벨 고리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와 몸의 조립 상태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텐션와
이어(13)로 바디(15)와 결합된 뒤헤드(16)에 다양한 표정의 마스크(17)를 장착하기 위하여 뒤헤드(16)의 내 측면에는 헤드내측턱(19) 과 고정고리(18)가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17)와 뒤헤드(16)의 강력한 결합을 위해 뒤헤드(16) 내측 아래면에는 헤드자석(20)이 구비되어 있으며, 마스크(17) 내측면에는 고리걸림홈(23)과 마스크내측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뒤헤드(16)와 강력한 결합을 위해 마스크자석(21)이 마스크(17)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어 뒤헤드(16)와 마스크(17)의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 된다.
상기 텐션와이어(13)는 탄성이 있는 고무줄 또는 탄성 및 장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구체관절 인형은 바디(15)의 각각의 관절은 고무줄 또는 장력을 가지는 합성
수지의 텐션와이어(13)가 사람의 근육과 같이 구체 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은 두개의 텐션와이어(13)는 텐션와이어(13)의 양 끝단을 묶어 텐션매듭(29)을 형성하며, 구체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을 결합시켜 주고 있으며 구체 관절 인형의 헤드(11) 또는 손 또는 발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구체 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을 연결하고 있는 텐션와이어(13)의 끝 매듭인 텐션매듭(29)을 풀어 구체관절 인형의 헤드(11)나 손, 발등을 교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얼굴 교체 구체 관절 인형은 텐션와이어(13)의 텐션매듭(29)을 풀
지 않고 구체 관절 인형의 바디(15)에 텐션와이어(13)로 결합된 뒤헤드(16)에 다양한 표정의 마스크(17)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구체 관절 인형은 도 1 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체관절 인형의
텐션와이어(13)는 두 개의 텐션와이어(13)가 하나의 루프로 텐션와이어가 구성 되는데 헤드(11)와 바디(15)가 결합하는 텐션와이어(13)는 헤드(11)와 바디(15)를 연결하는 구멍으로 텐션와이어(13)가 들어가 구체 관절 인형의 바디(15) 안을 통과해 다리 와 관절을 안의 구멍을 통하여 구체관절 인형의 발목에 있는 발목 걸이에 걸리게 되고 발목 걸이에 걸린 텐션와이어(13)의 끝은 다시 다리와 관절 내부를 통과하여 구체관절 인형의 골반을 지나 반대편 다리 관절을 지나게 되고 구체 관절 인형의 발목에 구비된 발목 걸이에 걸린 텐션와이어(13)는 구체관절 인형의 다리 관절과 골반을 지나 처음 텐션와이어(13)가 들어온 헤드(11) 내측으로 나오게 된다.
상기 구체 관절 인형의 양팔은 구체관절 인형의 다리를 지지 결속하는 텐션와이어(13)와 다른 하나의 텐션와이어(13)로 구체 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이 결합 되는 것으로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에 형성된 구멍에 텐션와이어(13)를 넣고 한쪽 손목을 향해 팔 과 관절 내부를 통과한 텐션와이어(13)는 손목 걸이에 텐션와이어(13)를 걸고 텐션와이어(13)는 구체관절 인형의 반대편 손목으로 텐션와이어(13)를 걸기 위해 바디(15)를 통과해 반대편 팔과 관절을 통해 반대편 구체 관절 인형의 손목걸이에 텐션와이어(13)을 걸고 텐션와이어(13)의 끝은 다시 구체 관절 인형의 바디(15)로 향하게 하여 처음 들어간 텐션와이어(13)와 손목걸이에서 나오는 텐션와이어(13)는 구체관절 인형의 팔은 자유스러운 움직임을 가지도록 충분한 장력이 있게 텐션와이어(13)를 묶어 주어 텐션매듭(29)을 형성하고 텐션매듭(29)은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의 내부에 형성된 구멍에 들어가게 된다.
기존의 구체 관절 인형은 발목에서 부터 올라오는 텐션와이어(13)가
구체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을 고정하기 위하여 구체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을 연결하고 바디(15)에서 나오는 텐션와이어(13)는 헤드(11)를 통과하고 구체관절 인형의 각각의 관절이 지지할 수 있게 충분한 장력을 가지도록 텐션와이어(13)를 묶어 주어 텐션매듭(29)이 형성 되며, 텐션와이어(13)를 묶은 텐션매듭(29)은 S고리(14)를 이용해 텐션매듭(29)에 S고리(29)를 걸고 구체관절 인형의 텐션와이어(13)의 충분한 장력을 가지도록 상부머리(12)의 내부에 구비된 텐션걸이(28)에 상기 S걸이(14)가 걸리게 되어 구체관절 인형의 발목에서 올라오는 텐션와이어(13)는 바디(15)와 헤드(11)의 내측면에 형성된 텐션구멍(30) 통과한 텐션와이어(13)는 텐션와이어(13)의 양 끝단을 서로 묶어 텐션매듭(29)을 형성하고 상기 텐션매듭(29)은 S고리(14)의 아래에 부분에 텐션매듭(29)을 걸고 S고리(14) 위에는 상부머리(12)의 텐션걸이(28)에 걸리게 되어 각각의 구체관절 인형의 관절과 헤드가 하나의 인형으로 결합 되는 것이다.
상기 기존의 구체관절 인형은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부머리(12)의 텐션걸이(28)에 걸린 S고리(14)를 풀어 텐션와이어(13)를 헤드(11)의 텐션구멍(30)으로 부터 빼어 내고 다른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을 교체하고 헤드(11)의 텐션구멍(30)으로 텐션와이어(13)를 넣어 올린 후 텐션와이어(13)의 텐션매듭(29)을 S고리(14)에 걸고 텐션매듭(29)이 걸린 S걸이(14)는 상부머리(12)의 텐션걸이(28)에 걸어 주어야하므로 사용자로부터 많은 불편을 가지고 있으며, 헤드(11) 밖으로 나온 텐션와이어(13)가 헤드(11)에 형성된 텐션구멍(30)으로 빠져나가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어 불편을 초래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얼굴 교체 구체 관절 인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의 뒤헤드(16)는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에서 나
오는 텐션와이어(13)가 뒤헤드(16)의 내부 텐션구멍(30)을 통하여 뒤헤드(16)를 통과하고 통과한 텐션와이어(13)는 텐션와이어(13)를 서로 묶어 텐션매듭(29)을 형성한다.
뒤헤드(16)의 아래 텐션구멍(30)을 통과한 텐션와이어(13)는 바디(15)와 뒤헤드(16)가 결합하기 위해 뒤헤드(16) 내부에 텐션와이어(13)의 텐션매듭(29)이 걸릴 수 있는 바벨걸이(27)를 구비한다.
상기 바벨걸이(27)는 뒤헤드(16) 내측면의 텐션와이어(16)가 올라오는 구멍인 텐션구멍(30)의 상부에 위치하며 바벨걸이(27)는 중앙부에 둥근 홈이 형성되어 텐션와이어(16)와 텐션매듭(29)이 바벨걸이(27)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뒤헤드(16)는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에서 올라오는 텐션와이어(13)가 텐션구멍(30)을 통과하여 뒤헤드(16) 내부에 구비된 바벨걸이(27)에 의해 바디(15)와 뒤헤드(16)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헤드(16)는 여러 가지 표정의 마스크(17)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헤드(16)는 내 측면에는 마스크(17)의 고리걸림홈(23)에 걸릴 수 있게 형성된 고정고리(18)가 형성되어 있으며, 뒤헤드(16)와 마스크(24)의 더욱 간결한 장착과 마스크(24)가 장착되었을 때 흔들림을 방지하고 미적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마스크(24)의 내 측면에 형성된 마스크내측홈(24) 과 결합되는 헤드내측턱(19)이 뒤헤드(16) 내측면에 형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뒤헤드(16)에 여러 가지의 마스크(17)가 장착 및 탈착이 용이 하게 하
기위해 뒤헤드(16)의 내측 아래 부분에는 헤드자석(20)이 구비된다.
마스크(17)는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와 결합된 뒤헤드(16)와 달리 뒤헤
드(16)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17)는 뒤헤드(16)와의 간결한 결합을 위해 마스크(17)의 내측
면에는 뒤헤드(16)의 고정고리(18)에 걸릴 수 있게 고리걸림홈(23)이 마스크(17)의 내측 윗부분에 위치하며, 외부의 힘이나 흔들림에 뒤헤드(16)에 장착된 마스크(17)가 흔들리거나 삐뚤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17) 내측에 마스 크내측홈(24)이 형성되어 있어 마스크(17)를 장착 시 뒤헤드(16)의 내측 면에 형성된 헤드 내측턱(19)과 긴밀하게 밀착하여 뒤헤드(16)와 마스크(17)가 흔들리거나 삐뚤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17)는 뒤헤드(16)에 마스크(17)가 장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
기 위해 마스크(17) 내측면에 마스크자석(21)이 구비되며 마스크자석(21)은 뒤헤드(16)에 구비되는 헤드자석(20)과 밀착 되어 결합된다.
상기 마스크자석(21)과 헤드자석(20)은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자석으로 뒤
헤드(16)에 마스크(17)를 장착시 마스크자석(21)과 헤드자석(20)의 자력을 이용해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크(17)는 구체관절 인형의 다양한 표정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마스크(17) 뒤쪽 내측 안에는 구체관절 인형의 안구(26)가 장착이 될 수 있게 눈구멍(22)이 마스크(17)에 형성되며, 상기 눈구멍(22)은 마스크(17)의 내부에 안구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장착되는 안구(26)는 유리 안구, 프라스틱 안구, 사기 안구, 실리콘 안구 등의 다양한 재질의 안구(26)가 눈구멍(22)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구체관절 인형의 얼굴 부분의 교체에 따른 텐션
와이어를 모두 분해 후 구체 관절 인형의 얼굴 부분을 교체 우 다시 각각의 관절을 텐션와이어로 결합하는 불편한 얼굴 교체 작업을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그 구조를 형성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는 물론 제품의 원가도 저감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종래의 다양한 표정을 연출하지 못하던 구체 관절 인형이 본 발명에
의해 다양한 표정을 연출할 수 있어, 구체관절 인형을 처음 사용하는 초보자라 하여도 누구나 쉽게 구체 관절 인형의 얼굴을 바꿀 수가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고 자석과 고정고리에 의해 구체관절 인형의 마스크가 고정되므로 미적인 면에서도 기존의 구체관절 인형의 보다 우수해 내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면서 우수하다.

Claims (6)

  1. 텐션와이어(13)에 의해 바디(15)와 뒤헤드(16)가 분해 또는 결합하는 구체 관절 인형에 있어서 바디(15)와 뒤헤드(16)를 연결하는 텐션와이어(13)의 텐션매듭(29)을 분해하지 않고 뒤헤드(16)에 구체관절 인형의 다양한 표정의 마스크(17)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2. 제 1항에 있어서 뒤헤드(16)와 마스크(17)의 결합을 유지해주는 뒤헤드(16)와 마스크(17)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마스크자석(21)과 헤드자석(20)의 자력으로 결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3. 제 1항에 있어서 구체관절 인형의 바디(15)에서 올라오는 텐션와이어(13)의 텐션매듭(29)이 걸리는 바벨걸이(27)가 구비되어 구체관절 인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60019265U 2006-07-18 2006-07-18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KR200432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265U KR200432825Y1 (ko) 2006-07-18 2006-07-18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265U KR200432825Y1 (ko) 2006-07-18 2006-07-18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825Y1 true KR200432825Y1 (ko) 2006-12-08

Family

ID=4178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265U KR200432825Y1 (ko) 2006-07-18 2006-07-18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8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410B1 (ko) * 2009-06-01 2012-08-28 (주)애즐커뮤니케이션 놀이 교육 도구
KR20200090710A (ko) * 2020-07-21 2020-07-29 박지현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410B1 (ko) * 2009-06-01 2012-08-28 (주)애즐커뮤니케이션 놀이 교육 도구
KR20200090710A (ko) * 2020-07-21 2020-07-29 박지현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KR102163849B1 (ko) 2020-07-21 2020-10-12 박지현 외부 컨트롤러 없는 인형의 헤드 및 눈꺼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3471A1 (en) Doll and Securable Fitted Head Accessary Combination
US8506344B2 (en) Reconfigurable clothing article for a doll
US6848967B2 (en) Transformable toy
US5299968A (en) Primary and secondary toy figure pair with interchangeable hair segments
US20120276805A1 (en) Child Activity Wrap
US4414774A (en) Fashion and hairstyle doll play set
US4979921A (en) Shoulder-supported guardian angel doll
KR200432825Y1 (ko) 얼굴 교체 구체관절 인형
US5538166A (en) Combination plush doll and hanger assembly
US5000712A (en) Riding toy
US20080216233A1 (en) Crib bumper secured with a toy
US4333642A (en) Toy
US1413263A (en) Doll
US20220226743A1 (en) Sock Plush Toys
US3826492A (en) Spring swing
US3898764A (en) Combination doll and marionette
KR200287022Y1 (ko) 조립식 인형완구
KR200420464Y1 (ko) 손가락 인형
KR101197563B1 (ko) 변형이 용이한 거북이 완구
JP3221248U (ja) 人形付ブランケット
KR20130004244U (ko) 변형이 용이한 거북이 매트 완구
WO2008016315A1 (en) A plaything
JP3228771U (ja) 玩具用カバー
JP3092198U (ja) 装飾用人形の構造
CN216088283U (zh) 一种宠物玩具及宠物牵引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